KR20140077804A -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804A
KR20140077804A KR1020120146960A KR20120146960A KR20140077804A KR 20140077804 A KR20140077804 A KR 20140077804A KR 1020120146960 A KR1020120146960 A KR 1020120146960A KR 20120146960 A KR20120146960 A KR 20120146960A KR 20140077804 A KR20140077804 A KR 2014007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blood
filter
flow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2304B1 (en
Inventor
조태범
Original Assignee
조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범 filed Critical 조태범
Priority to KR102012014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304B1/en
Publication of KR2014007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72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with treatment of the fil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61M1/3635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5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retained by ad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A blood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if blood flows into one side thereof; a hemodialysis filter connected wit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removing toxins and waste in blood; a housing for comparting a plasma floating section out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the hemodialysis filter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the hemodialysis filer; and a plasma outflux for enabling the plasma passed the hemodialysis filter to be discharged,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container-shape wall; a lower cap coupled wit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in the lower side of the wall; and an upper cap coupled with the hemodialysis filter in the upper side of the wall, and an absorbent provided in the plasma floating section for removing toxins and wastes in the plasma. The blood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 plasma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an absorption process for removing liver toxins and waste from the plasma separated; and a hemodialysis process for removing urotoxins and waste in blood, thereby having advantages of effectively purifying blood of a patient who needs a blood purifying therapy, miniaturizing the entire blood purifying apparatus, improving convenience in installation and use by using one filter, and reducing blood purifying treatment costs.

Description

혈액정화필터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purifying filter and a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장분리필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 내의 혈장을 분리한 후, 활성탄소(activated charcoal) 혹은 음이온 교환수지(anion exchange resin) 등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분리된 혈장 내의 독소를 제거하고, 동시에 환자 혈액 내의 수용성 독소 및 요독소(uremic toxin)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투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혈액정화용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blood plasma in a patient's blood using a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then removes the toxins in the separated plasma using an adsorbent such as activated charcoal or anion exchange resin, To a blood purification filter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hemodialysis to remove water-soluble toxins and uremic toxins in the blood of a patient.

간기능 저하, 신장 기능의 저하, 혹은 체내 전신성 염증반응을 동반하는 다중장기부전(multi-organ failure) 등의 질환은 체내에 독소들이 축적되는 현상을 동반한다. 간 혹은 신장 이식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하면, 체외로 혈액을 순환시켜서 투석, 여과, 혹은 흡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혈액 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혈액정화 요법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Diseases such as decreased liver function, decreased renal function, or multi-organ failure accompanied by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s are accompanied by accumulation of toxins in the body. If liver or kidney transplantation is not done in time, blood purification should be performed to circulate the blood outside the body and remove toxins in the blood by various methods such as dialysis, filtration, or adsorption.

특히, 간은 우리 몸에 있는 여러 가지 영양소들을 처리하는 대사 기능과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들을 보관하는 기능, 담즙과 알부민 등의 혈장 단백질을 합성하는 기능, 그리고 알코올이나 약물 등 우리 몸에서 생긴 여러 가지 독소들을 해독하는 등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간의 기능이 손상되면 암모니아, 빌리루빈 등 간 대사를 통해서 제거되어 할 물질들이 체내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황달, 간성 혼수, 나아가 다중장기 부전이라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야기하게 된다.Especially, the liver has a function to metabolize various nutrients in our body, a function to store nutrients necessary for our body, a function to synthesize plasma proteins such as bile and albumin, and various kinds of substances It performs many functions such as decrypting toxins. Therefore, when the liver function is impaired, the substances to be removed through the liver metabolism such as ammonia and bilirubin are accumulated in the body, resulting in lethal complications such as jaundice, hepatic coma, and even multiple organ failure.

질병으로 인하여 간기능이 저하되어도, 간은 어느 정도 자가 회복(self recovery)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중증 혹은 급성 간부전의 경우는 간기능이 자가 회복될 때까지 환자가 생존할 수 없거나, 간기능이 스스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간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발표된 OPTN / SRTR Annual Report의 간이식 데이터를 보게 되면, 간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의 30-40% 만이 이식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비해 기증되는 공여 간의 수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부전 환자에게 있어서 간이식 혹은 간의 자가 회복까지 간기능을 대신해 주기 위한 인공간 처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Although the liver is known to be capable of self recovery to some degree, even in the case of liver failure due to illness, severe or acute liver failure can not survive until the liver is self-recovering, Since it is often not recovered by itself, the liver is considered the sole therapy. However, if you look at the liver transplant data from the OPTN / SRTR Annual Report released in 2010, it is known that only 30-40% of the patients waiting for transplant are receiving the transplant.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donated donation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requiring transplantation. Therefore, for liver failure patients, artificial liver treatment is indispensable to replace liver function until liver transplantation or liver self-healing.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공간 장치는 캠브로 사의 MARS(Molecular Adsorbent Recirculating System)와 프레제니우스 사의 Prometheus라는 장비로 한정되는데, MARS는 알부민이라는 혈장 단백질을 투석액에 섞어 혈액중에 존재하는 간독소(hepatic toxin)를 제거하는 매개체로 사용하는데, 이 알부민이 고가이기 때문에 MARS는 고가의 치료비가 소요된다. Prometheus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고 분리된 혈장을 이온수지 흡착제를 통과시키면서 혈장에 존재하는 독소들을 제거하며, 혈장분리 및 흡착 후에 또다시 혈액 투석이 진행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Prometheus 장치는 혈장분리필터, 혈장으로부터 독소를 제거하는 두 개의 흡착필터, 그리고 혈액투석 절차 등 시스템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역시 MARS와 마찬가지로 고가의 치료비용이 요구된다.The artificial liver device currently in clinical use is limited to MARV (Molecular Adsorbent Recirculating System) of Cambros and Prometheus of PRESENIUS. MARS combines plasma protein called albumin into dialysate to detect hepatic toxin ), Because of the high cost of these albumin, MARS costs expensive treatment. Prometheus consists of separating plasma from the blood, passing the separated plasma through the ionic resin adsorbent, removing the toxins present in the plasma, and hemodialysis again after plasma separation and adsorption. Thus, the Prometheus device is complex with systems such as a plasma separation filter, two adsorption filters to remove toxins from the plasma, and hemodialysis procedures, which, in turn, require expensive treatment costs as well as MARS.

이와 같은 종래의 인공간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가의 알부민을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혈장 내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혈장 분리와 흡착의 과정을 한 개의 필터에 통합한 '혈액정화장치'(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71402) 특허가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혈액정화장치' 특허의 경우, 혈장 분리와 혈장 흡착의 과정을 한 개의 필터 내에 구현하여 기존 인공간 장치에 비해 인공간 처치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시켰지만, 추가로 혈액여과 혹은 혈액투석의 절차가 요구된다. 이는, 간부전 혹은 다중장기부전 등 집중적인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경우, 흡착을 통해 간독소(hepatic toxin) 혹은 단백질결합(protein-bound) 독소를 제거하는 것 못지 않게, 신장 기능의 저하로 인해 체내에 축적되는 요독소(uremic toxin) 혹은 수용성(water-soluble) 독소를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추가로 혈액투석의 절차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liver system, a 'blood purifying device' that integrates plasma separ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in one filter, which is configured to remove toxins in the plasma without using expensive albumin, (Korean Patent No. 1071402) Patent has been registe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blood purifying device' patent, the entire system for artificial liver treatment was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ificial liver device by implementing the plasma separation and the plasma adsorption process in one filter, but the blood filtration or hemodialysis Procedures are required. In patients who require intensive blood purification therapy, such as hepatic insufficiency or multiple organ dysfunction, it is desirable to remove hepatic toxins or protein-bound toxins through adsorption, It is also important to remove uremic toxins or water-soluble toxins that accumulate in the body. Therefore, additional hemodialysis procedures are requir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공간 장치들에서는, 혈액투석필터, 혈장분리필터, 그리고 다수개의 흡착필터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가의 처치비용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이들 필터들이 모두 분리되어 있고 중력의 역방향으로 혈액 혹은 혈장이 흐르도록 구성되는바, 각 필터들의 배열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또한 각 필터를 정해진 순서대로 배열해야하므로 설치 및 처치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conventional artificial liver devices require a hemodialysis filter, a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a plurality of adsorption filters, expensive treatment cost is inevitable and all of these filters are separated The blood or plasma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arrangement space of each filter must be secur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ystem is inevitably enlarged. Also, since each filter must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it takes a long time to prepare for installation and treat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1402 (2011.09.30)Korean Patent No. 10-1071402 (September 30,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 절차, 분리된 혈장에 존재하는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절차, 그리고 혈액에 존재하는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투석 절차를 한 개의 필터 내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혈액을 효율적으로 정화함은 물론, 한 개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혈액정화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혈액정화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6]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od separation method and a blood separation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an adsorption procedure for removing toxins present in separated plasma, By integrating the dialysis procedure into one filt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and miniaturize the entire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by using one filter, as well as efficiently purifying the blood of a patient in need of blood purification therap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od purification filter that improves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는, 일측으로 혈액이 유입되면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필터,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혈액 내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는 혈액투석필터,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혈액투석필터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혈액투석필터 외부에 혈장유동구간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혈장유동구간을 통과한 혈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혈장유출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통형의 벽체, 상기 벽체 하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결합하는 하부캡, 상기 벽체 상부측에 상기 혈액투석필터와 결합하는 상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od purifying filter comprising: a plasma separation filter for separating blood plasma from blood when blood flows into one side; blood for removing toxins and wastes in the blood, A dialysis filter, a space for install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a hemodialysis filter, a housing for partitioning a plasma flow section out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the hemodialysis filter, and a plasma The plasma outlet. The housing includes a tubular wall, a lower cap connect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t a lower side of the wall, and an upper cap coupl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at an upper side of the wall.

상기 하부캡에는 혈액의 유동을 위한 하부캡 혈액포트와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하부캡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혈액의 유동을 위한 상부캡 혈액포트와 상기 혈액투석필터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상부캡 삽입홈, 그리고 투석액 유동을 위한 상부캡 유동구가 구비된다. 또한, 혈액의 누출이 없도록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혈액투석필터를 연결시키는 연결구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혈액투석필터와 혈장분리필터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그 치수 및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The lower cap includes a lower cap blood port for blood flow and a lower cap insertion slot for easily coupling wit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The upper cap includes an upper cap blood port for flowing blood, And an upper cap flow port for dialysate flow. In addition, a connection port connect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the hemodialysis filter is provided so that blood does not leak,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nection port may be changed to secure the coupling between the hemodialysis filter and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상기 혈장분리필터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장분리필터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장분리막을 포함하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혈장분리막에 의해 혈액이 유동하는 영역과 혈장이 유동하는 영역으로 구획된다. 혈장분리필터 하우징의 일측에는 분리된 혈장이 상기 혈장유동구간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혈장유동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sma separation filter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 plasma separation membran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inner spac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is divided into a region where blood flows and a region where plasma flows . And a plasma flow hol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so that separated plasma can flow into the plasma flow section.

마찬가지로, 상기 혈액투석필터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액투석필터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투석막을 포함하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혈액투석막에 의해 혈액이 유동하는 영역과 투석액이 유동하는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의 일측에는 투석액의 유동을 위하여 유동공이 구비된다.Similarly, the hemodialysis filter includes a hemodialysis filter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lood dialysis membran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spac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is divided into a region where blood flows through the blood dialysis membrane, As shown in Fig. At one sid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a flow hole is provided for the flow of the dialysis liquid.

, ,

상기 혈장유동구간에는 혈장에 존재하는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이온 교환수지 혹은 활성탄소 등의 흡착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에 포함되는 흡착제는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lasma flow section, an adsorbent such as anion exchange resin or activated carbon may be provided to remove toxins and waste materials present in the plasma. The adsorbent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quire blood purification therap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hanged depending on the patient.

상기 혈장유동공을 통해 유입된 혈장이 혈장유동구간 내에 구비된 흡착제와 충분히 접촉한 뒤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혈장유동공은 혈장분리필터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며, 상기 혈장유출구는 상기 상부캡 혹은 상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혈장유동공 및 상기 혈장유출구를 통해서는 어떤 흡착제의 이동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상기 혈장유동공 혹은 혈장유출구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거나, 상기 혈장유동공 혹은 혈장유출구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로 감싸거나, 상기 흡착제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로 감싸거나, 혹은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동공 그리고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출구 사이에 분리벽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 종의 흡착제가 사용된 경우 흡착제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벽이 설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asma flow hole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so that the plasma introduced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can sufficiently be contacted with the adsorbent provided in the plasma flow section before being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ap or the upper cap is provided on the wall which is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the cap is located. And, no adsorbent migrates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and the plasma outlet, an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plasma flow hole or the plasma outlet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or the plasma flow hole or the plasma outlet may be surrounded by a filter having a por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dsorbent, Or a separating wal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flow hole and between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outlet. Likewise, if multiple adsorbents are used, the separating wall may be provided to prevent mixing of adsorb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는, 혈액펌프가 작동하여 인체 내의 혈액이 상기 하부캡 혈액포트를 통해 혈장분리필터로 유입되면, 혈장펌프에 의한 유체당김으로 인해 혈장이 혈장분리막의 측벽을 관통하여 분리되고, 혈구를 포함하는 잔여 혈액은 상기 연결구를 통해 혈액투석막으로 유동하며, 여기서 혈액투석을 통하여 혈액 중의 독소와 노폐물이 제거된 후 환자에게 회송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loo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blood in the human body flows in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through the lower cap blood port by the operation of the blood pump, The blood is separated from the plasma membrane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plasma membrane due to the pulling of the fluid, and the remaining blood containing the blood flows to the hemodialysis membrane through the connector. Here, through the hemodialysis, the toxins and waste materials in the blood are removed, do.

분리된 혈장은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에 마련된 혈장유동공을 통과하여 혈장유동구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혈장이 혈장유동구간을 지날 때, 혈장유동구간에 구비된 흡착제와의 접촉으로 인해 혈장 내에 존재하는 독소와 노폐물들이 제거된다. 흡착제를 통과한 깨끗한 혈장은 혈장펌프를 거쳐 다시 혈액유동관으로 회수된다.The separated plasma passes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provided i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and moves to the plasma flow section. When the plasma passes the plasma flow section, the plasma is separated from the plasma by the contact with the adsorbent provided in the plasma flow section, Toxins and waste products are removed. The clean plasm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dsorbent is returned to the blood flow tube through the plasma pump.

또한, 투석액 공급장치의 작동을 통해 투석액이 상기 혈액투석필터로 공급되거나 혹은 혈액투석필터로부터 배출되는데, 상기 상부캡과 상기 혈액투석필터의 결합을 통해, 상부캡에 마련된 유동구와 혈액투석필터 하우징에 마련된 유동공이 서로 연결되어 상부캡 유로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로 공급되거나 혹은 혈액투석필터로부터 배출된다. Also,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the dialysis fluid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or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Through the coupling of the upper cap and the hemodialysis filter, the flow port provided in the upper cap and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The prepared flow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upper cap channel, through which the dialysis liquid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or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이와 같이, 한 개의 투석액 유로를 포함하는 경우, 투석액 공급장치에 의해 깨끗한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로 공급되는 시간과 사용된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이 교번하여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석액 유동을 위한 유로는 그 개수와 위치, 모양이 변경될 수 있는데, 일례를 들어 상기 상부캡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투석액 유로는 혈액투석필터 하우징과 상기 벽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거나, 혹은 투석액의 유입과 유출을 분리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분리된 투석액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one dialysis fluid channel is inclu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for supplying the clean dialysis fluid to the hemodialysis filter by the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alternates with the time for which the used dialysis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In addition, the number, the position, and the shape of the channel for the dialysis fluid flow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dialysis fluid channel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upper cap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and the wall, Two separate dialysis fluid channels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effluent.

끝으로, 상기 혈액투석필터는 투석액의 유동을 통한 혈액투석의 기능 외에, 혈액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혈액여과필터의 기능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Finally, the hemodialysis filter may be changed to a function of a hemofiltration filter for removing water in blood as well as a function of hemodialysis through the flow of a dialysis liqui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 절차, 분리된 혈장으로부터 간독소 혹은 단백질결합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절차, 그리고 혈액에 존재하는 요독소 혹은 수용성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투석 절차를 일체화시킴으로써,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혈액을 효율적으로 정화함은 물론, 한 개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혈액정화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sma separation procedure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an adsorption procedure for removing hepatic toxin or protein-binding toxin from separated plasma, By integrating the hemodialysis procedure for removing toxins, it is possible to simplify and miniaturize the entire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by using not only the blood of the patient who needs blood purification therapy efficiently, but also the one filter,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혈장분리필터와 혈액투석필터, 그리고 하부캡 및 상부캡을 포함하는 하우징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혈장분리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혈액투석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혈액투석필터와 상부캡의 결합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투석액 유로가 벽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는 투석액의 유입과 유출을 분리하기 위하여 두 개의 투석액 유로가 마련된 혈액정화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분리벽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중간벽이 포함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 내의 혈장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 내의 투석액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투석액 유로가 변경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plasma separation filter, a hemodialysis filter, and a housing including a lower cap and an upper cap.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modialysis filter.
5A and 5B are enlarged view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emodialysis filter and the upper cap.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alysis fluid channel is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lood purifying filter provided with two dialysis fluid channels for separat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dialysis flui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ng wall.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intermediate wall.
11 is a schematic view of a blood purifying apparatus including a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plasma flow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dialysis fluid in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of a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alysis fluid channel is changed.
17 is a schematic view of a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se ter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그리고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을 포함하는 하우징과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혈액정화필터(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상기 상부캡(120)의 결합 단면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lasma separating filter 130, the hemodialysis filter 140, Sectional view of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with the housing including the upper cap 120,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respectively,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section of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the upper cap 120.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한쪽으로 혈액이 유입되면,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필터(130), 상기 혈장분리필터와 연결되며 혈액 내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는 혈액투석필터(140),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외부에 혈장유동구간(108)을 구획하는 하우징,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을 통과한 혈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혈장유출구(12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통형의 벽체(102), 상기 벽체(102) 하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결합하는 하부캡(110), 상기 벽체(102) 상부측에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상부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when blood flows into one side, a blood separation filter 130 connect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And a hemodialysis filter 140 and a hemodialysis filter 140.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provide a space for install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A housing for partitioning a plasma flow region 108 outside the plasma flow region 108, and at least one plasma outlet 123 for discharging plasma passing through the plasma flow region 108. The housing includes a tubular wall 102, a lower cap 110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t a lower side of the wall 102, a hemodialysis filter 140 disposed above the wall 102, And an upper cap 120 coupled to the upper cap 120.

상기 하부캡(110)에는 혈액의 유동을 위한 하부캡 혈액포트(111)와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하부캡 삽입홈(112)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캡(120)에는 혈액의 유동을 위한 상부캡 혈액포트(121)와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상부캡 삽입홈(124), 그리고 투석액 유동을 위한 상부캡 유동구(122)가 구비된다. 또한, 혈액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를 연결하는 연결구(10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101)는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혈장분리필터(130)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그 치수 및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The lower cap 110 is provided with a lower cap insertion groove 112 so as to be easily coupled to the lower cap blood port 111 for blood flow and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 upper cap blood port 121 for blood flow and an upper cap insertion groove 124 for easily coupling the blood dialysis filter 140 and an upper cap flow port 122 for dialysate flow are provide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101 for connect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to prevent blood leaking. 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filter 130 may be changed to secure the coupling.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혈장분리필터(1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장분리막(132)을 포함하며, 원통형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에 중공사막형 혈장분리막(132) 다발을 장전하고 그 양단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포팅 가공한 중공사막형 혈장분리필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혈장분리막(132)에 의해 혈액 유동영역과 혈장 유동영역으로 구획되는데, 혈장분리필터(130) 일측으로 유입된 혈액은 혈장분리막(132) 안쪽의 혈액 유동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혈장분리필터 타측으로 배출되며, 이때 혈장은 혈장분리막(132)의 측벽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분리된다. 또한,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에는 분리된 혈장이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혈장유동공(13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0 includes a cylindrical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A hollow fiber membrane type plasma separating filter is generally used in which a bundle of hollow fiber membrane separators 132 is loaded on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ype plasma separating membrane 132 and potting is performed using synthetic resin such as polyurethane. The inner spac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s partitioned into a blood flow area and a plasma flow area by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The blood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flows into the blood flow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And the plasma is separat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in a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s provided with a plasma flow hole 133 so that separated plasma can flow into the plasma flow section 108.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원활한 혈장의 유동을 위하여,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의 일단은 상기 연결구(101)를 통해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캡(110)과 결합되며, 이 하부캡(110)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캡 혈액포트(111)를 통과하는 혈액이 혈장분리필터(13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유동하도록 구획된다.
3,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plasma flow holes 133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n a transverse direction for smooth plasma flow, and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Is connect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10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cap 110. Through the coupling with the lower cap 110, The blood that passes throug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10 flows into the blood flow area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혈액투석필터(1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투석막(142)을 포함하며, 원통형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에 중공사막형 혈액투석막(142) 다발을 장전하고 그 양단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포팅 가공한 중공사막형 혈액투석필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혈액투석막(142)에 의해 혈액 유동영역과 투석액 유동영역으로 구획되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에는 투석액 유동을 위하여 상부캡 유동공(143)이 구비된다.4, the hemodialysis filter 140 includes a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lood dialysis membrane 14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cylindrical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 hollow fiber membrane type hemodialysis membrane filter having a bundle of hollow fiber membrane type hemodialysis membranes 142 mounted on both ends thereof and potting using synthetic resin such as polyurethane is mainly used. The inner spac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is partitioned into a blood flow area and a dialysis fluid flow area by the hemodialysis membrane 142 and an upper cap flow hole 143 is provided in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Respectively.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상기 상부캡(120)이 결합할 때, 상부캡(120)에 마련된 상부캡 유동구(122)와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31)에 구비된 상부캡 유동공(143)이 연결되어 상부캡 유로(144)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투석액 유동영역(149)으로 유입되며, 사용된 투석액, 혹은 혈액 중의 수분과 노폐물이 혈액투석막(142)을 관통하여 제거된 여과액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상부캡(12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상부캡 혈액포트(121)를 통과하는 혈액은 상기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흐르도록 구획된다. 즉, 상기 상부캡(120)과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의 결합을 통해, 혈액 및 투석액이 정해진 영역으로 흐르도록 한정되는데, 이는 상기 상부캡(120)과 혈액투석필터(140)의 각 결합부위에 화학적 접착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혹은 실리콘 등 연질의 오링을 각 접착 부위에 삽입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혈액과 투석액이 정해진 공간 외의 타 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A and 5B, whe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the upper cap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cap flow port 122 and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31, which are provided in the upper cap 120, And the upper cap flow channel 144 is connected to the upper cap flow channel 143. The dialysis liquid flows into the dialysis fluid flow region 149 i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upper cap flow channel 144, And the filtered dialysis solution or the filtrate which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blood dialysis membrane 142 and the moisture in the blood and 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upper cap channel 144 in the same manner. Through the coupling of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the upper cap 120, blood passing through the upper cap blood port 121 is divided to flow into the blood flow area inside the hemodialysis filter 140 . That is,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cap 120 and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the blood and the dialysis fluid are limited to flow into the predetermined area.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ap 12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Or a method of inserting a soft O-ring such as silicone into each bonding site can be used to prevent the blood and the dialysis solution from flowing into the other space outside the defined space.

상기 상부캡 유동구(122)와 상부캡 유동공(143), 그리고 이들의 연결을 통해 구성되는 상부캡 유로(144)는 도시된 형상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투석액 혹은 여과액을 유동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벽체 유동공(145)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벽체 유로(146)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 벽체 유로(146)는 투석액과 혈액투석막(142)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혈액투석필터(14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The upper cap flow hole 122 and the upper cap flow hole 143 and the upper cap flow channel 144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upper cap flow hole 122 and the upper cap flow hole 143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position shown, It can be changed to another structure. 6, a wall fluid hole 145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is connected to the wall fluid hole 145 and penetrates the wall body 102 The wall channel 146 may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alysis liquid and the hematological dialysis membrane 142 It is preferable.

또한, 투석액의 유입과 유출을 분리하기 위하여 두 개의 유로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캡(120)에 마련된 상부캡 유로(144)와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 측벽에 마련된 벽체 유로(146)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유로를 통해 투석액이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로 공급되면, 사용된 투석액 혹은 여과액은 다른 하나의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때, 벽체 유로(146)는 투석액과 혈액투석막(142)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캡 유로(144)의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분리된 두 개의 벽체 유동공(145)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분리된 벽체 유로(14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n upper cap channel 144 provided in the upper cap 120 and an upper cap channel 144 provided in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s shown in FIG. 7,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dialysis liquid. And a wall fluid passage 146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140. When the dialysis fluid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any one of the fluid channels, the used dialysis fluid or filtr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fluid channel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passage 146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cap passage 144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alysis solution and the blood dialysis membrane 142. 8, two wall flow holes 145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s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are connected to the wall flow holes 145, respectively, and the wall 102 And two separate wall flow paths 146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wall.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는 혈장에 존재하는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제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에 포함될 수 있는 흡착제는 빌리루빈(Brilirubin)과 같이 혈장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전하를 띄고 있는 독소들을 이온 교환 기전에 의하여 제거하는 음이온 교환수지, 또는 트립토판(tryptophan) 및 중분자 크기의 수용성 독소 등을 물리적 흡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활성탄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파우더 형태, 알갱이 형태, 혹은 상기 파우더 혹은 알갱이를 압착시킨 흡착제 블록의 형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에 포함되는 흡착제는 그 종류와 개수가 특정한 흡착제로 한정되지 않고,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sorbent that can be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dsorbent such as Brilirubin which binds to plasma proteins Anion exchange resin for eliminating charged toxins by an ion exchange mechanism, or activated carbon capable of removing tryptophan and a water-soluble toxin having a large molecular size by physical adsorption. The adsorbent may be used in powder form, granular form, or in the form of an adsorbent block in which the powder or granules are squeezed, and the type and number of adsorbents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specific adsorbents , And patients who need blood purification therapy.

또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장유동공(133)을 통해 유입된 혈장이 혈장유동구간(108) 내에 구비된 흡착제와 충분히 접촉한 뒤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며,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상기 상부캡(120) 혹은 상부캡(120)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활한 혈장의 유동을 위하여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상부 혹은 전체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으며, 원활한 혈장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1, the plasma flow hole 133 is formed in the plasma flow hole 133 so that the plasma introduced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can sufficiently be contacted with the adsorbent provided in the plasma flow region 108,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sma outlet 123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and that the plasma outlet 123 is provided in the wall 102 which is positioned toward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120 or the upper cap 120 is located Do. However, in order to smoothly flow plasma, the plasma flow hole 133 may be provided over or over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plasma, the plasma outlet 1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n be installed.

여기서, 상기 혈장유동공(133)과 상기 혈장유출구(123)를 통해서는 어떤 흡착제의 이동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상기 혈장유동공(133) 혹은 혈장유출구(123)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거나, 상기 혈장유동공(133) 혹은 혈장유출구(123)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로 감싸거나, 상기 흡착제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로 감싸거나, 파우더 혹은 알갱이 형태의 흡착제를 압착시킨 흡착제 블록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동공(133) 혹은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출구(123) 사이에 분리벽(10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03)은 흡착제의 통과를 억제하기 위하여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거나, 혹은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벽(104)에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105)를 부착한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no adsorbent migrate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and the plasma outlet 123, an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plasma flow hole 133 or the plasma outlet 123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or the plasma flow hole 133 or the plasma outlet 123 may be formed as a filter having a por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dsorbent Or adsorbent block in which the adsorbent is wrapped with a filter having a por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dsorbent or in which adsorbent in powder or granular form is squeezed or the adsorbent block in which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flow hole 133 or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outlet The separation wall 10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23 and the partition wall 103. [ The separating wall 103 may be made of a structure having a por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dsorbent in order to suppress the passage of the adsorbent, or may have a por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dsorbent in the support wall 104, And a filter 105 attached thereto.

마찬가지로, 다수 종의 흡착제가 사용된 경우 흡착제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착제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로 감싸거나, 파우더 혹은 알갱이 형태의 흡착제를 압착시킨 흡착제 블록을 이용하거나, 혹은 흡착제 사이에 상기 분리벽(103)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ikewise, in order to prevent mixing of the adsorbents when a plurality of adsorbents are used, the adsorbent may be wrapped with a filter having pore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an adsorbent block in which a powder or granular adsorbent is compressed, And the separation wall 103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adsorbents.

끝으로, 혈장유동구간(108) 내에서 혈장과 흡착제와의 유효 접촉면적을 더욱더 크게 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간벽(10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벽(106)은 혈장유동구간(108)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캡(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방향에 유출공(10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벽(106)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하부캡(110) 혹은 하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nally,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ive contact area between the plasma and the adsorbent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8, an intermediate wall 106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The intermediate wall 106 is located inside the plasma flow section 108 and is fixed to the lower cap 110 and has an outflow hole 107 in a direction shifted toward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is located. When the intermediate wall 106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sma outlet 123 is installed in the wall 102 which is offset to the side where the lower cap 110 or the lower cap is loc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와 이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nd the blood purifying device 2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200)의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 내의 혈장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 내의 투석액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view of a blood purifying apparatus 200 including a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plasma flow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dialysis fluid in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혈액펌프(210)가 작동하여 환자의 혈액이 상기 하부캡 혈액포트(111)를 통해 혈장분리필터(130)로 유입되면, 혈장펌프(214)에 의한 유체당김으로 인해 혈장분리필터(130) 내의 혈장 영역의 압력이 혈액 영역에 비해 낮아지고, 혈장은 혈장분리막(132)의 측벽을 관통하여 분리된다. 혈구를 포함하는 잔여 혈액은 상기 연결구(101)를 통해 혈액투석필터(140)로 유동하며, 여기서 혈액투석을 통하여 혈액 중의 독소와 노폐물이 제거된 후, 상기 상부캡 혈액포트(121)를 거쳐 환자에게 회송된다. 혈액정화필터(100)는 혈액유동관(211)을 통해 환자와 연결되고, 혈액펌프(210)는 혈액유동관(211)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혈장펌프(214)는 혈장유출구(123)와 혈액유동관(211)을 연결하는 혈장유동관(215) 상에 설치되며, 특히 각 혈장유출구(123)를 통과하는 혈장 유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각 혈장유출구(123)와 연결되는 혈장펌프(2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액펌프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를 통과하는 혈액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혈액정화필터(100)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혈장분리용 혈액펌프(210a)와 혈액투석용 혈액펌프(210b)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blood pump 210 operates and blood of a patient flows in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through the lower cap blood port 111, due to fluid pulling by the plasma pump 214 The pressure of the plasma region i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becomes lower than that in the blood region and the plasma is separat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The remaining blood containing blood cells flows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connector 101. After the toxins and waste materials in the blood are removed through the hemodialysis, the remaining blood including the blood cells passes through the upper cap blood port 121, Lt; / RTI >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is connect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blood flow pipe 211 and the blood pump 210 is installed in the blood flow pipe 211. Similarly, the plasma pump 214 is installed on the plasma flow tube 215 connecting the plasma outlet 123 and the blood flow pipe 211, and particularly, independently adjusts the plasma flow rate passing through each plasma outlet 123 A plasma pump 214 connected to each plasma outlet 123 may be provided. 11, the blood pump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in order to adjust the blood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e blood pump 210a for separating plasma and the blood pump 210b for hemodialysis.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리된 혈장은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에 마련된 혈장유동공(133)을 통과하여 혈장유동구간(108)으로 이동하게 되고, 혈장유동구간(108)에서 흡착제와의 접촉으로 인해 혈장 내에 존재하는 독소와 노폐물들이 제거된다. 흡착제를 통과한 깨끗한 혈장은 혈장펌프(214)를 거쳐 다시 혈액유동관(211)으로 회수된다.12, the separated plasma passes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provided i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and moves to the plasma flow section 108.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8, The toxins and waste materials present in the plasma are removed. The clean plasma having passed through the adsorbent is returned to the blood flow pipe 211 via the plasma pump 214.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투석액 공급장치(212)의 작동에 의해 투석액이 상기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혈액투석필터(140)로 공급되고, 사용된 투석액은 마찬가지로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는 한 개의 투석액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경우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해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140)로 공급되는 시간과, 사용된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이 교번하여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에 포함되는 투석액 유로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캡(120)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데 한정하지 않고, 그 모양과 위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The dialysis liquid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upper cap channel 144 by the operation of the dialysis liquid supply device 212 as shown in FIG. And is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dialysis filter 140. As described above,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dialysis solution flow path. In this case, the dialysis solution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by the dialysis solution supply device 212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used dialysis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lternately. As described above, the dialysis fluid flow path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cap 120 as shown in FIG. 13, Position, and number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에 있어서 혈액의 유동은 하부캡 혈액포트(111)로 유입되어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그리고 상부캡 혈액포트(121)를 거쳐 환자에게 회송되는데 한정하지 않고, 상부캡 혈액포트(121)를 통해 혈액투석필터(140)로 유입되며, 여기서 혈액투석이 먼저 일어나고, 이어서 혈장분리필터(130)를 지나면서 혈장이 분리된 후, 하부캡 혈액포트(111)를 거쳐 환자에게 회송될 수 있다.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blood flows into the lower cap blood port 111 and flows throug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e hemodialysis filter 130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hemodialysis fluid is return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hemostasis filter 121 but flows in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upper cap blood port 121. Here, The blood can be return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lower cap blood port 111. [

끝으로,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는 투석액의 유동을 통한 혈액투석의 기능 외에, 상기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한 투석액의 공급 및 배출은 일어나지 않고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한 유체당김으로 인하여 투석액 유동영역(149)의 압력이 혈액에 비해 낮아지고, 이로 인해 혈액 중의 여과액이 상기 유로(144, 146)를 통해 제거되는 혈액여과필터의 기능 또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modialysis filter 140 may be operated by the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212 so as not to supply and discharge the dialysis fluid by the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212, The function of the blood filtration filter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dialysis fluid flow region 149 is lower than that of the blood, whereby the filtrate in the blood is removed through the flow paths 144, 14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투석액 유로가 변경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 단면도이다.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of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alysis fluid channel is chang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한쪽으로 혈액이 유입되면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필터(130),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혈액 내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는 혈액투석필터(140),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외부에 혈장유동구간(105)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혈장유동구간(105)을 통과한 혈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혈장유출구(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통형의 벽체(102), 상기 벽체 하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하부캡(110), 상기 벽체 상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상부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4,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when blood flows in one direction, a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are provided in parallel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o remove toxins and wastes from the blood, A housing for partitioning the plasma flow section 105 outside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a plasma outlet 113 for discharging the plasm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asma flow section 105. The housing includes a tubular wall 102, a lower cap 110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on the lower side of the wall, And an upper cap 120 which is coupl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상기 하부캡(110)에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연결되는 제 1 하부캡 혈액포트(116),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연결되는 제 2 하부캡 혈액포트(117), 그리고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하부캡 삽입홈(122)이 포함되며, 상기 상부캡(120)에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연결되는 제 1 상부캡 혈액포트(126),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연결되는 제 2 상부캡 혈액포트(127), 그리고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상부캡 삽입홈(114)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20)에는 투석액 유동을 위한 상부캡 유동구(122)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cap 110 includes a first lower cap blood port 116 connect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 second lower cap blood port 117 connect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e upper cap 120 includes a lower cap inserting groove 122 to be easily coupled to the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e upper cap 120 includes a first upper cap 120 connect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a second upper cap blood port 127 connect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an upper cap inserting unit 130 to be easily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 Grooves 114 are included. The upper cap 12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cap flow port 122 for the flow of the dialysis liquid.

상기 혈장분리필터(1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장분리막(132)을 포함하며,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혈장분리막(132)에 의해 혈액 유동영역과 혈장 유동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에는 분리된 혈장이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혈장유동공(13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원활한 혈장의 유동을 위하여,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의 양단은 상기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과 결합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 하부캡 혈액포트(116)와 제 1 상부캡 혈액포트(117)를 통과하는 혈액은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유동하도록 구획된다.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inner spac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s connected to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into a blood flow region and a plasma flow regio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s provided with a plasma flow hole 133 so that separated plasma can flow into the plasma flow section 108. As shown in FIG. 14,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plasma flow holes 133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in a transverse direction for smooth plasma flow. Both ends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re coupled to the lower cap 110 and the upper cap 120 to pass through the first lower cap blood port 116 and the first upper cap blood port 117 The blood is partitioned into the blood flow region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투석막(142)을 포함하며,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혈액투석막(142)에 의해 혈액 유동영역과 투석액 유동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의 양단은 상기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과 결합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 2 하부캡 혈액포트(117)와 제 2 상부캡 혈액포트(127)를 통과하는 혈액이 상기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유동하도록 구획된다.The hemodialysis filter 140 includes a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lood dialysis membrane 142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inner spac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is filled with the blood And is partitioned into a blood flow region and a dialysis fluid flow region by the dialysis membrane 142. Both ends of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re coupled to the lower cap 110 and the upper cap 120 to pass through the second lower cap blood port 117 and the second upper cap blood port 127 To the blood flow area inside the hemodialysis filter (140).

또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에는 투석액 유동을 위하여 상부캡 유동공(143)이 구비되며,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상기 상부캡(120)이 결합할 때, 상부캡(120)에 마련된 상부캡 유동구(122)와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31)에 구비된 상부캡 유동공(143)이 연결되어 상부캡 유로(144)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 유로(144)를 통해 투석액 혹은 여과액이 유동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 유동구(122)와 상부캡 유동공(143), 그리고 이들의 연결을 통해 구성되는 상부캡 유로(144)는 도시된 형상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투석액을 유동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상기 상부캡(120)에 설치된 투석액 유로는 상기 하부캡(110)에 설치되도록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투석액의 유입과 유출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에 각각 유동구(118, 122)가 구비되고,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에는 각각 하부캡 유동공(147)과 상부캡 유동공(143)이 마련되어, 상기 혈액투석필터(140)가 상기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과 결합할 때, 상기 상부캡 유동구(112)와 상기 상부캡 유동공(143)을 연결하는 상부캡 유로(144)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캡 유동구(118)와 상기 하부캡 유동공(147)을 연결하는 하부캡 유로(148)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벽체 유동공(145)이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벽체 유로(146)가 설치될 수 있다.
An upper cap flow hole 143 is provided in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for the flow of a dialysis fluid and an upper cap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cap 120 whe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the upper cap 120 are coupled. An upper cap flow hole 122 provided in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31 is connected to an upper cap flow hole 143 formed in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31 to form an upper cap flow channel 144, The filtrate flows. Here, the upper cap flow hole 122, the upper cap flow hole 143, and the upper cap flow channel 144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upper cap flow hole 122 and the upper cap flow hole 143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position shown, Structure. For example, the dialysis fluid flow path provided in the upper cap 120 can be changed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cap 110, as shown in FIG. 15, in order to separate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dialysis fluid, The lower cap 110 and the upper cap 120 are provided with flow ports 118 and 122 respectively and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is provided with a lower cap flow hole 147 and an upper cap flow hole 143 An upper cap flow passage 144 for connecting the upper cap flow hole 112 and the upper cap flow hole 143 whe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cap 110 and the upper cap 120, A lower cap passage 148 connecting the lower cap flow hole 118 and the lower cap flow hole 147 may be additionally formed. 16, a wall flow hole 145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is connected to the wall flow hole 145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102 A wall flow passage 146 may be provided.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는 혈장에 존재하는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는 파우더 형태, 알갱이 형태, 혹은 상기 파우더 혹은 알갱이를 압착시킨 흡착제 블록의 형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에 포함되는 흡착제는, 그 종류와 개수가 특정한 흡착제로 한정되지 않고,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sma flow section 108 is equipped with an adsorbent to remove toxins and waste materials present in plasma. The adsorbent may be used in powder form, granular form, or in the form of an adsorbent block in which the powder or granules are squeezed, and the adsorbent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to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dsorbent, but is preferably changed depending on the patient who needs blood purification therapy.

또한, 상기 혈장유동공(133)을 통해 유입된 혈장이 혈장유동구간(108) 내에 구비된 흡착제와 충분히 접촉한 뒤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며,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상기 상부캡(120) 혹은 상부캡(120)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마련되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활한 혈장의 유동을 위하여 상기 혈장유동공(133)은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상부 혹은 전체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으며, 원활한 혈장의 배출을 위하여 다수 개의 혈장유출구(123)가 설치될 수 있다.The plasma flow hole 133 is formed i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so that the plasma introduced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can sufficiently be contacted with the adsorbent provided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8 and then discharged. And the plasma outlet 123 may be provided on the wall 102 which is offset to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120 or the upper cap 120 is located. However, in order to smoothly flow plasma, the plasma flow hole 133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or the entir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and a plurality of plasma outlets 123 may be installed .

여기서, 상기 혈장유동공(133)과 상기 혈장유출구(123)를 통해서는 어떤 흡착제의 이동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다수 종의 흡착제가 사용된 경우 분리벽(103)등을 이용하여 흡착제가 서로 혼합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no adsorbent migrate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and the plasma outlet 123. For this purpose, various methods can be used as described above, and similarly, When the adsorbent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dsorbent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separating wall 103 or the like.

끝으로, 혈장과 흡착제와의 유효 접촉면적을 더욱더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캡(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방향에 유출공(107)을 갖는 중간벽(106)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벽(106)이 설치된 경우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하부캡(110) 혹은 하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nally,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ive contact area between the plasma and the adsorbent, the plasma is positioned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8 and fixed to the lower cap 110, The plasma outlet 123 may be installed in the wall 102 that is offset to the side where the lower cap 110 or the lower cap is located when the intermediate wall 106 is install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와 이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lood purification device 200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200)의 개략도이다.17 is a schematic view of a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200 including a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한 것처럼, 혈액펌프(210)가 작동하여 혈액이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캡 혈액포트(116, 117)를 통해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 내부로 유입되면, 혈장펌프(214)에 의한 유체당김으로 인해, 혈장은 혈장분리막(132)의 측벽을 관통하여 분리되고, 혈구를 포함하는 잔여 혈액은 상기 제 1 상부캡 혈액포트(126)를 통해 환자에게 회송된다. 동시에 혈액투석필터(140)에서는 혈액 중의 독소와 노폐물이 제거된 후, 상기 제 2 상부캡 혈액포트(127)를 거쳐 환자에게 회송된다. 혈액정화필터(100)는 혈액유동관(211)을 통해 환자의 몸과 연결되고, 혈액펌프(210a, 210b)는 혈액유동관(211) 상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혈장펌프(214)는 혈장유출구(123)와 혈액유동관(211)을 연결하는 혈장유동관(215) 상에 설치되며, 특히 각 혈장유출구(123)를 통과하는 혈장 유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각 혈장유출구(123)와 연결되는 혈장펌프(2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혈액펌프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로의 혈액 유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혈장분리용 혈액펌프(210a)와 혈액투석용 혈액펌프(210b)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blood pump 210 operates so that blood flows in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ower cap blood ports 116 and 117 as shown in FIG. The plasma is separat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plasma separating membrane 132 and the remaining blood containing the blood cells is discharg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first upper cap blood port 126 Lt; / RTI > At the same time, the hemodialysis filter 140 removes toxins and waste materials from the blood, and is return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second upper cap blood port 127.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is connected to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blood flow pipe 211 and the blood pumps 210a and 210b are installed on the blood flow pipe 211. [ Similarly, the plasma pump 214 is installed on the plasma flow tube 215 connecting the plasma outlet 123 and the blood flow pipe 211, and particularly, independently adjusts the plasma flow rate passing through each plasma outlet 123 A plasma pump 214 connected to each plasma outlet 123 may be provided. 17, the blood pump includes a blood pump 210a for plasma separation and a blood pump 210a for hemodialysis to independently adjust the blood flow rate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 And may be installed separately by the blood pump 210b.

분리된 혈장은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에 마련된 혈장유동공(133)을 통과하여 혈장유동구간(108)으로 이동하게 되고, 혈장유동구간(105)에서 흡착제와의 접촉을 통해 혈장 내에 존재하는 독소와 노폐물들이 제거된다. 흡착제를 통과한 깨끗한 혈장은 혈장펌프(214)를 거쳐 다시 혈액유동관(211)으로 회수된다.The separated plasma passes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provided i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and moves to the plasma flow section 108.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5, Toxins and waste products are removed. The clean plasma having passed through the adsorbent is returned to the blood flow pipe 211 via the plasma pump 214.

또한, 투석액 공급장치(212)의 작동에 의해 깨끗한 투석액이 상기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혈액투석필터(140)로 공급되고, 사용된 투석액은 마찬가지로 상부캡 유로(144)를 거쳐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는 투석액 유동을 위하여 한 개의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경우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해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140)로 공급되는 시간과, 투석액이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이 교번하여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에 포함되는 투석액 유로는 상부캡(12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데 그치지 않고, 그 모양과 위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A clean dialysis solution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through the upper cap channel 144 by the operation of the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212 and the used dialysis solution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via the upper cap channel 144, (Not shown). In this case,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flow path for the dialysis fluid flow. In this case, the dialysis fluid is suppli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dialysis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re alternate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dialysis fluid flow path included in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upper cap 120, but its shape, position, and number can be changed .

끝으로,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는 투석액 유동을 통한 혈액투석의 기능 외에, 상기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한 투석액의 공급 및 배출은 일어나지 않고 투석액 공급장치(212)에 의한 유체당김으로 인하여 투석액 유동영역(149)의 압력이 혈액에 비해 낮아지고, 이로 인해 혈액 중의 여과액이 상기 유로(144, 146)를 통해 제거되는 혈액여과필터의 기능 또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does not supply and discharge the dialysis solution by the dialysis solution supply device 212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hemodialysis through the flow of the dialysis solution, The function of the hemofiltration filter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dialysis fluid flow region 149 is lower than that of the blood, whereby the filtrate in the blood is removed through the flow channels 144, 146 is also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혈액정화필터(100)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 절차, 분리된 혈장으로부터 간독소 혹은 단백질결합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절차, 그리고 혈액으로부터 요독소 혹은 수용성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투석 절차를 일체화시킴으로써, 혈액정화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혈액을 효율적으로 정화함은 물론, 전체 혈액정화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한 개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혈액정화 처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od purifying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procedure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an adsorption procedure for removing hepatic toxin or protein-binding toxin from separated plasma, and a urine toxin or a water- By integrating the hemodialysis procedure for removing blood,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iciently purify the blood of a patient in need of blood purification therapy, but also to miniaturize the entire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by using one filter, And the cost of blood purification treatment can be reduced.

이상,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혈액정화필터
101 : 연결구
102 : 통형의 벽체
103 : 분리벽
104 : 지지벽
105 : 필터
106 : 중간벽
107 : 유출공
108 : 혈장유동구간
110 : 하부캡
111 : 하부캡 혈액포트
112 : 하부캡 삽입홈
116 : 제 1 하부캡 혈액포트
117 : 제 2 하부캡 혈액포트
118 : 하부캡 유동구
120 : 상부캡
121 : 상부캡 혈액포트
122 : 상부캡 유동구
123 : 혈장유출구
124 : 상부캡 삽입홈
126 : 제 1 상부캡 혈액포트
127 : 제 2 상부캡 혈액포트
130 : 혈장분리필터
131 : 혈장분리필터 하우징
132 : 혈장분리막
133 : 혈장유동공
140 : 혈액투석필터
141 : 혈액투석필터 하우징
142 : 혈액투석막
143 : 상부캡 유동공
144 : 상부캡 유로
145 : 벽체 유동공
146 : 벽체 유로
147 : 하부캡 유동공
148 : 하부캡 유로
149 : 투석액 유동영역
200 : 혈액정화장치
210 : 혈액펌프
210a : 혈장분리용 혈액펌프
210b : 혈액투석용 혈액펌프
211 : 혈액유동관
212 : 투석액 공급장치
213 : 투석액유동관
214 : 혈장펌프
215 : 혈장유동관
100: blood purification filter
101: End connector
102: cylindrical wall
103: separating wall
104: Support wall
105: Filter
106: Middle wall
107: Spillway
108: plasma flow section
110: Lower cap
111: Lower cap blood port
112: Lower cap insertion groove
116: first bottom cap blood port
117: second bottom cap blood port
118: Lower cap flow port
120: upper cap
121: Upper cap blood port
122: upper cap flow port
123: Plasma outlet
124: upper cap insertion groove
126: first upper cap blood port
127: second upper cap blood port
130: plasma separation filter
131: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2: plasma membrane
133: plasma flow ball
140: hemodialysis filter
141: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2: blood dialysis membrane
143: upper cap flow hole
144: upper cap channel
145: Wall flow ball
146:
147: Lower cap flow hole
148: Lower cap channel
149: Dialysis fluid flow area
200: blood purification device
210: Blood pump
210a: blood pump for plasma separation
210b: Blood pump for hemodialysis
211: blood flow tube
212: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213: Dialysis fluid flow tube
214: Plasma pump
215: plasma flow tube

Claims (20)

혈액 내의 혈장을 분리하는 혈장분리필터(130);
혈액 내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한 혈액투석필터(140);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외부에 혈장유동구간(108)을 구획하는 하우징; 및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을 통과한 혈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혈장유출구(123);를 포함하는 혈액정화필터.
A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for separating plasma in the blood;
A hemodialysis filter (140) for removing toxins and wastes in blood;
A housing for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partitioning the plasma flow section 108 out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And a plasma outlet (123) for discharging plasm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asma flow section (10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분리필터(1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장분리막(132)을 포함하며, 상기 혈장분리막(132)에 의해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 내부는 혈액 유동영역과 혈장 유동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혈액투석막(142)을 포함하며, 상기 혈액투석막(142)에 의해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 내부는 혈액 유동영역과 투석액 유동영역(149)으로 구획되고,
상기 혈장분리필터 하우징(131)의 일측에는 분리된 혈장이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혈장유동공(133)이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includes a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plasma separation membrane 132 separates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 Is partitioned into a blood flow region and a plasma flow region,
The hemodialysis filter 140 includes a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lood dialysis membrane 142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hemodiafiltration membrane 142 is connect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 Is partitioned into a blood flow region and a dialysis fluid flow region 149,
Wherein a plasma flow hole (13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housing (131) so that separated plasma can be transferred to the plasma flow section (10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통형의 벽체(102);
상기 벽체 하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결합하는 하부캡(110);
상기 벽체 상부측에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상부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캡(110) 및 상부캡(120)에는 각각,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혈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부캡 혈액포트(111) 및 상부캡 혈액포트(121)가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 tubular wall 102;
A lower cap 110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on the lower side of the wall;
And an upper cap (120) coupled to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t an upper side of the wall,
The lower cap 110 and the upper cap 1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lower cap blood port 111 and a lower cap 120 so that blood can flow into the blood flow region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nd a cap blood port (1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분리필터(130)와 혈액투석필터(140) 사이에 혈액 누출이 없도록 연결하는 연결구(101);가 포함되는 혈액정화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on port (101) connecting between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so as to prevent blood leak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일측에 상부캡 유동공(14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캡(120)에는 상부캡 유동구(12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120)과 상기 혈액투석필터(140)가 결합할 때, 상기 상부캡 유동구(122)와 상기 상부캡 유동공(143)을 연결하는 상부캡 유로(144)가 형성되는 혈액정화필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upper cap flow hole 1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The upper cap 120 is provided with an upper cap flow port 122,
And an upper cap flow channel 144 connecting the upper cap flow hole 122 and the upper cap flow hole 143 when the upper cap 12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벽체 유동공(145)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벽체 유로(146)가 추가로 포함되는 혈액정화필터.
6. The method of claim 5,
A wall flow hole 145 is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a wall flow passage (146) connected to the wall flow hole (145) and configured to penetrate the wall (102).
제 3 항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벽체 유동공(145)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벽체 유로(146)가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4. The method of claim 3,
A wall flow hole 145 is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a wall channel (146) connected to the wall fluid hole (145) and configured to penetrate the wall (10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통형의 벽체(102);
상기 벽체 하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하부캡(110);
상기 벽체 상부측에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상기 혈액투석필터(140)와 결합하는 상부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캡(110)에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혈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하부캡 혈액포트(116, 117)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캡(120)에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혈액투석필터(140) 내부의 혈액 유동영역으로 혈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상부캡 혈액포트(126, 127)가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 tubular wall 102;
A lower cap 110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on the lower side of the wall;
And an upper cap 120 coupled to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The lower cap 110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lower cap blood ports 116 and 117 for allowing blood to flow into the blood flow region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
The upper cap 120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upper cap blood ports 126 and 127 for allowing blood to flow into the blood flow region inside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Blood purification fil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일측에 상부캡 유동공(14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캡(120)에는 상부캡 유동구(12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120)과 상기 혈액투석필터(140)가 결합할 때, 상기 상부캡 유동공(143)과 상기 상부캡 유동구(122)를 연결하는 상부캡 유로(144)가 형성되는 혈액정화필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upper cap flow hole 1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The upper cap 120 is provided with an upper cap flow port 122,
And an upper cap flow passage 144 connecting the upper cap flow hole 143 and the upper cap flow port 122 when the upper cap 12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일측에 하부캡 유동공(147)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캡(110)에는 하부캡 유동구(118)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캡(110)과 상기 혈액투석필터(140)가 결합할 때, 상기 하부캡 유동공(147)과 상기 하부캡 유동구(118)를 연결하는 하부캡 유로(148)가 추가로 포함되는 혈액정화필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 lower cap flow hole 14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The lower cap 110 is provided with a lower cap flow hole 118,
And a lower cap flow passage 148 connecting the lower cap flow hole 147 and the lower cap flow port 118 when the lower cap 11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Purification fil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투석필터 하우징(141)의 측벽에 벽체 유동공(145)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 유동공(145)과 연결되며 상기 벽체(10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벽체 유로(146)가 형성되는 혈액정화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A wall flow hole 145 is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hemodialysis filter housing 141,
And a wall flow passage (146) connected to the wall flow hole (145) and configured to penetrate the wall (102) is formed.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장 내의 독소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 흡착제;가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1,
And an adsorbent is provided in the plasma flow section (108) to remove toxins and waste materials in the plasm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상기 상부캡(120) 또는 상부캡(120)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lasma outlet 123 is provided in the wall 102 that is offset toward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120 or the upper cap 120 is loca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동공(133)과 혈장유출구(123)를 통한 흡착제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혈장유동공(133) 혹은 혈장유출구(123)가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거나,
상기 혈장유동공(133) 혹은 혈장유출구(123)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105)로 감싸거나,
상기 흡착제를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105)로 감싸거나,
파우더 혹은 알갱이 형태의 흡착제를 압착시킨 흡착제 블록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동공(133) 사이, 혹은 상기 흡착제와 혈장유출구(123) 사이에 분리벽(103);이 설치되는 혈액정화필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dsorbent through the plasma flow hole 133 and the plasma outlet 123,
The plasma flow hole 133 or the plasma outlet 123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The plasma flow hole 133 or the plasma outlet 123 is wrapped with a filter 105 having pore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The adsorbent is wrapped with a filter 105 having pores smaller in size than the adsorbent,
Adsorbent block squeezed with a powder or granular adsorbent, or
And a separation wall (103) is provided between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flow hole (133) or between the adsorbent and the plasma outlet (1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103),
흡착제의 통과를 억제할 수 있도록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거나, 혹은 지지벽(104)에 흡착제보다 작은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105)를 부착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정화필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parating wall (103),
A structure having pore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to prevent passage of the adsorbent or a filter 105 having pore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sorbent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wall 104 Blood Purification Filt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캡(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캡(120)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혈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출공(107)을 갖는 중간벽(106);을 추가로 포함하는 혈액정화필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intermediate wall having an outflow hole 107 for allowing plasma to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plasma flow section 108 which is fixed to the lower cap 110 and is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120 is located, 106). ≪ / RTI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출구(123)는, 상기 하부캡(110) 또는 상기 하부캡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벽체(102)에 구비되는 혈액정화필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sma outlet (123) is provided in a wall (102) biased toward the side where the lower cap (110) or the lower cap is located.
상기 제 12 항의 혈액정화필터(100);
상기 혈액정화필터(100)와 환자를 연결하며 내부에 혈액이 유동하는 혈액유동관(211);
상기 혈액유동관(211)에 설치되어 환자의 혈액을 이송시키는 혈액펌프(210);
상기 혈장유출구(123)와 혈액유동관(211)을 연결하며 내부에 혈장이 유동하는 혈장유동관(215);
상기 혈장유동관(215)에 설치되어 혈장을 이송시키는 혈장펌프(214); 및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로 투석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혈액투석필터(140)로부터 투석액 혹은 여과액을 회수하기 위한 투석액 공급장치(212);를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
A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ccording to claim 12;
A blood flow tube 211 connecting the blood purification filter 100 and the patient and flowing blood therein;
A blood pump 210 installed in the blood flow tube 211 to transfer blood of the patient;
A plasma flow tube 215 connecting the plasma outlet 123 and the blood flow tube 211 and flowing plasma therein;
A plasma pump 214 installed in the plasma flow tube 215 to transfer plasma; And
And a dialysis fluid supply device (212) for supplying the dialysis fluid to the hemodiafiltration filter (140) or recovering the dialysis fluid or the filtrate from the hemodialysis filter (14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펌프(210)는, 상기 혈장분리필터(130) 및 상기 혈액투석필터(140)를 통과하는 혈액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혈장분리용 혈액펌프(210a)와 혈액투석용 혈액펌프(210b)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혈액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blood pump 210 is connected to the blood pump 210a for blood plasma separation and the blood pump 210b for hemodialysis to regulate the blood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plasma separation filter 130 and the hemodialysis filter 140. [ And the blood pur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separatel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동구간(108)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캡(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캡(120)이 위치한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혈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출공(107)을 갖는 중간벽(106);을 추가로 포함하는 혈액정화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n intermediate wall having an outflow hole 107 for allowing plasma to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plasma flow section 108 which is fixed to the lower cap 110 and is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the upper cap 120 is located, 106). ≪ / RTI >
KR1020120146960A 2012-12-14 2012-12-14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572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60A KR101572304B1 (en) 2012-12-14 2012-12-14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60A KR101572304B1 (en) 2012-12-14 2012-12-14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804A true KR20140077804A (en) 2014-06-24
KR101572304B1 KR101572304B1 (en) 2015-11-26

Family

ID=5112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960A KR101572304B1 (en) 2012-12-14 2012-12-14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30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14A (en) 2014-07-28 2016-02-05 조태범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585996B2 (en) 2014-04-02 2017-03-07 Human Biomed, Inc.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US9707332B2 (en) 2014-04-02 2017-07-18 Human Biomed, Inc Blood purify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106151YA (en) * 2018-12-12 2021-07-29 Aquaporin As A hollow fiber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5996B2 (en) 2014-04-02 2017-03-07 Human Biomed, Inc.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US9707332B2 (en) 2014-04-02 2017-07-18 Human Biomed, Inc Blood purifying apparatus
KR20160013614A (en) 2014-07-28 2016-02-05 조태범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304B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402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blood
KR101638280B1 (en) Blood Purifying Apparatus
US9713668B2 (en) Multi-staged filtration system for blood fluid removal
KR100649260B1 (en) Dual-stage filtration cartridge
US9585994B2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572304B1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076297A2 (en) Fluid-conserving cascade hemofiltration
CN203507201U (en) Separating type hemodialysis absorber
ES2440366T3 (en) Connector for a fluid transport conduit of a medical device
US9585996B2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EP3796955B1 (en) Sorbent cartridge for dialysate regeneration
CN105214158B (en) Apparatus for purifying blood and blood purification system
KR20160016474A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KR101638235B1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S6045359A (en) Blood purifier
KR20160059108A (en) Hemodialysis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00898A1 (en) Bio-liquid treatment device
KR20160016086A (en) Blood purifying filter and blood purifying apparatus
WO2015152593A1 (en) Blood purifying apparatus
KR20160095317A (en) Blood Purifying Apparatus
JP2000167044A (en) Hemocatharsis device, and hemocatharsis equipment containing this
WO2009035275A2 (en) Apparatus for purifying blood
EP3024510A1 (en) Blood purification systems and devices with internally generated replacement fluid
CN111068134A (en) Blood purifier without dialysate
JP2002177381A (en) Dialyzate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