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38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380A
KR20140073380A KR1020130022422A KR20130022422A KR20140073380A KR 20140073380 A KR20140073380 A KR 20140073380A KR 1020130022422 A KR1020130022422 A KR 1020130022422A KR 20130022422 A KR20130022422 A KR 20130022422A KR 20140073380 A KR20140073380 A KR 20140073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rder
display
display spa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792B1 (ko
Inventor
김영진
김강태
김성희
박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65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0624B1/en
Priority to EP17191028.4A priority patent/EP3287884B1/en
Priority to EP13195811.8A priority patent/EP2741201A3/en
Priority to US14/097,788 priority patent/US10564792B2/en
Priority to CN201380071613.8A priority patent/CN104956301B/zh
Priority to BR112015012539-5A priority patent/BR112015012539B1/pt
Priority to AU2013356799A priority patent/AU2013356799B2/en
Priority to CN201910525925.0A priority patent/CN110413191B/zh
Priority to CN201910525895.3A priority patent/CN110427130B/zh
Priority to PCT/KR2013/011309 priority patent/WO2014088375A1/en
Priority to CN201711096847.4A priority patent/CN107967087B/zh
Publication of KR2014007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380A/ko
Priority to US16/566,295 priority patent/US11853523B2/en
Priority to KR1020200140051A priority patent/KR102301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톱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모니터)를 가진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예,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진다.
데스크톱 컴퓨터의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예, 복수의 윈도우를 띄워놓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가로분할 또는 세로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경우, 키보드에 있는 페이지 업(page up) 버튼 또는 페이지 다운(page down) 버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키보드 대신 마우스를 이용하는 경우, 마우스의 커서로 웹 페이지의 측면에 있는 스크롤 바(scroll bar)를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아래 부분에 있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맨 위로(top) 버튼을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맨 위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가 작고, 입력에 제한을 가진다. 모바일 장치는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는 상기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의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이용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바일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고 있으나, 모바일 장치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된다. 그리고, 다른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종료시키고 나서, 다시 상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키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모바일 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과정들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모바일 장치에서 동시에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고 있으나, 모바일 장치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또한, 복수 개의 윈도우를 용이하게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윈도우 배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특히, 사용자가 윈도우를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원하는 사이즈 및 위치에 용이하게 윈도우를 배치시키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청된다.
특히, 복수 개의 윈도우가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현재 표시되는 윈도우에서 다른 후순위 윈도우로 화면을 전환하는 구성은 개시되고 있지 않다.
발명은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다양한 크기로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표시되는 윈도우 및 후순위 윈도우 사이에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표시되는 윈도우 및 후순위 윈도우 사이에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윈도우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 개의 윈도우가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현재 표시되는 윈도우에서 다른 후순위 윈도우로 화면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윈도우가 표시되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 및 크기로 윈도우를 실행시킬 수 있는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a 내지 3i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Z-order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m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수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 내지 9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레이 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6a 내지 1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9 분할 스플릿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a 내지 2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23a 및 23b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25a 및 2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27a 및 2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29a 및 2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6a 내지 3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7a 내지 37c는 도 36a 내지 36c 각각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8a 내지 3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9a 내지 39c는 도 38a 내지 38c 각각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제1 터치스크린(190a), 제2 터치스크린(190b)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TV, 인터넷 TV, 의료용 데이터 표시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더링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장치면 제한이 없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들(201 내지 204)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의 경계선인 제 1 경계선(211),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의 경계선인 제 2 경계선(212),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의 경계선인 제 3 경계선(213)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의 경계선인 제 4 경계선(214)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경계선(211) 및 제 2 경계선(212)은 하나의 선분을 이룰 수 있으며, 제 3 경계선(213) 및 제 4 경계선(214)은 하나의 선분을 이룰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 내지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을 좌상 측에 설정하고,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을 우상 측에 설정하고,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을 좌하 측에 설정하고,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을 우하 측에 설정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화면을 좌우로 양분하도록 제 1 및 제 2 경계선(211,212)을 설정하고, 화면을 상하로 양분하도록 제 3 및 제 4 경계선(213,214)을 설정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제 1 및 제 2 경계선(211,212)과 제 3 및 제 4 경계선(213,214)이 교차하는 부분에 센터 버튼(210)을 표시한다. 센터 버튼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윈도우 위치 변경 모드에 진입하는 기능 키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 표시 공간(201 내지 204)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들을 하나씩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도 2b 내지 2k에서와 같이 윈도우 표시 공간(201 내지 204) 각각에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윈도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타이틀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객체(object)들이 표시될 수 있다. 객체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버튼, 체크박스, 사진, 동영상, 웹(web), 맵(map)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객체를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 상기 객체에 미리 정해진 기능 또는 이벤트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운영체제에 따라 뷰(view)라고 불리울 수 있다. 타이틀 바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는 윈도우 표시 최소화 버튼, 윈도우 표시 최대화 버튼 및 윈도우 종료 버튼일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들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200) 제조사 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다. 이에 따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실행되고 있을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더라도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계속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일부 기능들(메모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추가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또는, 듀얼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갖도록 새롭게 제작되는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기능들은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러한 새로운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 상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23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런처 어플리케이션(laucher application)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31 내지 238)을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31 내지 238) 중 하나를 터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런처 어플리케이션은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윈도우 표시 공간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201) 내지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 중 하나에 표시한다.
한편, 도 3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관리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런처 어플리케이션 스택(301)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도 2c에서 사용자(1)는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d와 같이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40)를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가 표시되는 윈도우 표시 공간을 기설정된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20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의 시계 방향의 순서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순서는 단순한 예시이며, 제어부(미도시)는 반시계 방향의 순서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윈도우 표시 공간에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는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3b는 도 2d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B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B 어플리케이션 스택(302)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B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2)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B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e에서 사용자(1)는 C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3)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도 2e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e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B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3)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f와 같이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50)를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d는 도 2f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C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C 어플리케이션 스택(303)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C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3)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C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g에서 사용자(1)는 D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4)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e는 도 2g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g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C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4)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h와 같이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60)를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203)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f는 도 2h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D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D 어플리케이션 스택(304)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D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4)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D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도 2i에서와 같이 B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도 3g는 도 2i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B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장 최근에 실행된 B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2)을 최상위에 배치한다.
도 2j에서 사용자(1)는 E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5)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h는 도 2k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j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D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5)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k와 같이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70)를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04)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비어있는(empty) 윈도우 표시 공간이 없는 경우에, 도 3h의 액티비티 스택을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액티비티 스택 중 가장 z-오더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h에서, 제어부(미도시)는 C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낮은 z-오더 의 C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250) 상에 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7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i는 도 2k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E 어플리케이션 스택(305)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E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5)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E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 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401).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를 배치하기 위한 레이 아웃(lay out)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 아웃은,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는 윈도우 표시 공간을 정의한 개념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 아웃은 스플릿 모드(split mode) 및 프리스타일 모드(freestyle mode)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스플릿 모드는 복수 개의 윈도우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될 수 있는 표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를 표시하는 상황을 상정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화면을 기설정된 레이 아웃(lay out)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부분들을 윈도우 표시 공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윈도우 표시 공간 상에 윈도우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윈도우 표시 공간은 화면상에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플릿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상에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의 z-오더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윈도우의 z-오더가 제 2 윈도우의 z-오더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상에 제 1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상에 제 2 윈도우를 배치한 것으로 관리하기는 하지만, 제 2 윈도우를 표시하지는 않는다.
프리스타일 모드는 복수 개의 윈도우가 각각의 표시 순위에 기초하여 서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윈도우가 표시되는 영역이 제 2 윈도우가 표시되는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 각각의 z-오더(z-order)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z-오더는 각각의 윈도우 사이의 표시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윈도우의 z-오더가 제 2 윈도우의 z-오더보다 높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제 2 윈도우가 아닌 제 1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플릿 모드는 상하 2 분할 레이 아웃, 좌우 2분할 레이 아웃, 3분할 레이 아웃, 4분할 레이 아웃 등등의 다양한 레이 아웃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S405에서, 윈도우 배치의 레이 아웃이 스플릿 모드인지 또는 프리스타일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추가적으로 윈도우 배치의 레이 아웃이 스플릿 모드인 경우, 상하 2 분할 레이 아웃, 좌우 2분할 레이 아웃, 3분할 레이 아웃, 4분할 레이 아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 아웃을 확인하면(S405),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 아웃 상에서의 윈도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407). 예를 들어, 레이 아웃이 상하 2분할 레이 아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측 윈도우 표시 공간에 제 1 윈도우 및 제 3 윈도우를 배치할 것으로 결정하며, 하측 윈도우 표시 공간에 제 2 윈도우를 배치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레이 아웃이 프리스타일 모드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가 표시되는 좌표 영역을 결정하고, 제 2 윈도우가 표시되는 좌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z-오더를 확인할 수 있다(S409). 디스플레이 장치는 z-오더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411). 예를 들어, 레이 아웃이 상하 2분할 모드로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윈도우 및 제 3 윈도우의 z-오더를 비교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를 해당 윈도우 표시 공간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레이 아웃이 예를 들어 프리스타일 모드로 결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 각각의 z-오더를 비교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401).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으로부터, 윈도우를 표시하고자하는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드래그 제스처 입력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된 레이 아웃이 프리스타일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1). 설정된 레이 아웃이 프리스타일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면(S421-Y),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 각각의 z-오더를 확인할 수 있다(S423).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인한 z-오더 순으로 윈도우를 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S425).
한편, 설정된 레이 아웃이 스플릿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면(S421-N),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표시 공간 각각에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S431).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윈도우 표시 공간에서의 윈도우들의 z-오더를 확인할 수 있다(S433).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 1과 같은 z-오더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윈도우 표시 공간(페이지) z-오더
A 1 1
B 2 5
C 3 6
D 2 2
E 1 3
F 4 4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E 윈도우가 아닌 z-오더가 상대적으로 높은 A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B 윈도우가 아닌 z-오더가 상대적으로 높은 D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에는 C 윈도우를, 제 4 윈도우 표시 영역에는 F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표시 공간 각각에 최상위 z-오더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435).
도 5는 Z-order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화면의 Z-order를 N개의 계층(layer)로 구분하고, N번째 레이어는 N-1번째 레이어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 레이어에 해당할 수 있다. 각 레이어에는 해당 윈도우가 존재하고 그 윈도우상에 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제1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제1 레이어상의 윈도우에 실행되고, 이후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제2 레이어상의 윈도우에 실행되고, 이후 제 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제 3 레이어상의 윈도우에 실행됨으로써, 제1,2,3번째 레이어가 계층적으로 생성된다. 즉,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레이어가 가장 최상위에 존재하여 최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화면(196) 상에는 복수 개의 윈도우들(a 내지 d)이 서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1 윈도우(a)는 제 2 윈도우 내지 제 4 윈도우(b 내지 d)를 덮도록 표시되며, 제 2 윈도우(b)는 제 3 및 제 4 윈도우(c 및 d)를 덮도록 표시되며, 제 3 윈도우(c)는 제 4 윈도우(d)를 덮도록 표시된다. 즉, 복수 개의 윈도우들(a 내지 d)은 중첩되는 경우, 표시되는 순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되는 순서를 Z-order라고 명명할 수 있다. Z-order는 z 축에 대한 윈도우의 표시 순서일 수 있다. 계층 뷰어(e)는 Z-order를 계층화하여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한편, Z-order는 표시 순서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6d의 실시 예는 특히, 프리스타일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윈도우 표시 공간(620)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윈도우 표시 공간(620)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611 내지 617)을 포함하는 트레이(610)를 표시한다. 사용자(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사용자(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의 아이콘(611)으로부터 윈도우 표시 공간(620)의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625)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입력된 실행 명령, 즉 드래그 제스처(625)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630)를 윈도우 표시 공간(620)의 제 1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1 윈도우(630)의 크기 및 형상은 디폴트된 값이거나, 또는 종료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사용자(10)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의 아이콘(613)으로부터 윈도우 표시 공간의 제 2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635)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입력된 실행 명령, 즉 드래그 제스처(635)에 기초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A3)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640)를 윈도우 표시 공간(620)의 제 2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2 윈도우(630)의 크기 및 형상 또한 디폴트된 값이거나, 또는 종료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가 더욱 최근에 제스처를 입력한 윈도우는 제 3 윈도우(640)이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보다 제 3 어플리케이션(A3)에 더 높은 태스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이 제 1 어플리케이션(A1)을 덮으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S70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트레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이콘으로부터 윈도우를 배치하는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S7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아이콘으로부터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인 제 1 지점의 레이 아웃 상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705). 예를 들어, 설정된 표시 모드가 스플릿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지점의 레이 아웃에서 어느 윈도우 표시 공간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 아웃 상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S707).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의 결정된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S709).
도 8a 내지 8m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수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메뉴 화면(817)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817)은 런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일 수 있으며,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뉴 화면(817)은 현재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위젯(widjet)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터치스크린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811 내지 816)을 포함하는 트레이(810)를 표시한다.
사용자(10)는, 도 8b와 같이,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의 아이콘(811)을 터치하고, 도 8c와 같이 메뉴 화면(817)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해당 아이콘(811)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도록 고스트 뷰(ghost view)(818)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스트 뷰(818)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윈도우가 실행될 크기 및 형상을 미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윈도우 배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뷰(view)를 의미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표시되는 윈도우가 없기 때문에 풀 스크린의 고스트 뷰(818)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없는 경우에는 풀 스크린의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1개인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절반으로 분할한 크기 및 형태의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2개인 경우에는 2개 중 하나의 윈도우를 절반으로 분할한 크기 및 형태의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8r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3개인 경우에는 가장 크기가 큰 윈도우를 절반으로 분할한 크기 및 형태의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8r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술한 드래그 제스처를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생성된 제 1 윈도우(819)를 도 8d와 같이 풀 스크린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적으로 제 2 어플리케이션(B)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제 2 어플리케이션(B)의 아이콘(812)을 도 8e와 같이 터치한 이후에, 도 8f와 같이 제 1 윈도우(819)의 하부로 드래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해당 아이콘(812)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고스트 뷰(823)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1개의 윈도우(819)가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고스트 뷰(823)를 터치스크린의 절반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지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10)의 터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상부인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고스트 뷰를 하측 절반이 아닌 상측 절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고스트 뷰가 하측 절반에 표시되는 것 또한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을 좌/우로 분할하여 어느 하나에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10)의 드래그 입력이 도 8f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하방에서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g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도 8f의 고스트 뷰(823)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의 하측 절반에 제 2 윈도우(83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820)의 크기 및 형태를 터치스크린의 상측 절반에 대응하도록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825)을 생성하여 제 1 윈도우(820) 및 제 2 윈도우(830)의 경계선상에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는(10)는 추가적으로 제 3 어플리케이션(C)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제 3 어플리케이션(C)의 아이콘(813)을 도 8h와 같이 터치한 이후에, 도 8i와 같이 제 1 윈도우(820)의 우측 부분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해당 아이콘(813)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고스트 뷰(827)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2개의 윈도우(820,830)가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고스트 뷰(827)를 제 1 윈도우(820)의 절반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지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10)의 터치 위치가 제 1 윈도우(820)의 좌측 부분인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고스트 뷰를 우측 절반이 아닌 좌측 절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고스트 뷰가 우측 절반에 표시되는 것 또한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820)을 상/하로 분할하여 어느 하나에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가 고스트 뷰(827)를 제 1 윈도우(820)의 절반에 표시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825)을 기준으로 하여 고스트 뷰(827)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의 드래그 입력이 도 8i와 같이 제 1 윈도우(820)의 우측 부분에서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j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도 8i의 고스트 뷰(827)에 대응하는 제 1 윈도우(820)의 우측 절반에 제 3 윈도우(8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825)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 3 윈도우(84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820)의 크기 및 형태를 제 3 윈도우(840)의 생성에 대응하도록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윈도우(840)가 표시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 상에 제 1 윈도우(8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10)는 추가적으로 제 4 어플리케이션(C)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제 4 어플리케이션(D)의 아이콘(814)을 도 8k와 같이 터치한 이후에, 도 8l과 같이 제 2 윈도우(830)의 우측 부분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해당 아이콘(814)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10)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고스트 뷰(831)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3개의 윈도우(820,830,840)가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고스트 뷰(831)를 제 2 윈도우(830)의 절반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지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10)의 터치 위치가 제 2 윈도우(830)의 좌측 부분인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고스트 뷰를 우측 절반이 아닌 좌측 절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고스트 뷰가 우측 절반에 표시되는 것 또한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윈도우(830)을 상/하로 분할하여 어느 하나에 고스트 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가 고스트 뷰(831)를 제 2 윈도우(830)의 절반에 표시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825)을 기준으로 하여 고스트 뷰(831)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8n 내지 도 8q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10)의 드래그 입력이 도 8l와 같이 제 2 윈도우(830)의 우측 부분에서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m과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도 8l의 고스트 뷰(831)에 대응하는 제 2 윈도우(830)의 우측 절반에 제 4 윈도우(85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825)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 4 윈도우(85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윈도우(830)의 크기 및 형태를 제 4 윈도우(850)의 생성에 대응하도록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에 대응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에,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8a 내지 8m은 실행되는 윈도우의 위치만이 상이하고, 크기는 모두 동일한 실시 예에 대한 것이다. 후술할 도 9a 내지 도 17에서는 실행되는 윈도우의 위치 및 크기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9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레이 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는 분할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전체 화면 레이 아웃의 개념도이다. 도 9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전체에 대한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01)을 정의한다. 도 9b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01)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902)의 개념도이다.
도 9c는 상하 2 분할 스플릿 모드인 경우의 화면 레이 아웃의 개념도이다. 도 9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전체를 상하로 인접하게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1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1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9d는 상하 2 분할 스플릿 모드인 경우의 입력 공간의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공간(913)은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1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3 입력 공간(915)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12)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입력 공간(914)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1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12)의 경계선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1 입력 공간(913)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c의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3 입력 공간(915)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c의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1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2 입력 공간(912)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c의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1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12)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e는 좌우 2 분할 스플릿 모드인 경우의 화면 레이 아웃의 개념도이다. 도 9e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전체를 좌우로 인접하게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2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2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9f는 좌우 2 분할 스플릿 모드인 경우의 입력 공간의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공간(923)은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2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3 입력 공간(925)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22)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입력 공간(924)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2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22)의 경계선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1 입력 공간(923)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e의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3 입력 공간(925)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e의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2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으로부터 제 2 입력 공간(922)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를 도 9e의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2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22)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레이 아웃으로, 4분할 스플릿 모드를 위한 레이 아웃일 수 있다. 도 9h는 도 9g에 대응하는 4분할 스플릿 모드의 입력 공간의 개념도이다. 도 9g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44)을 정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내지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윈도우 표시 공간에 윈도우를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으로부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으로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상에 윈도우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어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을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의 경계선으로 입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전체에 해당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에 대응하는 제 1 입력 공간(941)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에 대응하는 제 2 입력 공간(942)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제 5 입력 공간(945)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에 대응하는 제 3 입력 공간(94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대응하는 제 4 입력 공간(944)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제 6 입력 공간(946)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제 7 입력 공간(947)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제 8 입력 공간(948)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제 9 입력 공간(949)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특정 입력 공간인 경우에, 위도우를 표시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을 정의하는 대응 관계는 표 2와 같다.
입력 공간 윈도우가 표시되는 윈도우 표시 공간
제 1 입력 공간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입력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입력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제 4 입력 공간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제 5 입력 공간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6 입력 공간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제 7 입력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제 8 입력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제 9 입력 공간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공간을 판단하기 위한 입력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 또는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에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경계선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들 전체에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종점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에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교차점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들 전체에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17에서는, 상술한 바에 따른 상이한 윈도우 크기 및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도 10 내지 17은 레이 아웃이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설정된 경우이며, 이에 따라 도 9g 및 9h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0a에서, 제어부는 윈도우 표시 공간(1000)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들(1011 내지 1017)을 포함하는 트레이(101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트레이(1010)가 항상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트레이(1010)가 트레이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트레이 호출 명령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의 좌측 에지(edge)로부터 입력되는 에지 플릭(edge flick)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표시 공간(1000)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도 10b에서, 사용자(10)는 F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016)으로부터 윈도우 표시 영역의 하단의 제 1 지점(1027)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21)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0c에서 제어부는 윈도우를 표시할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4분할 레이 아웃을 설정한 경우, 제어부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1027)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점(1027)이 도 9h의 제 8 입력 공간(948)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F 윈도우(102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2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23)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21)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0c에서와 같이 F 윈도우(1024)가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F 윈도우(1024)가 표시됨에 따라서, A 윈도우(1000)의 크기를 상측 절반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는 A 윈도우(1000)를 축소 이전과 동일한 가로-세로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가로-세로 비율을 새롭게 설정하여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도 10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윈도우(1000) 및 F 윈도우(1024)를 각각 상하에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5)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2 지점(1033)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1032)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1b에서, 제어부는 제 2 지점(1033)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2 지점(1033)이 도 9h의 제 8 입력 공간(948)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E 윈도우(103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31)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31)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32)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1c에서와 같이 E 윈도우(1034)가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도 11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A 윈도우(1000) 및 E 윈도우(1034)를 각각 상하에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7)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3 지점(1042)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1041)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2b에서, 제어부는 제 3 지점(1042)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3 지점(1042)이 도 9h의 제 9 입력 공간(949)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G 윈도우(104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4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43)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42)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2c에서와 같이 G 윈도우(1044)가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도 12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도 13b에서, 사용자(10)는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012)으로부터 윈도우 표시 영역의 하단의 제 4 지점(1052)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51)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4 지점(1052)이 도 9h의 제 8 입력 공간(948)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B 윈도우(105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5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53)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51)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0c에서와 같이 B 윈도우(1054)가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F 윈도우(1024)가 표시됨에 따라서, G 윈도우(1044)의 크기를 상측 절반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4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및 B 윈도우(1054)를 각각 상하에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3)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5 지점(1062)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1061)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4b에서, 제어부는 제 5 지점(1062)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5 지점(1062)이 도 9h의 제 2 입력 공간(942)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에 C 윈도우(106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6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63)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61)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4c에서와 같이 C 윈도우(1064)가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5는 도 14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5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및 C 윈도우(1064)를 각각 3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4)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6 지점(1072)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1071)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5b에서, 제어부는 제 6 지점(1072)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6 지점(1072)이 도 9h의 제 4 입력 공간(944)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D 윈도우(1074)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7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73)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1071)를 해제할 수 있으며, 도 15c에서와 같이 D 윈도우(1074)가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1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6a는 도 15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6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C 윈도우(1064) 및 D 윈도우(1074)를 각각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7 지점(1081)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6a에서, 제어부는 제 7 지점(1081)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7 지점(1071)이 도 9h의 제 5 입력 공간(945)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에 H 윈도우(1083)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82)로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1010) 상에는 E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015) 내지 K 어플리케이션(1026)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예를 들어, 트레이(1010)에 상방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여, 표시되지 않았던 H 어플리케이션(1018), I 어플리케이션(1019), J 어플리케이션(1025) 및 K 어플리케이션(1026)이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82)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를 해제할 수 있으며, H 윈도우(1083)가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6b는 도 15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6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C 윈도우(1064) 및 D 윈도우(1074)를 각각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8 지점(1084)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6b에서, 제어부는 제 8 지점(1084)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8 지점(1084)이 도 9h의 제 6 입력 공간(946)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에 H 윈도우(1086)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85)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85)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를 해제할 수 있으며, H 윈도우(1086)가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및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6c는 도 15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6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C 윈도우(1064) 및 D 윈도우(1074)를 각각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9 지점(1087)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6c에서, 제어부는 제 9 지점(1087)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9 지점(1087)이 도 9h의 제 8 입력 공간(948)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H 윈도우(1089)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88)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88)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를 해제할 수 있으며, H 윈도우(1089)가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6d는 도 15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6d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C 윈도우(1064) 및 D 윈도우(1074)를 각각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0 지점(1090)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6d에서, 제어부는 제 10 지점(1090)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0 지점(1090)이 도 9h의 제 7 입력 공간(947)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H 윈도우(1092)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91)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91)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를 해제할 수 있으며, H 윈도우(1092)가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개념도들이다. 도 17은 도 15의 후속 상황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1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G 윈도우(1044), B 윈도우(1054), C 윈도우(1064) 및 D 윈도우(1074)를 각각 4 분할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10)는 추가로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H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10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1 지점(1093)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7에서, 제어부는 제 11 지점(1093)이 어느 입력 공간에 대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1 지점(1093)이 도 9h의 제 9 입력 공간(949)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는 표 2와 같이,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931),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932),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933)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934)에 H 윈도우(1095)를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표시하도록 결정한 영역을 고스트 뷰(1094)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고스트 뷰(1094)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윈도우가 표시될 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드래그 제스처를 해제할 수 있으며, H 윈도우(1095)가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에 따라서 상이한 위치 및 크기의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는 4분할 스플릿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9분할 스플릿 모드 등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9 분할 스플릿 모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9 분할된 윈도우 표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표시 공간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A,C,E,K,M,O,U,W,Y),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B,D,F,H,J,L,N,P,R,T,V,X) 및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G,I,Q,S)을 정의할 수 있다.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에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경계선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들 전체에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종점에 대응하는 입력 공간에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교차점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공간들 전체에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901).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아이콘으로부터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S1903).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레이 아웃의 어느 부분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905).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907).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S1907-Y),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계선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영역들 전체에 해당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909).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911).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S1911-Y), 디스플레이 장치는 교차점에 인접하는 윈도우 표시 영역들 전체에 해당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913).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915).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이 윈도우 표시 공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S1915-Y),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윈도우 표시 영역에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917).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는 레이 아웃을 스플릿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2001). 제어부는 스플릿 모드에 따라서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S2003). 아울러, 제어부는 각각의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S2005). 특히, 제어부는 하나의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윈도우 표시 공간 각각에서 최상위 z-오더의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윈도우가 배치된 경우, 배치된 윈도우들 중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스크린 상에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9). 여기에서, z-오더 변경 명령은 윈도우의 z-오더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플릭(flick) 제스처일 수 있다.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2009-Y),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z-오더를 변경하고,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윈도우를 변경할 수 있다(S2011).
도 21a 내지 2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1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고,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센터 버튼(2110)을 표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22의 좌측에 표시된 바와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C 어플리케이션, F 어플리케이션, G 어플리케이션, A 어플리케이션, D 어플리케이션, B 어플리케이션, J 어플리케이션, K 어플리케이션, H 어플리케이션, M 어플리케이션, L 어플리케이션, I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대로 z-오더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C, F,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는 제 3 영역에 배치하고, A, J, L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는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D, H, M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는 제 4 영역에 배치하고, B, K, I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는 제 2 영역에 배치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를 비교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에서는 A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를 비교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서는 B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를 비교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영역에서는 C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z-오더를 비교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영역에서는 D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21a를 참조하면, 사용자(1)는 제 3 영역에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 3 영역에 우방 플릭(flick)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우방 플릭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우방 플릭 제스처는, 해당 윈도우 표시 공간의 최하위 z-오더 의 어플리케이션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약속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따라 제 3 영역의 최하위 z-오더 의 G 어플리케이션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한다. 이는, 도 22의 우측에 표시된 액티비티 스택에 반영될 수 있다. 우측의 액티비티 스택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어플리케이션이 액티비티 스택의 최상위에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우방 플릭 제스처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당업자는 오른쪽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z-오더 변경 명령을 변경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우방 플릭 제스처가 아닌, 좌방 플릭 제스처, 하방 플릭 제스처, 상방 플릭 제스처 등의 다양한 제스처들을 z-오더 변경 명령으로 변경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플릭 제스처가 아닌 틸팅, 드래그, 섀이크(shake) 등의 다양한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변경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z-오더 변경 명령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우방을 제 1 방향으로 일반화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제 1 방향은 우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하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21b와 같이 제 3 영역에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113)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3 영역에 우방 플릭 제스처의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1c와 같이 제 3 영역에서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F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영역에 F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6 윈도우(2123)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23a 및 23b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3a는 도 2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면일 수 있다. 도 23a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은 도 24의 좌측의 액티비티 스택일 수 있다.
도 23a에서, 사용자(1)는 제 1 영역에 우방 플릭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에서의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L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24의 우측의 액티비티 스택과 같이, L 어플리케이션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23b와 같이, L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7 윈도우(2131)를 제 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5a 및 2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사용자(1)는 제 2 영역에 좌방 플릭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좌방 플릭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좌방 플릭 제스처는, 해당 윈도우 표시 공간의 최상위 z-오더의 어플리케이션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약속될 수 있다. 한편, 좌방을 제 2 방향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도 26의 우측의 액티비티 스택과 같이, 제 2 영역에서의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B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B 어플리케이션이 최하위 z-오더를 가지게 됨에 따라서, 제 2 영역에서는 K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z-오더를 가지도록 제어부(미도시)는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5b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 K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8 윈도우(2142)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대한 액티비티 스택 변경은 도 26에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좌방 플릭 제스처는 해당 윈도우 표시 공간에서의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는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우방 플릭 제스처는 해당 윈도우 표시 공간에서의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는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하위 z-오더 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차상위 z-오더 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용이하게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27a 및 2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7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고,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도 28과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제 3 영역에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 3 영역을 터치(2701)한 상태에서 우방 틸팅(tilting)(2700)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터치 후 우방 틸팅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도 28에서와 같이 액티비티 스택에서의 z-오더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2와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도 27b와 같이 제 3 영역에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113)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9a 및 2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29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고,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도 30과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제 2 영역에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 2 영역을 터치(2901)한 상태에서 좌방 틸팅(tilting)(2900)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터치 후 좌방 틸팅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도 30에서와 같이 액티비티 스택에서의 z-오더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6과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9b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 K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8 윈도우(2142)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31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고,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도 32와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제 3 영역에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 3 영역에 우방 에지 플릭(edge flick)(3101)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터치 후 우방 에지 플릭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도 32에서와 같이 액티비티 스택에서의 z-오더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2와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도 31b와 같이 제 3 영역에 G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113)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33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제 1 영역에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1)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02)를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03)를 표시하고, 제 4 영역에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04)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도 30과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제 2 영역에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제 2 영역에 좌방 에지 플릭(3301)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좌방 에지 플릭 제스처를 z-오더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도 34에서와 같이 액티비티 스택에서의 z-오더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26과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3b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에 K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8 윈도우(2142)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플릿 모드에서의 z-오더 변경 방법에 대하여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프리스타일 모드에서의 z-오더 변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는 프리스타일 모드로 레이 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S3501).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실행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S3503). 제어부는 복수 개의 윈도우 각각의 z-오더를 확인할 수 있으며(S3505), 확인된 z-오더에 기초하여 윈도우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S3507).
한편, 제어부는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509).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509-Y), 제어부는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윈도우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511).
도 36a 내지 3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아울러, 도 37a 내지 37c는 도 36a 내지 36c 각각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6a에서, 제어부는 도 37a와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즉,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A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 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도 36a와 같이 C 윈도우(3631,3632), B 윈도우(3621,3622) 및 A 윈도우(3611,361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6a에서의 z-오더 변경 명령은, C 윈도우의 타이틀 바(3631)를 터치(3641)한 상태에서, 좌방 핀치 아웃(3642)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핀치 아웃은 두 터치 지점의 거리가 증가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윈도우(3631,3632)의 z-오더를 최하위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7b와 같이, 제어부는 A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C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으며, 나머지 윈도우의 z-오더를 1 씩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에 따라 B 윈도우(3621,3622), A 윈도우(3611,3612) 및 C 윈도우(3631,363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핀치 아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릭, 드래그, 에지 플릭, 터치 후 틸팅, 틸팅, 섀이크 제스처 등 다양한 실시 예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1)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6b에서의 z-오더 변경 명령은, C 윈도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632)을 터치(3651)한 상태에서, 좌방 핀치 아웃(3652)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윈도우(3621,3622)의 z-오더를 최하위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7c와 같이, 제어부는 A 윈도우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B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으며, 나머지 윈도우의 z-오더를 1 씩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에 따라 A 윈도우(3611,3612), C 윈도우(3631,3632) 및 B 윈도우(3621,362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8a 내지 3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z-오더 변경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아울러, 도 39a 내지 39c는 도 38a 내지 38c 각각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의 개념도이다.
도 38a에서, 제어부는 도 39a와 같은 액티비티 스택을 관리할 수 있다. 즉,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A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도 38a와 같이 C 윈도우(3631,3632), B 윈도우(3621,3622) 및 A 윈도우(3611,361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6a에서의 z-오더 변경 명령은, C 윈도우의 타이틀 바(3631)를 터치(3841)한 상태에서, 좌방 핀치 인(3842)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핀치 인은 두 터치 지점의 거리가 감소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3611,3612)에 최상위 z-오더로 재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나머지 윈도우들의 z-오더를 1씩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9b와 같이, 제어부는 A 윈도우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38b와 같이 A 윈도우(3611,3612), C 윈도우(3631,3632) 및 B 윈도우(3621,362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8b에서의 z-오더 변경 명령은, C 윈도우의 타이틀 바(3631)을 터치(3851)한 상태에서, 좌방 핀치 인(3852)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3621,3622)의 z-오더를 최상위로 재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나머지 윈도우들의 z-오더를 1씩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9c와 같이, 제어부는 A 윈도우에 2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B 윈도우에 1 순위 z-오더를 부여하고,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C 윈도우에 3 순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에 따라 도 38c와 같이 B 윈도우(3621,3622), A 윈도우(3611,3612) 및 C 윈도우(3631,3632) 순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핀치 아웃의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최상위 z-오더의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며, 핀치 인의 z-오더 변경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최하위 z-오더의 윈도우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윈도우 간의 z-오더를 변경할 수 있어, 원하는 윈도우를 용이하게 최상위에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6)

  1.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기설정된 레이 아웃(lay out)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전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전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기설정된 레이 아웃(lay out)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표시 공간상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윈도우의 z-오더(z-order)를 상호 비교하며,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들의 z-오더를 변경하도록 하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에 의하여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변경된 z-오더가 최상위인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의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에지로부터의 제 1 방향으로의 에지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을 터치하면서 제 1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 중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의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에지로부터의 제 2 방향으로의 에지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을 터치하면서 제 2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 중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차상위 z-오더를 가지던 윈도우를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윈도우의 z-오더(z-order)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z-오더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배치된 윈도우들의 z-오더를 변경하도록 하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의 타이틀 바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핀치 아웃(pinch out)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의 타이틀 바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핀치 인(pinch in)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기설정된 레이 아웃(lay out)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전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1 지점이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인 제 1 윈도우 표시 공간,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 제 3 윈도우 표시 공간 및 제 4 윈도우 표시 공간 전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기설정된 레이 아웃(lay out)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윈도우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표시 공간상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윈도우의 z-오더(z-order)를 상호 비교하며,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들의 z-오더를 변경하도록 하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에 의하여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변경된 z-오더가 최상위인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의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에지로부터의 제 1 방향으로의 에지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을 터치하면서 제 1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 중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의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의 에지로부터의 제 2 방향으로의 에지 플릭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을 터치하면서 제 2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배치된 윈도우 중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차상위 z-오더를 가지던 윈도우를 상기 제 2 윈도우 표시 공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윈도우의 z-오더(z-order)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z-오더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배치된 윈도우들의 z-오더를 변경하도록 하는 z-오더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의 타이틀 바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핀치 아웃(pinch out)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하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상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z-오더 변경 명령은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의 타이틀 바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핀치 인(pinch in)의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상위 z-오더를 가지는 윈도우에 최하위 z-오더를 부여하면서 변경된 z-오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22422A 2012-12-06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1028.4A EP3287884B1 (en) 2012-12-06 2013-12-0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95811.8A EP2741201A3 (en) 2012-12-06 2013-12-0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097,788 US10564792B2 (en) 2012-12-06 2013-12-0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EP20165697.2A EP3690624B1 (en) 2012-12-06 2013-12-0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R112015012539-5A BR112015012539B1 (pt) 2012-12-06 2013-12-06 Dispositivo de exibição e método para controlar o mesmo
AU2013356799A AU2013356799B2 (en) 2012-12-06 2013-12-06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1613.8A CN104956301B (zh) 2012-12-06 2013-12-06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CN201910525925.0A CN110413191B (zh) 2012-12-06 2013-12-06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CN201910525895.3A CN110427130B (zh) 2012-12-06 2013-12-06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PCT/KR2013/011309 WO2014088375A1 (en) 2012-12-06 2013-12-06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711096847.4A CN107967087B (zh) 2012-12-06 2013-12-06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US16/566,295 US11853523B2 (en) 2012-12-06 2019-09-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KR1020200140051A KR102301053B1 (ko) 2012-12-06 2020-10-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4097P 2012-12-06 2012-12-06
US61/734,097 2012-12-06
US201261737540P 2012-12-14 2012-12-14
US61/737,540 2012-12-14
US201261740887P 2012-12-21 2012-12-21
US61/740,887 2012-12-21
KR20130012019 2013-02-01
KR1020130012019 2013-02-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051A Division KR102301053B1 (ko) 2012-12-06 2020-10-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80A true KR20140073380A (ko) 2014-06-16
KR102172792B1 KR102172792B1 (ko) 2020-11-02

Family

ID=511269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422A KR102172792B1 (ko) 2012-12-06 2013-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140051A KR102301053B1 (ko) 2012-12-06 2020-10-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051A KR102301053B1 (ko) 2012-12-06 2020-10-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727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2925A1 (en) * 2013-06-14 2014-12-18 Htc Corporation Method for editing frame-based pag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CN109710343A (zh) * 2017-10-25 2019-05-03 北京众纳鑫海网络技术有限公司 计算机桌面的窗口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90142362A (ko) * 2017-05-15 2019-12-2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221698B2 (en) 2017-05-15 2022-01-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applications tha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1340752B2 (en) 2014-08-29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6191A (ko) * 2009-10-28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21925A (ko) * 2010-08-2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9271A (ko) * 2011-01-04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40B1 (ko) * 2010-07-23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작업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6191A (ko) * 2009-10-28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21925A (ko) * 2010-08-23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9271A (ko) * 2011-01-04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2925A1 (en) * 2013-06-14 2014-12-18 Htc Corporation Method for editing frame-based pag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9785334B2 (en) * 2013-06-14 2017-10-10 Htc Corporation Method for editing frame-based pag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11340752B2 (en) 2014-08-29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90142362A (ko) * 2017-05-15 2019-12-2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10089799A (ko) * 2017-05-15 2021-07-1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221698B2 (en) 2017-05-15 2022-01-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applications tha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220110619A (ko) * 2017-05-15 2022-08-08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9710343A (zh) * 2017-10-25 2019-05-03 北京众纳鑫海网络技术有限公司 计算机桌面的窗口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710343B (zh) * 2017-10-25 2023-01-17 北京众纳鑫海网络技术有限公司 计算机桌面的窗口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792B1 (ko) 2020-11-02
KR102301053B1 (ko) 2021-09-14
KR20200125558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5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67128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683894B (zh) 显示设备的应用执行方法及其显示设备
AU20133567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01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3071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73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33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400734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6428A (ko) 다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20845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7480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8352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32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