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751A -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751A
KR20140073751A KR1020120141567A KR20120141567A KR20140073751A KR 20140073751 A KR20140073751 A KR 20140073751A KR 1020120141567 A KR1020120141567 A KR 1020120141567A KR 20120141567 A KR20120141567 A KR 20120141567A KR 20140073751 A KR20140073751 A KR 2014007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food waste
condenser
combus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2014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751A/ko
Publication of KR2014007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건조실 벽으로 둘러싸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실; 건조실 상방에 건조실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건조실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실 상부 벽; 건조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과 아울러 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연소부; 건조실 내부 공기를 연소부 주위로 순환시켜 연소부의 복사열이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컨벡션 팬; 건조실에서 발생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유입되며, 상기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응축기; 및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건조실의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를 응축기로 유입되게 하고,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을 연소부로 보내는 블로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연소부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동시에 증기에 포함된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작용을 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탈취 성능이 우수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Food Waste Dryer With Pyrolysis Func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시 생기는 악취나 유해물질의 발생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음식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가열수단이 그 복사열로 쓰레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작용 뿐만 아니라, 동시에 증기에 포함된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기능을 가진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90%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방치될 경우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하는 등 주변환경을 해친다. 수분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하거나 소각할 경우 여러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매립하거나 소각시키는 대신 사료, 퇴비, 또는 연료로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줄이는 건조 과정이 필요하다.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부분적으로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어 건조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악취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불쾌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식의 기술이 도입된 음식물 처리기들이 출시되었고, 음식물을 건조하는 과정중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그중에서 교반과 파쇄 기능을 가진 열풍건조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다른 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건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연소법, 촉매 산화법, 활성탄 흡착법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촉매 산화법과 활성탄 흡착법 등은 주기적으로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고 악취를 유발하는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가열수단과 증기에 포함된 유기물을 처리하는 탈취수단이 각각 따로 구비되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탈취수단이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유기물의 탈취효율이 낮아 전체적인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건조 처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쓰레기 처리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의 건조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증기와 함께 생성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열분해 방식을 적용하여 음식물을 건조 처리할 때 생성되는 악취 및 오염물질을 정화함과 아울러 열분해에 이용된 열원을 음식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10-0337475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등록특허: 10-0454876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등록특허: 10-0480700 (쓰레기 처리기) 등록특허: 10-077631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특허: 10-099016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특허: 10-102555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는 그 과정 중 악취의 원인이 되는 유기물과 증기를 발생시켜 환경문제와 주민들의 불쾌감을 유발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건조효율 또는 유기물의 탈취효율이 낮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의 건조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증기와 함께 생성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건조실 벽으로 둘러싸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실; 건조실 상방에 건조실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건조실 상부를 형성하는 건조실 상부 벽; 건조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과 아울러 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연소부; 건조실 내부 공기를 연소부 주위로 순환시켜 연소부의 복사열이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컨벡션 팬; 건조실에서 발생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유입되며, 상기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응축기; 및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건조실의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를 응축기로 유입되게 하고,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을 연소부로 보내는 블로워;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부는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며 인가되는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 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그 복사열을 건조실로 제공하여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는 연소관, 그리고 가열수단과 연소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이 유입되어 열분해되는 연소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명한 구성 요소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연소부 하방에 설치되어, 연소부를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차단하는 격벽; 응축기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응축기에 공기를 불어 냉각시키는 냉각팬; 그리고 건조실에서 발생한 기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동시에 유기물을 열분해 한다.
가열수단이 열을 발산하면 연소공간과 연소관이 가열되면서 연소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연소부의 복사열에 의해 상승된 건조실 상부 공기는 컨벡션 팬에 의해 건조실 중심부로 강제 대류되어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실에 구비된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면서 가열되므로 건조실에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이하 기체로 표기) 발생이 촉진된다. 건조실 내의 기체는 블로워에 의해 응축기로 유입된다. 기체중 일부는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며, 수분으로 변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응축수 탱크로 유입된다.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기체는 블로워를 거처 연소관으로 유입되어 연소공간을 통과하면서 열분해 된다. 연소공간을 통과하여 정화된 기체는 건조실 상부로 배출되어 건조실 상부공기와 함께 컨벡션 팬에 의해 건조실 중심부로 이동하여 대류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밀폐된 상태에서 기체가 순환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응축기와 연소부에 의해 응축 및 열분해가 반복해서 이루워지고, 건조와 열분해가 완료된 후 건조된 쓰레기와 응축수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서 쓰레기 처리과정이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연소부가 건조실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과 아울러 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는바, 가열수단과 탈취수단이 각각 구비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밀폐된 상태에서 기체가 순환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응축기와 연소부에 의해 응축 및 열분해가 반복해서 이루어짐으로,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와 오염물질이 현저히 저감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2-2 를 절개한 단면도.
도 3 은 연소부(15)의 확대 단면도.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을 이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2-2 를 절개한 단면도, 도 3 은 연소부(15)의 확대 단면도이다.
건조실(20)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하면에 설치된 교반기(26)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공간으로, 건조실 벽(24)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본체(22)내에 구비된다.
건조실(20) 상방에는 건조실 벽(24)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건조실 상부 벽(124)이 구비되어 건조실 상부(120) 공간을 형성한다. 건조실(20)과 건조실 상부(120)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가 작동할 때 외부와 밀폐되도록 연결되어 건조실(20)에 발생하는 기체가 응측기(50) 이외 다른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건조실 상부(120)에는 건조실(20)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과 아울러 건조실(20)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연소부(15)가 설치된다. 상기 연소부(15)는 인가되는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30), 가열수단(30)을 둘러싸는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 가열수단(30)에 의해 가열되어 그 복사열을 건조실(20)로 제공하여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는 연소관(40), 그리고 가열수단(30)과 연소관(4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소공간(35)으로 구성된다.
가열수단(30)은 작동시 표면온도가 적어도 700℃ 이상으로 유지되고, 시간당 소비전력이 900 와트 (W) - 200 와트 (W)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수단(30)의 시간당 소비전력이 900 와트 (W) 이상일 경우 발열량이 증가하여 열분해 성능이 향상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이 촉진되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가 필요 이상 과열되어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다. 가열수단(30)의 시간당 소비전력이 200 와트 (W) 보다 작을 경우 열분해 성능이 저하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이 느려짐으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를 오래 작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가열수단(30)은 내열 충격성이 우수한 열판(미도시)에 발열선(미도시)을 편입하여 구성된다. 발열선은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공간(35)과 연소관(40)은 가열수단(30)에 의해 가열되며, 연소관(40)은 그 복사열이 건조실(20) 중심부로 전달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되는 것을 촉진하고, 연소공간(35)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한 유기물이 유입되어 열분해 정화된다. 따라서 연소관(40)은 가열수단(30)이 발산하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세라믹이나 내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또는 세라믹과 내열금속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소부(15)가 구비된 건조실 상부(120)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실 상부 벽(124)은 연소부(15)에서 발산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단열재(126)로 둘러싸여 건조실 상부(12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기(26)는 건조실(20) 하면에 설치되며 회동함에 따라 건조실(20) 내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파쇄 시킨다. 교반기(26)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8)와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교반기(26)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컨벡션 팬(80)은 모터(미도시)에 연결된 팬이 회전하면서 건조실(20)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장치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20)의 공기는 컨벡션 팬(80)에 의해 건조실 상부(120)로 이동하고(라인 T1), 건조실 상부(120)에서 연소부(15) 주위를 통과한 공기는 건조실(20) 중심부로 다시 유입되어(라인 T2)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전달한다. 건조실(20) 중심부의 온도와 연소부(40) 주위의 온도는 최고 500℃ 까지 차이가 있어서, 건조실(20) 공기가 컨벡션 팬(80)에 의해 연소부(15) 주위를 통과하면서 강제 대류되면 결과적으로 건조실(20) 중심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이 촉진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발생한다.
본체(22)내에 설치된 블로워(60)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공기의 압력차를 만드는 장치이다. 블로워(60)는 응축기(50)와 연소부(15) 사이에 연결된다. 건조실(20)에 발생되는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는 블로워(60)에 의해 응축기(50)로 유입된다(라인 F1). 응축기(50)에서 증기가 냉각되어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55)에 모여(라인 F2) 활성탄에 의해 정화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응축기(50)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은 블로워(60) 입구(미도시)를 통해 블로워로 이동하고(라인 F3), 다시 블로워(60) 출구(미도시)를 통해 빠져나와 연소부(15)로 유입된다(라인 F4).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실(20)에서 발생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응축기(50)로 유입되는 양은 블로워(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의 일측에는 응축기(50)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응축기에 공기를 불어 냉각시키는 냉각팬(52)이 설치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60) 출구를 통해 배기되는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은 연결관(점선으로 도시)을 통해 연소관(4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라인 F4), 연소관(40)과 가열수단(30) 사이에 형성된 연소공간(35)을 통과(라인 F5)하면서 열분해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연소관(40)의 타측으로 빠져나와 건조실 상부(120)로 배출된다(라인 F6). 연소관(40)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유입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길게 함으로서 연소공간(35)에서 가열수단(30)과 접촉하며 이동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열분해 효율이 향상된다.
격벽(85)은 연소부(15) 하방에 설치되어, 연소부(15)를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85)에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구(88)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구(88)를 통해 건조실 상부(120)의 공기가 건조실(20)로 대류(라인 T2)된다. 순환구가 형성된 격벽(85)의 타측에는 컨백션 팬(80)이 연결되며, 건조실(20)의 공기는 상기 컨벡션 팬(80)에 의해 건조실 상부(120)로 이동한다(라인 T1).
건조실 상부(120)와 응축기(50) 사이에 건조실(20)에서 발생한 기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90)가 구비된다. 건조실(20)에서 교반되는 쓰레기의 건조 진행정도는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기체의 온도와 습도의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센서부(90)는 기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습도가 낮아지면, 컨벡션 팬(80)의 작동을 중단하여 건조실(20)과 건조실 상부(120)에서 진행되는 공기의 강제대류를 정지시킨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10)는 연소부(15)가 유기물을 열분해 하는 작용 이외에 건조실(20)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두가지 작용을 할 수 있지만, 필요할 경우에는 컨벡션 팬(80)의 작동을 중단함으로서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작용만 선택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10: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15: 연소부
20: 건조실 22: 본체
24: 건조실 벽 26: 교반기
28: 구동모터 30: 가열수단
35: 연소공간 40: 연소관
50: 응축기 52: 냉각팬
55: 응축수 탱크 60: 블로워
80: 컨벡션 팬 85: 격벽
88: 순환구 90: 센서부
120: 건조실 상부 124: 건조실 상부 벽
126: 단열재
F1: 건조실에서 발생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응축기로 유입되는 흐름
F2: 응축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수 탱크로 이동하는 흐름
F3: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이 블로워 입구로 유입되는 흐름
F4: 블로워 출구로 배기되는 증기와 유기물이 연소관 입구쪽으로 이동하는 흐름
F5: 연소공간을 통과하면서 열분해 되는 기체의 흐름
F6: 연소공간을 통과한 기체가 연소관 출구를 통해 건조실 상부로 배기되는 흐름
T1: 건조실의 공기가 컨벡션 팬을 통해 건조실 상부로 유입되는 흐름
T2: 건조실 상부로 유입되어 연소부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다시 건조실로 유입되는 흐름

Claims (13)

  1. 건조실 벽으로 둘러싸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실; 건조실 상방에 건조실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건조실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실 상부 벽; 건조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 건조실 상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과 아울러 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유기물을 열분해하는 연소부; 건조실 내부 공기를 연소부 주위로 순환시켜 연소부의 복사열이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컨벡션 팬; 건조실에서 발생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유입되며, 상기 증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로 만드는 응축기; 및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건조실의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를 응축기로 유입되게 하고,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을 연소부로 보내는 블로워;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부가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 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그 복사열을 건조실로 제공하여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하는 연소관; 및 가열수단과 연소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응축기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이 유입되어 열분해되는 연소공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서 건조실에서 발생된 유기물을 포함한 증기가 응축기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의 시간당 소비전력이 900 와트 (W) - 200 와트 (W)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연소관이 가열수단이 발산하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세라믹이나 내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또는 세라믹과 내열금속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연소관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유입된 응축되지 않은 증기와 유기물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길게함으로서 연소공간에서 가열수단과 접촉하며 이동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열분해 효율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이 열판에 발열선을 편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부 하방에 설치되어, 연소부를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실에서 발생한 기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기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응축기에 공기를 불어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실 상부 벽이 연소부에서 발산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건조실 상부 벽이 건조실 상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발열선이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20120141567A 2012-12-07 2012-12-07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KR20140073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567A KR20140073751A (ko) 2012-12-07 2012-12-07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567A KR20140073751A (ko) 2012-12-07 2012-12-07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751A true KR20140073751A (ko) 2014-06-17

Family

ID=5112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567A KR20140073751A (ko) 2012-12-07 2012-12-07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7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424A (zh) * 2019-11-27 2020-05-08 天津华庆百胜能源有限公司 一种塑料桶碎片回收用脱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424A (zh) * 2019-11-27 2020-05-08 天津华庆百胜能源有限公司 一种塑料桶碎片回收用脱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177B1 (ko) 마이크로파 회전 건조기
JP2009172569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KR20110102587A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0244389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390966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18969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소멸방법
KR20140073751A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음식물 건조기
KR101431968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KR20160097544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479849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KR20090085193A (ko) 인덕션 히터가 내장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78960A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JP2001056178A (ja) マイクロ波乾燥機
KR100480700B1 (ko) 쓰레기 처리기
KR1008859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JP2006051483A (ja) 有機廃棄物の複合加熱による乾燥処理装置
KR10145106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볶음기
KR100438602B1 (ko) 고주파 가열방식 쓰레기 처리기의 재가열 방지장치
JP2002126700A (ja) 燃焼脱臭生ごみ処理機
KR100822430B1 (ko) 마이크로 전자파 복사변환체를 이용한 수분이 함유된유/무기물 건조장치
JP2001033158A (ja) バッチ式回転乾燥機
KR20060116598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455182B1 (ko) 고주파 가열방식 쓰레기 처리기의 증기 순환장치
KR20100094165A (ko)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1255A (ko)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