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663A -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 Google Patents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663A
KR20140074663A KR1020120142881A KR20120142881A KR20140074663A KR 20140074663 A KR20140074663 A KR 20140074663A KR 1020120142881 A KR1020120142881 A KR 1020120142881A KR 20120142881 A KR20120142881 A KR 20120142881A KR 20140074663 A KR20140074663 A KR 2014007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essing
pressing means
moved
roll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663A/ko
Publication of KR2014007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제1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합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attaching apparatus and atta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제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용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널리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중,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는 두 기판과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며, 액정층의 액정분자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빛을 투과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각 화소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에 전압을 각각 인가함으로써,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의 액정분자가 재배열됨으로써, 액정층의 투과율이 변화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값을 갖도록 각 화소의 액정층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므로 별도로 빛을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light source)과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확산 및 집광하여 액정패널로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그 테두리가 서포트 메인(support main)에 의해 둘러싸여 전면의 탑 케이스(top case) 및 배면의 버텀 케이스(bottom case)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구성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 노트북 및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 그리고 텔레비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액정표시장치를 박형화 및 경량화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로 서포트 메인과 탑 케이스 및 버텀 케이스 등의 부품을 일부 생략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합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합착 대상물을 정렬하여 안착시킨 후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합착기가 사용된다.
합착기는 압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프레스(press) 방식과 롤러(roller) 방식으로 나뉜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 방식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스 방식 합착기(20)는 완충패드(22)와 압력 전달 유닛(23), 프레스 바(press bar)(24), 모터(26) 및 지지대(28)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스 방식 합착기(20)에서는, 모터(26)에 의해 프레스 바(24)가 구동되어 합착 대상물(10)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완충패드(22)가 합착 대상물(10)과 접촉하며, 완충패드(22)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합착 대상물(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패드(22)와 프레스 바(24) 사이의 압력 전달 유닛(23)은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한다.
그런데, 프레스 방식 합착기(20)의 경우, 프레스 바(24)가 평면으로 힘을 전달하므로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바(24)와 합착 대상물(10) 간의 평행도가 정확해야 하나, 평행도가 달라질 수 있어 접착 테이프(12)에 전달되는 압력 분포가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가압력의 크기는 모터(26)의 토크(torque)와 프레스 바(24)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는데, 합착 대상물(10)의 크기에 따라 프레스 바(24)의 크기 및 모터(26) 용량 등의 변동되어야 하므로, 가압력의 조절 범위가 제한적이며 다양한 모델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의 구성이 어렵다.
도 2는 종래의 롤러 방식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롤러 방식 합착기에서는, 롤러(30)를 합착 대상물(10) 상에 배치하고, 롤러(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시키면서 합착 대상물(10)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롤러 방식 합착기에서는, 롤러(30)의 가압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가압력의 크기가 롤러(30)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므로, 가압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롤러(30)의 교체가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착 대상물의 평행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력의 조절 범위가 용이한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한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제1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합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의 각각은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 하부의 실리더 로드부와, 상기 실린더 로드부 하부의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 하부에 연결된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본 발명의 합착기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3 및 제4 롤러부를 포함하는 제2 가압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착기는, 상기 제1 및 제2 가압수단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있어서, 합착 대상물의 가압 시작점에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1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2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3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 각각은 상기 합착 대상물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에어 실린더로부터 공압을 전달 받는다.
본 발명의 합착방법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4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합착기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본 발명의 합착방법은, 상기 제2 가압수단의 제3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4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합착방법은, 상기 제1 및 가압수단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착기는 갠트리 형태의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가압수단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합착 대상물의 평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면적에 대해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의 공압을 변경하여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모델을 합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 방식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롤러 방식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 과정에서 가압수단과 합착 대상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롤러에 의해 합착 대상물에 가해진 압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합착 대상물의 굴곡에 따른 롤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착기(100)는 이동수단(110)과, 지지수단(120) 및 가압수단(130)을 포함한다.
이동수단(11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레일(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110)은 레일(112, 114)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수단(110)의 제1 및 제2 레일(112, 114) 사이에는 처리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을 안착시키기 위한 스테이지(116)가 위치한다.
지지수단(120)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갠트리(gantry) 형태로 이동수단(110) 상에 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레일(112, 114)과 연결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수단(120)은 가압수단(13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가압수단(130)은 지지수단(120)에 연결되며, 지지판(132)과 제1 및 제2 롤러부(140, 1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롤러부(140, 150)는 지지판(132) 하부에 제2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된다. 제1 롤러부(140)는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롤러부(150)는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140, 150) 각각은 에어 실린더(142, 152)와 실린더 로드부(144, 154), 고정부(146, 156) 및 롤러(148, 158)를 포함한다.
에어 실린더(142, 152)는 지지판(132)에 고정되고 에어 호스(air hose)(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 받는다.
실린더 로드부(144, 154)는 에어 실리더(142, 152)와 고정부(146, 156) 사이에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142, 152)로부터의 공압, 즉, 에어 압력(air pressure)을 고정부(146, 156)에 연결된 롤러(148, 158)에 전달한다.
제1 및 제2 롤러부(140, 150)의 롤러(148, 158)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1 롤러부(140)의 롤러(148)는 제1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제2 롤러부(150)의 롤러(158)는 제2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여기서, 롤러(148, 158)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70의 쇼어 A 경도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작은 다이아몬드를 끝 부분에 고정시킨 낙하 물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반발하여 올라온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쇼어 A, B, C, D0, D, 0)로 나누어지고, 경도 스케일은 0에서 100까지 이며 숫자가 커질수록 경도가 크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 과정에서 가압수단과 합착 대상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제1 롤러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착 대상물(180)은 제1 및 제2기재(182, 184)와 제1 및 제2기재(182, 184)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테이프(186)를 포함하며, 가압수단(130)이 합착 대상물(180) 상에 놓인다. 가압수단(130)은 합착 대상물(18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을 전달함으로써, 합착 대상물(180)을 합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합착기에서는, 가압력의 크기가 에어 실린더(142)의 에어 압력과 실린더 로드부(144)의 압력 전달율 및 롤러(148)의 재질에 따른 힘 전달율의 곱으로 결정된다.
도 6은 롤러에 의해 합착 대상물에 가해진 압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48)와 합착 대상물(180)과의 접촉영역(RA)은 선접촉이 되며, 이러한 선접촉이 중첩되어 면을 이루어 합착 대상물(180)에 압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에어 압력으로 변경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합착 대상물의 굴곡에 따른 롤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착 대상물(180)이 수평하지 않고 굴곡이 있을지라도, 롤러(148)가 합착 대상물(180)의 굴곡을 따라 그 높이를 가변하면서 이동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합착 대상물(180)의 평행도에 상관없이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110)에 의해 제1방향을 따라 지지수단(120)을 이동시키고, 지지수단(120)에 의해 제2방향을 따라 가압수단(130)을 이동시켜, 스테이지(116) 위에 놓인 합착 대상물(180)의 가압 시작점 상에 가압수단(130)의 제1 롤러부(140)를 배치한다.
이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120)을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압수단(130)의 제1 롤러부(140)를 이용하여 합착 대상물(180)의 제1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한다.
다음,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수단(130)을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압수단(130)의 제2 롤러부(150)를 이용하여 합착 대상물(180)의 제2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지지수단(120)과 가압수단(130)의 이동에 의해 가압수단(130)의 제2 롤러부(150)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120)을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압수단(130)의 제1 롤러부(140)를 이용하여 합착 대상물(180)의 제3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지지수단(120)과 가압수단(130)의 이동에 의해 가압수단(130)의 제1 롤러부(140)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수단(130)을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가압수단(130)의 제2 롤러부(150)를 이용하여 합착 대상물(180)의 제4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지지수단(120)과 가압수단(130)의 이동에 의해 가압수단(130)의 제2 롤러부(150)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합착 대상물(180)의 평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합착 대상물(180)의 제1 내지 제4가장자리에 대해 균일한 압력을 가하면서 합착 대상물(180)을 합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합착기에서는 갠트리 형태의 지지수단(120)을 이용하여 가압수단(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착기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 도 3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착기(100)는 가압수단(130)의 전면에 부착된 감지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수단(170)은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수단(170)은 가압수단(130)과 함께 이동수단(110) 및 지지수단(120)에 의해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감지수단(170)을 통해 합착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의 합착 위치를 파악하고, 가압수단(130)을 합착 위치로 이동시켜 합착 대상물에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감지수단(170)을 통해 가압수단(130)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착기(200)는 이동수단(210)과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24), 그리고 제1 및 제2 가압수단(232, 234)을 포함한다.
이동수단(21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레일(212,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210)의 제1 및 제2 레일(212, 214) 사이에는 처리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을 안착시키기 위한 스테이지(216)가 위치한다.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24)의 각각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갠트리(gantry) 형태로 이동수단(210) 상에 배치되어, 그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레일(212, 214)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24)의 각각은 이동수단(210)에 의해 제1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24)은 각각 제1 및 제2 가압수단(232, 234)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압수단(232, 234)은 각각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24)에 연결되며, 각각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제1 및 제2 가압수단(232, 234)의 전면에는 각각 카메라와 같은 제1 및 제2 감지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수단(222, 234)과 이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가압수단(232, 234)을 이용하여 합착 대상물을 가압함으로써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00: 합착기 110: 이동수단
112: 제1 레일 114: 제2 레일
116: 스테이지 120: 지지수단
130: 가압수단 140: 제1 롤러부
150: 제2 롤러부

Claims (10)

  1.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제1 가압수단
    을 포함하는 합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의 각각은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 하부의 실리더 로드부와, 상기 실린더 로드부 하부의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 하부에 연결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3 및 제4 롤러부를 포함하는 제2 가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수단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6.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지지수단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있어서,
    합착 대상물의 가압 시작점에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1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2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1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3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 각각은 상기 합착 대상물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의 롤러는 에어 실린더로부터 공압을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수단의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4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기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수단의 제3 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제4가장자리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수단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합착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방법.
KR1020120142881A 2012-12-10 2012-12-10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KR20140074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81A KR20140074663A (ko) 2012-12-10 2012-12-10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81A KR20140074663A (ko) 2012-12-10 2012-12-10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63A true KR20140074663A (ko) 2014-06-18

Family

ID=5112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81A KR20140074663A (ko) 2012-12-10 2012-12-10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6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984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20160089936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라미네션 방법
KR2021002163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984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20160089936A (ko) * 2015-01-20 2016-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위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라미네션 방법
KR2021002163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57963U (zh) 显示装置及制造该装置的弯曲装置
KR101861629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2749730B (zh) 液晶显示装置
US92899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W20095155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0706978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 panel
US201801049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backing film to flexible substrate and roller
TW20071497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707476B (zh) 液晶显示装置的制作方法及液晶显示装置
KR101560058B1 (ko) 온도 제어형 적층 롤러를 구비한 적층 시스템
KR1014488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40074663A (ko) 합착기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WO2015021622A1 (zh) 玻璃基板支撑装置以及液晶面板加工工艺
KR102070184B1 (ko) 지그, 이를 포함하는 유연 패널의 신뢰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연 패널 벤딩 방법
GB246100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backlight luminance
KR20180025415A (ko) 개선된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US9835883B2 (en) Automatic bond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utomatic bonding method using the same
TW201501934A (zh) 薄膜黏著裝置
JP2008046265A (ja) 板状部材の貼り合わせ装置
KR101616269B1 (ko) 커브드 패널의 광학필름 부착장치
TW200502567A (en) Optical compensation sheet,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TW201035933A (en) Display module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KR102176870B1 (ko) 스크라이빙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723268B1 (ko)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의 곡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3007660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