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26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262A
KR20210013262A KR1020210010755A KR20210010755A KR20210013262A KR 20210013262 A KR20210013262 A KR 20210013262A KR 1020210010755 A KR1020210010755 A KR 1020210010755A KR 20210010755 A KR20210010755 A KR 20210010755A KR 20210013262 A KR20210013262 A KR 20210013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touch
applic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249B1 (ko
Inventor
이승운
김영진
박대욱
최정환
김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62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027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각각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일부 윈도우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나머지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톱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모니터)를 가진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예,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진다.
데스크톱 컴퓨터의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예, 복수의 윈도우를 띄워놓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가로분할 또는 세로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경우, 키보드에 있는 페이지 업(page up) 버튼 또는 페이지 다운(page down) 버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키보드 대신 마우스를 이용하는 경우, 마우스의 커서로 웹 페이지의 측면에 있는 스크롤 바(scroll bar)를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아래 부분에 있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맨 위로(top) 버튼을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맨 위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가 작고, 입력에 제한을 가진다. 모바일 장치는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는 상기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의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이용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바일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고 있으나, 모바일 장치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또한, 복수 개의 윈도우를 용이하게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윈도우 배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복수 개의 윈도우 배열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각각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일부 윈도우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나머지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일부 윈도우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나머지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복수 개의 윈도우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의 교차점에 센터 버튼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센터 버튼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를 실행시키면서, 실행 이후에 복수 개의 윈도우 배열을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윈도우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배열 상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풀-스크린 모드 및 분할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a 내지 3i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에 대한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센터 버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풀 스크린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 및 14b는 센터 버튼을 다시 생성하여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제1 터치스크린(190a), 제2 터치스크린(190b)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TV, 인터넷 TV, 의료용 데이터 표시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더링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장치면 제한이 없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들(201 내지 204)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201), 제 2 영역(202), 제 3 영역(203) 및 제 4 영역(204)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터치스크린 상에 윈도우를 4개의 영역으로 설정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윈도우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201) 및 제 2 영역(202)의 경계선인 제 1 경계선(211), 제 3 영역(203) 및 제 4 영역(204)의 경계선인 제 2 경계선(212), 제 1 영역(201) 및 제 3 영역(203)의 경계선인 제 3 경계선(213) 및 제 2 영역(202) 및 제 4 영역(204)의 경계선인 제 4 경계선(214)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경계선(211) 및 제 2 경계선(212)은 하나의 선분을 이룰 수 있으며, 제 3 경계선(213) 및 제 4 경계선(214)은 하나의 선분을 이룰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201) 내지 제 4 영역(204)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201)을 좌상 측에 설정하고, 제 2 영역(202)을 우상 측에 설정하고, 제 3 영역(203)을 좌하 측에 설정하고, 제 4 영역(204)을 우하 측에 설정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화면을 좌우로 양분하도록 제 1 및 제 2 경계선(211,212)을 설정하고, 화면을 상하로 양분하도록 제 3 및 제 4 경계선(213,214)을 설정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제 1 및 제 2 경계선(211,212)과 제 3 및 제 4 경계선(213,214)이 교차하는 부분에 센터 버튼(2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l에는 상기 센터 버튼(22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버튼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윈도우 위치 변경 모드에 진입하는 기능 키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영역(201 내지 204)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들을 하나씩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영역(201 내지 204) 각각 또는 모두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도 2b 내지 2k에서와 같이 영역(201 내지 204) 각각에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윈도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타이틀 바와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객체(object)들이 표시될 수 있다. 객체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버튼, 체크박스, 사진, 동영상, 웹(web), 맵(map)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객체를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 상기 객체에 미리 정해진 기능 또는 이벤트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운영체제에 따라 뷰(view)라고 불리울 수 있다. 타이틀 바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는 윈도우 표시 최소화 버튼, 윈도우 표시 최대화 버튼 및 윈도우 종료 버튼일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들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200) 제조사 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다. 이에 따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실행되고 있을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더라도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계속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일부 기능들(메모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추가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또는, 듀얼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갖도록 새롭게 제작되는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기능들은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러한 새로운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201) 상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23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런처 어플리케이션(laucher application)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31 내지 238)을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31 내지 238) 중 하나를 터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런처 어플리케이션은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윈도우 표시 공간인 제 1 영역(201) 내지 제 4 영역(204) 중 하나에 표시한다.
한편, 도 3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관리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런처 어플리케이션 스택(301)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도 2c에서 사용자(1)는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B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d와 같이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40)를 제 2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가 표시되는 윈도우 표시 공간을 기설정된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영역,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의 시계 방향의 순서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순서는 단순한 예시이며, 제어부(미도시)는 반시계 방향의 순서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윈도우 표시 공간에서 신규 윈도우들이 표시되는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3b는 도 2d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B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B 어플리케이션 스택(302)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B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2)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B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e에서 사용자(1)는 C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3)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도 2e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e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B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3)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f와 같이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50)를 제 4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d는 도 2f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C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C 어플리케이션 스택(303)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C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3)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C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g에서 사용자(1)는 D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4)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e는 도 2g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g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C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4)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h와 같이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60)를 제 3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f는 도 2h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D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D 어플리케이션 스택(304)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D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4)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D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도 2i에서와 같이 B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도 3g는 도 2i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B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장 최근에 실행된 B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2)을 최상위에 배치한다.
도 2j에서 사용자(1)는 E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5)을 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h는 도 2k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j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D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35)이 터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도 2k와 같이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70)를 제 4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비어있는(empty) 윈도우 표시 공간이 없는 경우에, 도 3h의 액티비티 스택을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액티비티 스택 중 가장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h에서, 제어부(미도시)는 C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낮은 액티비티 스택 순위의 C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제 4 영역(250) 상에 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7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i는 도 2k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스택(activity stack)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어부(미도시)는 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액티비티 스택 상에 E 어플리케이션 스택(305)을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E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5)을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스택(301) 상에 배치한다. 이는, E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가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 스택 순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은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S401).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03).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를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 상에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40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c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런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윈도우 표시 공간 중 하나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407).
도 5a 내지 5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로, 4개의 영역으로 터치스크린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상이한 윈도우들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제어부(미도시)는 화면을 4 등분하는 레이 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501), 제 2 영역(502), 제 3 영역(503) 및 제 4 영역(504)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영역(501) 및 제 2 영역(502)의 경계선인 제 1 경계선(511), 제 3 영역(503) 및 제 4 영역(504)의 경계선인 제 2 경계선(512), 제 1 영역(501) 및 제 3 영역(503)의 경계선인 제 3 경계선(513) 및 제 2 영역(502) 및 제 4 영역(504)의 경계선인 제 4 경계선(514)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영역(501 내지 504)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들을 하나씩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를 제 1 영역(501) 상에 표시하며, 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를 제 2 영역(502) 상에 표시하며, C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를 제 3 영역(503) 상에 표시하며, 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를 제 4 영역(504)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영역(501 내지 501) 각각 또는 모두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제 1 및 제 2 경계선(511,512)과 제 3 및 제 4 경계선(513,514)이 교차하는 부분에 센터 버튼(510)을 표시한다. 도 5a 내지 도 5g에는 상기 센터 버튼(51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사용자(1)는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제 1 종료 지점(522)으로의 제 1 제스처(예를 들어 좌방 드래그 제스처(521) 또는 제2 영역 및 제4 영역이 위치한 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스처(521))를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5c와 같이 센터 버튼(510)의 위치를 제 1 종료 지점(522)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510)을 기초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재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상방으로 제 1 경계선(511)을 재설정하고,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하방으로 제 2 경계선(512)을 재설정하고,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좌방으로 제 3 경계선(513)을 재설정하고,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우방으로 제 4 경계선(514)을 재설정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재설정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기준으로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526 내지 529)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5b의 실시 예는, 도 2c와는 대조적으로 모든 윈도우 표시 영역의 크기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제 2 종료 지점(536)으로의 제 2 제스처(예를 들어 상방 드래그 제스처(535) 또는 제3 영역(503) 및 제4 영역(504)이 위치한 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스처(535))를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5e와 같이 센터 버튼(510)의 위치를 제 2 종료 지점(536)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510)을 기초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재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재설정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기준으로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531 내지 534)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센터 버튼(510)으로부터 제 3 종료 지점(565)으로의 제 3 제스처(즉, 좌상방 드래그 제스처(564) 또는 제4 영역(50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스처(564))를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5g와 같이 센터 버튼(510)의 위치를 제 3 종료 지점(565)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510)을 기초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재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재설정된 경계선들(511 내지 514)을 기준으로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541 내지 544)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센터 버튼(510)이 제4 영역(504)이 위치한 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예: 제 3 제스처), 상기 제4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501)의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되는 비율은 제4 영역이 확대되는 비율과 같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윈도우 크기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도 5a에서의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과 같은,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601).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경계선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계선의 교차점에는 센터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윈도우 표시 공간이 설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6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 종료점으로 이동시킨 이후에, 이동된 센터 버튼을 기준으로 경계선을 재설정한다(S605).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윈도우 크기를 재설정하여 표시한다(S607).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1 윈도우(701) 내지 제 4 윈도우(704)를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에 각각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1 경계선(701) 내지 제 4 경계선(704)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 1 경계선(701) 내지 제 4 경계선(704)의 교차점에는 센터 버튼(7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는 상기 센터 버튼(71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센터 버튼(710)으로부터 시작하여 좌방으로의 드래그 제스처(720)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윈도우(701) 및 제 3 윈도우(703)의 가로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동시에 제 2 윈도우(702) 및 제 4 윈도우(704)의 가로 길이를 확대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720)가 터치되는 지점에 센터 버튼(710)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c와 같이, 드래그 제스처(720)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으로 도달하여 센터 버튼(710)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701) 및 제 3 윈도우(703)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윈도우(712)의 가로 길이를 더욱 확대하여 상측 절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윈도우(714)의 가로 길이를 더욱 확대하여 하측 절반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제 4 경계선(714)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경계선들은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d에서, 사용자는 드래그 제스처의 입력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의 터치가 해제된 것에 기초하여, 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종료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7e와 같이, 센터 버튼(710)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종료되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센터 버튼(710)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710)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좌측 경계선 또는 우측 경계선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상하로 이분할하여 표시하며, 센터 버튼(710)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상측 경계선 또는 하측 경계선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좌우로 이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는, 센터 버튼(710)이 좌방 드래그 제스처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의 좌측 경계선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상하로 이분할하여 표시하고, 센터 버튼(710)이 우방 드래그 제스처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의 우측 경계선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상하로 이분할하여 표시하고, 센터 버튼(710)이 상방 드래그 제스처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의 상측 경계선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좌우로 이분할하여 표시하고, 센터 버튼(710)이 하방 드래그 제스처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의 하측 경계선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좌우로 이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801).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기 위한 경계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윈도우 크기 조절을 위한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S8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805). 예를 들어,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은, 센터 버튼으로부터 시작하는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윈도우들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 경계선까지 드래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7). 터치스크린 경계선까지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S807-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부 윈도우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S811).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윈도우들의 크기를 증가시켜 표시하며, 이에 따라 일부 윈도우를 크기를 감소시키다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경계선까지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으면(S807-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종료 지점으로 센터 버튼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S809).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의 터치 지점에 대응하여 센터 버튼을 이동시키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된 센터 버튼을 기준으로 경계선을 재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S813), 이에 대응하여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815).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제 1 윈도우(901) 내지 제 4 윈도우(904)를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에 각각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제 1 경계선(901) 내지 제 4 경계선(904)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 1 경계선(901) 내지 제 4 경계선(904)의 교차점에는 센터 버튼(9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상기 센터 버튼(91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센터 버튼(910)으로부터 시작하여 좌상방으로의 드래그 제스처(920)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윈도우(904)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확대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터 버튼(910)이 터치 스크린의 모서리로 이동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4 영역(904)을 풀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영역(904)은 터치 스크린(914)에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윈도우 중 상기 모서리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윈도우이다. 그리고, 상기 제4 영역(90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제1 내지 제3 영역)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920)가 터치되는 지점에 센터 버튼(910)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c와 같이, 드래그 제스처(920)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으로 도달하여 센터 버튼(910)이 터치스크린의 모서리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윈도우(901), 제 2 윈도우(902) 및 제 3 윈도우(903)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윈도우(904)의 가로, 세로 길이를 더욱 확대하여 전체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경계선들은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d에서, 사용자는 드래그 제스처의 입력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의 터치가 해제된 것에 기초하여, 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종료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9d와 같이, 센터 버튼(910)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종료되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센터 버튼(910)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센터 버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터치스크린 중앙에 센터 버튼(10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는 상기 센터 버튼(101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010)에 연결되는 제 1 경계선(1011), 제 2 경계선(1012), 제 3 경계선(1013) 및 제 4 경계선(1014)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010)의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010)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중앙, 즉 50 : 50의 가로 분할 지점에 위치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의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경계선(1011) 및 제 2 경계선(1012)의 위치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의 50 : 50의 가로 분할 지점에 위치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경계선(1011) 및 제 2 경계선(1012)이 센터 버튼(1010)의 50 : 50의 가로 분할 지점에 연결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센터 버튼(1010)을 터치스크린의 30 : 70의 가로 분할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010)의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010)이 터치스크린의 30 : 70의 가로 분할 지점에 위치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경계선(1011) 및 제 2 경계선(1012)이 센터 버튼(1010)의 30 : 70의 가로 분할 지점에 연결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c와 같이 센터 버튼(1010)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는 경계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101).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윈도우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S11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1105).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의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의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선을 재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07).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특정 비율의 분할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계선이 센터 버튼의 상기 특정 비율의 분할 지점에 경계선이 연결되게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의 최종 위치에 대응하여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09).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풀 스크린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사각형 모양의 센터 버튼(도 12a의 1210)과 원형 모양의 센터 버튼(도 12c의 1210) 중 어느 모양의 센터 버튼을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 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는 상기 센터 버튼(1210)이 사각형 형태 또는 원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 또는 원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 이외에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다양한 형태의 버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경계선(1212) 및 제 4 경계선(1214)이 센터 버튼(1210)에 연결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윈도우(1204)가 풀 스크린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210)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 접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드래그 제스처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12b 및 도 12d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센터 버튼(1210)의 일부만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210)의 중심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계선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 윈도우(1204)가 풀 스크린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301).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윈도우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S13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1305).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가 터치되는 지점에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 경계선에 접하도록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7).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 경계선에 접하도록 위치한 경우에는(S1307-예), 센터 버튼의 일부만을 표시하면서 경계선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S1309). 한편, 센터 버튼이 터치스크린 경계선에 접하지 않는 경우에는(S1307-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의 최종 위치에 대응하여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1311). 한편, S1309의 경우에 대하여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윈도우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센터 버튼을 다시 생성하여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들이다.
도 14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윈도우(1404)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 있다. 풀 스크린 모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 및 경계선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다시 센터 버튼을 표시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4a에서는,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은 터치스크린의 상측 경계선 및 좌측 경계선으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더블 에지 플릭(double edge flick, 1401, 1402)일 수 있다. 한편, 도 14a에서 터치스크린의 상측 경계선 및 좌측 경계선으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더블 에지 플릭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더블 에지 플릭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는 제한이 없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더블 에지 플릭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을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의 특징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을 것이다.
도 14b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 생성 명령에 기초하여 센터 버튼(1410)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b에는 상기 센터 버튼(1410)이 사각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은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센터 버튼(1410)이 가장 최근에 위치한 곳에서 센터 버튼(1410)이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S1501).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윈도우를 구분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윈도우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는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S15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드래그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1505).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래그 제스처가 터치되는 지점에 센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크기 변경 명령에 대응하여 특정 윈도우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하고, 센터 버튼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07).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9).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S1509-예), 디스플레이 장치는 풀 스크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센터 버튼 생성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S1509-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버튼을 비표시 이전의 위치, 즉 센터 버튼이 가장 최근에 위치한 곳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S1511).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10: 제어부 120: 이동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55: GPS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70: 센서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195: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1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스플릿 모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화면을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의 사이의 경계선 상에는 그래픽컬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1 화면, 상기 제2 화면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엣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싱글 터치 제스처이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제1 화면을 풀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풀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기 엣지의 적어도 두 지점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멀티 터치 제스처이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화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화면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이전에 배치되었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플릭 제스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플릿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을 구분하는 상기 경계선을 상기 그래픽컬 객체와 함께 상기 엣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제1 방향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기 엣지는,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상기 경계선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플릿 모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화면을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의 사이의 경계선 상에는 그래픽컬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1 화면, 상기 제2 화면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엣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싱글 터치 제스처이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제1 화면을 풀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풀 스크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기 엣지의 적어도 두 지점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멀티 터치 제스처이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화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제2 화면 및 상기 그래픽컬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이전에 배치되었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플릭 제스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을 구분하는 상기 경계선을 상기 그래픽컬 객체와 함께 상기 엣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제1 방향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기 엣지는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 사이의 상기 경계선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0010755A 2012-12-06 2021-01-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60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4097P 2012-12-06 2012-12-06
US61/734,097 2012-12-06
US201261737540P 2012-12-14 2012-12-14
US61/737,540 2012-12-14
US201261740887P 2012-12-21 2012-12-21
US61/740,887 2012-12-21
KR20130011933 2013-02-01
KR1020130011933 2013-02-01
KR1020130096206A KR102210278B1 (ko) 2012-12-06 2013-08-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206A Division KR102210278B1 (ko) 2012-12-06 2013-08-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262A true KR20210013262A (ko) 2021-02-03
KR102360249B1 KR102360249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55A KR102360249B1 (ko) 2012-12-06 2021-01-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2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879A (ko) * 2008-09-08 2011-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KR20110115545A (ko) * 2010-04-15 2011-10-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스플릿 모드 커맨드 버튼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879A (ko) * 2008-09-08 2011-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패널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크기 또는 스크린 해상도에 기초한 파라미터의 서버에 대한 전송
KR20110115545A (ko) * 2010-04-15 2011-10-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스플릿 모드 커맨드 버튼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249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2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63586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35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3071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99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73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1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45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02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87480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395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