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086A -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086A
KR20140076086A KR1020120144232A KR20120144232A KR20140076086A KR 20140076086 A KR20140076086 A KR 20140076086A KR 1020120144232 A KR1020120144232 A KR 1020120144232A KR 20120144232 A KR20120144232 A KR 20120144232A KR 20140076086 A KR20140076086 A KR 2014007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device
tube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주
Original Assignee
이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주 filed Critical 이춘주
Priority to KR102012014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086A/ko
Publication of KR2014007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inflatable and movable substructur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터널 놀이시설(10)은 복수의 단위체(14)와 기저부(12)를 갖는다. 각각의 단위체는 한 쌍의 기둥(14a)과 돔(14b)으로 구성되며, 기둥들과 돔은 봉제와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단위체는 아치 형상을 이루며, 여러 단위체들은 전후로 병렬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기저부는 단위체들 그 위에 배치되어 각각이 안정적으로 터널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단위체에는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그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구(16)가 제공된다. 터널 놀이시설은 물공급장치(20)를 더 가지고 있다. 물공급장치는 튜브(22)와 튜브에 복수 개가 설치된 살수공들(24)을 포함하고 있다. 튜브의 한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밴드(26)에 의해 호스(28)와 연결되며, 이 호스를 통해 상수도와 같은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튜브 내부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튜브로 공급된 물은 살수공들(24)을 통해 터널 놀이시설의 복수의 단위체들에 의해 형성된 터널의 내부에 물을 살수하게 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SIMPLE PLAYING FACILITIES BY AIR INJECT AND EJECT MODE}
본 발명은 간이 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야외에서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나면 쉽게 그 놀이시설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게 달성되는 간이 놀이시설에 관한 것이다.
여가 문화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다양한 문화체험과 행사가 개최됨에 따라 놀이시설이나 각종 놀이기구에 대한 수요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놀이시설에 대한 요청은 지역공동체나 교육기관이나 기업체나 공공단체 등에서 실시하는 각종 행사와 맞물려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다양한 주체들이 주관하는 행사는 놀이 자체가 목적인 경우도 있으며, 아니면 행사의 목적은 다른 것에 있으나 그 행사일정을 이루는 한 부분으로서 놀이행위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각종 놀이시설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간에 이와 같은 행사 등이 여러 편의시설이나 놀이시설 등이 전혀 제공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장소에서 개최되는 때에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놀이시설 등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더 늘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종래 야외에서 손쉽게 조립, 분해할 수 있는 놀이시설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놀이시설들은 그 나름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람들에게 애용되어 왔다. 그러나 한편 종래의 이런 놀이시설들은 간편하게 운반하여 조립하거나 설치하고 접거나 분해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 공로는 있으나, 다른 한편 놀이기구의 특성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고 놀이시의 만족감을 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도 많이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놀이시설들은 이동성의 증대와 손쉬운 조립이나 설치, 분해나 접음 등과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라는 면에서는 그 나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오히려 이런 이동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에 중점이 두어지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놀이기구에 따른 안전성과 놀이시의 만족감의 측면에서는 소홀히 취급된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시에는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이동성을 효율화하고, 사용시에는 손쉽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난 후에는 쉽게 철거할 수 있는 놀이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사용시 안전하게 놀이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놀이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이시설의 안전성은 특히 놀이시 놀이자와의 마찰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시설, 예를 들면 미끄럼틀과 같은 유형의 놀이시설인 경우에 요청되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놀이시설을 사용시 놀이에 따른 만족감을 높여주는 놀이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놀이시설의 이동과 사용과 철거에 따른 편리성은 놀이시설을 공기의 주입과 배출 방식으로 원하는 형태를 갖추게 하거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놀이시설의 안전성은 놀이시설에 물을 흩어뿌림(즉, 살수(撒水)) 등의 방법으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놀이자와 놀이시설 사이의 마찰을 줄임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놀이시설 사용시의 만족감은 놀이시설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달성되는데, 물의 공급은 물을 사출하거나 살수(撒水)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놀이시설은 터널형 놀이시설 등이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놀이시설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단위체 내지는 구성요소들은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이 튜브 단위들은 그 내부에 적절하게 공기를 주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사용이 종료되어 철거시에는 그 튜브 단위들의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시설은 운반시에는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외부로 사출하여) 놀이시설의 놀이에 적합한 형태를 해제하고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이동성을 효율적으로 높이며, 사용시에는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이 끝난 후에는 쉽게 철거할 수 있는 놀이시설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놀이시설은 설치하여 사용시 놀이자와 놀이시설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하게 놀이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놀이시설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게 되며, 이는 예를 들면 미끄럼틀과 같은 유형의 놀이시설인 경우에 특히 그 효과가 탁월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놀이시설은 터널 놀이기구와 같은 경우 여러 방향에서 물을 사출 내지 살수함으로써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놀이에 따른 만족감을 크게 높여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 배출 방식에 의한 터널 놀이시설을 나타내는 정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 배출 방식에 의한 터널 놀이시설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3는 본 발명 물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4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 단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 배출 방식에 의한 미끄럼틀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놀이시설(10)은 복수의 단위체(14) (unit)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단위체(14)들 각각은 기저부(12) 위에 전체적으로 터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기저부(12)는 단위체들(14)을 전체적으로 지탱하는 한편 단위체들(14)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터널을 형성, 유지하도록 해준다.
각각의 단위체(14)는 기둥(14a)과 돔(14b) (dome)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기둥(14a)은 기저부(12)와의 관계에서 양 측면에 하나씩 세워진다. 그리고 돔(14b)은 제작의 편리성을 위해 세 부분(14c)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한 쌍의 기둥들(14a)과 돔(14b)은 봉제와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돔(14b)을 이루고 있는 세 부분(14c)도 봉제 등의 방법으로 서로 연결이 된다. 이와 같이 봉제 등의 방법으로 각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각각의 단위체(14)는 아치 형상을 이루게 되며, 그리고 여러 단위체(14)들은 전후로 병렬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봉제에 의해 단위체(14)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들(14a)과 돔(14b), 그리고 돔(14b)을 이루고 있는 세 부분(14c)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단위체의 재료로는 비닐이 코팅이 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이 코팅된 직물의 경우 봉제로 각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함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단위체(14)는 일정 크기로 재단된 비닐이 코팅된 직물의 양 끝을 일정부분 겹치게 하여 봉제함으로써 그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3 참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기술할 것임)
단위체(14)를 형성하고 있는 기둥들(14a)과 돔(14b)과 돔(14b)을 이루고 있는 세 부분(14c)들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각각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각각의 내부 공간은 서로서로 소통이 되도록 이어지므로 전체로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결과가 된다. 그리고 기둥들(14a)과 돔(14b)과 돔(14b)을 이루고 있는 세 부분(14c)들을 봉제로 서로 연결한 경우 외관적인 미감이나 놀이자와의 신체접촉에 따른 말썽이나 제품의 내구성 등의 이유로 단위체(14)는 봉제된 상태에서 안과 밖이 서로 바뀌게 뒤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안팎을 서로 바꿈으로써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이 해소되고 개선되는 것이다.
단위체(14)에는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그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구(16)가 제공된다. 이러한 공기구(16)는 단위체들(14) 각각마다 일일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아니면 하나의 단위체(14)에만 공기구(14)를 배치하고 나머지 단위체들(14)은 전후로 서로 병렬 배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적으로 전체가 연결되도록 파이프(도시 않음)가 제공되며 이 파이프는 공기구(16)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공기구(16)를 통해 공기 압축기와 같은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터널 놀이시설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터널 놀이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놀이가 끝나서 터널 놀이시설의 사용상태를 해제하거나 운반시와 같은 경우에는 이 공기구(16)를 개방함으로써 원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놀이시설은 공기 주입 배출 방식에 의해 놀이시설의 이용 상태를 유지하거나 아니면 이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간편한 사용과 운반과 보관이라는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널 놀이시설(10)은 물공급장치(20)를 가지고 있다. 이 물공급장치(20)는 호스(28)에 의해 상수도 등과 같은 외부의 물 공급원과 연결되고, 따라서 물 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호스(28)를 거쳐 물공급장치(20)를 통해 터널 놀이시설(10)의 복수의 단위체들(14)에 의해 형성된 터널의 내부에 물을 살수하게 된다.
이제 도3을 도1과 같이 참조하면, 도3은 도1에 제공된 물공급장치를 부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물공급장치(20)는 튜브(22)와 튜브에 복수 개가 설치된 살수공들(24)을 포함하고 있다. 튜브(22)의 한 단부(자유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밴드(26)에 의해 호스(28)와 연결되며, 이 호스(28)를 통해 상수도와 같은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튜브(22) 내부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튜브(22)로 공급된 물은 살수공들(24)을 통해 터널 놀이시설(10)의 복수의 단위체들(14)에 의해 형성된 터널의 내부에 물을 살수하게 되며, 따라서 놀이시설(10)을 이용하는 놀이자들의 만족도는 그만큼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터널 놀이시설(10)에 살수가 됨으로써 특히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 놀이시설을 이용할 경우에 그 놀이 효과가 더욱더 높아지는 것이다.
도1에는 물공급장치(20)가 터널 놀이시설(10)의 천정 즉 돔(14b)에만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돔(14b) 뿐만 아니라 기둥들(14a)까지에도 물공급장치(20)가 배치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도1, 2, 3, 4를 함께 참조하여, 물공급장치(20)를 터널 놀이시설(10)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비닐 코팅이 되어있는 직물의 양 끝을 일정 부분 겹치게 하여 봉제함으로써 내부에 빈 공간(15)이 형성되는 단위체(14)가 제작이 되는데, 이때 그 겹치는 부분 사이에는 부착부(30)가 제공되어 단위체(14)와 함께 봉제가 된다. 부착부(30)는 단위체(14)와 같은 비닐 코팅된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착부(30)의 자유단부에는 물공급장치(20)가 부착되는데 봉제에 의한 방법으로 부착부(30)와 물공급장치(20)를 결합할 경우에는 부착부(30)도 같은 재질, 즉 비닐 코팅된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물공급장치(20)의 튜브(22) 또한 그 내부에 빈 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 배출 방식에 의한 미끄럼틀(에어 미끄럼틀)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 미끄럼틀(32)은 놀이자가 미끄럼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단들(34)과 이 계단들(34) 중에서 제일 상부에 있는 계단과 연결되는 도입부(36)를 포함한다. 도입부(36)는 놀이자가 미끄럼을 타기 전에 대기하거나 자세를 잡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도입부(36)는 미끄럼 작용이 일어나는 경사부(38)와 연결되며 경사부(38)의 끝에는 놀이자를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평탄부(40)가 이어진다. 그리고 도입부(36)로부터 시작해서 경사부(38)와 평탄부(40)에 이르기까지는 놀이자의 안전을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양 측면에 한 쌍의 벽들(42)이 제공된다. 도입부(36) 아래에는 에어 미끄럼틀(32)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놀이자를 포함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지지체(50)가 제공된다.
도입부(36)에는 물공급장치(48)가 제공된다. 즉 도입부(36)의 양 끝에는 기둥(44) 한 쌍이 세워지는데 이 한 쌍의 기둥(44)은 지지부(47)를 형성하게 된다. 한 쌍의 기둥(44) 위에는 도입부(36)를 가로질러 바아(46) (bar)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바아(46)의 아래 쪽에 물공급장치(48)가 설치되는데, 물공급장치(48)의 전체적인 구조와 설치 방법, 상태는 위에서 터널 놀이시설(10)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이 그대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특히 도2와 도3, 그리고 앞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물공급장치(48)가 제공된 본 발명의 에어 미끄럼틀(32)의 경우, 미끄럼틀의 경사부(38) 등에 물이 적절하게 공급이 되므로 놀이자가 미끄럼 놀이를 할 때 놀이자와 미끄럼틀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말썽을 차단하게 되고, 그에 따라 놀이시설의 안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미끄럼틀(32)에 물이 공급됨으로써 놀이자의 놀이 만족도도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10 : 터널 놀이시설 12 : 기저부
14 : 단위체 16 : 공기구
20 : 물공급장치 22 : 튜브
24 : 살수공 15, 25 : 빈 공간
30 : 부착부 32 : 미끄럼틀
34 : 계단 38 : 경사부
42 : 벽 48 : 물공급장치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기둥과 돔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과 상기 돔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 제공되는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의 상기 빈 공간에 공기를 주입시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에 주입된 상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
    상기 단위체는 터널을 형성하며;
    튜브와 상기 튜브에 제공되는 복수의 살수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살수공들을 통해 상기 터널의 상기 내부에 물을 살수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를 지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가 안정적으로 터널을 형성, 유지하도록 해주는 기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부착부의 한 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물공급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와 상기 물공급장치를 서로 부착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는 튜브 형태이며 또한 공기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기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의 상기 내부의 상기 빈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5. 놀이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단들;
    미끄럼 작용이 일어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놀이자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일어나게 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 제공되는 복수의 살수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살수공들을 통해 상기 경사부에 물을 살수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들과 상기 경사부 사이에 제공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는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KR1020120144232A 2012-12-12 2012-12-12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KR20140076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32A KR20140076086A (ko) 2012-12-12 2012-12-12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32A KR20140076086A (ko) 2012-12-12 2012-12-12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086A true KR20140076086A (ko) 2014-06-20

Family

ID=5112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32A KR20140076086A (ko) 2012-12-12 2012-12-12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60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6531A1 (de) * 2015-07-27 2017-02-02 Dill Roman Spielgerät, insbesondere für innenräume und kleink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6531A1 (de) * 2015-07-27 2017-02-02 Dill Roman Spielgerät, insbesondere für innenräume und kleinkin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4242B1 (en) Self-contained interactive play structure
US20090115136A1 (en) Three-in-one game system
US20150209659A1 (en) Surface with airflow
US8820268B2 (en) Treat dispenser
US5673918A (en) Ball play system with ball cleaning apparatus
JPH10501880A (ja) 可搬形蒸発冷却装置
US6340323B1 (en) Waterslide toy block construction system
JPH11504837A (ja) 相互作用遊戯建造物
HRP20040310A2 (en) A training device for ball games
US7231739B2 (en) Inflatable component connector
KR20140076086A (ko) 공기 주입과 배출 방식에 의한 간이 놀이시설
US6848629B2 (en) Children's water toy
US20160129333A1 (en) Inflatable and adjustable soccer field
CN203950865U (zh) 蓄电池极板加酸机构
Bishop When play was play: Why pick-up games matter
CN210583619U (zh) 室外充气水滑梯
KR20100009543U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CN202611282U (zh) 一种充气水池
CN104124425A (zh) 蓄电池极板加酸装置及加酸方法
US20050191939A1 (en) Scaffold support for toy vehicle trackset
US20170368463A1 (en) Splat H2O
KR200435642Y1 (ko) 미끄럼대
CN215691632U (zh) 一种组合式水上迷宫玩具
CN212700504U (zh) 一种大型网阵娱乐设施
CN220276275U (zh) 一种喷射、穿越联合娱乐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