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126A -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126A
KR20140074126A KR1020120142352A KR20120142352A KR20140074126A KR 20140074126 A KR20140074126 A KR 20140074126A KR 1020120142352 A KR1020120142352 A KR 1020120142352A KR 20120142352 A KR20120142352 A KR 20120142352A KR 20140074126 A KR20140074126 A KR 2014007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ursor
core
group
zn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송지영
구자정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126A/ko
Publication of KR2014007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09K11/562Chalcogenides
    • C09K11/565Chalcogenides with zinc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2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allium, indium or thall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gInS2 양자점에 10족 원소가 도핑된 형태의 코어 및 상기 코어 외부 표면에 ZnS이 쉘을 형성하고 있는 복합구조의 양자점 및 이를 제조하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조성물, 이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Quantum dot of AgInS₂ core doped group 10 metal- ZnS shell, Composition of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카드뮴(Cd)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폭 넓은 파장 흡수대를 갖는 새로운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Quantum Dot, QD)이란 3차원적으로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반도체성 나노크기 입자로서, 벌크(bulk) 상태에서 반도체성 물질이 가지고 있지 않는 우수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지더라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방출하는 빛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양자점은 차세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바이오 센서(bio sensor), 레이저, 태양전지 나노 소재 등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양자점을 형성하는데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제조방법은 비가수분해 합성법(nonhydrolytic synthesis)이다. 이에 의하면, 상온의 유기금속 화합물을 선구 물질 또는 전구체로 사용하여 고온의 용매에 빠르게 주입(rapid injection)함으로써, 열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핵을 생성(nuclraization)한 다음 온도를 가하여 이 핵을 성장시킴으로써 양자점을 제조해왔다.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하여 주로 합성되는 양자점은 카드뮴셀레늄(CdSe)이나 카드뮴텔루륨(CdTe) 등과 같이 카드뮴(Cd)을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녹색 산업을 추구하는 현재의 추세를 고려할 경우에,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환경오염 물질 중의 하나인 카드뮴(Cd)은 그 사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CdSe 양자점이나 CdTe 양자점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카드늄을 포함하지 않는 반도체 물질로서 양자점을 제조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는데, 인듐설파이드(InS2) 양자점은 그 중의 하나이다. 특히, 인듐설파이드(InS2)는 벌크 밴드갭(bulk band gap)이 2.1eV인 바, InS2 양자점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발광이 가능하므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소자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13족과 16족은 일반적으로 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인듐설파이드 양자점도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 크기의 균일도 확보나 QY(Quantum Yield)가 기존의 CdSe에 비하여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양자점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자점 생성시 금속을 함께 사용하면 계면활성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양자점의 표면결점을 해결해 주는 역할을 하여 전자가 수월하게 리콤비네이션이 되게 함으로써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또한, 밴드갭이 코어에 비해 넓은 12족-16족 화합물 껍질(shell)로 코어(core)를 코팅하면, 양자점의 발광 안정성을 유지하거나 크기를 제어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가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는 바, 환경오염 발생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기존 양자점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폭 넓은 범위의 파장 흡수대를 갖는 새로운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10족 원소가 도핑된 AgInS2 양자점에 관한 것으로서, 은(Ag), 인듐(In) 및 황(S)을 포함하는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및 도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도핑물질은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는 평균입경이 2 ~ 8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는 평균입경이 2.1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쉘의 평균두께는 0.2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복합구조의 양자점은 블루시프트 되어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대 빛을 즉, 460 ~ 680 nm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며, 바람직하게는 라이트블루(light blue color) 460 ~ 500nm, 녹색(green color) 500 ~ 530nm, 노란색(yellow color) 530 ~ 560nm, 주황(orange color) 560 ~ 600nm 및 빨강(red color) 600 ~ 680nm 등의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캡핑제(capping agent), 계면활성제 및 유기용매를 함유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황(S) 전구체;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핑물질과 유기용매를 함유한 도핑물질 전구체; 및 ZnS 전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은 전구체는 질산은(silver nitrate), 스테레이트은(silver stearate) 및 아세테이트은(silver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인듐 전구체는 인듐 하이드록사이드(Indium hydroxide), 인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nitrate hydrate), 인듐 아세테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acetate hydrate), 인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Indium acetylacetonate) 및 인듐 아세테이트(Indium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캡핑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C10 ~ C16의 알킬티올(alkyl thi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황 전구체는 황;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차 아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의 유기용매 및 도핑물질 전구체의 유기용매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이들 유기용매 각각은 C12 ~ C20의 알켄(alkene) 및 C8 ~ C20의 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는 은(Ag) 전구체 및 상기 인듐(In) 전구체를 1 : 3 ~ 10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AgInS2 양자점 조성물은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및 황 전구체를 1 : 3 ~ 8 : 5 ~ 12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은 전구체 및 상기 도핑물질 전구체는 1 : 0.008 ~ 0.1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ZnS 전구체는 아연 및 C12 ~ C20의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Zn 전구체; 및 황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알킬포스핀을 함유한 S 전구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 내지 R3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내지 R3 각각은 C5 ~ C12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ZnS 전구체는 아연 및 황을 1 : 0.9 ~ 1.1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듐(In) 및 은(Ag)의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키는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키는 단계; 및 쉘용 S 전구체 용액을 투입한 후, 반응시켜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은 인듐(In) 및 은(Ag)의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켜서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S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ZnS 쉘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80 ~ 100℃하에서, 인듐 전구체, 은 전구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캡핑제 및 유기용매의 혼합용액을 잉여 수분과 산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분 및 산소가 제거된 혼합용액에 계면활성제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는 110 ~ 180℃ 하에서, 1 ~ 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은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으며, 양자점의 크기, 이의 조성비, 도핑물질 양 및 쉘 두께 등의 조절을 통해 특정 파장 범위를 흡수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1 ~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양자점을 340㎚ 파장을 쐬여 준 후의 발광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1 ~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양자점의 UV 흡광도에 따른 발광스펙트럼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C1", "C2" 등은 탄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C1 ~ C5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5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는 2가지 종류의 금속이 결합 또는 착물된 형태의 나노크기의 화합물을 의미하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는 2가지 종류의 금속 및 황(S)이 결합 또는 착물된 형태의 나노크기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개략도와 같은 형태를 갖는 코어-쉘 복합구조 양자점에 관한 것으로서, 10족 원소를 상기 AgInS2 양자점에 도핑된 코어에 ZnS 쉘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은 10족 원소를 AgInS2 양자점에 도핑시킴으로써, 양자점의 표면결점을 보완하여 전자가 수월하게 리콤비네이션이 되게 하여 발광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ZnS 쉘을 도입함으로서, 표면의 결점을 최소화하여 발광효율을 증대시키며 양자점의 수명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 양자점은 은(Ag), 인듐(In) 및 황(S)을 포함하는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및 도핑물질을 함유한 코어; 및 ZnS를 함유한 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는 평균입경이 2 ~ 8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2 ~ 6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나노클러스터의 크기는 제조시 반응시간,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비 등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는 평균입경 2 ㎚ 미만인 것은 기술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기 않고, 평균입경 8 ㎚를 초과하는 경우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핑물질이 상기 3원 구조 나노클러스터에 도핑된 후에 코어가 형성이 되는데, 상기 코어는 평균입경이 2.1 ~ 9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2.5 ~ 9 ㎚인 것이 좋다.
상기 도핑물질은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니켈 및 팔라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니켈을 사용하는 도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에 있어서, 상기 쉘의 평균두께는 0.2 ~ 5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는 0.2 ~ 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 nm인 것이 좋다. 이때, 쉘의 평균두께가 0.2 ㎚ 미만이면 양자점 코어 표면의 결점을 보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를 초과하면 양자점의 수명 및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은 460 ~ 680 nm 파장대의 빛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이트블루(light blue color) 460 ~ 500nm, 녹색(green color) 500 ~ 530nm, 노란색(yellow color) 530 ~ 560nm, 주황(orange color) 560 ~ 600nm 및 빨강(red color) 600 ~ 680nm 파장대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핑물질이 도핑된 3원구조의 나노클러스터(이하 코어로 칭한다)는 500 ~ 680 nm 파장대의 빛을 흡수를 하는데, 상기 코어에 ZnS 쉘을 형성시킴으로써, 빛 흡수 파장대가 블루 쉬프트(blue shift) 되어서, 파장대가 460 ~ 680 nm 로 이동 또는 파장대가 더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쉘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블루 쉬프트 범위가 커지게 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코어에서는 주황, 빨강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다가 ZnS 쉘을 형성시키면, 녹색, 라이트블루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캡핑제(capping agent), 계면활성제 및 유기용매를 함유한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황(S) 전구체;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핑물질과 유기용매를 함유한 도핑물질 전구체; 및 황화아연(ZnS)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성분 중 하나인 은 전구체는 질산은(silver nitrate), 스테레이트은(silver stearate) 및 아세테이트은(silver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산은, 아세테이트은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성분 중 하나인 상기 인듐 전구체는 인듐 하이드록사이드(Indium hydroxide), 인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nitrate hydrate), 인듐 아세테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acetate hydrate), 인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Indium acetylacetonate) 및 인듐 아세테이트(Indium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듐 아세테이트, 인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 및 인듐 아세테이트 하이드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인듐과 캡핑제와의 반응을 용이하기 하는 면에서 좋다.
또한,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성분으로서, 상기 캡핑제는 하기 화학식 3-1 및 3-2와 같이 은(Ag) 및/또는 인듐(In)을 잡은 뒤, 하기 화학식 3-3의 황 전구체의 황(S)과 결합(또는 바인딩)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3-1]
Figure pat00004
[화학식 3-2]
Figure pat00005
[화학식 3-3]
Figure pat00006

그리고, 이러한 캡핑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또는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R1 및/또는 R2 각각은 C5 ~ C18의 직쇄형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또는 R2 각각은 C5 ~ C16의 직쇄형 알킬기인 것이 좋다. 이때, R1 및/또는 R2 각각이 C5 미만의 알킬기인 경우, 탄소길이가 너무 짧아서 인듐 및/또는 은과 황이 결합할 수 있도록 황을 자리를 잡게하기 어려울 수 있고, C20 초과의 알킬기인 경우 탄소길이가 너무 길어서 오히려 인듐, 인 및 황 간의 결합을 방해하는 입체장애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탄소수를 갖는 것이 좋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또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는 반응의 안정제 및 반응을 유도하는 유도체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는 C10 ~ C16의 알킬티올(alkyl thiol)을, 바람직하게는 C10 ~ C14의 알킬티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C10 미만의 알킬티올을 사용하는 경우 탄소길이가 너무 짧아서 안정제로서 역할을 하지 못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C16을 초과하는 알킬티올을 사용하는 경우 탄소 길이가 너무 길어서 오히려 인듐, 인 및 황 간의 결합을 방해하는 입체장애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티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는 은(Ag) 전구체 및 상기 인듐(In) 전구체를 1 : 3 ~ 10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 : 4 ~ 8 몰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 ~ 6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은 전구체 및 인듐 전구체의 몰비가 1 : 3 미만이면 밴드갭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10 몰비를 초과하면 발광효율이 감소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몰비가 되도록 하여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성분 중 상기 유기용매는 C12 ~ C20의 알켄(alkene) 및 C8 ~ C20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5 ~ C20의 알켄 및 C8 ~ C15의 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C15 ~ C20의 알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중 하나인 상기 황 전구체는 황;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차 아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아민은 황을 감싸는 캡핑 역할 뿐만 아니라 황과 배위결합을 통해 전자를 제공해주어 황이 인듐과 결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하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또는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5 ~ C18의 직쇄형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C5 ~ C16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이때, R1 및/또는 R2 각각이 C5 미만의 알킬기인 경우, 탄소길이가 너무 짧아서 캡핑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C20을 초과의 알킬기인 경우 탄소길이가 너무 길어서 황이 인듐과 반응하는 것을 방해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탄소수를 갖는 것이 좋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은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및 황 전구체(ZnS 전구체의 황 전구체를 제외)을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및 황 전구체를 1 : 3 ~ 8 : 5 ~ 12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 : 3 ~ 6 : 6 ~ 10 몰비로 포함하는 것이 금속 성분 간의 리콤비네이션면에서 좋다.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은 중 하나인 도핑물질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C12 ~ C20의 알켄(alkene) 및 C8 ~ C20의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5 ~ C20의 알켄 및 C8 ~ C15의 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C15 ~ C20의 알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핑물질 전구체의 사용량은 상기 은 전구체 및 상기 도핑물질 전구체는 1 : 0.008 ~ 0.1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01 ~ 0.05 몰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도핑물질 전구체의 사용량이 은 전구체에 대하여 1 : 0.008 몰비 미만이면 10족 금속의 도핑에 의한 추가적인 발광효율 증대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0.1 몰비로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10족 금속이 상기 인듐전구체에 달라붙어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중 하나인 상기 황화아연(ZnS) 전구체는 아연 및 C12 ~ C20의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Zn 전구체; 및 황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알킬포스핀을 함유한 쉘용 S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 내지 R3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내지 R3 각각은 C5 ~ C12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3 각각은 C8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그리고, 상기 ZnS 전구체는 아연 및 황을 1 : 0.9 ~ 1.1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95 ~ 1.05 몰비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앞서 설명한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한 후, 여기에 황 전구체를 이용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한 다음, 10족 금속인 도핑물질로 도핑시켜서 3원구조의 나노클러스터, 즉 10족 금속이 도핑된-AgInS2 로 구성된 코어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 외부에 ZnS 쉘을 형성시켜서 코어-쉘의 복합구조를 갖는 양자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은 인듐(In) 및 은(Ag)의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킨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키는 단계; 및 쉘용 S 전구체 용액을 투입한 후, 반응시켜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위와 같이 Zn 전구체 및 쉘용 S 전구체를 별도로 투입하지 않고 ZnS 전구체를 함께 투입하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듐(In) 및 은(Ag)의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켜서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S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ZnS 쉘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80 ~ 100℃하에서, 인듐 전구체, 은 전구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캡핑제 및 유기용매의 혼합용액을 잉여 수분과 산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분 및 산소가 제거된 혼합용액에 계면활성제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원 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110℃ 미만에서 수행시 10족 금속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80℃를 초과하는 분위기에서 수행시 발광효율이 떨어지며 은이 결정화 되어 석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는 110~140℃ 하에서, 1 ~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제조방법은 정제 및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제조방법은 그 제조공정이 연속적이고, 복잡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조건이 가혹하지 않기 때문에 상업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1)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용액의 제조
파우더 상태의 인듐아세테이트 1.05 g(2.5 mmol), 실버나이트라이트 0.085 g(0.5 mmol), 올레익산 2.35 ㎖(7.5mmol)및 1-옥타데신 40 ㎖을 삼구플라스크(250 ㎖)에 투입한 다음 1기압 9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음으로 동일 압력 및 온도 하에서, 수분과 산소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1기압의 질소 대기 및 90℃에서 약 1시간 동안 충분히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에 계면활성제로서 도데칸타올(dodecanetiol) 5 ㎖(20mmol)을 첨가한 다음, 120℃에서 약 1시간 정도 교반 및 반응시켜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2)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용액의 제조
황(s) 0.13g(4mmol)을 올레일아민(oleylamine) 6.5 ㎖에 투입 및 교반하여 황전구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1기압의 질소 대기 및 120℃ 하에서, 상기 황전구체 용액을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이 들어있는 반응기에 주입, 교반 및 30초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평균입경 3 nm를 갖는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용액을 제조하였다.
(3) 도핑물질 전구체를 이용한 도핑
니켈 스테레이트(nickel stearate) 0.003g(0.01mmol)을 1-옥타데신 0.5 ㎖에 혼합하여 니켈 전구체 용액(도핑물질 전구체)을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용액이 들어있는 반응기에 주입한 후, 150℃ 하에서 도핑반응을 수행하였다. 도핑반응은 나노클러스터가 충분히 성장할 수 있도록 30분 동안 반응을 수행한 후 25℃에서 냉각시켜서 AgInS2의 2원 구조 나노클러스터에 니켈(Ni)이 도핑된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형태를 갖는 코어(평균입경 3.2 nm)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4) ZnS 쉘 형성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25℃의 반응기(또는 3구 플라스크 등)에 담아 둔 상태에서, 징크스테레이트(Zn stearate) 1.25 g(2mmol)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약 20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다음으로 황(s) 0.065 g(2mmol)와 트리옥틸포스핀(trioctylphosphin) 10 ml(20mmol)에 섞어서 쉘용 황 전구체 용액 제조한 후, 이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반응기의 온도를 120℃까지 상승시킨 후,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2시간 동안 교반 및 반응을 시켜서 코어 외부에 ZnS 쉘을 성장시켰다. 다음으로, 반응기를 25℃로 낮춘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소량의 톨루엔과 함께 과량의 무수물에탄올로 정제 및 세정을 3번 반복하여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을 회수한 후, 이를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2 ~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평균입경을 갖는 코어를 제조하여,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제조하되, 코어 제조시 캡핑제로서,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7Z-테트라디세노익산(7Z-tetradecenoic acid)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1에 있어서, R1 은 C5의 알킬기이고, R2는 C4의 알킬기이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어-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제조하되, 코어 제조시 캡핑제로서,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12(Z)-에이코세노익산(12(Z)-eicosanoic acid)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2에 있어서, R1 은 C12의 알킬기이고, R2는 C11의 알킬기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니켈을 도핑시키지 않음으로써, 10족금속을 도핑시키지 않은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형태의 코어 및 ZnS 쉘로만 형성된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듐 전구체를 은 전구체에 대하여 1 : 12 몰비 및 1 : 1 몰비가 되도록 하여 코어를 제조한 다음 ZnS 쉘을 형성시켜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을 각각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켈 스테아레이트를 은 전구체에 대하여 1 : 0.005 몰비가 되도록 하여 Ni-AgInS2 코어 및 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구조의 양자점을 제조하되, 코어 제조시 캡핑제로서,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5Z-디세노익산(5Z-decenoic acid)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3에 있어서, R1 은 C4의 알킬기이고, R2는 C3의 알킬기이다.
구분 코어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도핑 코어
전체입경
코어-
UV 흡광도
발광 파장
은 전구체
(mmol)
인듐 전구체
(mmol)
황 전구체
(mmol)
평균
입경
도핑물질
전구체
(Ni, mmol)
평균
입경
Zn 및 S 몰비
평균두께
UV 흡광도
발광 파장
실시예
1
0.5 2.5 4 3 ㎚ 0.01 3.2 ㎚ 573 nm 1:1 0.5 ㎚ 530 nm
실시예
2
0.5 1.5 4 2.5 ㎚ 0.01 2.8 ㎚ 571 nm 1:1 0.5 ㎚ 527 nm
실시예
3
0.5 4 4 3.3㎚ 0.01 3.7 ㎚ 600 nm 1:1 0.5 ㎚ 560 nm
실시예
4
0.5 2.5 5 3.2 ㎚ 0.01 3.5 ㎚ 576 nm 1:1 0.5 ㎚ 561 nm
실시예
5
0.5 2.5 4 3 ㎚ 0.008 3.1 ㎚ 568 nm 1:1 0.5 ㎚ 526 nm
실시예
6
0.5 2.5 4 3 ㎚ 0.07 3.5 ㎚ 592 nm 1:1 0.5 ㎚ 563 nm
실시예
7
0.5 2.5 4 2.5 ㎚ 0.01 2.7 ㎚ 564 nm 1:1 0.5 ㎚ 525 nm
실시예
8
0.5 2.5 4 2.8 ㎚ 0.01 3 ㎚ 633 nm 1:1 0.5 ㎚ 602 nm
비교예
1
0.5 2.5 4 2.5 ㎚ - - 560 nm 1:1 0.5 ㎚ 525 nm
비교예
2
0.5 6 4 3.5 ㎚ 0.01 3.8 ㎚ 602 nm 1:1 0.5 ㎚ 600 nm
비교예
3
0.5 0.5 4 1.5 ㎚ 0.01 2 ㎚ - 1:1 0.5 ㎚ 520 nm
비교예
4
0.5 2.5 4 2.5 ㎚ 0.005 2.7 ㎚ 572 nm 1:1 0.5 ㎚ 536 nm
비교예
5
0.5 2.5 형성잘안됨 - - - - - -
상기 표 1의 실시예 1 ~ 8을 살펴보면, 2원 및/또는 3원 나노클러스터에 사용된 은, 인듐의 조성비 및 도핑물질인 니켈의 사용량에 의해 양자점의 평균입경에 차이가 있으며, 양자점의 입경 변화에 따라 발광 파장이 변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양자점의 입경이 커질수록 발광 파장이 빨강 파장 쪽으로 쉬프트(shift)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코어에 쉘을 형성시키면 라이트 블루(460~500nm) 파장 쪽으로 20 ~ 50 nm 정도 쉬프트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코어에 사용되는 물질의 조성비 및 쉘 두께 조절을 통해 양자점의 입경을 조절할 수 있고, 양자점의 입경 조절을 통해 양자점의 발광 파장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코어에 도핑물질을 도핑시키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570 nm 미만인 560 nm의 약한 파장 세기를 보였으며, 코어의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제조시, 은 전구체와 인듐 전구체를 1 : 10 몰비를 초과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3(1:8 몰비)과 비교할 때, 발광세기 증대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은 전구체와 인듐 전구체를 1 : 3 몰비 미만인 비교예 3의 경우, 코어의 흡광도 측정이 불가능했는데, 이는 밴드갭이 너무 작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핑물질 전구체의 사용량이 은 전구체에 대하여 1 : 0.008 몰비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해 볼 때, 도핑양이 너무 작아서 도핑에 의한 발광효율 증대 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시하는 범위를 벗어난 캡핑제를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3원 나노클러스터 형성이 잘 되지 않았다.
실시예 1-1 ~ 실시예 1-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 같도록 양자점을 제조하여 실시예 1-1 ~ 1-8을 실시하되,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제조시, 황 전구체 투입 후, 반응시간이 10초, 30초, 60초, 90초, 120초, 180초, 300초 및 600초 동안 각각 수행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평균입경을 갖도록 양자점을 제조한 후, UV 스펙트로미터(VARIAN, CARY 100 Conc.)를 활용하여 UV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의 시료는 양자점 각각을 0.01g씩 취한 후, 이를 톨루엔 3ml에 용해하여 테스트튜브에 넣어 UV 흡광도에 따른 발광스펙트럼을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각 실시예 1-1 ~ 1-7의 양자점을 340 ㎚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UV)를 조사한 이미지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UV 흡광도를 측정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
Ni - AgInS 2 양자점 UV 흡광도 발광 파장
은 전구체
(mmol)
인듐 전구체
(mmol)
황 전구체
투입 후 반응시간
평균입경 도핑물질
전구체
(Ni, mmol)
평균입경 Zn 및 S
몰비

평균두께
실시예
1-1
0.5 2.5 10 2.5 ㎚ 0.01 3 ㎚ 1:1 0.5 ㎚ 500 nm
실시예
1-2
0.5 2.5 30 3 ㎚ 0.01 3.2 ㎚ 1:1 0.5 ㎚ 525 nm
실시예
1-3
0.5 2.5 60 3.3 ㎚ 0.01 3.5 ㎚ 1:1 0.5 ㎚ 545 nm
실시예
1-4
0.5 2.5 90 3.8 ㎚ 0.01 4.2 ㎚ 1:1 0.5 ㎚ 560 nm
실시예
1-5
0.5 2.5 120 4.1 ㎚ 0.01 4.3 ㎚ 1:1 0.5 ㎚ 575 nm
실시예
1-6
0.5 2.5 180 4.3 ㎚ 0.01 4.5 ㎚ 1:1 0.5 ㎚ 580 nm
실시예
1-7
0.5 2.5 300 4.4 ㎚ 0.01 4.6 ㎚ 1:1 0.5 ㎚ 600 nm
실시예
1-8
0.5 2.5 600 4.5 ㎚ 0.01 4.7 ㎚ 1:1 0.5 ㎚ 630 nm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코어 제조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와 황 전구체의 반응시간 조절을 통해 코어의 입경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 입경 조절을 통하여 발광 파장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를 코어 및 양자점의 입경에 따라서 UV 흡광도 발광 파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반응시간, 조성비 조절함으로써, 양자점의 입경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의 입경이 커질수록 UV 흡광도 발광 파장 수치가 증가하며, ZnS 쉘을 형성시켜서 라이트블루 쪽으로 쉬프트시킬 수 있으며, 쉘 두께 조절을 통해 쉬프트 정도 조절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23)

  1. 은(Ag), 인듐(In) 및 황(S)을 포함하는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nanocluster) 및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핑물질을 함유한 코어(core); 및
    ZnS를 함유한 쉘(shell);
    을 포함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물질은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는 평균입경이 2 ~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평균입경이 2.1 ~ 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평균두께는 0.2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460 ~ 680 nm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7.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캡핑제(capping agent), 계면활성제 및 유기용매를 함유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
    황(S) 전구체;
    니켈(Ni), 팔라듐(Pd) 및 백금(P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핑물질과 유기용매를 함유한 도핑물질 전구체; 및
    황화아연(ZnS) 전구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 전구체는 질산은(silver nitrate), 스테레이트은(silver stearate) 및 아세테이트은(silver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 전구체는 인듐 하이드록사이드(Indium hydroxide), 인듐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nitrate hydrate), 인듐 아세테이트 하이드레이트(Indium acetate hydrate), 인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Indium acetylacetonate) 및 인듐 아세테이트(Indium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이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C10 ~ C16의 알킬티올(alkyl thi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황 전구체는
    황;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차 아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및 R2 각각은 C5 ~ C20의 알킬기이다.
  13. 제7항에 있어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의 유기용매 및 도핑물질 전구체의 유기용매는 독립적인 것으로서, 이들 유기용매 각각은 C12 ~ C20의 알켄(alkene) 및 C8 ~ C20의 카르복실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 전구체는 은(Ag) 전구체 및 상기 인듐(In) 전구체를 1 : 3 ~ 10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은 전구체, 인듐 전구체 및 황 전구체를 1 : 3 ~ 8 : 5 ~ 12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 전구체 및 상기 도핑물질 전구체는 1 : 0.008 ~ 0.1 몰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ZnS 전구체는
    아연 및 C12 ~ C20의 카르복실산을 함유한 Zn 전구체; 및
    황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알킬포스핀을 함유한 쉘용 S 전구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 내지 R3 은 독립적인 것으로서, R1 내지 R3 각각은 C5 ~ C12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ZnS 전구체는
    아연 및 황을 1 : 0.9 ~ 1.1 몰비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 조성물.
  19. 인듐(In) 및 은(Ag)의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켜서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키는 단계; 및
    쉘용 S 전구체 용액을 투입한 후, 반응시켜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
  20. 인듐(In) 및 은(Ag)의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황(S) 전구체를 투입하여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에 도핑물질 전구체를 투입한 후, 110 ~ 180℃ 하에서 도핑반응 및 나노입자를 성장시켜서 코어를 함유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함유한 용액에 ZnS 전구체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ZnS 쉘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80 ~ 100℃하에서, 인듐 전구체, 은 전구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캡핑제 및 유기용매의 혼합용액을 잉여 수분과 산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분 및 산소가 제거된 혼합용액에 계면활성제를 투입 및 반응시켜서 2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원구조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10 ~ 180℃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ZnS 쉘(shell)을 형성 및 성장시키는 단계는
    110 ~ 180℃ 하에서, 1 ~ 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2 코어-ZnS 쉘 복합구조의 양자점의 제조방법.
KR1020120142352A 2012-12-07 2012-12-07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52A KR20140074126A (ko) 2012-12-07 2012-12-07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52A KR20140074126A (ko) 2012-12-07 2012-12-07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126A true KR20140074126A (ko) 2014-06-17

Family

ID=5112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352A KR20140074126A (ko) 2012-12-07 2012-12-07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1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675A (zh) * 2017-12-18 2019-06-2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照明模组
WO2021210722A1 (ko) * 2020-04-13 2021-10-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성 도펀트를 구비하는 멀티쉘 구조 기반의 양자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675A (zh) * 2017-12-18 2019-06-2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照明模组
WO2021210722A1 (ko) * 2020-04-13 2021-10-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성 도펀트를 구비하는 멀티쉘 구조 기반의 양자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8433B2 (ja) 半導体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デバイス
KR101788786B1 (ko) Iii-v/아연 칼코겐 화합물로 합금된 반도체 양자점
JP6464215B2 (ja) 半導体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ngh et al. Magic-sized CdSe nanoclusters: a review on synthesis, properties and white light potential
CN111819267B (zh) 核壳型半导体纳米粒子、其制造方法和发光器件
KR20180060923A (ko) 발광 조성물,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348674A (zh) Cs3Cu2X5(X=Cl、Br、I)纳米晶的制备方法及产物
EP3922604A1 (en) Semiconductor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456591B2 (ja) 半導体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デバイス
CN108587628B (zh) 一种量子点的合成方法
Zhang et al. Phosphine-free synthesis of ZnSe: Mn and ZnSe: Mn/ZnS doped quantum dots using new Se and S precursors
KR20150045196A (ko) Zn2+이 도핑된 AgInS2 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126A (ko)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코어―ZnS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128A (ko)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코어―ZnSe 쉘 복합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120A (ko) 10족 금속이 도핑된 AgInS₂ 양자점,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eng et al. A controllable growth-doping approach to synthesize bright white-light-emitting Cd: In 2 S 3 nanocrystals
KR101264193B1 (ko) 코어-쉘 구조의 저독성 반도체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CN111909698B (zh) 一种铜掺杂合金量子点及其制备方法、量子点光电器件
KR101723850B1 (ko) 인을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양자점
KR101244696B1 (ko) 친환경 단분산 청색 발광 양자점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316B1 (ko) 양자점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자점 나노입자,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나노입자, 및 발광소자
Xu et al. “Flash” synthesis of “giant” Mn-doped CdS/ZnS nanocrystals for high photostability
KR102103009B1 (ko) 양자점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자점 나노입자,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나노입자, 및 발광소자
US11905446B2 (en) Doped semiconductor nanocrystals,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1223212B1 (ko) 카드뮴셀레나이드/황화아연 양자점으로 코팅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