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608A -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608A
KR20140073608A KR1020120134445A KR20120134445A KR20140073608A KR 20140073608 A KR20140073608 A KR 20140073608A KR 1020120134445 A KR1020120134445 A KR 1020120134445A KR 20120134445 A KR20120134445 A KR 20120134445A KR 20140073608 A KR20140073608 A KR 2014007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oling
temperature
window ope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945B1 (ko
Inventor
김성훈
이혜훈
문혜진
Original Assignee
김성훈
문혜진
이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문혜진, 이혜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2013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를 환기시키고,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것으로서 냉방장치 및 창호 개폐 구동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명령 입력부로부터 운전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며, 창호를 개방시킨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폐쇄시키게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냉방장치로 냉방 운전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운전을 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AND COOLING}
본 발명은 실내를 환기시키고,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환기를 시키고 있다.
그러나 냉방장치를 동작시켜 실내를 냉방시킬 경우에 통상적으로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창호를 모두 닫게 된다.
상기 창호를 모두 닫게 되면, 열 손실이 줄어드는 반면에 실내공기가 환기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냉방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 실내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키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냉방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실내공기를 환기시켜야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냉방장치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냉방장치를 동작시켜 실내를 냉방시킬 경우에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거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여름철에 실내공기의 온도는 복사열 등으로 인하여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매우 높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경우에 실내공기의 온도를 실외공기로 ??출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명령을 할 경우에 냉방장치가 바로 운전을 수행하게 되므로 필요없이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방장치를 동작시켜 실내공기를 냉방시킬 경우에 먼저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실내공기를 충분히 환기시켜 쾌적하게 되도록 한 후 냉방장치를 운전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방장치를 운전하는 상태에서도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냉방장치의 운전을 정지하고, 실내공기를 충분히 환기시켜 쾌적하게 되도록 한 후 다시 냉방장치를 운전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공기의 온도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경우에 냉방장치를 운전하지 않고, 실내를 환기시켜 실외공기로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춘 후 냉방장치를 운전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냉방장치 및 창호 개폐 구동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명령 입력부로부터 운전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며, 창호를 개방시킨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폐쇄시키게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냉방장치로 냉방 운전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운전을 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가 검출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센서는, 실내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센서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가 검출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니고,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폐쇄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는 환풍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할 경우에 상기 환풍기 구동부가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할 경우에 상기 환풍기 구동부가 상기 환풍기를 정지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의 창호 폐쇄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여 창호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창호가 폐쇄되었을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를 냉방운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운전을 하는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의 냉방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은, 운전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운전명령을 입력받을 경우에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공기의 온도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창호폐쇄센서의 검출신호로 창호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창호가 폐쇄되었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냉방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 먼저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실내공기를 충분히 환기시켜 쾌적하게 되도록 한 후 냉방장치를 운전한다.
그러므로 실내공기가 쾌적한 상태에서 냉방장치를 운전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냉방장치를 운전하는 상태에서도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냉방장치의 운전을 정지하고, 실내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킨 후 다시 냉방장치를 운전함으로써 냉방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실내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냉방운전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 환기를 수행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춘 후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더운 여름철에 냉방운전의 시간을 줄이고, 필요없이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이고, 부호 110은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운전 명령에 따라 운전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기기이며, 부호 120은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창호를 개폐시키는 창호 개폐 구동부이다.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는 창호 폐쇄 센서(122)를 구비하여 창호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환기 및 냉방 시스템은 사용자가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에 냉방 운전을 명령할 경우에 창호 개폐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고, 실내 공기가 환기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에 창호 개폐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창호를 폐쇄시킨다.
상기 창호가 완전히 폐쇄되면, 창호 폐쇄 센서(122)가 창호의 완전 폐쇄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는 상기 창호 폐쇄 센서(122)의 검출신호로 창호의 완전히 폐쇄되었음을 판단하고, 냉방장치(110)에 운전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냉방장치(110)는 상기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운전 명령에 따라 냉방 운전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는 명령 입력부(210)와, 메모리(220)와, 통신모듈(230)과, 오염도 센서(240)와, 표시부(250)와, 환풍기 구동부(260)와, 실내온도센서(270)와, 실외온도센서(280)와,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명령 입력부(210)는 복수 개의 키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키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저작함에 따라 운전 명령 또는 정지 명령 등을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220)는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 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CF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30)은 냉방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운전명령 또는 정지명령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30)은 창호 개폐 구동부(1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창호의 개폐 명령을 전송하고, 창호 폐쇄 센서(122)의 검출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모듈(230)은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의 근거리 통신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 Band) 통신 및 지그비(ZigBee)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30)은 상기 냉방장치(110) 및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30)이 상기 냉방장치(110) 및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경우에 RS-232C 통신, RS 422 통신 또는 RS 485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230)로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유선통신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인터넷 모듈이나 원거리 통신 모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오염도 센서(240)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염도 센서(240)는 먼지센서로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의 양으로 오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50)는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부(250)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전용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환풍기 구동부(260)는 환풍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환기시킨다.
상기 실내온도센서(270)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실외온도센서(280)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290)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운전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230)을 통해 창호 개폐 구동부(1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가 창호를 개방시키고,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실내공기의 온도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을 계속 환기를 수행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를 자연적으로 낮추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오염도 센서(240)가 검출하는 실내공기의 오염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고,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가 창호를 폐쇄시키도록 하고, 창호 폐쇄 센서(122)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창호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창호가 완전히 폐쇄되었음이 판단될 경우에 통신모듈(230)을 통해 냉방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가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운전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상기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운전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오염도 센서(240)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한다(S302).
상기 판단 결과,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4). 예를 들면, 상기 오염도 센서(240)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로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창호 개방명령을 발생하고, 발생한 창호 개방명령을 통신모듈(230)을 통해 창호 개폐 구동부(120)로 전송한다(S306).
그러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는 상기 창호 개방명령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창호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환풍기 구동부(260)로 환풍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308).
상기 환풍기 구동부(260)는 상기 환풍기 구동신호에 따라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단계(S302)로 복귀하여 오염도 센서(240)의 신호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고, 상기 환풍기 구동부(260)로 계속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설정값 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실내온도센서(270) 및 실외온도센서(280)의 신호를 입력하여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판단한다(S310).
그리고 상기 제어부(290)는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2).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90)는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2℃ 이상 높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창호 개방명령을 통신모듈(230)을 통해 창호 개폐 구동부(120)로 전송하고(S306), 환풍기 구동신호를 발생한다(S308).
그러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는 상기 창호 개방명령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계속 창호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환풍기 구동부(260)는 상기 환풍기 구동신호에 따라 계속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킨다.
즉, 무더운 여름철 등에 실내공기의 온도는 복사열 등에 의해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낮추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도록 될 때까지 계속 환기를 시킴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설정값 보다 낮고, 또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290)는 창호 폐쇄명령을 발생하고, 발생한 창호 폐쇄명령을 통신모듈(230)을 통해 창호 개폐 구동부(120)로 전송되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한다(S314).
그리고 상기 제어부(290)는 환풍기 구동부(260)로 환풍기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환풍기 구동부(260)가 환풍기를 정지시키게 한다(S316).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에 구비된 창호 폐쇄센서(122)의 검출신호를 입력하고(S318), 상기 창호 폐쇄센서(122)의 검출신호로 창호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0).
상기 창호가 폐쇄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창호 폐쇄센서(122)의 검출신호를 입력하고(S318), 상기 창호 폐쇄센서(122)의 검출신호로 창호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320)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창호가 폐쇄되었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냉방 운전명령을 발생하여 통신모듈(230)을 통해 냉방장치(110)로 전송한다(S322).
그러면, 상기 냉방장치(110)는 냉방운전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90)는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정지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24), 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오염도 센서(240)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며(S326), 판단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8).
상기 판단 결과,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단계(S324)로 복귀하여 상기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정지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오염도 센서(240)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며, 판단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328)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냉방 정지명령을 상기 통신모듈(230)을 통해 냉방장치(110)로 전송하여 상기 냉방장치(110)가 냉방운전을 정지하게 하고(S330), 상기 단계(S306)로 복귀하여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120)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창호 개방명령을 발생하고, 환풍기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환풍기 구동부(260)가 환풍기를 구동 및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하는 동작부터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324)에서 명령 입력부(210)로부터 정지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냉방 정지명령을 발생하고, 발생한 냉방 정지명령을 상기 통신모듈(230)을 통해 냉방장치(110)로 전송하여 냉방장치(110)가 냉방운전을 정지시키게 제어하며(S328),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110 : 냉방장치
120 : 창호 개폐 구동부 122 : 창호 폐쇄 센서
210 : 명령 입력부 220 : 메모리
230 : 통신모듈 240 : 오염도 센서
250 : 표시부 260 : 환풍기 구동부
270 : 제어부

Claims (14)

  1. 냉방장치 및 창호 개폐 구동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명령 입력부로부터 운전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며, 창호를 개방시킨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폐쇄시키게 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냉방장치로 냉방 운전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운전을 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가 검출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실내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센서인,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센서;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을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개방시키게 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가 검출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니고,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경우에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로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창호를 폐쇄시키게 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는 환풍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호 개방 명령을 전송할 경우에 상기 환풍기 구동부가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폐쇄 명령을 전송할 경우에 상기 환풍기 구동부가 상기 환풍기를 정지시키게 제어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의 창호 폐쇄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여 창호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창호가 폐쇄되었을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를 냉방운전시키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운전을 하는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판단한 실내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의 냉방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9. 운전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운전명령을 입력받을 경우에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공기의 온도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설정온도 이상 높지 않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의 개방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창호폐쇄센서의 검출신호로 창호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창호가 폐쇄되었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폐쇄시킨 후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냉방장치가 냉방 운전을 정지하게 제어하고 상기 창호 개폐 구동부가 창호를 개방시키게 제어하는 단계는;
    환풍기를 구동시켜 실내공기를 강제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에서의 환기 및 냉방 제어방법.
KR1020120134445A 2012-11-26 2012-11-26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6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45A KR101468945B1 (ko) 2012-11-26 2012-11-26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445A KR101468945B1 (ko) 2012-11-26 2012-11-26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08A true KR20140073608A (ko) 2014-06-17
KR101468945B1 KR101468945B1 (ko) 2014-12-15

Family

ID=5112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445A KR101468945B1 (ko) 2012-11-26 2012-11-26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9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5630A (zh) * 2015-10-14 2015-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882465A (zh) * 2017-10-18 2018-04-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07836A (ko) 2020-07-12 2022-01-19 노인숙 책받침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95B1 (ko) * 2019-06-27 2020-07-15 이도영 미세먼지 차단을 통한 실내 공기질 유지용 원격 스마트 창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384A (ja) * 2000-08-02 2002-02-15 Toray Eng Co Ltd 居住空間の空調方法
KR100377227B1 (ko) * 2000-11-25 2003-03-26 유종이 냉방기용 에너지 절약 제어장치
KR200305313Y1 (ko) * 2002-11-11 2003-02-26 이형우 화장실용 환기장치
JP2005273937A (ja) * 2004-03-23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コン制御システム、エアコ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5630A (zh) * 2015-10-14 2015-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135630B (zh) * 2015-10-14 2018-1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882465A (zh) * 2017-10-18 2018-04-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82465B (zh) * 2017-10-18 2019-04-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07836A (ko) 2020-07-12 2022-01-19 노인숙 책받침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945B1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6338C (en) Indoor air quality sense and control system
US1006338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HVAC system using a proximity aware mobile device
CN104110789B (zh) 基于移动终端环境传感器的空调控制方法及系统
KR101305772B1 (ko) 실내 공기질 측정 기능을 갖는 리모컨을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시스템
KR101468945B1 (ko) 환기 및 냉방 제어장치 및 방법
TWI580906B (zh) 室內設備控制裝置、控制系統及控制方法
JP5304222B2 (ja) 室内設備制御システム
EP2463595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35336U (zh) 辐射供冷供暖用温度控制器
KR101108543B1 (ko) 개별적으로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KR20170029442A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CN103423841B (zh) 门禁空调联动控制方法和系统
CN205158184U (zh) 一种室内环境检测系统
US2005028416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28090B1 (ko) 통합센서모듈을 통한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37767A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KR20120107229A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KR20130107838A (ko) 냉난방용 유닛 및 그의 냉난방 관리 방법
JP2018162925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231271A1 (en) Smart vent apparatus and system
JP2012141104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CN104949265A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能源管理方法
KR102382063B1 (ko) 홈 엣지 서버를 활용한 공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20150117404A (ko) 공기조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2013788A (ja) センサ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