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960A - 안전 부표 - Google Patents

안전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960A
KR20140074960A KR1020147010714A KR20147010714A KR20140074960A KR 20140074960 A KR20140074960 A KR 20140074960A KR 1020147010714 A KR1020147010714 A KR 1020147010714A KR 20147010714 A KR20147010714 A KR 20147010714A KR 20140074960 A KR20140074960 A KR 2014007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afety
bow
hull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일 존 월러스
Original Assignee
립 부이 홀딩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190422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1904226A0/en
Application filed by 립 부이 홀딩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립 부이 홀딩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4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the underpart of which being partly provided with channels or the like, e.g. catamaran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안류를 갖는 이안류 영역(35)에서의 사용을 위한 안전 부표(100)는 선수부(110) 및 선미부(120)를 포함한다. 선수부(110)는 유선형이며, 선미부(120)는 갑판 영역을 갖는다. 안전 부표(100)는 유리하게는, 유선형 선수가 전반적으로 유입 너울 상태를 향하여 바다 방향에 대면하는 반면, 선미부(120)에서의 갑판 영역이 전반적으로 해안 방향에 대면하고 유출 이안류에 갇힌 조난된 수영객을 위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이안류 영역(35)에 계류된다.

Description

안전 부표{SAFETY BUOY}
본 발명은 해상 안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 해변 및 연안 하구와 같은 기타 해양 환경에서 이용되는 수상 안전 장비에 관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수많은 파도 해변이 있고, 1900년대 초기에 파도 해변에서의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구성된 다양한 파도 인명 구조 클럽 및 단체가 있다. 그 이후로 계속 인명 구조원 또는 구조 대원이 인기 있는 파도 해변을 순찰하고 있다. 파도 인명 구조 장비는 수년에 걸쳐 상당히 변화되었다. 가능한 인명 구조원 중 적은 인원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체력 및 훈련을 필요로 하는 기법들을 이용하고, 파도 릴 또는 파도 보트를 이용하여 파도 구조가 일단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은 이제 구조 목적에 대해서 과거의 기법이 되었다. 현재에 유리한 장비는 구조 튜브, 구조 보드, 팽창 가능한 구조 보트(IRB) 및 제트 스키를 포함한다. 필요하고 이용 가능한 경우 헬리콥터도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비용으로 인해 광범위한 이용이 제한된다.
명백하듯이, 파도 해변에는, 특히 파도 상태에 익숙하지 않거나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 빈번히 방문하는 경우에, 상당한 공공 안전 어려움이 있다. 파도 환경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수영객에게 "깃발들 사이"에서 수영할 것을 지시하는 인명 구조원의 접근 및 수반하는 공공 안전 메시지가 수년 동안 있어 왔다. 수영에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해변의 간격을 나타내는 우세한 상태에 따라 한 쌍의 특유한 빨간색 및 노란색 깃발들이 해안선을 따라 위치된다. 수영객들은 그 들의 안전을 위해 깃발들 사이에서 수영하도록 지시되며,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순찰되는 해변의 영역 내에 있도록 지시된다.
이러한 접근법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에는 제한이 있다. 인기 있는 해변은 폭넓은 파도 경험 및 기술을 갖는 해수욕객들을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 파도 상태에 익숙하지 않고 자신이 없는 사람들은 정해진 영역에서만 수영해야 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부서지는 파도가 없어 보다 안전하게 보이는 잔잔한 물에 종종 휩쓸릴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 영역은 매우 빈번하게, 수영객이 그 깊이로부터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을 예상하지 못하는 이안류를 숨기고 있다. 이는 수영을 잘 할 수 없는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며, 수영을 전혀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조난을 당할 수 있다.
사실상 많은 파도 해변은 이안류가 발생하기 쉽다. 이안류는 해안으로 유입된 후 다시 바다로 흘러 나가는 물의 자연적인 결과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안류의 위치, 강도 및 방향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안류는 국부적인 상태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안류는 해변 및 바다 주위의 구조 및 임의의 인공 구조로 인해 영구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암석층, 방파제, 배수로 및 보트 램프(ramp) 모두가 영구적인 이안류에 기여할 수 있다. 이안류는 조위(tide level), 및 우세한 모래층 및 바람에 따라 임시적일 수도 있다.
파도 상태를 파악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은 다양한 텔테일(tell-tale) 표시에 의해 이안류를 인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안류는 쇄파(breaking surf)를 보이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역은, 물의 표면 아래에서 교반된 모래로 인하여 어두울 수 있고, 바다 거품 및 찌꺼기는 바다 방향으로의 유동을 보일 수 있다. 근처에 큰 쇄파가 있는 경우, 보다 통상적으로 이안류 영역은 파형이 훨씬 더 작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다. 이안류 영역에서의 물은 모래톱이 부재하기 때문에 보다 깊어지는 물로 인하여 보다 어둡게 보일 수도 있다. 이안류는 통상 바다로 흘러 나가지만 해변을 따라 유동할 수도 있다. 이안류는 대부분 파도 해변에서 발생하지만, 연안 하구와 같은 기타 해양 환경도 위험한 해류를 숨길 수 있다.
인명 구조원이 이용하는 작업 방법 및 안전 장비에 대해 수년에 걸쳐 많은 개선들이 있었지만, 위험한 해류에 갇힌 해수욕객을 구조하기 위해 인명 구조원에게 상당한 노력 및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기타 해수욕객으로부터 주의를 돌리게 한다. 인명 구조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매년 상당한 수의 해수욕객들이 통상 2일 또는 3일에 한 명씩 익사한다.
개선된 해변 안전에 대한 최근의 시도가 퀸즈랜드, 호손의 Frederick William George의 이름으로 2011년 8월 25일에 US 2011/0207377으로 공개되었다. George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격된 해변 깃발 - 종래에 안전한 수영 영역을 나타냄- 및 깃발들로부터 바다로 연장되며 바다 쪽으로의 비교 가능한 거리로 안전 부표에서 만나는 유동하는 선들 사이의 삼각형 배치를 구상한다. 이 시스템의 장점은, 조난 당한 수영객이 유동하는 선을 잡게 되고, 해수욕객을 위해 안전한 수영 영역이 보다 강조하여 경계로 표시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최근의 공보, 즉,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특별 지역, 패든의 Andrew David Curren의 이름으로 2010년 3월 4일에 공개된 AU 2010100100는 해상 안전 부표를 제시한다. Curren는 이안류 영역에서 계류된, 적합한 경고 표시를 갖는 부표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Curren은 또한 조난된 수영객을 위한 조난 버튼 및 경보 시스템의 일부 부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상기한 시도들은 해상 안전 기술에 기여하지만, 기재된 장치들은 해양 환경에서 현재 전개되는 출원인의 지식이 아니다. 이에 따라,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응용처를 갖는 해상 안전에 있어서의 임의의 추가적인 개선이 상술한 이안류 영역의 위험 측면에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적 개념은, 이안류 영역을 위한 안전 부표가 통상적인 해양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유출 이안류 및 유입 너울 상태에서 전반적으로 부양되고 안정적이며, 이안류의 존재 및 방향을 나타내도록 이안류 영역 내에 계류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영객 근방에 휴식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인식에 있다.
압도적으로 기존의 안전 부표는 전반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회전 대칭 구성이며, 안전 부표가 위험한 이안류 영역을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이러한 부표는 이러한 목적에 부적합하고, 본원에 설명된 안전 부표의 장점을 확보할 수 없다.
이안류 영역에서의 사용을 위한 안전 부표는 선수, 선미 및 선체를 포함하고, 선수는 유선형 선수부를 가지고, 선미는 선체 위에 개방 갑판 영역을 가지며, 안전 부표는, 유선형 선수부가 전반적으로 유입 너울을 향하여 바다 방향에 대면하고, 개방 갑판 영역이 전반적으로 유출 이안류를 향하여 해안 방향에 대면하도록 계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방 갑판 영역이 이안류 영역에 갇힌 수영객을 위한 휴식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안전 부표는 전반적으로 종방향 형상이고, 유선형 선수부 및 보다 넓은 선미는 개방 갑판 영역을 갖는다. 이안류에 위치될 때, 부표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선미 쪽에, 그 선수가 전반적으로 유입 너울 내로 바다 방향에 대면하고, 그 선미가 전반적으로 해안 방향에 대면하게 계류된다. 전반적으로 해안 방향에 대면하는 개방 갑판 영역은 이안류에 갇힌 수영객이 이안류에 의해 더 운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식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표는 바람직하게는 구명삭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되는 부낭들에 의해 물 표면상에 지지된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후행하는 구명삭에 특징이 있다. 후행하는 구명삭은 흐르는 이안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또한 이안류 내에 갇힌 수영객이 부표의 안전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킨다. 후행하는 구명삭에 도달하는 수영객은 이안류에 대항하여 이를 부표의 갑판 영역을 향하여 당길 수 있다.
부표의 기타 바람직한 특징들은 항해등 또는 스트로브 유닛 및 비상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비상 무선 표지를 포함한다. 스트로브 유닛 및 무선 표지는 바람직하게는 수동 스위치와 협력하여 미리 설정된 세팅에 따라 스트로브 유닛 및 무선 표지의 동작을 조정하는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서 작동한다. 전력이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된 태양열 발전 유닛에 의하여 공급된다. 특히, 스트로브 유닛 및 비상 무선 표지는 특히 인기 있는 위치 또는 위험한 위치에서 이안류에 영구적으로 계류되는 부표 내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장비가 없는 부표는 임시적인 이안류에서의 임시적이거나 일상적인 사용에 보다 적합하다.
부표는 계류 체인을 통하여 계류 블록 또는 앵커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계류 추도 이용될 수 있다. 부표가 큰 너울 및 강한 해류에 안전하게 계류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부표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선미 쪽에 위치된 계류 지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행하는 구명삭을 갖는 안전 부표가 계류된 이안류 영역을 갖는 해변의 개략적인 형태의 조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부표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부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 부표의 하측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 부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 부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상측 후방 양태로부터의, 도 1의 안전 부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전방 하측 양태로부터의, 도 1의 안전 부표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비상 무선 표지를 구비하는 안전 부표에 통합된 회로의 개략도이다.
안전 부표(100)는 이안류 영역에서의 이용을 위한 인명 구조 장비로서 도움이 된다. 이는 이안류 또는 강한 조류(tidal flow)가 존재하는 대양 및 하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부표(100)는 유리하게는 이안류 영역 내에서 흐르는 이안류에 대체적으로 근접하게 계류될 수 있고, 이안류에 갇히고 휘말린 경우 물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해변(20)에서 부서지는 바다(10)의 개략적인 조감도를 나타낸다. 모래톱들(30, 30')이 해변(20)의 해안선으로부터 짧은 거리를 형성한다. 보통, 모래톱들(30, 30') 위에 위치된 화살표(40, 40')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모래톱들(30, 30')의 영역에서 파도가 부서진다. 모래톱들(30, 30') 사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안류(50)가 바다로 되돌아 간다.
흘수선 아래에 있고 도시되지 않은 계류 장치에 의해 안전 부표(100)가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는 이안류 영역(35)이 모래톱들(30, 30') 사이에 전반적으로 위치된다. 안전 부표(100) 뒤에서 구명삭(170)이 후행한다. 구명삭(170)이 부낭들(172)에 의해 그 길이를 따라 지지된다. 구명삭(170)은 - 일 예로서 - 수십 미터 가량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구명삭(170)의 부력 및 가시성을 돕기 위해 이른바 1 미터 간격으로 그 길이를 따라 배치된 부낭들(172)을 구비하는 해양 응용처에 적합한 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 부표(100)는 또한 물에서 전개될 때 안전 부표(100)의 사용을 돕기 위해 안전 부표(100)의 둘레에 배치되는 기타 코드들(cord) 또는 선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지만, 안전 부표(100)를 고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계류 장치는 임의의 관례적이고 편리한 장치일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부표(100)는 바람직하게는 바다 방향으로 배향된 선수를 가지면서 전방 및 선미 쪽으로 위치되어 계류된다. 전방 계류색이 전방 계류색 및 안전 부표(100)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무거운 정박 용구를 갖는 계류 앵커 또는 계류 블록(성형된 콘크리트 추와 같음)으로 이어진다.
전방 및 선미 쪽 계류색들이 안전 부표(100) 상의 전방 및 선미 쪽 위치들에서, 각각, 적합한 계류 실시 점에서 적합한 고정물 또는 체결 장치에 의해 안전 부표(100)에 부착된다.
채용된 계류 장치는 유리하게는 장기적이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유출 이안류 및 유입 너울에 직면하여 안전 부표(100) 부력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채용된다. 안전 부표(100)의 바다 방향으로 대면하는 배향은 안전 부표(100)가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며, 조난된 수영객에 의한 빠른 접근을 허용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다양한 관점들로부터 도 1의 상황에서 제시된 안전 부표(100)를 도시한다.
기존의 부표에 대비하여, 안전 부표(100)는 전반적으로 종방향 배치를 가지며, 이 점에 있어서, 종래의 부표 자체 보다는 항해선 또는 선박의 형상과 매우 밀접하게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하여, 본원에서 기재된 이유로 안전 부표(100)는 보다 일반적으로 또는 조선 공학의 양태에서 배 또는 선박과 관련하여 보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용어를 이용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안전 부표(100)는 이 점에 있어서 대략적으로 두 개의 별개 부분들 - 둘 다 하부에 선체(130)를 갖는 선수(110) 및 선미(120)을 포함한다.
선수(110)는 직선형 선수부로서 형성된 유선형 선수부(112)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 자체는 전반적으로 돌고래 코를 어느 정도 상기시킨다. 선미(120)는 개방 갑판 영역 또는 갑판(150)을 갖는다.
사용 시, 안전 부표(100)는, 유선형 선수부(112)가 전반적으로 유입 너울을 향하여 바다 방향에 대면하고, 갑판(150)이 전반적으로 유출 이안류를 향하여 해안 방향에 대면하도록 계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갑판(150)은 이안류 영역에 갇힌 수영객을 위한 휴식 플랫폼을 제공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8, 다양한 관점으로부터의 안전 부표(100)의 형상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측면도를 나타내는 반면, 도 3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하측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정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상측 후방 관점 및 전방 하측 관점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부표(100)는 전방에서 선수(110)를 그리고 선미 쪽에서 선미(120)를 갖는다. 안전 부표(100)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부터 선미 쪽으로의 길이가 대략 3000mm이고,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폭이 대략 1500mm이고, 선수(110) 및 선미(120)의 상대 길이들이 각각 대략 1000mm 및 2000mm이 되는 규모를 가질 수 있다. 안전 부표(100)의 높이는 대략 700mm인 반면, 타르가 바(targa bar)(160)의 도달 거리는 대략 1200mm이다.
이러한 치수들은 정확하지 않으며,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채용된 예시적인 치수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된다. 이러한 치수들은, 이해될 수 있듯이, 상이한 요건들, 조건들 또는 응용처들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크기가 이용될 수 있고, '경량 임무급(lighter duty)' 부표는, 예를 들면, 개방된 거친 물결에 비하여 덜 거친 상태인, 해양 하구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게, 상술한 치수의 3분의 2로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특대형' 부표는 특히, 불리한 상태에서, 1과 2분의 1 크기를 갖는다. 비율도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부표(100)의 선수(110)는, 선수(110)의 하측을 따라, 도 2의 입면도 및 도 8의 사시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용골(132)로 연장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단한 차인(chine)을 갖는다.
선수(110)의 상측은, 도 3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110)의 중앙 및 최상부를 따라 진행하고 선수(110)를 대향측 절반들로 나누는 크라우닝 리지(crowning ridge)(116)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유선형이다. 크라우닝 리지(116)는, 도 3 및 도 7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112)로부터 원호 또는 초승달-형상의 배치로 형성되는 방벽(140)으로 이어진다. 방벽(140)은 좌현으로부터 우현으로 부표(100)를 횡단하여 연장되며, 전반적으로 선수(110) 및 선미(120)를 분리시킨다. 방벽(140)은 유입 너울 상태로부터의 차폐의 기준을 제공한다.
부표(100)의 전방으로부터 선미 쪽으로 진행할 때, 방벽(140)은 갑판(150) 형태이고 선체(130)의 아래에 있는 개방 갑판 영역에 특징이 있는 선미(120)로 이어진다. 갑판(150)은 전반적으로 개방되고 평탄하지만, 그 중앙 또는 중간에 가까이에서 약간 오목하거나 우묵하다. 선체(130)는, 도 8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파형을 가지지만, 갑판(150)의 관점에서 볼 때, 전반적으로 오목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선체(130)는 돌출판들(134)에 의해 좌현 및 우현 옆에 위치된다. 통상적으로 선체(130)와 일체로 되는 돌출판들(134)은, 돌출판들이 부표(100)에 부력 및 안정성을 줄 수 있는 한, 평저선(pontoon) 또는 아웃리거(outrigger)와 어느 정도 유사하다. 돌출판들(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흘수선에서 또는 흘수선 아래에서 선체(132)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부표(100)의 부력 및 부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판들(124)의 형상 및 치수는, 요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위 또는 부력 또는 안정성을 필요에 따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판들(134) 사이의 선체(130) 상에는 부표(100)의 대략 마지막 3분의 1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선미부(120)의 단부에서 종단하는 중앙 지느러미(136)가 있다. 중앙 지느러미(136)에는, 유선형 선수부(112)의 선행부에 형성되는 선수부 홀(114)을 보완하는 계류 홀(138)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들(114, 138)은, 설명된 바와 같이, 부표(100)를 전방 및 선미 쪽에 계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개방 갑판 영역 또는 갑판(150)은 약간 오목하거나 우묵하다. 결과적으로, 갑판(150)은 전반적으로 평탄하거나 수평인 측면 갑판들(152)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측면 갑판들은 측면 갑판들 사이로 연장되는 오목한 중간 갑판(154)으로 천이한다. 중간 갑판(154)은 이에 따라 약간 오목하거나 V형(chevron)으로 배향되며, 아래쪽에 선체(130)와 어느 정도 유사하다. 중간 갑판(154)으로 천이하는 측면 갑판들(152)이 선체(130)에 형성된 돌출판들(134) 위에 위치된다.
선미(120)에는, 갑판(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갑판(150)에 도달하고, 갑판(150) 위에서 연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지는 타르가 바(160)가 있다. 타르가 바(160)는 거친 상태에서의 부표(100)의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타르가 바(160)는 부표(100)가 자동적으로 복원되거나, 우세한 상태로 인해 부표(100)를 뒤집거나, 적어도 부표를 보다 쉽게 수동으로 복원시키도록 마련된다.
타르가 바(160)가 그 천정(zenith)에 도달하는, 갑판(150) 위의 타르가 바(160)의 중간 지점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항해등 및 스트로브 유닛(800)이 위치된다.
스플래시(splash) 레일들(156)이 방벽(140)의 단부들 및 타르가 바(160)의 각 단부들 사이에서 부표(100)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며, 선미(120)의 좌현 현연(gunwale) 및 우현 현연을 따라 형성된다. 스플래시 레일들(156)은 측면 갑판들(152) 위에서 작은 거리로 돌출하며, 이 점에 있어서, 바다로부터의 너울에 대하여 갑판(150)을 어느 정도 방어한다.
다목적 러그들(158)이 부표(100)의 외피 상에 형성되며, 방벽(140)이 스플래시 레일들(156)로 천이하는 영역들에서 부표(100)의 양측에 위치된다. 러그들(158)은 부표(100)에 물품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 데에 단독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해양 로프용 고정 지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러그들(158)에 인접해서, 측면 공동(void)들(157)이 부표(100)를 통과하는 작은 홀들 또는 개구들로서 형성되고, 방벽(140)이 스플래시 레일들(156)로 천이하는 곳에 가까이에서, 그리고, 돌출판들(134)들이 선체(130)로 천이하는 돌출판들(134)의 전방측에 가까이의 부표(100)의 하측 상에 제공된다. 측면 공동들(157)은 러그들(158)과 유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측면 공동들(157)을 보완하는 후방 공동들(159)이 부표(100)의 선미(120)의 후방에서, 선미 트랜섬(transom)에서, 측면 갑판들(152)이 중간 갑판(154)과 만나는 곳의 가까이에서의 부표(100)의 각 측면들 상에, 그리고, 돌출판들(124)이 선체(122)와 만나는 곳의 가까이에서의 부표(100)의 하측 상에 한 쌍으로서 형성된다. 측면 공동들(157) 및 단부 공동들(159)은 해양 로프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에 적합한 치수를 가지며, 이 점에 있어서, 선이 선수부 홀(114)을 통과하고, 측면 공동들(157)을 통과하여, 선의 단부들이 적합한 매듭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단부 공동들(159)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부표(100)가 물에 있을 때, 만일 필요하다면 선이 잡힐 수 있는 선수(110)에서 흘수선 가까이에, 선이 유사한 목적을 제공할 수 있는 부표(100)의 측면 갑판들(152)을 따라, 선을 위치시킨다. 마찬 가지로, 이러한 방식으로 부표(100)에 고정된 선은, 필요할 때, 부표(100)를 운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골(132)은, 돌출판들(134) 및 중앙 지느러미(136)와 조합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파일 디자인인 부표(100)를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나아가, 부표(100)는, 부표(100)의 도움을 찾는 수영객에게 부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안류에서의 안정적인 위치를 허용하며, 예상된 사용 중 충분한 안정성을 허용하기 위해, 선수(110)가 선미(120)에 대하여 충분한 부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느러미(136)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 구명삭(170)이 고정될 수 있는 홀(137)을 갖는다.
안전 부표(100)는 유리하게는 다양한 추적 및 감시 특징을 제공하도록 전자식 통신 장비를 이용한다.
도 9는 부표(100)에 내장된 감시 시스템용 제어 회로의 고수준 개략도이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1000)로 전송하는 무선 모뎀인 셀룰러 게이트웨이(200)이다. 셀룰러 게이트웨이(200)(및 임의의 기타 직접 온 보드 전력 드로우)로 12V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500)에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다수의 태양 전지판들(600)이 부표(100) 상에, 바람직하게는 타르가 바(160)(태양광에 노출되고 흘수선으로부터 제거됨) 상에 전개될 수 있다. 일련의 환경 센서들(300)이 현재의 속도, 온도 및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기타 환경 파라미터와 연관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 데이터는, RS 485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선박의 전자 장치 - 주로 해양 기구 -의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NMEA 2000 프로토콜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버터(320)로 제공된다. 변환 후, 이 데이터는, 셀룰러 네트워크(1000)로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게이트웨이(200)로 제공된다.
또한, 셀룰러 게이트웨이(200)로 그리고 그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1000)로 전송될 신호를 CCTV 기록 장치로 공급하는 카메라(400)가 부표(10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400)는 방벽(14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갑판(150) 및 이안류 영역(35) 건너편의 광각, 파노라마, 어안(fisheye)형 시각을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이 장치는 다수의 부표들의 정보가 감시되고 중앙 위치에서 인터넷을 통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1000)로 기록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러 네트워크(1000)로 전송된 데이터는 다양한 감시 및 기록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 기술 기반 구조에 의해 감시되고 수신된다. 해양 환경에서의 전자식 감시, 추적 및 감독에 전문화된 미국 플로리다의 Global Ocean Security Technologies(GOST)와 같은 제공자가 이러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전자식 감시 시스템과 병행하여 작동하거나 함께 작동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이 GOST 등의 제공자에 의해서도 지원되며, 부표(100) 상의 수동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되고, 이어서 스트로브 조난 신호로 항해등 및 스트로브 유닛(800)을 작동시킨다. 이 비상 경보 시스템은 또한 위성 네트워크로 직접 통신하는 비상 무선 표지를 작동시킨다.
적합하게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ECU)이 항해등 및 스트로브 유닛(800) 및 비상 무선 표지를 작동하는 데에 이용된다. 수동으로 작동되는 스위치가 ECU에 직접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 공급 유닛(500)이 ECU, 스트로브 유닛(800) 및 연관된 무선 표지로 전력 공급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된다. 스위치가 작동되면, ECU는 무선 표지 및 스트로브(800)를 작동시킨다. 스트로브(800)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될 때, 국제조약에 의해 인정되는, 조난 신호를 나타내는 고강도 주야간 청색 스트로브를 발산한다.
스트로브 유닛(800)은 바람직하게는 황혼에서 새벽까지의 주간 일조 시간 외의 시간에서 자동으로 작동하여, 임의의 원하는 리듬으로 섬광 황색 스트로브를 발산하여, 항해 마크에 이용되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균일 코딩 시스템에 따라 특수 마크를 지정한다. 섬광 황색 스트로브는 예비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상 무선 표지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트랜스미터 또는 트랜스시버 시스템이고, 로컬 커버리지를 가지는 모바일 텔레포니 네트워크를 통하여 작동하며 바람직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능력도 갖춘 것이 편리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오스트레일리아 및 다른 수많은 국가들에서 세계적으로 작동되는 우세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일 수 있다. 표지는 GPS 신호를 통하여 그 위치를 규칙적으로 판단하고, 위성 네트워크를 통하여 ECU로부터, 비상 신호를 등록하는 기지국으로의 방향으로 비상 신호를 전송하면서 작동한다.
이 기지국은, 표지가 작동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모바일 전화 번호로의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이메일 주소로의 이메일 등으로 통신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지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격으로 리셋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기지국은 인접하는 해변과 같은 인근의 해안 위치에 위치되도록 의도되는 하드웨어 유닛으로 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드웨어 유닛은 인근의 안전 부표(100)로 주의를 경고하는 소리가 큰 가청 경고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표지 및 함께 작동하는 네트워크 및 기지국의 다양한 구현, 구성 및 특징이 요건, 의도된 사용 및 임의의 적용 가능한 규칙에 따라 예상될 수 있다.
부표(10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고, 투 피스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용골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프레임이 몰드에 끼워진다. 몰드의 내측 표면은, 지방족 자외선-안정화(UV-안정화) 폴리우레아 코팅재로 분무된 후 적용하고, 또한, 구조적 폴리우레아 코팅재로 분무된다. 그런 다음 외피가 폴리에틸렌의 고강도 UV-안정화 형태인 3979 등급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전자 부품은 부표(100) 내에 위치된 방수 재킷 내에 수용된다. 이 몰드 부품은 내부에 위치된 프레임과 접합되며, 코어가 유사하게 형성되는 타르가 바(160)와 함께 폴리우레탄 포어 폼(pour foam)으로 채워진다.
외피는 바람직하게는 부표(100) 내의 내부 캐비티로의 접근을 허용하며, 부표(100)가 내부에 구성될 때, 외피가 적합한 폼 코어(foam core)로 채워지도록 하는 접근 개구(미도시)를 갖는다. 안전 부표(100)가 해양 항해 표시(marker)로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안전 부표(100)는 바람직하게는 색깔에서 밝은 '신호 황색'이다.
안전 부표(100)의 외피 내에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부표(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 강성 프레임이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부식을 견디도록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이상적으로는 해양 등급 316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안전 부표의 다양한 선택적인 특징들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비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대안적인 실시예는 라이트 및 스트로브 유닛 및 연관된 전자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부표들이 IRB 또는 제트 스키에 의해 적합한 계류 지점으로 예인될 수 있고 우세한 이안류가 발견되는 곳마다 인명 구조원의 재량으로 고정될 수 있는 파도 해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안류에 갇힌 수영객이 바다로 더 운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부표로 접근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인명 구조원에 의해 이러한 부표들이 해안 또는 순찰 타워로부터 시각적으로 감시될 수 있다.
안전 부표는 또한 휩 안테나와 같은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휩 안테나는 안전 부표의 선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깃발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주로, 특히, 높게 이는 너울 상태에서 물 또는 육지로부터 부표를 발견하는 것을 돕고자 할 수 있다. 휩 안테나는 유리하게는 통상, 예를 들면, 레저 차량과 함께 이용되며, 또한, 세찬 바람, 소금 및 자외선 방사에 노출된 해양 환경에서의 이용에 적합한 튼튼한 유연성 구조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휩 안테나는 또한 표지로의 신호의 전송 및 표지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돕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해상 안전 기술 또는 기타 연관된 기술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듯이, 다양한 기타 추가 또는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이안류 영역에서의 사용을 위한 안전 부표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표는 선수, 선미 및 선체를 포함하고, 상기 선수는 유선형 선수부를 가지고, 상기 선미는 상기 선체 위에 개방 갑판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안전 부표는, 상기 유선형 선수부가 전반적으로 유입 너울을 향하여 바다 방향에 대면하고, 상기 개방 갑판 영역이 전반적으로 유출 이안류를 향하여 해안 방향에 대면하도록 계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개방 갑판 영역이 상기 이안류 영역에 갇힌 수영객을 위한 휴식 플랫폼을 제공하는, 안전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갑판 영역을 유입 너울로부터 차폐하기 위해 좌현에서 우현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수 및 상기 선미를 분리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에서 상기 선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판들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에 인접하게 상기 선체와 일체로 되고 상기 선체로부터 연장되는 용골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일체로 되고 상기 선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용골과 정렬되는 중앙 지느러미를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의 상기 개방 갑판 영역 위에서 상기 개방 갑판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르가 바를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르가 바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항해등 및 스트로브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미 트랜섬으로부터 상기 선수를 향하여 좌현 현연 및 우현 현연을 따라 연장되는 스플래시 레일들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류 지점들은 전방 및 선미 쪽에 위치되는, 안전 부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는 직선형 선수부인, 안전 부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갑판 영역은 상기 선체의 중간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안전 부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표 뒤에서 작동 가능하게 후행하는 유동 구명삭을 제거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선미에 위치되는 고정 지점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 무선 네트워크로 무선 조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부표 상에 장착된 수동 스위치에 의해 작동 가능한 비상 무선 표지를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강성 프레임 및 폼 코어(foam core)를 감싸는 불침투성 외피로 이루어지는, 안전 부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표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 무선 표지 및 환경 감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안전 부표.
  16. 이안류 영역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안류 영역에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전 부표를 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10714A 2011-10-14 2012-10-12 안전 부표 KR20140074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1904226 2011-10-14
AU2011904226A AU2011904226A0 (en) 2011-10-14 Safety buoy
PCT/AU2012/001237 WO2013053012A1 (en) 2011-10-14 2012-10-12 Safety bu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960A true KR20140074960A (ko) 2014-06-18

Family

ID=4808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714A KR20140074960A (ko) 2011-10-14 2012-10-12 안전 부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80937B2 (ko)
EP (1) EP2766257A4 (ko)
JP (1) JP2014533215A (ko)
KR (1) KR20140074960A (ko)
CN (1) CN104024101A (ko)
AU (1) AU2012323773A1 (ko)
BR (1) BR112014008587A2 (ko)
CA (1) CA2849315A1 (ko)
CL (1) CL2014000862A1 (ko)
MX (1) MX2014004298A (ko)
WO (1) WO201305301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07U (ko) * 2015-01-26 2016-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KR101871103B1 (ko) * 2017-02-02 2018-06-26 주식회사 리영에스엔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20200110718A (ko) * 2019-03-04 2020-09-25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구조를 위한 무인 감시 및 구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08587A2 (pt) * 2011-10-14 2017-06-13 Rip Buoy Holdings Ltd flutuador de segurança para uso em uma área de corrente de redemoinho; e método de assegurar uma área de corrente de redemoinho
US20140266792A1 (en) * 2013-03-13 2014-09-18 Raymond & Lae Engineering, Inc. Universal monitoring system and modular interface and sensor assemblies
SE542322C2 (en) 2016-03-16 2020-04-07 Novige Ab Floating platform
CN110450924A (zh) * 2019-08-28 2019-11-15 西南民族大学 一种救生圈套装
ES1268359Y (es) * 2021-03-17 2021-09-16 Vanrell Casasnovas Andres Un dispositivo acuático para realizar actividades deportivas y/o lúdicas
CN113562122B (zh) * 2021-08-06 2024-05-14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船用艉登标平台结构
CN114114327B (zh) * 2021-12-06 2022-10-14 中国地质调查局水文地质环境地质调查中心 一种泥石流监测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444000B (zh) * 2023-06-16 2023-08-29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渔业水体消毒用投放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18111A (fr) * 1910-05-20 1910-12-01 Emilien Jean Bouée-flotteur
GB191213531A (en) * 1911-10-17 1912-10-31 Friedrich Heyn Improved Buoy especially adapted for Streams and Currents.
US1375494A (en) * 1921-02-07 1921-04-19 Dudas Andrew Life-buoy
GB795194A (en) 1955-02-23 1958-05-21 Frederick John Holloway Improvements relating to marine or like life-saving apparatus
US3147498A (en) 1962-04-02 1964-09-08 Orville P Convis Swimming buoy
US3380090A (en) * 1966-05-27 1968-04-30 Lester P. Kenmuir Water sled
US4678444A (en) * 1984-11-19 1987-07-07 Monreal F Javier Water gliding scooter board
DE3674399D1 (de) * 1985-01-22 1990-10-25 John Douglas Hindle Rettungsgeraet zum bergen von schiffbruechigen.
US4666414A (en) * 1985-03-13 1987-05-19 Fox Nelson C Flotation device
US4903243A (en) * 1988-08-04 1990-02-20 Whistler Corporation Marine transponder system
US4927395A (en) * 1989-06-09 1990-05-22 Kenneth D. Saulnier Combined buoy and anchor device
FI97349C (fi) * 1994-03-14 1996-12-10 Aquamaster Rauma Ltd Vetojärjestely hinaajaa varten
US5687664A (en) * 1996-04-10 1997-11-18 Sofian; Terry N. Foldable inflatable rescue pontoon
US5634419A (en) * 1996-06-26 1997-06-03 Cymara; Hermann K. Front-drive boat
US5810695A (en) * 1997-01-21 1998-09-22 Sass; Randy J. Water trampoline device
US6634914B2 (en) * 2000-05-26 2003-10-21 Darren Vancil Self-righting whitewater raft
US6508682B1 (en) * 2001-09-14 2003-01-21 David P. Clark Water trampoline
US7332074B2 (en) * 2002-12-31 2008-02-19 Psi-Ets, A North Dakota Partnership Water circulation systems for ponds, lakes, and other bodies of water
FR2887513A1 (fr) * 2005-06-23 2006-12-29 Michael Abitbol Barge tripente
WO2010022450A1 (en) 2008-08-29 2010-03-04 Hawthorne Frederick William Ge Beach lifesaving system and method of deployment
AU2010100100A4 (en) * 2010-02-04 2010-03-04 Curren, Andrew Mr Rip Buoy
EP3058872A1 (en) * 2010-09-13 2016-08-24 Incube Labs, LLC Self-propelled buoy for monitoring underwater objects
BR112014008587A2 (pt) * 2011-10-14 2017-06-13 Rip Buoy Holdings Ltd flutuador de segurança para uso em uma área de corrente de redemoinho; e método de assegurar uma área de corrente de redemoinh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07U (ko) * 2015-01-26 2016-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KR101871103B1 (ko) * 2017-02-02 2018-06-26 주식회사 리영에스엔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20200110718A (ko) * 2019-03-04 2020-09-25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구조를 위한 무인 감시 및 구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8587A2 (pt) 2017-06-13
CL2014000862A1 (es) 2014-08-01
CN104024101A (zh) 2014-09-03
AU2012323773A1 (en) 2014-04-10
EP2766257A1 (en) 2014-08-20
CA2849315A1 (en) 2013-04-18
US20140273676A1 (en) 2014-09-18
MX2014004298A (es) 2015-06-02
JP2014533215A (ja) 2014-12-11
EP2766257A4 (en) 2015-12-02
US9180937B2 (en) 2015-11-10
WO2013053012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937B2 (en) Safety buoy
KR101482486B1 (ko) 원격 제어되는 동력 구조 부표
AU2014100760A4 (en) Safety buoy
US20110207377A1 (en) Beach lifesaving system and method of deployment
US4000533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US3905060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CN1115282C (zh) 一种水面救助机器人
JP2008201287A (ja) 空中に浮くバルーンと受発信機を備えた位置情報システム
KR200474600Y1 (ko)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멀티 해상 망루
Van Buurt Implementation of an ongoing FAD programme in Curacao (Netherlands Antilles) during the period 1993-2000
RU142232U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буй
AU2009101020A4 (en) Sea Tiger
RU182649U1 (ru) Навигационный буй
GRANT THIS PUBLICATION IS OUT OF DATE. For most current information: http://extension. oregonstate. edu/catalog
Eardley et al. Boating in Oregon coastal waters
Carmichael Boats and sailing conditions in Umanak Fjord and the Vaigat
Waters Boating in Oregon Coastal Waters
House Emergencies
Waters BOATING
AU2011100217A4 (en) A collapsible enclosure adapted for providing a protected swimming area in use
Jollands et al. Safe Skipper: A practical guide to managing risk at sea
Coles The Loss of Morning Cloud
CN100497079C (zh) 防撞单船标
Nikas Where the Street Meets the Sea: A Nautical Glossary for Maritime Lawyers
JP2000103386A (ja) ダイビングポイント用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