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910A -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910A
KR20140074910A KR1020147008000A KR20147008000A KR20140074910A KR 20140074910 A KR20140074910 A KR 20140074910A KR 1020147008000 A KR1020147008000 A KR 1020147008000A KR 20147008000 A KR20147008000 A KR 20147008000A KR 20140074910 A KR20140074910 A KR 2014007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lumen
shaft
hub
for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831B1 (ko
Inventor
데니즈 티멜리
닐 고다라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39Spine, e.g. intervertebral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61B2018/00821Temperature measured by a thermocou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1Controlled or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병변(lesion) 형성 장치는,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의 한 단부에서 장착 구조를 갖는 허브와, 허브에 장착되고, 세로축을 갖는 관통하는 루멘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통로와 연통하여 허브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와, 허브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는 세로축을 갖고, 적어도 상기 허브 근처에서 도전성 부재의 세로축이 상기 루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도전성 부재가 통로를 통해 루멘 내로 연장되도록 허브의 장착 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에 부착되어,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샤프트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ELECTROSURGICAL DEVICE WITH OFFSET CONDUCTIVE ELEMENT}
본 발명은 환자의 몸에 에너지, 특히 무선 주파수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성 요통은 전세계 그리고 특히 미국 전체에 걸쳐 우려할만한 원인이며, 전 미국인의 80%에 자신의 일생에 있어서 소정의 시점에서 영향을 미친다. 하부 요통은 척추뼈 자체, 추간판 디스크 및 척추의 후관절의 상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많은 원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요통의 정확한 원인이 여전히 논쟁거리이지만, 이러한 구조 내에 존재하는 신경이 이러한 통증 신호의 느낌 및 전달에 기여하는 것이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요통 치료에 있어서의 최근의 발전의 일부는, 통증 느낌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신경을 치료하는데 촛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고주파수 전류를 전달하는 최소 침습 기술은 많은 환자에 있어서의 국부 통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고주파수 전류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몸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통해 생성기로부터 전달된다. 전극의 팁에서의 고주파수 전류에 대한 저항은 인접한 조직의 가열을 발생시키며, 온도가 충분히 증가할 때, 조직은 굳어진다. 무수 신경(unmyelinated nerve) 구조를 굳게 하는데 충분한 온도는 병변(lesion)이 형성되고 통증 신호가 차단되는 45C이다. 이 절차는 조직 신경 제거(tissue denervation)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상당한 통증 완화를 가져다 준다. 무선 주파수(RF(radio frrequency)) 신경 제거는 RF 범위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조직 신경 제거를 말한다. 이 기술은 요통,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 요통의 치료에서 특히 유익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다른 것들 중에서도, 2004년 5월 18일 발행된 미국 등록 특허 US 6,736,835 B2, 1996년 11월 5일 발행된 미국 등록 특허 US 5,571,147 및 2001년 6월 28일 발행된 PCT 특허 출원 WO 01/45579 A1은 척추뼈, 추간판 디스크 및 척추의 후관절을 포함하는 등뼈의 다양한 조직의 RF 신경 제거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절차는 인체 내로의 전기 외과 수술 장치의 도입, 치료되는 신경 조직에 근접하게 장치를 위치 설정하는 것 및 조직에서 신경을 제거하기 위하여 RF 전기 에너지 인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공의(hollow) 샤프트를 갖는 캐뉼라(cannula)와 제거 가능한 탐침(stylet)을 포함하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는 환자의 몸 내로 삽입되어 원하는 치료 부위에 위치 설정된다, 캐뉼라는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의 노출된 원위(distal) 팁과 함께, 신장된 절연 영역을 포함한다. 캐뉼라의 원위 팁이 바른 위치에 있으면, 탐침은 당겨지고, 고주파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프로부의 원위 단부는, 프로브의 원위 단부가 캐뉼라의 노출된 원위 팁과 적어도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삽입된다. 프로브의 근위(proximal) 단부는 고주파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신호 생성기에 연결된다. 프로브의 원위 단부가 바른 위치에 있으면, 프로브의 원위 단부에 근접한 조직의 신경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너지가 생성기에 의해 프로브를 통해 공급된다.
프로브 및 캐뉼라가 그 길이를 따라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지 않으면, RF 에너지 소비는 프로브를 따라 바람직하지 않게 불균일할 수 있다. 고온 스팟(hot spot)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너지는 원하는 바에 따라 팁 영역에 완전히 또는 균일하게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캐뉼라 내의 프로브 부분이 캐뉼라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다면, 주기적인 접촉의 부족이 더 두드러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조직의 RF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에서의 개선에 대한 계속된 요구가 있으며, 개선되고 그리고/또는 종래 기술의 한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극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갖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소정의 양태에 따르면, 병변 형성 장치는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의 한 단부에서 장착 구조를 갖는 허브와, 허브에 부착되고, 세로축을 갖는 관통하는 루멘(lumen)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통로와 연통하여 허브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와, 허브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는 세로축을 갖고, 적어도 허브 근처에서 세로축이 루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도전성 부재가 통로를 통해 루멘 내로 연장되도록 허브의 장착 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에 부착되어,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샤프트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다양한 옵션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및/또는 도전성 부재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가요성(flexible)일 수 있다. 도전성 부재는 루멘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할 수 있고, 샤프트는 캐뉼라의 일부일 수 있거나,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루멘을 형성하는 샤프트는 게이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전성 부재는 루멘의 게이지 크기보다 더 작은 게이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부재는 무선 주파수 생성기에 연결될 수 있고, 하이포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가 수술 부위로 삽입될 때, 루멘을 실질적으로 채우기 위하여 루멘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폐색구(obturator)가 제공될 수 있다. 폐색구는 샤프트의 내부 표면의 직경보다 더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전성 부재는 완전히 삽입될 때 루멘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소정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병변 형성 장치가 개시되며, 이는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의 한 단부에서 장착 구조를 갖는 허브 내로 삽입 가능하다. 샤프트는 허브에 부착되고, 세로축을 갖는 관통하는 루멘을 형성하며, 통로와 연통하여 허브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다. 샤프트는 허브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본 장치 자체는 세로축을 갖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는, 적어도 허브 근처에서 세로축이 루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도전성 부재가 통로를 통해 루멘 내로 연장되도록 허브의 장착 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에 부착되어,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샤프트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옵션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이어지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된다:
도 1은 캐뉼라 및 탐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함께 조립된 도 1의 캐뉼라 및 탐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RF 프로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RF 프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오프셋 도전성 부재를 도시하는 도 3의 RF 프로브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서와 같은 캐뉼라에 연결된 도 3에서와 같은 프로브 조립체를 갖는, 도 5에서와 같은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상세히 참조하면, 자세한 사항은 예로서 제공되고 그리고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목적으로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장치의 구조적인 상세를 더 상세히 나타내려고 하지 않으며, 설명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게 되도록 하는 도면을 참조한다면, 본 개시 내용의 여러 형태는 실제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 내용은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 및 배열의 상세에 대한 적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여 한다. 본 개시 내용은 다른 실시예가 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널리 공지된 구조 및/또는 과정은 본 개시 내용을 흐리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상세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채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근위(proximal)"는 일반적으로 (장치가 사용 중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이웃하거나 더 가까운 장치 또는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고,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장치가 사용 중에 있을 때)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관련된 탐침(120)을 갖는 캐뉼라(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탐침(120)이 삽입된 캐뉼라(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선택적으로, 캐뉼라(100)는 전기 전도성의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캐뉼라(100)의 샤프트(102)는 전기 절연 재료(10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다. 전기 절연 재료(104)의 적합한 재료는, 파릴렌(parylene) 및 PTF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샤프트(102)의 원위 팁 부분(106)은 계속 노출되고 전기 전도성이다. 원위 팁 부분(106)의 전도성 때문에, 원위 팁 부분은 능동 전극(active electrode) 또는 능동 팁(active tip)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원위 팁 부분(106)은 환자의 몸 내로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는 뾰족하다. 이 대신에, 원위 팁 부분(106)은 무디거나, 둥글거나, 곧거나, 비스듬하거나, 단단하게 휘어질 수 있고,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 도트(dot), 밴드(band) 및 마커 등(미도시)이, X-선 형광 투시 촬상 하에서, 샤프트(102)의 위치를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샤프트(102)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샤프트(102)는 캐뉼라(100)의 근위 영역(112)으로부터 원위 영역(114)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루멘(lumen)(1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원위 팁 부분(106)은 샤프트(102)의 루멘(110)과 연통하는 어퍼처(116)를 형성한다. 루멘(110)과 어퍼처(116)의 조합은 환자의 몸 내로의 유체 또는 다른 재료의 도입을 허용한다.
캐뉼라(100)는 선택적으로 근위 영역(112)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허브(118)를 포함한다. 허브(118)는 선택적으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유사한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인서트 몰딩, 접합 및 다른 형태의 접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내부 영역(119)에서 샤프트(102)에 부착된다. 허브가 단일 피스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18)는 2개 피스로 있다.
본 개시 내용과 연계하여, 허브(hub)라는 용어는 캐뉼라 및 프로브와 같은 개별 컴포넌트 사이에서 확실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피팅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허브(118)는 선택적으로 프로브, 탐침, 도전성 부재 또는 개구(108)를 통해 샤프트(102)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결합하고 맞물리는 구조를 가진다. 개구(108)는 허브(118)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그 일부는 샤프트(102)에 의해 채워진다. 샤프트(102)의 루멘(110)은 선택적으로 진단 시약 또는 치료제뿐만 아니라 탐침, 프로브, 도전성 부재 또는 다른 장치를 동시에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단 시약 또는 치료제는, 대조(contrast) 또는 다른 화학 약제, 조제약 및 생물학적 작용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멘(110)은 진단 시약 또는 치료제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지 않으면서 탐침, 프로브, 도전성 부재 또는 다른 장치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브, 탐침, 도전성 부재 또는 다른 장치는 루멘(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원한다면, 진단 시약 또는 치료제의 주입을 허용한다. 캐뉼라(110)가 단일 루멘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2 이상의 루멘을 갖는 다른 실시예도 고려된다. 유사하게, 본 실시예가 단일 어퍼처(aperture)를 갖는 캐뉼라를 도시하지만, 2 이상의 어퍼처가 캐뉼라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어퍼처는 캐뉼라(100)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탐침(120)은 샤프트(102)의 루멘(1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탐침(120)은 치료 영역으로의 진입을 위하여 환자의 피부 및 조직을 뚫는데 도움을 주도록 맞추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캐뉼라를 환자의 몸 내로 삽입하기 전에 탐침(폐색구(obturator)로서 기능하는)을 캐뉼라 내로 삽입하는 것은 캐뉼라 샤프트에서 임의의 어퍼처를 폐색함으로써 캐뉼라의 루멘 내로 어떠한 조직도 강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탐침(120)은, 선택적으로, 캐뉼라(100)의 허브와 연동하여 결합되어 맞물리도록 맞추어진 캡(122)과, 캡으로부터 연장되는 탐침 샤프트(12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탐침 샤프트(124)는, 캐뉼라(100)와 탐침(120)이 환자의 몸 내로 유입될 때 조직에 대한 용이한 관통을 허용하도록 투관침(trocar), 원추(conical), 베벨(bevel)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뾰족한 팁(126)을 가진다. 팁(126) 및 팁 부분(106)의 형상은 상보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불투과성 요소(미도시)가 선택적으로 형광 투시법 하에서 샤프트의 위치를 구별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탐침 샤프트(124)에서의 어딘가에 위치될 수 있다.
RF 프로브 조립체(130)가 도 3 및 4에 도시된다. 조립체(130)는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채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전기 외과 수술 장치 중 단지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개시된 장치 또는 RF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 프로브 조립체(130)는 허브(118)의 장착 구조(개구(108)의 근위 단부)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134)에 부착된 도전성 부재(132)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132)는 일반적인 바와 같이 하이포 튜브(hypotube)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배선 연결부, 열전대(thermocouple), 내부 냉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는, Kimberly-Clark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RF 니티놀(Nitinol)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는 역시 Kimberly-Clark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일회용 캐뉼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프로브 및 캐뉼라는 상이한 게이지(gauge) 및 길이로 입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캐뉼라는 16-22의 게이지를 가질 수 있고, 직선이거나 만곡될 수 있으며, 도전성 부재는 선택된 캐뉼라 게이지 내에 피팅되는 크기를 가져야만 한다. 이 대신에, 캐뉼라 게이지는 의도되는 용도, 도전성 부재 게이지, 캐뉼라와 함께 사용될 다른 요소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장착 구조(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조립체(130)의 핸들 부분(136)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분(136)이 허브(118) 내로 삽입될 때, 도전성 부재(142)는 루멘(110) 내로 이를 통해 연장된다. 루멘의 내부 표면(140)의 적어도 일부와 같이, 루멘(110) 내로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132)의 외부 표면(128)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이다.
샤프트(106)에 의해 형성된 루멘(110)은 세로축(142)을 가지며, 도전성 부재(132)는 세로축(144)을 가진다. 이러한 축들(142, 144)은, 핸들(136)이 허브(118)에 부착될 때 소정의 양(146)만큼 서로 세로로 이격되도록, 맞물리는 구조(108, 134)에 관하여 정렬된다. 원한다면, 그루브 및 리지(ridge) 등과 같은 상호 작용 요소(미도시)가, 부착에 따른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배향에 영향을 주도록 맞물림 구조(108, 134)에 제공될 수 있다. 샤프트(102) 및/또는 도전성 부재(132)는 소정의 구부림(bending)이 삽입 및 사용 동안에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가요성(flexible)(단단한 것에 반대)일 수 있다. 이러한 구부림은 요소들 사이의 접촉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멘 내부 표면(140)과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138) 사이의 접촉은 오프셋(146) 덕분에 향상된다. 따라서, 루멘(10)의 근위 단부(112) 및 원위 단부(110)와, 도전성 부재(13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오프셋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더욱 연속적이다. 에너지 흐름 및 소비는 정상화되고, 상대적으로 더 고온이고 더 저온인 스팟이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오프셋 축을 획득하는 한 방법은, 중심 축에 대하여, 오프셋을 가지면서 핸들 맞물림 구조(134) 및 도전성 부재(132)를 형성하고, 오프셋 없이 캐뉼라 맞물림 구조(118) 및 루멘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셋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아니면,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것에 관계 없이, 양 측이 동일한 방법으로 오프셋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이러한 부품 배치를 포함하며, 따라서 도전성 부재가 루멘에 삽입될 때, 중심축 오프셋이 있다. 가능하고 바람직한 오프셋의 양은 물론 도전성 부재와 캐뉼라 내의 루멘의 게이지(그리고 그 차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요소가 루멘 내로 연장되는지 여부, 루멘을 형성하는 샤프트가 만곡되는지 또는 직선인지 여부 등에 의존한다.
오프셋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전성 부재 게이지는 캐뉼라 내에서 샤프트에 의해 형성되는 루멘의 게이지보다 더 작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가 샤프트 내의 루멘보다 1 게이지 크기만큼 더 작다면, 소정량의 오프셋이 가능할 것이다. 2, 3, 4, 5, 6 등의 게이지 크기만큼 더 작도록 선택되면, 더 큰 오프셋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맞물림 구조(134, 108)는 도전성 부재와 캐뉼라 사이에서 원하는 접촉을 획득하기 위하여 게이지 크기 차이를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게이지 크기에서의 차이는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서 요구되지는 않는다.
프로브 조립체(130)의 다른 요소는 핸들(136) 내부에 있는 도전성 부재(132)에 연결되는 프로브 케이블(148)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48)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에너지(RF 또는 기타)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 배선, 냉각 요소, 열전대 연결부 등을 운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도체 케이블에 RF 에너지 및 열전대를 위한 부착부가 제공된다. 메인 핸들 부분(150)은 휨 완화부(152), 백너트(backnut)(154), 콜릿(collet) 커넥터(156), 전기 커넥터부(158) 및 핸들 베이스(160)를 포함한다. 케이블(148)로부터의 리드(lead)는 핸들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커넥터부(158) 상의 원위 요소(162)에 연결된다. 근위 요소(164)는 핸들 부분(150)을 Kimberly-Clark Inc로부터 입수 가능하고 이전에 베일리스 통증 관리 생성기(Baylis Pain Management Generator)로서 알려진 것과 같은 RF 생성기와 같은 에너지원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에서의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러나, 프로브 조립체 컴포넌트의 전술한 설명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RF 에너지 또는 다른 에너지인지 관계없이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많은 종류의 프로브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로부터 어떠한 한정도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명확함을 위하여 별개의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된 본 개시 내용의 소정의 특징이 단일의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하여 단일의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된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특징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 컴비네이션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 내용이 특정 실시예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체,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넓은 보호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대체,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병변(lesion) 형성 장치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한 단부에서 장착 구조를 갖는 허브;
    상기 허브에 장착되고, 세로축을 갖는 관통하는 루멘(lumen)을 형성하며, 상기 통로와 연통하여 상기 허브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와, 상기 허브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샤프트; 및
    세로축을 갖는 도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적어도 상기 허브 근처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의 세로축이 상기 루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루멘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허브의 장착 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에 부착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상기 샤프트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
    병변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도전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가요성인,
    병변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루멘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병변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을 형성하는 상기 샤프트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생성기에 연결 가능한,
    병변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하이포 튜브(hypotube)를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수술 부위로 삽입될 때, 상기 루멘을 실질적으로 채우기 위하여 상기 루멘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폐색구(obturator)를 더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는 상기 샤프트의 내부 표면의 직경보다 더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
    병변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루멘으로부터 연장되는,
    병변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을 형성하는 상기 샤프트는 게이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루멘의 게이지 크기보다 더 작은 게이지 크기를 갖는,
    병변 형성 장치.
  11.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한 단부에서 장착 구조를 갖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장착되고, 세로축을 갖는 관통하는 루멘을 형성하며, 상기 통로와 연통하여 상기 허브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와, 상기 허브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샤프트
    에 삽입 가능한 병변 형성 장치에 있어서,
    세로축을 갖는 도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적어도 상기 허브 근처에서 상기 도전성 부재의 세로축이 상기 루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루멘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허브의 장착 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장착 구조에 부착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의 외부 표면과 상기 샤프트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
    병변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도전성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가요성인,
    병변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루멘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병변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을 형성하는 상기 샤프트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무선 주파수 생성기에 연결 가능한,
    병변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하이포 튜브를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수술 부위로 삽입될 때, 상기 루멘을 실질적으로 채우기 위하여 상기 루멘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폐색구를 더 포함하는,
    병변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구는 상기 샤프트의 내부 표면의 직경보다 더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
    병변 형성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루멘으로부터 연장되는,
    병변 형성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루멘을 형성하는 상기 샤프트는 게이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루멘의 게이지 크기보다 더 작은 게이지 크기를 갖는,
    병변 형성 장치.
KR1020147008000A 2011-09-30 2012-08-27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KR102020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49,908 2011-09-30
US13/249,908 US8939969B2 (en) 2011-09-30 2011-09-30 Electrosurgical device with offset conductive element
PCT/CA2012/050591 WO2013044378A1 (en) 2011-09-30 2012-08-27 Electrosurgical device with offset conductive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910A true KR20140074910A (ko) 2014-06-18
KR102020831B1 KR102020831B1 (ko) 2019-09-11

Family

ID=4799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000A KR102020831B1 (ko) 2011-09-30 2012-08-27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939969B2 (ko)
EP (1) EP2760358B1 (ko)
JP (1) JP5974098B2 (ko)
KR (1) KR102020831B1 (ko)
CN (1) CN103826562B (ko)
AU (1) AU2012315409B2 (ko)
BR (1) BR112014006922A2 (ko)
CA (1) CA2849006C (ko)
IN (1) IN2014CN02288A (ko)
MX (1) MX344777B (ko)
RU (1) RU2612863C2 (ko)
WO (1) WO2013044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1067B2 (en) 2002-09-30 2013-01-29 Relievant Medsystems, Inc. Methods of therapeutically heating a vertebral body to treat back pain
US7655004B2 (en) 2007-02-15 2010-02-0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poration abl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888792B2 (en) 2008-07-14 2014-11-18 Ethicon Endo-Surgery, Inc. Tissue apposition clip appl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10028753B2 (en) 2008-09-26 2018-07-24 Relievant Medsystems, Inc. Spine treatment kits
US8157834B2 (en) 2008-11-25 2012-04-17 Ethicon Endo-Surgery, Inc. Rotational coupling device for surgical instrument with flexible actuators
US8361066B2 (en) 2009-01-12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20110098704A1 (en) 2009-10-28 2011-04-28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9028483B2 (en) 2009-12-18 2015-05-1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ectrode
US9233241B2 (en) 2011-02-28 2016-01-1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9254169B2 (en) 2011-02-28 2016-02-0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9049987B2 (en) 2011-03-17 2015-06-09 Ethicon Endo-Surgery, Inc. Hand held surgical device for manipulating an internal magnet assembly within a patient
AU2012362524B2 (en) 2011-12-30 2018-12-13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ack pain
US9427255B2 (en) 2012-05-14 2016-08-30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introducing a steerable camera assembly into a patient
US20130324910A1 (en) 2012-05-31 2013-12-05 Covidien Lp Ablation device with drug delivery component and biopsy tissue-sampling component
US9078662B2 (en) 2012-07-03 2015-07-14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cap electro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545290B2 (en) 2012-07-30 2017-01-17 Ethicon Endo-Surgery, Inc. Needle probe guide
US10314649B2 (en) 2012-08-02 2019-06-11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expandable electrode and method of intraluminal delivery of pulsed power
US9572623B2 (en) * 2012-08-02 2017-02-21 Ethicon Endo-Surgery, Inc. Reusable electrode and disposable sheath
US9277957B2 (en) 2012-08-15 2016-03-08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surgical devices and methods
US10588691B2 (en) 2012-09-12 2020-03-17 Relievant Medsystems, Inc. Radiofrequency ablation of tissue within a vertebral body
US9775627B2 (en) 2012-11-05 2017-10-03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rved paths through bone and modulating nerves within the bone
US10098527B2 (en) 2013-02-27 2018-10-16 Ethidcon Endo-Surgery, Inc. System for performing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
US9724151B2 (en) 2013-08-08 2017-08-08 Relievant Medsystems, Inc. Modulating nerves within bone using bone fasteners
US9814844B2 (en) 2013-08-27 2017-11-14 Covidien Lp Drug-delivery cannula assembly
EP3054305A1 (en) * 2014-09-30 2016-08-10 RF Kinetics Inc. Scanning cannula
US10675085B2 (en) 2015-11-23 2020-06-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ed denervation procedures
CN105344019B (zh) * 2015-12-18 2017-08-29 青岛市第三人民医院 一种微波探头
WO2020132511A1 (en) 2018-12-20 2020-06-25 Medtronic, Inc. Electrosurgical apparatus
WO2021050767A1 (en) 2019-09-12 2021-03-18 Relievant Med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modulation
CN111493833A (zh) * 2020-04-24 2020-08-07 西安市红会医院 一种脊柱外科手术用脊椎探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6380A (en) * 1998-01-09 2000-11-14 Radionics, Inc. Bent tip electrical surgical prob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44568A1 (ru) * 1980-07-23 1982-07-23 Моск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уберкулеза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коагул ции сосудов
US5421819A (en) * 1992-08-12 1995-06-06 Vidamed, Inc. Medical probe device
US5571147A (en) 1993-11-02 1996-11-05 Sluijter; Menno E. Thermal denervation of an intervertebral disc for relief of back pain
US6607529B1 (en) 1995-06-19 2003-08-19 Medtronic Vidamed, Inc. Electrosurgical device
JP2003522566A (ja) * 1999-12-21 2003-07-29 シャーウッド サーヴィシス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椎間板の熱治療のための装置
EP1322246B1 (en) * 2000-09-24 2006-02-22 Medtronic, Inc. Surgical micro-resecting instrument with electrocautery feature
US7306596B2 (en) 2004-05-26 2007-12-11 Baylis Medical Company Inc.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US20040176759A1 (en) 2003-03-07 2004-09-09 Subashini Krishnamurthy Radiopaque electrical needle
US9216053B2 (en) * 2002-03-05 2015-12-22 Avent, Inc. Elongate member providing a variation in radiopacity
US6736835B2 (en) 2002-03-21 2004-05-18 Depuy Acromed, Inc. Early intervention spinal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for use therein
US7572257B2 (en) * 2002-06-14 2009-08-11 Ncontact Surgical, Inc. Vacuum coagulation and dissection probes
US20100185082A1 (en) 2003-03-07 2010-07-22 Baylis Medical Company In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surgery
US8211104B2 (en) 2005-01-06 2012-07-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access bipolar ablation probe
US8177784B2 (en) 2006-09-27 2012-05-15 Electromedical Associates, Llc Electrosurgical device having floating potential electrode and adapted for use with a resectoscope
JP5054116B2 (ja) * 2006-11-09 2012-10-24 エヌコンタクト サージ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真空式凝固プローブ
US7962223B2 (en) 2007-11-16 2011-06-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blation probe for drug release in tissue ablation procedures
US8353902B2 (en) * 2008-01-31 2013-01-15 Vivant Medical, Inc. Articulating ablation device and method
WO2011041322A1 (en) 2009-09-30 2011-04-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probe with translatable co-access cannul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6380A (en) * 1998-01-09 2000-11-14 Radionics, Inc. Bent tip electrical surgical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31B1 (ko) 2019-09-11
WO2013044378A1 (en) 2013-04-04
CN103826562B (zh) 2016-10-12
US20130085487A1 (en) 2013-04-04
AU2012315409B2 (en) 2016-08-11
CA2849006A1 (en) 2013-04-04
RU2014115689A (ru) 2015-11-10
JP5974098B2 (ja) 2016-08-23
EP2760358A1 (en) 2014-08-06
BR112014006922A2 (pt) 2017-04-04
EP2760358B1 (en) 2019-05-15
US8939969B2 (en) 2015-01-27
CN103826562A (zh) 2014-05-28
CA2849006C (en) 2019-11-26
MX344777B (es) 2017-01-06
MX2014002401A (es) 2014-06-05
AU2012315409A1 (en) 2014-04-17
IN2014CN02288A (ko) 2015-06-19
EP2760358A4 (en) 2015-05-06
JP2014531932A (ja) 2014-12-04
RU2612863C2 (ru)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831B1 (ko) 오프셋 도전성 요소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US10966782B2 (en) Needles and systems for radiofrequency neurotomy
JP6982704B2 (ja) 骨を通して湾曲経路を作り、骨内で神経を調節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593778B2 (en)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mproved visibility
EP1600113B1 (en)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US8187268B2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or
US20050277918A1 (en) Electrosurgical cannula
US9949789B2 (en) Methods of treating the sacroiliac region of a patient's body
US20070156136A1 (en) Methods of treating the sacroiliac region of a patient's body
US201001850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surgery
JP7049326B2 (ja) 冷却型rfプローブ
KR20130137194A (ko) 센서를 갖는 전기 외과 수술 장치
JP6923665B2 (ja) 基準マーキングによる高周波アブレーション処置の位置精度を改善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291496B2 (en) Methods of treating the sacroiliac region of a patient's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