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844A -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844A
KR20140075844A KR1020120137708A KR20120137708A KR20140075844A KR 20140075844 A KR20140075844 A KR 20140075844A KR 1020120137708 A KR1020120137708 A KR 1020120137708A KR 20120137708 A KR20120137708 A KR 20120137708A KR 20140075844 A KR20140075844 A KR 20140075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inic acid
osteoarthritis
mannuronate
osteoporosi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3855B1 (en
Inventor
오석중
김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코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13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855B1/en
Publication of KR2014007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4Alg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to treat or prevent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wherein the composition to treat or prevent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can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to alleviate or prevent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ified the optimum conditions to treat, prevent, or alleviate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with respect to a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ic acid, mannuronate, and guluronate; thereby has no side effects by comprising the alginic acid,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an active ingredient and can valuably be used to treat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since the therapeutic effect for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is also superior.

Description

알긴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comprising alginic acid.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본 발명은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연골은 탄력성 있는 조직으로서 두 개의 뼈를 서로 연결하고, 관절부위에 운동성을 부여하며, 충격완화의 역할을 한다. 특히, 관절 연골은 결합조직으로서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과 타입 II 콜라겐의 매트릭스에 임베딩되어 있는 연골세포를 포함한다.Cartilage is a resilient tissue that connects two bones together, imparts mobility to the joints, and acts as a shock mitigation. In particular, articular cartilage includes cartilage cells embedded in a matrix of proteoglycan and type II collagen as a connective tissue.

상기 연골조직이 손상되는 경우, 뼈끼리의 직접적인 마찰, 관절의 뻣뻣함, 관절 연골운동의 점진적 저하 또는 연골부위의 빈발성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If the cartilage tissue is damaged, direct friction between the bones, stiffness of the joint, gradual decrease of the articular cartilage movement, or frequent pain of the cartilage area may be caused.

상기 연골조직의 손상에 의한 관절 질병, 특히 골관절염은 연골 기능의 손실이 수반되는 질병으로, 가장 일반적인 관절염 증상 중의 하나이며, 많은 사람들이 상기 골관절염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int disease caused by damage to the cartilage tissue, particularly osteoarthritis, is a disease accompanied by loss of cartilage function,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f arthritis. It is known that many people have symptoms of osteoarthritis.

상기 골관절염은 여러 가지 다른 명칭, 예를 들면 퇴행성 관절 질환, 골관절증, 비후성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골관절염은 손가락, 팔꿈치, 무릎 또는 발목과 같은 주요 관절에서의 연골 조직의 만성 진행성 파괴로 특징 지울 수 있다.The osteoarthritis is known by various other names such as degenerative joint disease, osteoarthritis, hypertrophic arthritis or degenerative arthritis. The osteoarthritis may be characterized by chronic progressive destruction of cartilage tissue in major joints such as fingers, elbows, knees or ankles.

상기 골관절염의 초기 병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관절연골 매트릭스 내의 동화작용 및 이화작용과 관련된 대사기전의 변화나 불균형에 의해 연골 파괴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though the initial etiology of osteoarthritis is not clearly known, it is generally known that cartilage destruction is caused by a change or imbalance in the metabolic mechanism associated with assimilation and catabolism in the articular cartilage matrix.

상기 골관절염과 같은 관절질환에서는 과잉의 이화작용 및 동화작용의 부족현상이 분명하게 나타나며, 이는 대사 평형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일 예로, 연골세포에 의한 이화작용의 증가로, 관절연골 매트릭스 내의 이화활성이 동화활성을 능가하게 되면, 프로티오글리칸과 타입 II 콜라겐의 구조적 파괴로 인해, 전체 매트릭스의 감소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osteoarthritis such as osteoarthritis, excessive catabolism and lack of assimilation are apparent, resulting in imbalance of metabolic equilibrium.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when the hyperactivation activity in the articular cartilage matrix exceeds the anabolic activ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catabolic function by the chondrocytes, the total matrix is reduced due to the structural destruction of the proteoglycan and type II collagen have.

현재까지 퇴행성 변화가 이미 발생한 관절을 정상 관절로 복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관절염의 치료법의 경우 여러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store joint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degenerative changes to normal joints, and it is known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구체적으로, 수술적 치료와 관련하여, 관절경에 의한 수술 방법의 경우 그 효과의 지속 여부가 일정하지 않고, 인공 관절 치환술의 경우 인공 관절의 수명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재치환술이 필요로 하고, 수술 과정에 있어 출혈이나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Concerning the surgical treatment, in case of arthroscopic surgery, the duration of the effect is not constant. In the case of artificial arthroplasty, the life expectancy of the artificial joint is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or infection may occur in the process.

최근까지 골관절염의 치료와 관련하여 약물 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생활 습관이나 과체중 등 관절염의 악화 요인을 개선함으로써 추가적인 관절염의 진행을 막아주는 방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일 예로, 충분한 양의 글루코사민 화합물을 투여하면 골관절염의 소견을 보이는 관절 내 연골의 보호 또는 실제적인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의 이당류 유닛의 기본 구성분의 하나인 글루코사민 설페이트(glucosamine sulfate)는 연골세포에서 프로티오글리칸 생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글루코사민 화합물은 타입 Ⅱ 콜라겐을 생성에는 비교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ntil recently,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such as medication therapy through conservative treatment to alleviate symptoms, lifestyle and overweight, such as improving the worsening factors of arthritis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additional arthritis is mainly done.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administration of a sufficient amount of glucosamine compound can protect or substantially improve the quality of cartilage in the joint showing osteoarthritis. In particular, glucosamine sulfate,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disaccharide unit of glycosaminoglycan (GAG),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promote the production of proteoglycan in cartilage cells. However, the glucosamine compound is known to have relatively no effect on the generation of type II collagen.

따라서, 다른 부작용 없이 골관절염의 치료 즉, 골관절을 회복시키거나 관절을 복구시킬수 있는 천연물 유래 활성성분을 이용한 대체요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alternative therapies using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capable of restoring osteoarthritis or restoring joints have been actively pursued without the other side effects.

골조직은 교원섬유, 수산화 인회석 등의 무기질로 구성된 세포외기질(extra cellular matrix)과 조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는 매우 복잡하고 활동적인 조직으로서,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을 매개로 일생 동안 끊임없이 형성과 흡수를 반복하며 골재형성 과정을 진행해 나간다.Bone tissue is a very complex and active tissue composed of extra cellular matrix composed of minerals such as collagen fiber and hydroxyapatite, and various kinds of cells such as osteoblasts, osteoclasts and osteocytes. Through the action of osteoclasts, it constantly forms and absorbs for a lifetime and progresses through the process of aggregate formation.

상기 교원섬유는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많은 요소 중 하나로, 뼈뿐만 아니라, 진피, 인대, 건, 연골, 근막 또는 혈관 등의 결합조직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교원섬유의 주성분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경섬유 단백질이다. 상기 콜라겐의 성숙한 가교물질인 피리디놀린(pyridinoline)과 디옥시피리디놀린은 파골세포에 의한 골질 파괴시 소변으로 유리되어 배설되며 이들은 골과 연골에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는 골 대사 변질, 골 종양, 골관절염과 같은 각가지 병리행태에서 골분해의 평가를 위한 확실한 바이오마커(biomaker)로써 임상에 이용되고 있다.The collagen fibe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constituting the human body and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bone but also in connective tissues such as dermis, ligament, tendon, cartilage, fascia or blood vessel. The principal component of the collagen fiber is a light fiber protein called collagen. Pyridinoline and dioxypyridinoline, which are mature crosslinks of the collagen, are excreted in the urine when osteoclast destruction is caused by osteoclasts. Since they are mainly present in the bone and cartilage, It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 reliable biomaker for evaluation of bone degradation in various pathological behaviors such as osteoarthritis.

상기 골재형성 과정은 PTH(parathyroid hormone), 칼시토닌(calcitonin), 에스트로겐 등과 같은 호르몬과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 I) 등의 골조직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성장인자,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통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활성 균형을 조절하며 항상성을 유지시킨다.The aggregate formation process includes various growth factors secreted from bone tissues such as hormone such as parathyroid hormone (PTH), calcitonin and estrogen and insulin growth factor I (IGF-I), tumor necrosis factor- And regulates the activity balance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and maintains homeostasis.

그러나, 유전적, 생리적, 환경적 인자의 변화와 더불어 조골세포의 활성도가 약화되어 골형성이 감소하거나 파골세포의 활성도 강화로 골흡수가 증가되는 경우, 또는 두 가지 요소가 동시에 작용되는 경우에 골대사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osteoblast activity is weakened due to changes in genetic,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steogenesis is decreased, osteoclast activity is enhanced, osteoporosis is increased, A disease occurs.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골대사 질환으로, 동일 연령과 성별의 정상인에 비해 골량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로 골의 구성성분의 양적 감소를 주 병변으로 하는 대사성 골 질환을 의미한다. 릭스(Riggs)와 멜톤(Melton) 등은 50세 이후의 골다공증을 제1형 골다공증(폐경기성 골다공증, postmenopausal osteoporosis) 또는 원발성 골다공증과 제2형 골다공증(노인성 골다공증, senile osteoporosis) 또는 속발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였다.Osteoporosis is a typical bone metabolic disorder, which means metabolic bone disease with a major decrease in bone mass, with bone mass being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normal people of the same age and sex. Riggs and Melton et al classified osteoporosis after age 50 as Type 1 osteoporosis (postmenopausal osteoporosis) or primary osteoporosis and type 2 osteoporosis (senile osteoporosis) or secondary osteoporosis .

상기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에스트로겐(Estrogen)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으로,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하여 골의 무기질 성분의 감소와 교원섬유의 조성의 변화 등으로 인해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The menopausal osteoporosis refers to osteoporosi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which is a condition in which fracture can easily occur due to estrogen deficiency due to a decrease in bone mineral content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ollagen fibers.

골다공증의 치료방법으로는 현재 칼슘보충제, 비타민 D 대사산물과 티아자이드(thiazide) 이뇨제 요법, 칼시토닌 요법,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요법, 에스트로겐 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감소된 골량을 완전히 회복시킬 수 있는 약물이 없어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As a treatment for osteoporosis, currently calcium supplement, vitamin D metabolite and thiazide diuretic therapy, calcitonin therapy, bisphosphonate therapy and estrogen therapy have been used. However, Osteoporosis is more important than prevention because of the lack of drugs.

또한, 폐경기성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 유사물질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오심, 체중증가, 불규칙한 자궁출혈, 자궁내막암 및 유방암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하여 최근에는 그 위험성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부작용 없이 골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골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한약재 및 식품 등의 천연물 유래 활성성분을 이용한 대체요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estrogen-like substances used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nausea, weight gain, irregular uterine bleeding, endometrial cancer and breast cancer in long-term use.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es on alternative therapies using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such as herbal medicines and foods that can promote bone formation while minimizing bone loss.

알긴산(alginic acid, alginate)은 알긴산은 α-L-글루론산(guluronate)과 C5 에피머(epimer)인 β-D-만뉴론산(1,4'-β-D-mannuronate)이 α-1,4 결합 또는 β-1,4 결합으로 이루어진 hetero형 다당류로, pG block(polyguluronate block), pM block(polymannuronate block) 및 pM/G stretch 형식으로 결합된 복잡한 당중합체이다.Alginic acid, alginate, is a mixture of α-L-guluronate and C5 epimer with 1,4-β-D-mannuronate, 4 conjugated or β-1,4-linked heteropolysaccharide, which is a complex sugar polymer bound in the form of pG block (polyguluronate block), pM block (polymannuronate block) and pM / G stretch.

상기 알긴산은 주로 갈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갈조류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은 젤형성능, 고점성, 필름형성능 등의 독특한 물리적 특성이 있어서 예로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Since alginic acid mainly constitutes a cell wall of brown algae, it can be obtained by extraction from brown algae. Alginic acid has been extensively used since ancient times because of its uniqu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el-forming ability, high viscosity and film forming ability.

예를 들어, 식품산업, 인쇄산업 및 제약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안정제, 점질제 또는 겔화제로 사용되고, 미립구, 비드, 마이크로캡슐 또는 정제 등과 같은 약물전달시스템의 원료로 사용되며, 조직공학에서 매트릭스 담체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It is used as a stabilizer, viscous agent or gelling agent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cluding, for example, the food industry, the printing industry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drug delivery systems such as microparticles, beads, microcapsules or tablets, Carrier and the like.

또한, 알긴산은 비만 억제, 장의 연동운동 촉진을 통한 변비 치유, 항콜레스테롤 억제, 체내의 중금속 흡수와 제거 또는 유해물질의 독성 억제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기존 용도에 추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alginic acid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obesity suppression, constipation healing by promoting intestinal peristalsis movement, inhibition of cholesterol, absorption and elimination of heavy metals in the body, or toxicity of harmful substances, Research is underway to utilize it.

또한, 상처를 보호하는 창상피복재 및 지혈 등의 생리활성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알긴산 유래 올리고당의 항균/항암 작용, 면역 증강, 항콜레스테롤 효과, 항응고 효과 등 다양한 생체조절 기능에 대해 보고되었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it has a physiological activity effect such as wound covering material for protecting wounds and hemostasis.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oligosaccharide derived from alginate has various biological control functions such as antimicrobial / anticancer effect, immunity enhancement, anticholesterol effect, Respectively.

KRKR 10-117700910-1177009 BB KRKR 10-084098810-0840988 BB KRKR 10-074016910-0740169 BB

본 발명은 인체에도 무해한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amelior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which comprises a natural substance harmless to human body as an effective ingredi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comprising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400 to 2,600.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0 내지 3.4,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nd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2.0 to 3.4, preferably 2.3 to 2.7 .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be one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3 to 2.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comprising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food, food additive or beverage.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nd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1.6 to 3.8.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400 to 2,600.

또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preferably has an avera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Preferably 2.3 to 2.7.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be one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3 to 2.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긴산의 용도(Use), 구체적으로 알긴산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용도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alginic acid, specifically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of alginic acid.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400 to 2,600.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preferably has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ay be 2.3 to 2.7.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be one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3 to 2.7.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자들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연구하던 중,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탐색해 왔으며, 상기 탐색 과정에서 갈조류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천연물인 알긴산의 경우 분자량과 알긴산을 구성하는 구성당인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에 따라 콜라겐 생성 촉진능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생성 촉진능이 상이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searched for substances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capable of promot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proteoglycan while studying substance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that have therapeutic, ameliorative or preventive effects of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with secured human safety, In the case of alginate, which is a natural product that can be extracted from brown algae in the process,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constituting the alginic acid constitute the ability to promote collagen production and the production of proteoglyca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moting ability was different.

구체적으로, 중량 평균분자량(Mw)이 2,500인 경우, 중량 평균분자량이 98,000인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콜라겐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생성을 촉진하고, 상기 알긴산에 포함된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2.5 내지 3.2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콜라겐 생성 촉진능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생성 촉진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추가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관절 손상의 개선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2.5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내지 3.2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인 알긴산의 관절 손상 개선 효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Specifically,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2,500,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proteoglycan is remarkably promot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98,000, and mannuronate (M) and g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guluronate (G) in the range of 2.5 to 3.2, most preferably 2.5, based on the weight ratio, was the best in promoting collagen production and promoting the production of proteoglycan. Furth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the gluconate to mannuronate was 2.5: 1 (mannuronate: gluronate) to 3.2: 1 (mannuronate: gluronate) It is confirmed that alginic acid, which is preferably 2.5: 1 (mannuronate: gluronate), has the best effect of improving joint damage, The.

본 발명은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comprising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000 to 4,000, more preferably 2,000 to 3,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2,400 to 2,600.

상기 분자량(g/mol)은 평균 분자량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분자량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다.The molecular weight (g / mol) may be an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measured molecular weight i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상기 알긴산은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preferably has a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2 to 3.2, 2.5 to 3.2 or 2.3 to 2.7, and most preferably 2.5.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알긴산은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 즉, 중량을 기준으로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 대비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의 비율이 1.6 내지 3.8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또는 2.3 내지 2.7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1(만뉴로네이트 : 글루로네이트)일 수 있다.In this sense, the alginic acid is a mixture of guluronate (G) and mannuronate (M) based on 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Mannuronate: glutarate), preferably 2.0 to 3.4: 1 (mannuronate: gluronate), more preferably 2.2 to 3.2: 1 (Mannuronate: gluconate) or 2.3 to 2.7: 1 (mannuronate: gluronate), most preferably 2.5: 1 (mannuronate: Gluconate).

또한, 상기 알긴산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이고, 상기 알긴산을 구성하는 구성당인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lginic aci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preferably 2,000 to 4,000, more preferably 2,000 to 3,000, still more preferably 2,400 to 2,600, 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is in the rang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2 to 3.2, still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2.7, and most preferably 2.5.

본 발명의 알긴산은 상기 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한 알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알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긴산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00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될 수 있다.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 nutrient, a vitamin, an electrolyte, a flavoring agent, a coloring agent, a stabilizer, a pectic acid and a salt thereof, an alginic acid and its salt, an organic acid, a protective colloid thickener,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beverage,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ginic aci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component may b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0,0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ginic acid.

본 발명에서 골관절염(osteoarthrits)이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직전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steoarthriti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inflammation and pain are caused by damage to the bones and ligaments of the joint due to premature damage or degenerative changes of the cartilage protecting the joints.

본 발명에 있어서,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증 또는 퇴행변성 관절 질병을 포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퇴행성 관절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steoarthritis may include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osteoarthritis or degenerative joint disease, for example degenerative arthritis.

상기 골관절염은 관절연골 매트릭스 내의 동화작용 및 이화작용과 관련된 대사기전의 변화나 불균형에 의해 연골 파괴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로, 연골세포에 의한 이화작용의 증가로, 관절연골 매트릭스 내의 이화활성이 동화활성을 능가하게 되면, 프로티오글리칸과 타입 II 콜라겐의 구조적 파괴로 인해, 전체 매트릭스의 감소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the osteoarthritis is caused by cartilage destruction due to the change or unbalance of the metabolic mechanism associated with anabolic and catabolic activities in the articular cartilage matrix.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when the hyperactivation activity in the articular cartilage matrix exceeds the anabolic activ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catabolic function by the chondrocytes, the total matrix is reduced due to the structural destruction of the proteoglycan and type II collagen have.

상기 골관절염의 진행과 관련하여,연골 매트릭스에서 염증의 원인이 되는 일산화질소의 생성, 인터루킨-1(IL-1)이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MMPs)의 생성에 의하여 타입 Ⅱ 콜라겐과 프로티오글리칸 생성이 억제되거나 파괴됨으로써, 연골 매트릭스에 부정적인 영향이 끼쳐져, 결과적으로 골관절의 퇴화가 촉진되거나 골관절염의 발생 또는 진행되게 된다.In connection with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the production of nitrogen monoxide which causes inflammation in the cartilage matrix an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1 (IL-1) or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By suppressing or destroying the formation of squares, the cartilage matrix is adversely affected, resulting in accelerated degeneration of the osteoarthritis or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상기 퇴행성 관절염은 황막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 비염증성 질환으로, 상기 퇴행성 관절염은 특발성 관절염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구분된다.The degenerative arthritis is a degenerative non-inflammatory disease that occurs in the osteoarthritis, and the degenerative arthritis is classified into idiopathic arthritis or secondary arthritis.

상기 특발성 관절염은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또는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일차성 관절염이라고 불리운다. 상기 속발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세균성 관절염이나 결핵성 관절염 등에 의해 관절 연골이 파괴된 경우 또는 심한 충격이나 반복적인 가벼운 외상 후에 발생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차성 관절염이라고 불리운다.The idiopathic arthritis is caused by factors such as age, gender, genetic factors, obesity or specific joint site without any specific organic causes, and is called primary arthritis. The secondary arthritis is caused by trauma, disease and deformity that can damage the articular cartilage. It refers to the case where articular cartilage is destroyed by bacterial arthritis or tuberculous arthritis, or after severe shock or repeated light trauma , Secondary arthritis.

본 발명에서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골소공증 또는 골 조송증이라고도 하며, 동일 연령과 성별의 정상인에 비해 골 량이 현저히 감소된 상태로 골의 구성성분의 양적감소를 주 병변으로 하는 대사성 골 질환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steoporosis is also referred to as osteoporosis or osteoarthritis. It refers to a metabolic bone disease in which bone mas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normal persons of the same age and sex, and the main lesion is the quantitative reduction of bone constituents.

본 발명에 있어서, 골다공증에는 폐경기성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 및 골 취약증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경기성 골다공증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teoporosis may include menopausal osteoporosis, senile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 preferably menopausal osteoporosis.

상기 골다공증은 주로, 뼈조직의 감소로 뼈에 구멍이 나거나 칼슘염의 감소로 기인하여 뼈가 얇아지고 약해지는 현상을 수반한다. 따라서,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뼈의 골절이 잘 발생하게 된다.The osteoporosis mainly involves a phenomenon in which bone is thinned and weakened owing to a decrease in bone tissue and a decrease in calcium salt. Therefore, patients with osteoporosis will have bone fractures.

상기 골다공증, 특히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월경이 일어나지 않는 폐경 상태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며, 상기의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의 감소는 뼈의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동을 증가시켜 뼈의 파괴를 촉진하고 뼈의 칼슘침작을 감소시키며, 콜라겐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 osteoporosis, particularly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More specifically, in a menopausal state in which menstruation does not occur, secretion of estrogen, a female hormone, is reduced. The decrease in the secretion amount of estrogen increases the activity of osteoclasts in the bone, thereby promoting bone destruction. Reduce calcium precipitation, and reduce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ed.

보다 상세하게는, 골 형성을 위해서는 칼슘(Ca)의 공급 및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는 하나, 갱년기 즉, 여성의 폐경기성 골다공증의 경우 골 자체의 형성 문제보다는 골 흡수와 관련된 체내의 비정상적 호르몬 현상에 기인한 것이므로 칼슘의 부족 보다는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따른 콜라겐 합성의 저해가 원인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ly of calcium (Ca) and the synthesis of collagen are indispensably required for bone formation. However, in the case of menopausal osteoporosis in women, And it is reported that inhibition of collagen synthesis due to lack of estrogen is caused by the inhibition of calcium rather than calcium deficiency.

즉, 폐경기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부족하게 되면 콜라겐의 합성이 줄어들고 칼슘의 골 침착이 감소하므로 골 흡수가 증가되어 골다공증이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폐경기성 골다공증은 단순한 칼슘의 식이 섭취만으로는 이를 치유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estrogen is inadequate due to menopause, the synthesis of collagen is decreased and the bone resorption of calcium is decreased, so that it is reported that osteoporosis can be caused by increased bone resorption. Therefore, it has been reported that menopausal osteoporosis can not be cured by simple dietary calcium intake.

발명의 알긴산, 구체적으로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2.5 또는 3.2인 알긴산은 해당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2.5 미만이거나, 3.2를 초과한 비율을 갖는 알긴산에 비하여, 골관절 개선 기능 및 골형성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골세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콜라겐 합성 및 프로테오글리칸의 합성을 촉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골관절증을 유발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골조직의 재생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lginic acid having a ratio of alginic acid of the invention, specifically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of 2.5 or 3.2, is the corresponding mannuronate (M) and guluronate (G) Of alginic acid having a ratio of less than 2.5 or more than 3.2 was found to be superior in osteoarthritis improving function and osteogenesis function.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hondrocyte that collagen synthesis and proteoglycan synthesis could be promo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eneration of bone tissue could be improved by using an experimental animal that caused osteoarthritis.

본 발명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알긴산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01 to 99.99% by weight, preferably 0.1 to 99% by weight, of the alginic aci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and the intended use of the composition.

상기 조성물은 알긴산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긴산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alginic acid, a nutrient, a vitamin, an electrolyte, a flavoring agent, a color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pectic acid and a salt thereof, an alginic acid and its salt, an organic acid, a protective colloid thickening agent,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glycerin, A carbonating agent used in beverages, and the like. The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compon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ginic acid.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compris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진 의약조성물일 수 있다.In this re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an effect of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본 발명의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알긴산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contain 0.001 to 99.99% by weight, preferably 0.1 to 99% by weight, of the alginic aci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상기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r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thereof.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formulated into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suspensions, emulsions and syrups by conventional methods Can be used.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contained i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이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인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it includes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The solid preparation is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the above extract.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또한, 상기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이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인 경우, 상기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is a liqu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the liquid preparation includes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Water, liquid paraffin, which is a simple diluent,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알긴산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or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body weight, degree of disease,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period, And the like. Preferably 0.0001 to 1000 mg / kg per day based on 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0.01 to 100 mg / kg per day for more effective administ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병의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진 식품조성물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related diseases.

상기 식품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composition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000 to 4,000, more preferably 2,000 to 3,000, still more preferably 2,400 to 2,600 have.

상기 분자량(g/mol)은 평균 분자량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분자량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다.The molecular weight (g / mol) may be an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measured molecular weight i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상기 알긴산은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M/G)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preferably has a ratio (M / G)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2 to 3.2 , Even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to 2.7, and most preferably 2.5.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알긴산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이고, 상기 알긴산을 구성하는 구성당인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M/G)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Specifically,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od compositio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preferably 2,000 to 4,000, more preferably 2,000 to 3,000, still more preferably 2,400 to 2,600, The ratio (M / G) of the mannuronate (M) to the guluronate (G) constituting the alginic acid is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2.2 to 3.2, still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to 2.7, most preferably 2.5.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 food " means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Preferably, it means that the food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It is intended to include food, food additiv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본 발명의 알긴산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ods to which 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 vitamin complexes, and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may contain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crude oil, spirits, infant food, etc.), meat products, fish products, tofu, jelly, noodles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mixed sauce),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d foods But are not limited to, fruits, vegetables, beverages, fermented beverages, etc.),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which is imparted with added value to function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techniques and the like, the regulation of the biological defense rhythm of the food composition, Means a food which is processed and designed so that the body control function regarding the body is sufficiently expressed to the living body.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food may include a food-acceptable food-aid additive, and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is a generic term for drinking or enjoying a taste, and is intended to include functional beverages.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 beverage ha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ingredients other than the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s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drinks.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for exampl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drink, and vegetable drink.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avoring agent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gents and aggravating agent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알긴산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 to 20,0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The functional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bio-defense rhythm of the beverage group or beverage composition to which the added value is impart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acts on the specific purpose by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Means a beverage which has been designed so that the body control function related to restoration and the like is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living body.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알긴산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 functional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other ingredients other than the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ratios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for exampl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Natural flavors (tau martin, stevia extract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flavor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generally be about 1 g to 20 g, preferably 5 g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개선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Also, in a food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the amount of the alginic acid may be 0.0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food, and the beverage composition may contain 0.02 g 5 g, preferably 0.3 g to 1 g.

또한, 본 발명은 알긴산의 용도(Use), 구체적으로 알긴산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alginic acid, specifically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is or osteoporosis of alginic acid.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인 것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may have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preferably 2,400 to 2,600.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preferably has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ay be 2.2 to 3.2, still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to 2.7, most preferably 2.5.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The alginic acid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2 to 3.2, still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in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2.7, and most preferably 2.5.

상기 알긴산, 구체적으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내지 2,600이고, 상기 알긴산을 구성하는 구성당인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1.6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또는 2.3 내지 2.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인 알긴산은 다른 범위의 분자량 또는 다른 범위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비율을 갖는 알긴산에 비하여 연골세포에서의 현저하게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능 및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능을 가지고, 골관절의 치료효과를 가지므로, 퇴행성 골관절염과 같은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나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관련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용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The alginic acid, specifical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preferably 2,000 to 4,000, more preferably 2,000 to 3,000, still more preferably 2,400 to 2,600, 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is 1.6 to 3.8, preferably 2.0 to 3.4, more preferably 2.2 to 3.2, still more preferably 2.5 to 3.2 or 2.3, To 2.7, and most preferably 2.5, exhibit remarkably superior collagen production promoting ability and proteoglycan production promoting ability in cartilage cells compared with alginic acid having a different range of molecular weight or a different ratio of mannuronate to glutarate Osteoarthritis such as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r osteoarthritis such as osteoarthritis or osteoarthritis, The use for the treatment,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the related diseases is evaluated as excellent.

본 발명의 알긴산은 연골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분자량 또는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이 다른 범위를 갖는 알긴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 및 프로테오글리칸 합성 촉진능을 가지며, 골관절증을 유발시킨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골관절증 개선능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기 유효성분인 알긴산은 식품으로 이용되는 해조류인 갈조류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부작용에 대한 문제도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골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등의 새로운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The alg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ested using chondrocyte cells and found that the alginic acid had remarkably superior collagen synthesis promoting ability and proteoglycan synthesis promoting ability compared with algi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r a weight ratio of mannuronate and gluronate in different ranges, , It was confirmed that osteoarthritic improvement ability was remarkably excellent. Alginic acid, which is an effective ingredient, can be prepared from brown algae, which is a seaweed used as food,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about side effects, Or osteoporosis,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긴산 종류에 따른 실험동물의 골관절증 개선 여부를 확인한 사진으로, 상기 도 1은 위약을 투여한 대조군이고, 도 2는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1인 알긴산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대퇴부의 관절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인 알긴산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대퇴부의 관절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5인 알긴산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대퇴부의 관절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3.2인 알긴산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대퇴부의 관절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6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3.8인 알긴산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대퇴부의 관절면을 촬영한 사진이다.1 to 6 are photographs showing the improvement of osteoarthritis of experimental animals according to the kind of alginic ac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control group administered with placebo, Fig.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joint surface of the thigh of an experimental animal to which alginate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1.0 g of mannose is administered.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FIG. 4 is a photograph of the joint surface of the thigh of an experimental animal to which alginate with 1.6 was administered, and FIG. 4 is a photograph of the joint surface of an experimental animal administered with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2.5 of mannuronate to glutarate FIG. 5 is a photograph of the joint surface of the thigh of an experimental animal to which alginate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3.2 of mannuronate to gluronate of alginic acid was administered. FIG.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mannuronate < RTI ID = 0.0 > The weight ratio of agent (M / G)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femoral articular surface of the experimental animals treated with 3.8 of alginic aci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알긴산 올리고당의 제조 1: Preparation of alginate oligosaccharide

5 L 발효관을 이용하여, 증류수 3,000 ml에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0에서 500,000을 갖는 알긴산나트륨(현대화성, 대한민국) 150 g을 첨가한 후, 알긴산나트륨을 완전히 용해하여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150 g of sodium alginate (Hyundai Chemical Co., Ltd.)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0 to 500,000 was added to 3,000 ml of distilled water using a 5 L fermentation tube, and sodium alginate was completely dissolved to prepare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alginate Respectively.

상기 발효관 온도를 35℃로 고정한 후 알긴산 분해효소(alginate lyase, sigma, USA,)를 15 mg(3,500 unit/g)을 첨가한 후, 20시간 동안 분해반응을 수행하였다.15 mg (3,500 unit / g) of alginate lyase (Sigma, USA) was added to the fermentation tube and the digestion reaction was performed for 20 hours.

상기 분해반응 후, 발효관 온도를 90℃로 승온하여 효소에 의한 분해반응을 정지시키고, 냉각수를 순환시켜 효소반응시킨 알긴산나트륨 수용액을 냉각시켰다. 상기 효소에 의한 분해반응을 수행한 알긴산 수용액으로부터 각 분자량 범위에 따른 알긴산을 수득하기 위하여, 한외여과막(Millipore UF filtration, MWCO 10,000)을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였다.After the decomposition reaction,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ation tube was raised to 90 ° C to stop the decomposition reaction by the enzyme, and the cooling water was circulated to cool the aqueous sodium alginate solution which had undergone the enzyme reaction. Filtration was performed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Millipore UF filtration, MWCO 10,000) to obtain alginic aci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range from the alginic acid aqueous solution having undergone the decomposition reaction by the enzyme.

상기 한외여과막에 의해 수득된 알긴산의 분자량을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법으로 측정한 결과, 상기 알긴산의 질량 평균분자량(Mw)이 2,500임을 확인하였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ic acid obtained by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was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lginic acid was 2,500.

또한, 상기 알긴산 질량 평균분자량(Mw)이 98,000 및 2,500인 알긴산에 대하여, 각각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weight ratio of alginic acid having an alginic acid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98,000 and 2,500, respectively.

상기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 ratio)은 알긴산(Alginate)으로부터 폴리 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ic acid, PMA)와 폴리 글루로네이트(poly-guluronic acid, PGA)를 부분 추출하여, 동결건조 후 무게를 측정한 후,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 weigh ratio)을 결정하였다.The weight ratio (M / G ratio) of the mannuronate of the alginic acid to the gluconate was changed from alginate to poly-mannuronic acid (PMA) and polyguluronic acid (PGA) After the lyophilization, the weight was measured, and then the weight ratio (M / G weigh ratio) of mannuronate and gluronate was determined.

상기 폴리 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ic acid, PMA)와 폴리 글루로네이트(poly-guluronic acid, PGA)의 부분 추출방법(partial acid hydrolysis)은 Mahesh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Partial acid hydrolysis of poly-mannuronic acid (PMA) and poly-guluronic acid (PGA) was performed using the method of Mahesh et al.

구체적으로, 각각 5 g의 알긴산에 0.25M H2SO4 125ml를 가하여, 상기 알긴산을 잘 녹인 후, 전자레인지(Microwave, MR-208, LG전자,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최대 출력(700W)으로 하여 4분간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된 알긴산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지(Whatman NO.4)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과정 후, 수득된 잔사를 0.1M Na2CO3로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의 pH를 0.1M HCl를 이용하여 pH 2.85로 맞춘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침전물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폴리 글루로네이트(poly-guluronic acid, PGA)를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 후, 수득한 상등액에 대해 pH를 0.1M HCl를 이용하여 pH 1.5로 맞춘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침전물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침전된 폴리 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ic acid, PMA)를 수득하였다.Specifically, 5 g of alginic acid was added to 0.25 MH 2 SO 4 The alginic acid was dissolved well and heated at a maximum power (700 W) for 4 minutes using a microwave (Microwave, MR-208, LG Electronics, Korea). The heated alginic acid solu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Whatman No. 4). After filtration, the residue obtained was dissolved in 0.1 M Na 2 CO 3 . The pH of the solution was adjusted to pH 2.85 using 0.1 M HCl, and poly-guluronic acid (PGA) was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precipitate to recover the precipitate. After the centrifugation, the resulting supernatant was adjusted to pH 1.5 with 0.1 M HCl, and the precipitate was recovered by centrifugation. The precipitated poly-mannuronic acid (PMA ).

상기 수득한 폴리 글루로네이트 및 폴리 만뉴로네이트를 각각 pH 7.0으로 중화한 후, - 80℃에서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여,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 ratio)을 결정하였다.The obtained polyglucuronate and polymannuronate were each neutralized to pH 7.0 and then lyophilized at -80 ° C to measure the weight of each thereof. The weight ratio of mannuronate to glucuronate (M / G ratio ).

실시예Example 2: 연골세포 배양 2: Chondrocyte culture

2주령 토끼(한국생명과학연구소, 대한민국)의 무릎관절에서 연골을 채취하여, 배양액, 구체적으로 혈청-부재 DMEM 1.6 ml(Pharmacia Biotech. USA)에 상기 채취한 연골을 담근 후, 1% 콜라게나아제(Sigma, USA) 0.4 ml를 첨가하였다.Cartilage was collected from the knee joints of a 2-week-old rabbit (Korea Life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rea), and the cartilage collected in 1.6 ml of serum-free DMEM (Pharmacia Biotech. USA) was dipped in 1 ml of 1% collagenase (Sigma, USA).

상기 콜라게나아제를 첨가한 연골이 담긴 배양액을 37℃의 CO2배양기에 넣은 후 30분마다 세포를 흔들어 주면서 6시간 정도 반응을 진행시켜, 연골조직에 있는 콜라겐을 콜라게아나아제로 분해함으로써, 연골조직의 연골세포를 단일 세포 단위로 분리하였다. 상기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연골이 담긴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완전배지(혈청-함유 DMEM)를 1 ml 넣어, 토끼 한 마리당 2 ml의 정상 배지(10% FBS DMEM)에 희석하여 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The culture solution containing the collagenase-added cartilage was placed in a CO 2 incubator at 37 ° C and the reaction was continued for about 6 hours while shaking the cells every 30 minutes to decompose the collagen in the cartilage tissue into collagenase, Chondrocytes of cartilage tissue were isolated by single cell unit. After performing the above procedure,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cartilage was centrifuged to discard the supernatant, and 1 ml of complete medium (serum-containing DMEM) was diluted in 2 ml of normal culture medium (10% FBS DMEM) per rabbit To prepare a cell suspension.

상기 세포 현탁액의 세포수를 계수한 후, 0.5 x 105cells/cm2세포밀도가 되도록 정상 배지(10% FBS DMEM)로 희석하고, 상기 희석하여 제조한 세포배양액을 각각의 디쉬(dish)에 분주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The cell suspension was counted and diluted with normal medium (10% FBS DMEM) to a cell density of 0.5 x 10 5 cells / cm 2. The cell culture prepared by diluting the cell suspension was added to each dish After dispensing, it was used for the experiment.

실시예Example 3: 알긴산의 타입 Ⅱ 콜라겐의 합성 증진에 대한 효과 3: Effect of alginate type II collagen synthesis

상기 실시예 2에서 분주한 연골세포가 담긴 각각의 디쉬를 대조군(미처리군), 저분자 알긴산(평균분자량 2,500, M/G 비율 1.6) 처리군 및 고분자 알긴산(평균분자량 98,000, M/G 비율 1.6) 처리군으로 나누고, 대조군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과 고분자 알긴산 처리군은 각각 상기 알긴산을 100 ㎎/L씩 처리를 한 후, 상기 대조군,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 및 고분자 알긴산 처리군을 37℃의 CO2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콜라겐에 대한 항체(Chemicon international, USA)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팅을 실시하였다(Peter B. Kaufma etal.,MolecularandCellularMethodsinBiologyandMedicine,108-121,CRCpress).(Average molecular weight: 2,500, M / G ratio: 1.6) and polymeric alginic acid (average molecular weight: 98,000, M / G ratio: 1.6) were added to each of the dishes containing the chondrocyte- Treated alginic acid was treated with 100 mg / L of the above alginic acid, and then treated with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ed group in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ed group, And cultured in a CO 2 incubator at 37 ° C for 48 hours. After the culture,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using an antibody against collagen (Chemicon international, USA) (Peter B. Kaufman et al ., Molecular and Cellular Methods DNA and Medicines, 108-121, CRCpress).

상기 웨스턴 블롯팅 결과 수득한 필름을 이용하여 발현된 단백질 양을 확인하였고, 확인된 단백질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image J 2.0 프로그램(Quantity One®BIO-RAD,USA)을 이용하여 발현된 각각의 목적 단백질인 타입 Ⅱ 콜라겐과 internal control로 사용된 β-actin 양을 측정하고 β-actin을 각 단백질의 기준으로 정하여 정량을 유도해 내었다. 상기 정량 과정에서 대조군에서의 시료에서의 타입 Ⅱ 콜라겐과 β-actin의 함량을 calibrator로 정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실험을 총 3회 반복하였으며, 상기 3회 반복한 결과의 정량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the expressed protein was confirmed using the obtained film as a result of the Western blotting, and the quantities of the proteins expressed using the image J 2.0 program (Quantity One ® BIO-RAD, USA) Type Ⅱ collagen and β-actin used as an internal control were determined, and β-actin was determined as a reference for each protein. The amount of type II collagen and β-actin in the sample in the control group was determined by calibrator. The abov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in total,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repetition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대조군Control group 고분자 알긴산Polymeric alginic acid 저분자 알긴산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Relative Expression Level
(Collagen type II/actin)
Relative Expression Level
(Collagen type II / actin)
1.111.11 1.211.21 2.522.52
0.850.85 1.101.10 2.742.74 1.051.05 1.111.11 2.652.65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에서 연골세포에 의한 타입 Ⅱ 콜라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발현도가 현저하게 상승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분자 알긴산을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타입 Ⅱ 콜라겐의 발현도에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ype II collagen by chondrocytes in the low molecular alginate-treated group was remarkab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the polymeric alginate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ype II collagen was hardly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상기 결과로부터, 저분자 알긴산이 연골세포를 활성화하여 타입 Ⅱ 콜라겐 합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고분자 알긴산은 타입 Ⅱ 콜라겐 합성에 미비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ctivated chondrocytes to improve the type II collagen synthesis, while the polymeric alginic acid had insufficient effect on the type II collagen synthesis.

실시예Example 4: 알긴산의  4: Alginic acid 프로테오글리칸의Of proteoglycans 합성 증진에 대한 효과 Effect on synthetic enhancement

알긴산 분자량에 따라 연골조직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프로테오글리칸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대조군(미처리군),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 및 고분자 알긴산 처리군으로 구분하여, 알시안 블루 염색분석법(Alcian Blue staining assay)으로 프로테오글리칸의 양을 측정하였다.(Untreated group), a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and a high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as in the case of the above Example 3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ynthesis of the proteoglycan forming the cartilage matrix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of alginic acid, The amount of proteoglycan was measured by an Alcian Blue staining assay.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대조군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과 고분자 알긴산처리군은 각각 상기 알긴산을 100 ㎎/L씩 처리를 한 후, 상기 대조군,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 및 고분자 알긴산 처리군을 37℃의 CO2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액의 OD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총 3회 반복하였으며, 상기 3회 반복한 결과의 정량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as in Example 3,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ed to no treatment,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were treated with the above algin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 / L, The polymer alginate treatment group was cultured in a CO 2 incubator at 37 ° C for 48 hours, and the OD value of the culture solution was measured. The abov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in total,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repetition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division 대조군Control group 고분자 알긴산Polymeric alginic acid 저분자 알긴산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프로테오글리칸 농도(OD)The proteoglycan concentration (OD) 0.2450.245 0.2550.255 0.3450.345 0.2350.235 0.2310.231 0.3860.386 0.2630.263 0.2680.268 0.4410.44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조직 매트릭스 분자인 프로테오글리칸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시안 블루 염색법을 실시한 결과, 저분자 알긴산 처리군에서 프로테오글리칸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고분자 알긴산 처리군의 경우에는 프로테오글리칸의 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2 above, the Alcian blue stain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proteoglycan, which is a matrix molecule of cartilage matrix. As a result, the amount of the proteoglycan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proteoglyca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상기 결과로부터, 저분자 알긴산은 연골세포에 의한 프로테오글리칸의 합성을 촉진하는 반면, 고분자 알긴산은 프로테오글리칸의 합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promotes the synthesis of proteoglycan by chondrocyte cells, while the polymeric alginic acid does not affect the synthesis of proteoglycan.

실시예Example 5: 알긴산의 M/G 비율에 따른 콜라겐의 합성 증진에 대한 효과 5: Effect of alginate on the enhancement of collagen synthesis by M / G ratio

상기 실시예 3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된 저분자 알긴산(질량 평균분자량(Mw) 2,500)에서, 상기 알긴산을 구성하는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비율을 글루로네이트와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로 구분하고, 상기 중량비(M/G)에 따른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ratio of mannuronate (M) to guluronate (G) constituting the alginic acid in the low molecular alginic acid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500) confirmed to promote collagen synthesis in Example 3 (M / G) of glutenate and mannuronate, an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llagen synthesi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M / G).

우선,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연골세포가 담긴 디쉬에 각각의 알긴산을 처리하여,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미처리군)과 M/G 비율이 1.1, 1.6, 2.1 및 2.5인 저분자 알긴산을 각각 100 ㎎/L씩 처리한 군으로 구분하여 저분자 알긴산을 처리한 후, CO2배양기를 이용하여 37℃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 블롯팅을 실시하고, internal control로 사용된 β-actin 양에 대한 콜라겐 양을 측정한 후, 대조군의 각 단백질을 calibrator로 정하여 정량하여,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에 따른 타입 Ⅱ 콜라겐의 발현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First, each alginic acid was treated with a dish containing the chondrocytes as in Example 3, and a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in which no sample was treated and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having an M / G ratio of 1.1, 1.6, 100 ㎎ / L. The cells were treated with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nd incubated at 37 ℃ for 48 hours in CO 2 incubator. Western blotting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and the amount of collagen to the amount of β-actin used as an internal control was measured. Each protein of the control group was determined as a calibrator and quantified. The expression level of type II collage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to glutonate, and is shown in Table 3.

구분division 대조군Control group 저분자 알긴산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M/G 비율M / G ratio 1.11.1 1.61.6 2.12.1 2.52.5 3.23.2 3.83.8 Relative Expression Level
(Collagen type II/actin)
Relative Expression Level
(Collagen type II / actin)
1.021.02 1.041.04 1.871.87 2.152.15 2.742.74 2.812.81 1.901.90
0.980.98 1.151.15 1.751.75 2.252.25 2.612.61 2.572.57 1.941.94 0.940.94 1.211.21 1.811.81 2.142.14 2.712.71 2.702.70 1.891.8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저분자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다,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와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2.5인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 콜라겐 합성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3.2에서는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2.5 경우와 거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3.8에서는 다시 콜라겐 합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when low-molecular alginic acid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the amount of collagen synthesis was increased. Particularly, the amount of collagen synthesis increases as the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 to gluconate i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alginic acid.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glucuronate of alginic acid and mannuronate of 2.5 (M / G) of alginic acid to gluconate was 3.2, and the weight ratio (M / G) of alginic acid to glutarate of alginic acid was 2.5 ,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ollagen synthesis was significantly reduced again at a weight ratio (M / G) of 3.8 to the ratio of alginic acid to glucuronate to mannuronate.

상기 결과로부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1.6 내지 3.8의 범위에서 알긴산 무첨가 또는 실시예 3에서 확인된 고분자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콜라겐 생성 촉진능이 확인되었고, 콜라겐 합성량 생성 촉진에 적합한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2.5 내지 3.2 의 범위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능이 확인되었으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2.5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ratio (M / G) of gluconate to mannuronate in the range of 1.6 to 3.8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ase of adding no alginic acid or polymer alginic acid as confirmed in Example 3, The weight ratio (M / G) of gluconate to mannuron to be suitable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synthesis amount was remarkably superior to that in the case where the weight ratio (M / G) was out of the above range in the range of 2.5 to 3.2, The weight ratio (M / G) of neuronate was found to have the best collagen production promoting ability in the case of 2.5.

실시예Example 6: 알긴산의 M/G 비율에 따른  6: Depending on the M / G ratio of alginic acid 프로테오글리칸의Of proteoglycans 합성 증진에 대한 효과 Effect on synthetic enhancement

본 발명의 저분자 알기산이 연골조직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프로테오글리칸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프로테오글리칸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시안 블루 염색분석법(Alcian Blue staining assay)을 실시하였다.The effec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ynthesis of proteoglycans forming a cartilage matrix was analyzed. Alcian Blue staining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mount of proteoglycan.

상기 실시예 4에서 프로테오글리칸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된 저분자 알긴산(질량 평균분자량(Mw) 2,500)에서, 상기 실시예 5와 같이 알긴산을 구성하는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중량비(M/G)에 따른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Mannuronate, M) and guluronate (alginate) constituting alginic acid as in Example 5 were obtained from low molecular alginic acid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500) confirmed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proteoglycan in Example 4 above. , G) to determine the proteoglycan production promoting ability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M / G).

우선, 상기 실시예 5와 같이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미처리군)과 M/G 비율이 1.1, 1.6, 2.1 및 2.5인 저분자 알긴산을 각각 100 ㎎/L씩 처리한 군으로 구분한 연골세포를 CO2배양기를 이용하여 37℃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상기 배양 후 상기 배양액의 OD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First, the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treated with no sample as in Example 5, and the low-molecular alginic acid group with M / G ratio of 1.1, 1.6, 2.1 and 2.5 were treated with 100 mg / Were cultured in a CO 2 incubator at 37 ° C for 48 hours. The OD value of the culture solution after the culture was measured as in Example 4,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대조군Control group 저분자 알긴산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M/G 비율M / G ratio 1.11.1 1.61.6 2.12.1 2.52.5 3.23.2 3.83.8 프로테오글리칸 농도(OD)The proteoglycan concentration (OD) 0.2650.265 0.2780.278 0.3550.355 0.4110.411 0.4360.436 0.4320.432 0.3750.375 0.2450.245 0.2620.262 0.3880.388 0.4140.414 0.4310.431 0.4300.430 0.4040.404 0.2490.249 0.2640.264 0.3950.395 0.4250.425 0.4450.445 0.4460.446 0.4110.411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저분자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 프로테오글리칸 생성량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증가함에 따라 프로테오글리칸 생성량이 증가하다,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2.5인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 프로테오글리칸 생성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3.2에서는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2.5 경우와 거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알긴산의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3.8에서는 다시 프로테오글리칸 생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to the control group increased the amount of proteoglycan production. Particularly, as the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 to glutarate of alginic acid increases, the amount of proteoglycan production increases.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 to glutarate of alginic acid is 2.5 In the case where the weight ratio (M / G) of alginic acid to gluconate was 2.5, the weight ratio (M / G) of alginic acid to glutarate of alginic acid was 2.5 ,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proteoglycan was remarkably decreased again when the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to glutarate of alginic acid was 3.8.

상기 결과로부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1.6 내지 3.8의 범위에서 알긴산 무첨가 또는 실시예 3에서 확인된 고분자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프로테오글리칸 생성능이 확인되었고,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에 적합한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2.1 내지 3.2,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3.2의 범위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능이 확인되었으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2.5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ratio (M / G) of gluconate to mannuronate was higher in the range of 1.6 to 3.8 than in the case of no addition of alginic acid or addition of polymeric alginic acid as identified in Example 3, and the proteoglycan (M / G) suitable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gluconate was found to be remarkably superior to the case where the weight ratio (M / G) of the gluconate to mannuron was in the range of 2.1 to 3.2, 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2.5 to 3.2,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ratio (M / G) of rhonate-versus-mannuronate was 2.5, which is the most excellent proteoglycan production promoting ability.

실시예Example 7: 동물모델을 이용한 골관절염 치료 효능 분석 7: Effectiveness Analysis of Osteoarthritis Treatment Using Animal Model

실시예Example 7-1: 실험 동물의 사육 7-1: Breeding of experimental animals

체중 3 kg 내지 3.5 kg의 뉴질랜드 흰색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 자성, 한국생명과학연구소, 대한민국) 30마리를 5마리씩 6군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리된 철제 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의 사육은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21℃ 내지 25℃의 온도 및 45% 내지 65%의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동물의 사료는 일반적인 펠렛건조 사료(대한실험동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30 New Zealand white rabbits weighing 3 kg to 3.5 kg (New Zealand white rabbit, Magnetic Res., Korea Life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rea)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5 each, and were raised in separate iron cages. The breeding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carried out from 7:00 am to 7:00 pm under a constant light and dark cycle, at a temperature of 21 ° C to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5% to 65% Dry food (Korea Experimental Animals, Korea) was used, and feed and water were constantly available.

실시예Example 7-2:  7-2: 골관절증Osteoarthritis 치료 효능 측정 Measuring efficacy of treatment

상기 골관절증 치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6-1에서 사육한 실험동물에 대해 골관절증을 유발하였다. 상기 골관절증 유발은 우측 후지의 전십자인대 절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To confirm the therapeutic effect of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was induced in the experimental animals raised in Example 6-1. The osteoarthritis was induced b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of the right fuji.

구체적으로, 자일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xylazine hydrochloride) 3 mg/kg 및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ketamine hydrochloride) 50 mg/kg을 근육주사하여 실험동물을 전신마취 한 후, 우측 후지부를 제모하고 70% 알코올 수용액과 10% 포비돈-요오드액을 이용하여 소독을 하였다. 상기 제모 및 소독을 수행한 우측 후지부 중, 무릎관절 내측부를 2 cm 절개하고 근막과 관절낭을 절개 후, 슬개골을 외측으로 젖혀서 전십자인대를 노출시켰다. 상기 노출된 전십자인대를 11호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절제한 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전십자인대 절제 후, 슬개골을 제위치시키고 관절낭과 근막을 4-0 흡수성 봉합사로 단속 봉합하고, 피부는 3-0 비흡수성 봉합사로 연속 및 단속 봉합하였다. 상기 10% 포비돈-요오드액으로 봉합부를 소독한 후, 항생제(enrofloxacin)를 5 mg/kg(실험동물의 체중) 함량으로 피하주사하였다.Specifically, 3 mg / kg of xylazine hydrochloride and 50 mg / kg of ketamine hydrochloride were intramuscularly anesthetized, and the right feces were epilated. Then, a 70% aqueous alcohol solution and 10 % Povidone-iodine solution. Of the right epiphysis that had undergone epilation and disinfection, the medial side of the knee was incised 2 cm, the fascia and the capsular incision were made, and the patella was exposed to the outside to expose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he expos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was excised using a No. 11 blade and then rinsed with physiological saline. After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the patella was placed, the capsular sac and fascia were interrupted with 4-0 absorbable sutures, and the skin was continuously and intermittently sutured with a 3-0 nonabsorbable suture. After the suture was disinfected with the 10% povidone-iodine solution, an antibiotic (enrofloxacin) was injected subcutaneously at a dose of 5 mg / kg (body weight of the experimental animals).

상기 골관절증 유발시킨 실험동물에 대해서 알긴산을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경구투여는 5군으로 구부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0.5 ml/㎏(Body Weith, B.W) 투여하였고, 실험군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질량 평균분자량(Mw)이 2,500으로 확인된 저분자 알긴산을 만뉴로네이트(mannuronate, M)와 글루로네이트(guluronate, G)의 중량비율(M/G)로 상기 실시예 5 및 6과 같이 구분하여 경구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 M/G 비율이 1.1인 저분자 알긴산 투여군, M/G 비율이 1.6인 저분자 알긴산 투여군, M/G 비율이 2.5 저분자 알긴산 투여군, M/G 비율이 3.2 저분자 알긴산 투여군 및 M/G 비율이 3.8 저분자 알긴산 투여군으로 알긴산 종류를 구분하고, 상기 각각의 알긴산 30 ㎎/㎏(B.W)을 0.5 ml/㎏(B.W) 생리식염수에 녹여 투여하였다.Alginate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caused by osteoarthritis. Oral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by bending into 5 groups. In the control group, low-molecular alginate (Mw) having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500 in Example 1 was administered with mannuronate (M) and 0.5 ml / kg (M / G) of guluronate (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5 and 6 above. Specifically,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administered group having an M / G ratio of 1.1,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dministered group having an M / G ratio of 1.6,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dministered group having an M / G ratio of 2.5,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administered group having an M / G ratio of 3.2, 3.8 Alginic acid was classified into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group and each alginic acid 30 mg / kg (BW) was dissolved in 0.5 ml / kg (BW) physiological saline.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은 모두 수술 후 다음날부터 5주째 되는 날까지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All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from the next day to the fifth week after surgery.

상기 5주간 경구투여 후, 수술 후 6주째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에 속하는 모든 실험동물을 자일라진과 케타민으로 마취시킨 후 티오펜탈 소듐(thiopental sodium)을 심장내 주입하여 안락사 시킨 후 무릎 관절을 노출시켜 중간 대퇴부와 측면 대퇴부의 관절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출된 대퇴부의 관절면에 인디안 잉크를 도포하여 대퇴부 관절의 내측 및 외측에서 연골 결손부의 깊이를 확인하였고, 골관절염의 심각도(severity)는 1에서 4의 네 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부여 하였다.After 5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all experimental animals belonging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nesthetized with xylazine and ketamine at 6 weeks after the operation, thyopental sodium was injected intracardially and euthanized, and then the knee joint was exposed The joint surfaces of the middle femur and lateral femur were visually observed. Specifically, the depth of the cartilage defect was confirm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emoral joint by applying the Indian ink to the joint surface of the exposed femur, and the severity of osteoarthritis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of 1 to 4 .

구체적으로, 1은 관절면이 정상으로 보이며 잉크가 묻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2는 겉보기엔 정상으로 보이나 잉크 도포시 연회색의 반점형태로 묻는 것을 나타내며, 3은 관절면이 우둘투둘하며 잉크 도포시 진한 검은 반점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4는 연골하골이 드러난 것을 나타낸다.Specifically, 1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joint surface appears normal and no ink is applied, 2 indicates a normal appearance, but indicates that the ink is applied in the form of light gray spots upon application of ink, 3 indicates that the joint surface is irritable, 4 indicates the appearance of the cartilaginous bone.

상기 점수를 측정한 후, 각 군 별 5마리의 실험결과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2명의 관찰자가 이중맹검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찰한 실험동물의 연골 결손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었고,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After the scores were measured, the average of five experimental results was calculated for each group. Two observers performed a double blind test for objective comparison. Photographs of the observed cartilage defect regions of the experimental animals are shown in FIGS. 1 to 6, and the calculated average values are shown in Table 5 below.

구분division 대조군Control group 저분자 알긴산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M/G 비율M / G ratio 1.11.1 1.61.6 2.52.5 3.23.2 3.83.8 중간 대퇴골Middle femur 3.65± 0.83.65 ± 0.8 3.25± 0.53.25 ± 0.5 2.90± 0.32.90 ± 0.3 2.52± 0.32.52 ± 0.3 2.62± 0.32.62 ± 0.3 3.05± 0.43.05 ± 0.4 측부 대퇴골Side femur 3.42± 0.53.42 ± 0.5 3.16± 0.63.16 ± 0.6 2.75± 0.52.75 ± 0.5 2.22± 0.32.22 ± 0.3 2.18± 0.32.18 ± 0.3 2.98± 0.42.98 ± 0.4 총 평균Total average 3.54± 0.73.54 0.7 3.21± 0.73.21 ± 0.7 2.82± 0.42.82 ± 0.4 2.37± 0.32.37 ± 0.3 2.40± 0.32.40 ± 0.3 3.02± 0.43.02 ± 0.4

상기 도 1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 알긴산을 첨가한 경우에 대조군(도 1)에 비하여 현저한 골관절증 심각도의 감소현상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1 and Table 5, when the low molecular weight alginic acid was added, a remarkable decrease in the severity of osteoarthritis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Fig. 1).

구체적으로,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1.6 내지 3.8(도 3 내지 도 6)의 범위에서 알긴산 무첨가 즉, 위약으로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도 1) 또는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1.1(도 2)인 알긴산 첨가에 비하여 유의적인 골관절증 심각도 감소현상이 확인되었고,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가 2.5(도 4) 내지 3.2(도 5)의 범위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골관절증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글루로네이트 대비 만뉴로네이트의 중량비(M/G)는 2.5(도 4)의 경우 전체 연골의 손상 부위가 깨끗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가장 우수한 골관절증 개선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pecifically, a control group (FIG. 1) in which saline solution was administered with no alginate in the range of 1.6 to 3.8 (M / G) of mannuron to mannuronate versus gluconate (FIG. 3 to FIG. 6)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gree of osteoarthritis severity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the addition of alginic acid in which the weight ratio (M / G) of contrast-only nuronate was 1.1 (FIG. 2), and the weight ratio (M / G) of gluconate- 4) to 3.2 (FIG. 5), and the weight ratio (M / G) of gluconate to mannuronate was 2.5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damaged area of the entire cartilage was clearly improved, and thus it was confirmed to have the most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osteoarthritis.

상기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시예 7의 결과는 시험관내 실험(invitro)에서 콜라겐 생성 촉진능 및 프로테오글리칸 생성 촉진능을 확인한 실시예 5 및 실시예 6과 동일한 경향의 결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result of Example 7 using the above animal model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the same tendency as in Example 5 and Example 6, make a collagen production-accelerating performance and proteoglycans production-accelerating function in vitro (invitro).

Claims (15)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comprising algin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이고,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n averag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lginic acid of 1,500 to 5,000, and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is 1.6 to 3.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0 내지 3.4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lginic acid is a mixture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M / G) in a weight ratio of 2.0 to 3.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3 내지 2.7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tarate of 2.3 to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ginic acid is a mixture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in a weight ratio (M / G) of 1.6 to 3.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0 내지 3.4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lginic acid is a mixture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M / G) in a weight ratio of 2.0 to 3.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2.3 내지 2.7인 골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tarate of 2.3 to 2.7.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steoarthritis comprising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of 1.6 to 3.8 as an active ingredi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n avera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인 것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is a food, a food additive or a beverage.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which comprises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to gluronate of 1.6 to 3.8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인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n avera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알긴산의 만뉴로네이트와 글루로네이트의 중량비율(M/G)이 1.6 내지 3.8인 알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steoporosis, which comprises alginic acid having a weight ratio (M / G) of mannuronate of alginic acid and gluronate of 1.6 to 3.8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500 내지 5,000인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lginic acid has an averag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500 to 5,00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인 것인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14.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ood composition is food, food additive or beverage.
KR1020120137708A 2012-11-30 2012-11-30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KR101513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08A KR101513855B1 (en) 2012-11-30 2012-11-30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08A KR101513855B1 (en) 2012-11-30 2012-11-30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103A Division KR20150013414A (en) 2014-12-26 2014-12-26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44A true KR20140075844A (en) 2014-06-20
KR101513855B1 KR101513855B1 (en) 2015-04-21

Family

ID=5112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08A KR101513855B1 (en) 2012-11-30 2012-11-30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85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93A (en) * 2016-02-04 2016-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16292A (en) * 2016-02-04 2016-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3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1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Enhancing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4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70137012A (en) * 2017-11-23 2017-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otec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Oligo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93A (en) * 2016-02-04 2016-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16292A (en) * 2016-02-04 2016-10-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3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1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Enhancing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7334A (en) * 2016-10-20 2016-1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 as Active Ingredient
KR20170137012A (en) * 2017-11-23 2017-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Protec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Non-reducing end of Unsaturated Mannuronic Acid Oligosaccharides(Olig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855B1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855B1 (en)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RU2671401C2 (en) Collagen hydrolysate and use thereof
DE102008036954B4 (en) Use of an amino sugar-containing composition
CN101711786B (en) Preparation used for relieving osteoarthropathy and enhancing immunity
EP1965809A2 (en) Novel compositions to improve gut health and animal performan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6030319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CN102423487A (en) Osteoarticular health-care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CN111467481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or preventing osteoarthritis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1072582A (en) Functional oral composition
KR20050087817A (en) Remedy
JPWO2006120974A1 (en) Health f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diseases of cartilage metabolism disorder
JP2007022992A (en) Preparation for hyperphosphatemia, and food, drink or feed containing the same
MXPA05004994A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CN107669980A (en) A kind of aliment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bony articulation health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20150013414A (en)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arthrits comprising an extract of crinum asiaticum
JP2006206474A (en) Functional food and medicine
KR101529493B1 (en) Perillae semen extracts for enhancing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and inhibiting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and use of thereof as bone formation promoting products and bone resorption inhibitory products
KR101888955B1 (en)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Lilium lancifolium for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of arthritis as effective component
CN112675295A (en) Blueberry powder compound solid preparation capable of preventing and improving osteoarthritis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322282B1 (en) Composition for bone growth promotion comprising Gelatin hydrolysates
US9539280B2 (en) Cartilage production promoter and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diseases associated with cartilage damage
JP2005232089A (en) Orally administrable functional agent having bone quantity-increasing activity
WO2023074893A1 (en) Cartilage regeneration composition
WO201408442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lginic aci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CN116098201B (en) Use of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improving bone density and bone metabol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