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952A -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 Google Patents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952A
KR20140073952A KR1020120142012A KR20120142012A KR20140073952A KR 20140073952 A KR20140073952 A KR 20140073952A KR 1020120142012 A KR1020120142012 A KR 1020120142012A KR 20120142012 A KR20120142012 A KR 20120142012A KR 20140073952 A KR20140073952 A KR 2014007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main body
washing
stea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102012014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952A/ko
Publication of KR2014007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를 자동세척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 후면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카트가 인입되어 고정 시 회전할 수 있는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며 카트에 대한 자동세척 및 소독을 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카트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회전테이블이 본체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테이블이 회전되며 상기 본체에 구성된 세척장치 및 건조장치의 작동들로 상기 카트에 대한 스팀세척, 건조 및 소독과 같은 공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카트를 본체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하여 상기 본체의 회전테이블에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카트에 대해 스팀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스팀세척공정, 건조공정, 소독공정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독장비에 대한 공간의 활용도를 최소화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으며 스팀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그에 따른 소독장비에 대한 원가 절감으로 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Cart automatic washing and sanitizing of equipment}
본 발명은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를 자동세척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 후면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카트가 인입되어 고정 시 회전할 수 있는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며 카트에 대한 자동세척 및 소독을 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카트(Shopping cart)는 각종 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물품을 적재 및 운반함에 있어, 사용자의 이동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종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반카트는 철망형태의 적재함, 이동을 위한 바퀴, 파지 및 밀거나 끌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되고,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별도의 구분 없이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운반카트로 하루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현재, 운반카트를 하루에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게 되므로, 쇼핑과정에서, 카트본체에 많은 음식물 찌꺼기, 먼지, 이물질 등이 묻어 쉽게 오염되고, 특히, 운반카트를 이동하기 위해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에는 외부로부터 수없이 많은 병원균이 기생하게 되며, 손잡이에 기생하고 있는 병원균은 사용자의 손을 통해 오염 및 감염되어 인체에 유해하고 세균에 의한 질병을 유발하게 되었으며, 지금까지는 운반카트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장치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많은 수량의 운반카트를 일일이 하나씩 세척하기에는 과다한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므로 비용부담과 비효율적이고 위생상태가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을 앓고 있다.
또한 상기 카트는 소비자들이 구매 시에 매일 사용함에 따라 청결을 유지하기 힘들며, 대형할인점 및 쇼핑몰에서 대량으로 사용됨으로써 세정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카트에는 유아들이 탑승하여 쇼핑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청결을 유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영아들에게 병균이 전염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장치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689262호는 ‘운반카트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 후면이 개방되게 절곡된 형태로 내부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분사구가 길이방향으로 나열되게 설치되며, 세척실, 살균실, 헹굼시, 건조실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분사구로 일정량의 세척수, 약액, 헹굼수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구동펌프가 내설되며, 물받이가 구비된 하부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순환 회동되며 상면에는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 홈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텐션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스토퍼가 결합된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세척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0739594호는 ‘쇼핑카트의 연속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쇼핑카트가 들어가는 진입구와, 타단에 쇼핑카트가 나오는 배출구와, 상기 진입구와 배출구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몸체부가 있으며,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의 윗면과 실린더에 의해 결합하여 중력방향으로 설치되고 신축 가능한 호스에 의해 소정 각도가 형성되는 다수의 고압분사노즐부와, 상기 고압분사노즐부를 통과한 쇼핑카트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중력방향으로 길며, 소정 간격으로 천공된 스팀 노즐이 다수 형성되는 스팀분사노즐부와, 상기 스팀분사노즐부를 통과한 쇼핑카트에 대해 스팀에 의해 살균 및 세정된 쇼핑카트의 잔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중력방향으로 길며 에어브러쉬 노즐이 다수 천공된 에어브러쉬노즐부와, 몸체부의 바닥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쇼핑카트의 바퀴가 안착할 수 있도록 돌기를 가지는 연속컨베이어체인 및 쇼핑카트가 몸체부 바닥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속컨베이어체인의 일 측단에 형성되는 체인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의 연속세정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0769771호는 ‘쇼핑 카트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트를 전방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카트이송수단과, 상기 카트 표면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고압분사수단과, 상기 카트의 손잡이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브러싱하여 세척하는 손잡이세척수단과, 상기 카트의 적재함 양측면을 브러싱하여 세척하는 카트외부세척수단과, 상기 카트의 적재함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진동에 의해 적재함 내부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트내부세척수단과, 고압의 세척수를 재차 분사하여 세척된 카트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헹굼수단 및 세척된 카트의 표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열풍 토출에 의해 제거하는 건조수단을 포함하는 쇼핑 카트 자동 세척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상기한 오염된 쇼핑 카트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지 못하였다. 스팀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제안되기는 하였으나, 쇼핑 카트의 손잡이 부분 등 합성수지로 구성된 부분들은 열에 약하여 살균 중 해당 부분이 열변형을 일으켜 바람직하지 못하였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세척하는 장치들도 자동화되지 못하여 다수의 보조 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으로 인하여 세척장치 내부에서 카트의 유동이 발생하여 전복되는 등의 문제들도 발생하여 효과적인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적재함이 철망 형태로 구성되어 통상적인 브러시만으로는 적재함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장 오염도가 심한 손잡이 부분의 세척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 장치 중에는 세척 수단과 헹굼수단 및 건조수단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어, 세척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그에 따라 불필요한 공간을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그에 따른 구성의 복잡함과 함께 장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카트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회전테이블이 본체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테이블이 회전되며 상기 본체에 구성된 세척장치 및 건조장치의 작동들로 상기 카트에 대한 세척, 건조 및 소독과 같은 공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가 인입, 인출되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카트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분사장치와, 상기 세척액이 묻은 카트를 헹굼 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카트의 물을 건조시키는 히팅장치가 본체 내부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내부로 인입된 카트를 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이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카트를 세척분사장치, 스팀분사장치 및 히팅장치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카트를 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의하면, 카트를 본체의 인입구를 통해 인입하여 상기 본체의 회전테이블에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카트에 대해 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세척공정, 건조공정, 소독공정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독장비에 대한 공간의 활용도를 최소화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으며 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그에 따른 소독장비에 대한 원가 절감으로 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 중 받침플레이트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 중 받침플레이트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대한 카트의 세척을 나타내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에 본 발명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카트(c)가 인입, 인출되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11)와 인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카트(c)에 수분분사장치(200)와, 상기 카트(c)의 물을 건조시키는 히팅장치(300)가 본체(10) 내부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카트 세척 소독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내부로 인입된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400)이 구성되고, 상기 수분분사장치(200)는 고온의 스팀을 발산하여 스팀 세척하는 스팀분사장치(200)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카트(c)를 스팀분사장치(200)와 히팅장치(3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이다.
이에 본 발명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카트(c)가 인입, 인출되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11)와 인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카트(c)에 세척분사장치(100)와, 수분분사장치(200)와, 상기 카트(c)의 물을 건조시키는 히팅장치(300)가 본체(10) 내부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카트 세척 소독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내부로 인입된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400)이 구성되고, 상기 세척분사장치(100)는 카트(c)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분사장치(100)로 구성되며, 상기 수분분사장치(200)는 고온의 스팀을 발산하여 스팀 세척하는 스팀분사장치(200)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카트(c)를 세척분사장치(100), 스팀분사장치(200) 및 히팅장치(3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이다.
상기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본체(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스팀세척하려는 카트(c)가 인입, 인출 될 수 있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11)와 인출구(12)를 형성한다.
상기 인입구(11)와 인출구(12)는 본체(10)의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인입구(11)와 인출구(12)는 카트(c)가 인입, 인출 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며, 상기 인입구(11)와 인출구(12)는 하기 설명하는 개폐장치(13)의 열림, 닫힘에 따라 상시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인입구(11)와 인출구(12)에는 카트(c)의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 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13)가 구성된다.
개폐장치(13)는 본체(10)에 형성된 인입구(11)와 인출구(12)에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개폐장치(1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림, 닫힘 되는 도어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열림 또는 작업자가 걷을 수 있도록 커튼의 형식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한 개폐장치(13)는 사용에 따라 가변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인입구(11)와 인출구(12)의 하측에는 카트(c)가 본체(10)로 인입, 인출할 수 있도록 받침플레이트(14)가 구성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14)는 카트(c)가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인출 시 카트(c)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받침플레이트(14)는 경첩과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 측과 연결한 후 사용한다.
받침플레이트(14)는 본 발명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사용 시에 받침플레이트(14)를 지면으로 내리게 하여 상기 받침플레이트(14)의 일 측 끝부가 지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체(10)의 바닥면 높이가 지면보다 높게 되어 있어 받침플레이트(14)의 설치 시 일정 각을 이루며 지면에 닿게 되어 카트(c)가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인출 시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14)를 접힘 시 본 발명이 적용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를 유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는 카트(c)의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 작업에 대한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작업진행램프(15)가 구성된다.
상기 작업진행램프(15)는 카트(c)가 본체(10)의 내부로 인입하여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 작업의 진행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친 후 카트(c)에 대한 작업의 완료에 대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본체(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각양각색의 불빛 또는 알림음을 이용하여 작업의 진행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은 투명재질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본체(10)의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고객들로 하여금 카트에 대한 스팀세척과 소독에 대한 진실성과 함께 신뢰성을 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세척분사장치(100), 스팀분사장치(2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본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다수개 구성된 분사구를 통해 세척액과 물을 본체(1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는 카트(c)로 분사하는 장치이다.
상기의 세척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200)는 본체(10)와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저장탱크에서 물이 공급되며, 상기에서 공급되는 물은 별도의 순환펌프를 통해 스팀분사장치(200)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거나, 상기 물에 세척액을 혼합하면 세척분사장치(100)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사용에 따라 세척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200)의 분사구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각각의 분사구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저장탱크와 순환펌프도 일체로 구비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물에 세척액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각각의 저장탱크와 순환펌프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한 사용방법은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 및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세척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200)는 사용에 따라 카트(c)에 대한 분사를 위해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카트(c)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거리 조절하여 카트(c)에 대해 최대한의 세척력과 세정력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팀분사장치(200)는 약 90℃의 열기를 가지며 상기 열기를 고압으로 발산하여 카트(c)에 대한 스팀세척을 한다. 이에 필요한 물의 양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90℃의 고온에서는 세균에 대한 멸균작업이 완료되어 별도의 세척분사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3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히팅장치(300)는 본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세척분사장치(100)에서 카트(c)를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스팀분사장치(200)를 통해 물로 헹굼하여 카트(c)에 물이 잔존 시에 히팅장치(300)가 작동하여 카트(c)에 잔존하는 물을 건조시킨다.
상기한 히팅장치(300)는 고온의 열을 발산하거나 고속으로 공기를 발산하여 상기 카트(c)에 잔존하는 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히팅장치(300)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고속의 공기는 카트(c)의 합성수지재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여야 하며, 이 또한, 상기 세척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200)처럼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구성 및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사용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팅장치(300)의 작동 시 고온의 열 또는 고속의 공기를 발산하며, 더불어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는 카트(c)의 건조와 동시에 세균에 대한 멸균작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세척분사장치(100), 스팀분사장치(200) 및 히팅장치(300)는 각각의 작업에 대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데, 카트(c)가 인입되면, 세척분사장치(100)의 작동으로 카트(c)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스팀세척하고, 상기에서 스팀세척이 완료되면, 스팀분사장치(200)의 작동으로 카트(c)의 세척액을 물을 이용하여 헹굼 시킨다.
또한, 상기에서 카트(c)에 대한 헹굼이 완료되면, 히팅장치(300)의 작동으로 카트(c)에 잔존하는 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세척분사장치(100), 스팀분사장치(200) 및 히팅장치(300)는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테이블(400)은 본체(100)의 내부 저면에 구성되며, 저면에 원형의 형상인 회전테이블(400)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회전은 회전 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로 인해 회전되며, 이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제어시스템의 작동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상측에는 고정부재(410)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410)는 회전테이블(400) 상에 위치된 카트(c)가 회전테이블(400)의 회전 시 상기 회전테이블(40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카트(c)의 바퀴부분 또는 하측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장치(500)가 구성된다.
상기 에어장치(500)는 회전테이블(400)에 고정되어 세척작업과 건조작업이 완료된 카트(c)에 소독작업과 멸균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장치(500)에서는 향기가 발생되어 스팀세척과 세정이 완료되어 건조작업까지 완료된 카트(c)에 소독작업과 동시에 멸균작업의 효과로 향기가 발생되는 에어를 분사시킨다. 이는 소독작업과 멸균작업이 완료된 카트(c)를 사용자가 사용 시 보다 깔끔하고 향기로운 카트(c)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깊은 신뢰감과 편안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본체(10)에 구성된 세척분사장치(100)와 스팀분사장치(200)와 히팅장치(300) 및 에어장치(500)는 각각의 작업을 위해 순차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고정되는 카트(c)에 대해 세척작업, 세정작업, 건조작업 및 살균, 멸균작업을 진행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인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우선,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때 본체(10)의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된 받침플레이트(14)를 지면과 닿게 하여 카트(c)가 본체(1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작업 완료 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받침플레이트(14)가 지면과 닿으면, 스팀세척하려는 카트(c)를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때 카트(c)는 본체(10) 내부에 구성된 회전테이블(400)의 고정부재(410)로 인해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고정된다.
상기 카트(c)가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면, 본체(10)의 일 측에 구성된 작업진행램프(15)가 작동하게 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의 진행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트(c)가 회전테이블(400)의 고정부재(410)에 고정되면, 본체(10)의 인입구(11)에 구성된 개폐장치(13)가 닫힘 되어 카트(c)에 대한 스팀세척, 세정, 건조, 살균 및 멸균작업 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세척액, 물, 에어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회전테이블(400)에 카트(c)가 고정되면, 상기 회전테이블(400)이 회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카트(c)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하는 카트(c)에 세척분사장치(100)가 세척액을 분사구를 통해 분사하여 카트(c)에 대한 스팀세척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에서 스팀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세척액을 헹굼 하도록 스팀분사장치(200)가 분사구를 통해 물을 분사하여 카트(c)에 대한 세정작업을 한다.
상기에서 세정작업이 완료되면, 물을 건조하기 위해 히팅장치(300)가 작동하여 카트(c)에 묻은 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작업을 한다.
상기에서 건조작업이 완료되면, 에어장치(500)에서 에어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에어에는 향기가 포함되어 발산하여 건조작업이 완료된 카트(c)에 대한 살균 및 멸균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카트(c)에 대한 살균 및 멸균작업이 완료되면, 회전테이블(400)의 회전이 멈춤 되고,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회전이 멈춤 된 후 본체(10)의 인출구(12)에 구성된 개폐장치(13)가 열림 된다.
상기에서 개폐장치(13)가 열림 되면, 본체(10) 내부의 카트(c)를 외부로 인출하여 카트(c)에 대한 스팀세척 및 소독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본체(10)에 구성된 작업진행램프(15)도 작업에 대한 완료를 표시한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카트(c)를 본체(10)의 인입구(11)를 통해 인입하여 상기 본체(10)의 회전테이블(400)에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테이블(400)을 회전시키면서 카트에 대해 스팀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스팀세척공정, 건조공정, 소독공정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독장비에 대한 공간의 활용도를 최소화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으며 스팀세척, 건조 및 소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그에 따른 소독장비에 대한 원가 절감으로 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팀 직분사 설비로 인해 물에 대한 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90도의 스팀온수로 세균에 대한 멸균작업을 할 수 있고, 받침플레이트(14)를 접힘 하였을 시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에 대한 이동이 용이하다.
10 : 본체 11 : 인입구 12 : 인출구 13 : 개폐장치
14 : 받침플레이트 15 : 작업진행램프
100 : 세척분사장치
200 : 스팀분사장치
300 : 히팅장치
400 : 회전테이블 410 : 고정부재
500 : 에어장치
c : 카트

Claims (5)

  1. 카트(c)가 인입, 인출되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11)와 인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카트(c)에 수분분사장치(200)와, 상기 카트(c)의 물을 건조시키는 히팅장치(300)가 본체(10) 내부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카트 세척 소독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내부로 인입된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400)이 구성되고,
    상기 수분분사장치(200)는 고온의 스팀을 발산하여 스팀 세척하는 스팀분사장치(200)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카트(c)를 스팀분사장치(200)와 히팅장치(3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2. 카트(c)가 인입, 인출되도록 전, 후면이 개방되어 인입구(11)와 인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카트(c)에 세척분사장치(100)와, 수분분사장치(200)와, 상기 카트(c)의 물을 건조시키는 히팅장치(300)가 본체(10) 내부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카트 세척 소독장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내부로 인입된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테이블(400)이 구성되고,
    상기 세척분사장치(100)는 카트(c)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분사장치(100)로 구성되며,
    상기 수분분사장치(200)는 고온의 스팀을 발산하여 스팀 세척하는 스팀분사장치(200)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카트(c)를 세척분사장치(100), 스팀분사장치(200) 및 히팅장치(3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카트(c)를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3. 제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장치(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4. 제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구성된 회전테이블(400)에는 카트(c)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1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5. 제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인입구(11)와 인출구(12)에는 카트(c)의 스팀세척, 소독 및 건조 시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1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KR1020120142012A 2012-12-07 2012-12-07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KR20140073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12A KR20140073952A (ko) 2012-12-07 2012-12-07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12A KR20140073952A (ko) 2012-12-07 2012-12-07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52A true KR20140073952A (ko) 2014-06-17

Family

ID=5112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12A KR20140073952A (ko) 2012-12-07 2012-12-07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9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023A (zh) * 2019-06-11 2019-10-08 河北小熊洗车服务股份有限公司 全自动洗车机烘干系统
KR102135027B1 (ko) * 2019-05-13 2020-07-20 엄수진 응급환자 이송장비 세척용 살균 소독 장치
KR102135028B1 (ko) * 2019-05-13 2020-07-20 엄수진 응급환자 이송장비의 세척 방법
CN111632945A (zh) * 2020-06-05 2020-09-08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药材加工的高精准智能喂料与投料装置
CN112604023A (zh) * 2020-12-12 2021-04-06 罗鸣松 一种物流包装用可防疫的杀菌干燥一体机
KR20210002389U (ko) * 2020-04-20 2021-10-29 신홍균 인체 소독 장치
KR102333689B1 (ko) * 2020-09-07 2021-12-01 이형수 터널형 쇼핑카트 살균장치
KR102510094B1 (ko) * 2021-12-03 2023-03-15 임재혁 외기 차단 살균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027B1 (ko) * 2019-05-13 2020-07-20 엄수진 응급환자 이송장비 세척용 살균 소독 장치
KR102135028B1 (ko) * 2019-05-13 2020-07-20 엄수진 응급환자 이송장비의 세척 방법
CN110304023A (zh) * 2019-06-11 2019-10-08 河北小熊洗车服务股份有限公司 全自动洗车机烘干系统
KR20210002389U (ko) * 2020-04-20 2021-10-29 신홍균 인체 소독 장치
CN111632945A (zh) * 2020-06-05 2020-09-08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药材加工的高精准智能喂料与投料装置
KR102333689B1 (ko) * 2020-09-07 2021-12-01 이형수 터널형 쇼핑카트 살균장치
CN112604023A (zh) * 2020-12-12 2021-04-06 罗鸣松 一种物流包装用可防疫的杀菌干燥一体机
KR102510094B1 (ko) * 2021-12-03 2023-03-15 임재혁 외기 차단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952A (ko) 카트 자동세척 소독장비
CN206120787U (zh) 肿瘤内科消毒设备
KR101311820B1 (ko) 순환식 와류분사 방식의 내시경 세척소독기 및 그 세척소독 공정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KR20110082202A (ko) 쇼핑카트 손잡이의 이동식 살균처리장치
BR112018067842B1 (pt) Aparelho e método de lavagem de escova giratória
KR101214594B1 (ko) 컵 세척 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CN212030076U (zh) 一种新生儿科用奶瓶杀菌烘干装置
CN211888338U (zh) 一种化妆品生产用瓶体清洗杀毒装置
KR20080101413A (ko) 자동 내시경 세척기
KR100689262B1 (ko) 운반카트 세척장치
KR101545987B1 (ko) 식판 세척용 세척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 세척장치
KR20150091832A (ko) 살균 모듈이 구비된 세탁기
JP2006263654A (ja) 洗浄装置
KR101512381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소독기
KR20090009500A (ko) 농작물 세정 장치
KR20140129745A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100730550B1 (ko) 쇼핑카트 고온 스팀 살균기
CN209829725U (zh) 一种消化科用一次性缝合器支撑部件清洗消毒装置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KR20100106265A (ko) 순환식 도마 세척 살균장치
JP3289104B2 (ja) 履物洗浄装置
KR20140139749A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KR101112098B1 (ko) 의료기기용 세척기
KR200420014Y1 (ko) 쇼핑카트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