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959A -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959A
KR20140072959A KR20120140002A KR20120140002A KR20140072959A KR 20140072959 A KR20140072959 A KR 20140072959A KR 20120140002 A KR20120140002 A KR 20120140002A KR 20120140002 A KR20120140002 A KR 20120140002A KR 20140072959 A KR20140072959 A KR 2014007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marker
ray imaging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068B1 (ko
Inventor
최충환
오도관
한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4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068B1/ko
Priority to EP13172001.3A priority patent/EP2740405B1/en
Priority to US13/919,496 priority patent/US9028144B2/en
Priority to CN201310468512.6A priority patent/CN103845067B/zh
Priority to PCT/KR2013/011027 priority patent/WO2014088268A1/en
Publication of KR2014007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068B1/ko
Priority to US14/694,161 priority patent/US96490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8/00X-ray or gamma ray systems or devices
    • Y10S378/901Computer tomography program or proces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한 마커를 인식하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가 인식된 마커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직접 움직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하고, 엑스선 촬영 시간 및 환자의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X-RAY IM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통과한 엑스선을 분석하여 대상체의 내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대상체를 구성하는 조직에 따라 엑스선의 투과성이 다르므로 이를 수치화한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내부구조를 영상화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시에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따라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를 이동시켜야 하는바, 엑스선 촬영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를 직접 조절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증가하며, 촬영 시간이 길어지고, 부피가 큰 엑스선 튜브의 세밀한 위치 조절이 어려워 재촬영으로 인한 환자 피폭량 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한 마커를 인식하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가 인식된 마커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직접 움직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하고, 엑스선 촬영 시간 및 환자의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위치를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인식부는, 상기 마커의 형상, 색상, 재질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인식 가능한 특징을 갖는 물체이며, 특정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인식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상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을 갖는 광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 계산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 계산 결과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촬영부위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갠트리; 상기 대상체를 상기 갠트리의 보어로 이송하는 슬라이더;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가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상기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제어량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촬영부위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를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의 형상, 색상, 재질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을 미리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인식 가능한 특징을 갖는 물체이며, 특정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물체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을 갖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 계산 결과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갠트리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대상체가 위치한 슬라이더를 상기 갠트리의 보어로 이송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가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마커가 위치하는 슬라이더의 지점이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한 마커를 인식하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가 인식된 마커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직접 움직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하고, 엑스선 촬영 시간 및 환자의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마커의 인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촬영부로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마커 인식부가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위치 제어부가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는 위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엑스선 조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부로 광각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대상체 촬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인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대상체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마커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관한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마커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관한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실시예에 관한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도 2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 10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도 14의 실시예에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는 도 15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유닛(210),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 유닛(11),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3), 촬영부(13)에서 촬영한 대상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14) 및 엑스선 튜브(11a)와 엑스선 검출기(12a)의 위치를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위치 계산부(15a)와 제어량 계산부(15b)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촬영부(13)가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인식부(14)로 전송하면, 인식부(14)는 대사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한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자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부(14)에서 인식 결과를 위치 제어부(15)로 전송하면, 위치 제어부(15)의 위치 계산부(15a)가 인식된 마커 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를 계산하고, 제어량 계산부(15b)가 엑스선 튜브(11a) 및 엑스선 검출기(12a)의 위치를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제어량은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로 구현되는 튜브 구동부(11b) 및 검출기 구동부(12b)로 전송된다.
이하, 마커의 인식을 이용한 실시예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을 이용한 실시예를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마커의 인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2과 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유닛(110),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 유닛(120),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30), 촬영부(130)에서 촬영한 대상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140) 및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를 인식된 마커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 계산부(151)와 제어량 계산부(152)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엑스선 튜브 유닛(110)은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튜브(111)에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12)를 포함한다.
엑스선 튜브(111)에서 발생되는 엑스선의 에너지는 대상체(30)의 엑스선 촬영 부위 또는 엑스선 촬영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엑스선 튜브(111)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며,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엑스선 튜브(111)는 단색광(monochromatic) 엑스선 또는 다색광(polychromatic)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는바, 엑스선 튜브(111)에서 다색광 엑스선을 조사하는 경우, 조사되는 엑스선의 에너지 대역은 상한과 하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에너지 대역의 상한, 즉 조사되는 엑스선의 최대 에너지는 관전압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에너지 대역의 하한, 즉 조사되는 엑스선의 최소 에너지는 엑스선 튜브(1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필터를 이용하여 저에너지 대역의 엑스선을 여과시키면, 조사되는 엑스선의 평균 에너지를 높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튜브(111)는 이동 카트리지(113)에 연결되고, 이동 카트리지(113)는 검사실의 천장에 장착된 레일(101)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112)가 이동 카트리지(113)를 구동하면, 이동 카트리지(113)에 연결된 엑스선 튜브(111)가 함께 이동한다. 즉, 엑스선 튜브(111)의 이동은 엑스선 튜브(111)와 연결된 이동 카트리지(113)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제1구동부(112)는 이동 카트리지(113)를 통해 엑스선 튜브(111)를 구동한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환자 테이블(103)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하고, 수평 방향은 그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것으로 한다.
엑스선 검출 유닛(120)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기(121)와 엑스선 검출기(121)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122)를 포함한다.
엑스선 검출기(121)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엑스선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로서, 엑스선 검출기(121)는 엑스선의 광자가 도달하면 전하가 발생되는 수광소자와 발생된 전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독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소자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a-Si,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한편, 엑스선 검출기(121)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 계수 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부(121)는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가 환자 테이블에 위치한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방식과 대상체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서 있는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상기 두 가지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대상체(30)가 환자 테이블(103)에 위치한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방식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3a)이 지지체(103b)에 의해 지지되고 상판(103a)의 하부에는 엑스선 검출기(121)가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103c)이 마련된다. 엑스선 검출기(121)는 상판(103a)의 하부 공간(103c)에 삽입되어 제2구동부(122)의 구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상체(30)가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 사이에 서 있는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방식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기(121)가 슬라이더(123)에 연결되며, 슬라이더(123)는 지지체(124)에 장착되어 제2구동부(122)의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는 이동 가능하며 엑스선 촬영 전에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를 사용자가 직접 움직이는 것은 높은 작업 피로도와 높은 재촬영 가능성을 야기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사용자가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마커(50)를 위치시키면, 마커(50)를 촬영하고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를 마커(5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마커의 촬영과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의 이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엑스선 촬영 시작 전 사용자 즉, 방사선사 또는 의사는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마커(50)를 위치시킨다. 마커(50)의 색상, 재질, 크기 또는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마커 인식부(140)가 마커의 특징으로서 인식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마커(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다각형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바, 미리 저장되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마커(50)의 색상도 색상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커(50)의 색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마커(50)의 재질 역시 섬유,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손가락과 같은 사람의 신체 일부도 가능하다. 다만, 마커(50)의 재질이 엑스선의 투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가 목표 위치로 이동한 후에 마커(50)를 대상체(3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마커(50)의 크기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또는 엑스선 조사 영역의 크기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하면 마커의 위치 및 제어량을 더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30)가 누워 있는 경우에는 마커(50)를 대상체(3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으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30)가 서 있는 경우에는 마커(50)를 사용자 또는 대상체(30)가 들고 있거나, 접착제나 스트링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마커(50)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커(50)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하면, 촬영부(130)는 대상체를 촬영한다. 촬영부(130)는 일반적인 촬영 장치인 카메라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등 카메라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30)는 엑스선 튜브(111)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130)는 검사실의 천장에 장착되어 대상체(30)를 촬영할 수도 있고, 대상체(30)와 인접한 위치의 소정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대상체(30)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 사이에 위치한 대상체(30)를 촬영할 수만 있으면 되고 촬영부(130)가 장착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도 4에는 촬영부로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30)가 환자 테이블(103)에 누워서 엑스선 촬영이 진행되고, 촬영부(130)가 엑스선 튜브(111)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촬영부(130)의 일 실시예로서, 광각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광각 카메라는 표준 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인 광각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를 의미하며, 초점 거리가 짧을 수록 화각(angle of view)이 넓어진다. 따라서, 광각 카메라는 표준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보다 촬영 범위가 넓다. 환자 테이블(103)의 길이를 커버할 수 있는 화각의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테이블(103)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마커(50)는 대상체(30)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대상체 영상에는 대상체(30)만 나타나도 무방하나, 대상체 즉, 환자마다 키가 다르므로 촬영부(130)가 환자 테이블(103)의 상판(103a) 길이를 커버할 수 있는 화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마커 인식부가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촬영부(130)는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을 마커 인식부(140)로 전송하고, 마커 인식부(140)는 전송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한다. 마커 인식부(140)가 마커를 인식함에 있어 은닉 마코프 모델(Hidden Marcov Model)을 포함한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사용되는 마커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대상체의 영상에 나타난 물체의 특징을 추출하여 저장된 마커의 특징과 비교함으로써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마커의 인식에 사용되는 특징은 형상, 색상, 재질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특징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마커 인식부(140)는 대상체의 영상(I)에서 미리 저장된 크기와 형상의 사각형 물체를 찾는다. 대상체의 영상(I)에 미리 저장된 크기와 형상의 사각형 마커(50)가 존재하면 이를 인식하고 그 결과를 위치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앞서 사람의 신체 일부도 마커(50)가 될 수 있다고 하였는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가리키는 경우가 이에 포함된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형상의 손가락이 마커(50)로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마커 인식부(140)는 대상체의 영상(I)에서 미리 저장된 손가락 형상의 물체를 찾고, 미리 저장된 손가락 형상의 마커(50)가 존재하면 이를 인식하여 그 결과를 위치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도 6a에는 위치 제어부가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위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엑스선 조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제어부(150)는 위치 계산부(151)와 제어량 계산부(152)를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위치 계산부(151)는 마커 인식부(140)에서 인식된 마커(50)의 위치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로서, 마커(50)의 위치는 2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m,n)로 계산될 수 있다. 대상체의 영상(I) 전체가 2차원 좌표계로 표현될 수도 있고, 마커(50)는 상판(103a) 내에만 위치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3a) 내의 공간만 2차원 좌표계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계산부(151)는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를 이동시키기 전에 마커(50)의 위치 계산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고,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위치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는, 촬영부(130)가 엑스선 튜브(111)나 이동 카트리지(113)에 장착되는 경우 또는 이동 가능한 지지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가능하며, 이동 중에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대상체 영상의 촬영, 마커의 인식 및 목표 위치 계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목표 위치는 마커(50)와 엑스선 튜브(111)가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이므로 엑스선 튜브(111)가 이동할수록 촬영부(130)와 마커(50)의 위치가 가까워지며, 촬영부(130)와 마커(50)의 위치가 가까워질 수록 마커(50)의 인식 및 위치 계산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어량 계산부(152)는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의 위치를 마커(50)의 위치에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제어량 산출부(152)는 엑스선 튜브(111)와 대상체 영상(I)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 및 엑스선 검출기(121)와 대상체 영상(I)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대상체 영상(I)의 좌표계에 대응되는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의 실제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량 계산부(152)는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의 목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를 각각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111)와 엑스선 검출기(121)의 목표 위치 즉, 마커(50)에 대응되는 위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튜브(111)의 엑스선 조사 영역(R)의 중심 및 엑스선 검출기(121)의 검출 영역의 중심이 2차원 공간 상에서 마커(50) 또는 마커(5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드시 마커(50)의 중심과 조사 영역 및 검출 영역을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마커(50)에 의해 지정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엑스선 조사 영역에 포함되기만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마커(50)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면 엑스선 조사 영역 및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을 마커(50)의 중심과 일치시키지 않았을 때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중 일부가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마커(50)가 일정 크기 이하로 작으면 마커(50)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의 위치를 계산해도 무방하나, 마커(50)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면 마커(50)의 중심 위치를 계산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엑스선 튜브(111)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제어가 요구되는바, 현재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방향 제어량과 수평 방향 제어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반면, 엑스선 검출기(121)는 상판(103a) 하부의 공간(103c)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어량 계산부(152)는 위치 계산부(151)가 계산한 마커의 위치에서 수직 방향 요소만을 고려하여 엑스선 검출기(121)에 대한 수직 방향 제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엑스선 검출기(121)가 수평 방향으로도 움직이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 제어량도 계산한다.
한편,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같는 경우에는 엑스선 검출기(121)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제어량 계산부(152)는 엑스선 검출기(121)에 대한 상하 방향 제어량을 계산한다.
제어량 계산부(152)는 계산된 제어량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튜브 구동부(112) 및 검출기 구동부(122)에 각각 전송한다. 튜브 구동부(112)가 구동 명령에 따라 엑스선 튜브(111)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튜브(111)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 영역(R)의 중심이 마커(5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부로 광각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의 대상체 촬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30)가 환자 테이블(103)의 상판(103a)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촬영부(130)는 표준 렌즈가 장착된 일반 카메라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130)가 일반 카메라로 구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테이블(103)의 상판(103a) 또는 대상체(30)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없고 한 번에 일부만 촬영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30)를 이동시키면서 상판(103a)을 분할 촬영한다. 촬영 횟수는 촬영부(130)의 화각과 상판(103a)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촬영부(130)의 화각이 상판(103a)의 3분의 1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30)를 상판(103a)의 길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세 번 촬영한다.
촬영부(130)가 엑스선 튜브(111)에 장착된 경우에는 촬영부(130)의 이동이 엑스선 튜브(111)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엑스선 튜브(111)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 가능한 지지체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50)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라 촬영을 수행한 경우, 상기 도 8의 영역 1에 대한 대상체 영상(I1), 영역 2에 대한 대상체 영상(I2) 및 영역 3에 대한 대상체 영상(I3)이 각각 획득된다. 그리고, 대상체 영상이 마커 인식부(140)로 전송되면 마커 인식부(14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대상체 영상(I1,I2,I3)에서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50)를 인식한다.
또는, 촬영부(130)가 이동 중에 촬영한 대상체 영상을 실시간으로 마커 인식부(140)에 전송하여 마커의 인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촬영부(130)가 영역 1을 촬영하여 마커 인식부(140)로 전송하면, 마커 인식부(140)는 대상체 영상(I1)에서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를 찾고, 마커가 없으면 촬영부(130)가 이동하여 영역 2를 촬영한다. 대상체 영상(I2)은 마커 인식부(140)로 전송되고, 마커 인식부(140)는 대상체 영상(I2)에서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50)를 인식한다. 대상체 영상(I2)에 마커(50)가 존재하므로 촬영부(130)의 촬영은 중단하고 인식 결과를 위치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위치 계산부(151)는 대상체 영상(I2)에서 마커(50)의 위치를 계산하고, 제어량 계산부(152)는 엑스선 튜브(111) 및 엑스선 검출기(121)를 마커(5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위치 계산 및 제어량 계산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고, 제어량을 계산함에 있어 분할 촬영된 대상체 영상 각각에 나타난 공간과 촬영부(13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0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인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대상체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20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유닛(210),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 유닛(220),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230), 촬영부(230)에서 촬영한 대상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촬영부위 인식부(240) 및 엑스선 튜브(211)와 엑스선 검출기(221)의 위치를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위치 계산부(251)와 제어량 계산부(252)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마커를 이용하여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간접적으로 인식하였으나,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직접 인식한다.
엑스선 튜브 유닛(210), 엑스선 검출 유닛(220) 및 촬영부(23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이하 촬영부위 인식부(240) 및 위치 제어부(2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대상체(30)가 환자 테이블(203a)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광각 카메라로 구현된 촬영부(230)가 대상체를 촬영하여 마커 인식부(240)로 전송하면, 마커 인식부(2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를 찾아서 인식한다. 이 때에도 마커 인식부(240)는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를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저장된 특징을 갖는 영역을 인식한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를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은 대상 부위 전체의 형상일 수도 있고, 대상 부위에 포함되는 신체적 특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팔, 다리 또는 머리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인 경우에는 팔의 형상, 다리의 형상 또는 머리의 형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대상체(30) 전체에서의 각각의 위치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위 인식부(240)는 대상체 영상에서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영역을 인식하고, 위치 계산부(251)는 해당 영역의 중심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량 계산부(252)는 엑스선 튜브(211) 및 엑스선 검출기(221)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엑스선 튜브(211)와 대상체 영상(I)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 및 엑스선 검출기(221)와 대상체 영상(I)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대상체 영상(I)의 좌표계에 대응되는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의 실제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제어량 계산부(252)는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 튜브(211) 및 엑스선 검출기(221)의 목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엑스선 튜브(211) 및 엑스선 검출기(221)를 각각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211)와 엑스선 검출기(221)의 목표 위치 즉,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는 엑스선 튜브(211)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와스선 검출기(221)의 검출 영역의 중심이 2차원 공간 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엑스선 튜브(211)의 조사 영역 중심과 엑스선 검출기(221)의 검출 영역 중심을 위치 계산부(251)에서 계산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의 중심(C)과 일치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다만, 위치 계산부(251)에서 반드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의 중심 위치를 계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면 엑스선 조사 영역 및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을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의 중심과 일치시키지 않았을 때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중 일부가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가 일정 크기 이하로 작으면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의 위치를 계산해도 무방하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면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의 중심 위치를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서, 복부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P)인 경우에는 촬영부위 인식부(240)가 배꼽을 특징점으로 하여 대상체 영상(I)에서 배꼽을 인식하고, 위치 계산부(251)에서 배꼽의 위치를 계산하며, 제어량 계산부(252)에서 엑스선 튜브(211)와 엑스선 검출기(221)를 배꼽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여 튜브 구동부(212) 및 검출기 구동부(222)에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는 엑스선 촬영 중에는 엑스선 튜브(11a)와 엑스선 검출기(12a)가 고정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20)는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가 갠트리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omputed Tomography: CT)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20)는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23), 대상체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24),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계산하고 마커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25) 및 위치 제어부(25)에 의해 제어되는 환자 테이블(21)을 포함한다.
촬영부(23)가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인식부(24)로 전송하면, 인식부(24)는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한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자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부(24)에서 인식 결과를 위치 제어부(25)로 전송하면, 위치 제어부(25)의 위치 계산부(25a)가 인식된 마커 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를 계산하고, 제어량 계산부(25b)는 슬라이더(21a)를 이동시켜 마커 또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제어량은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로 구현되는 슬라이더 구동부(21c)로 전송된다.
이하, 마커의 인식을 이용한 실시예와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을 이용한 실시예를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마커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관한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마커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관한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엑스선 영상 장치(300)의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는 하우징(310) 내부의 갠트리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환자 테이블(303)은 지지체(303b)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더(303a)를 포함하며, 슬라이더(303a)는 대상체(30)가 눕는 베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보어(305)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엑스선 영상 장치(300)는 대상체(30)가 슬라이더(303a)에 누우면 슬라이더(303a)를 보어(305) 내부로 이동시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더(303a)의 위치를 직접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300)는 슬라이더(303a)를 목표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도 14를 참조하면, 엑스선 영상 장치(300)는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330), 대상체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340),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고 슬라이더(303a) 상의 마커 위치 지점이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303a)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350) 및 환자 테이블(303)을 포함한다.
촬영부(33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200)의 촬영부(130,230)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나, 엑스선 튜브에 장착될 수는 없고 검사실의 천장에 장착되거나 하우징(310) 또는 환자 테이블(303)의 일 측에 연결된 소정의 지지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촬영부(330)의 장착 위치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며, 슬라이더(303a)가 보어(305) 내부로 삽입되기 전에 슬라이더(303a) 또는 그 위에 누워 있는 대상체(30)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된다.
촬영부(330)가 촬영한 대상체 영상은 마커 인식부(340)로 전송되고, 마커 인식부(340)는 대상체 영상에서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50)를 인식한다. 마커의 종류와 마커 인식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위치 제어부(350)는 위치 계산부(351)와 제어량 계산부(352)를 포함하며, 위치 계산부(351)는 인식된 마커(50)의 위치를 계산하고, 제어량 계산부(352)는 슬라이더(303a) 상의 마커(50)의 위치가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303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계산부(351)는 슬라이더(303a) 상에서의 마커(50)의 위치를 계산한다. 앞서 도 6a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체 영상(I)에 나타난 마커(50)의 위치를 슬라이더(303a) 상의 2차원 좌표로 계산하면, 그 위치는 곧 슬라이더(303a)의 어느 지점이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50)의 위치가 (m,n)이면 엑스선 촬영을 위해 슬라이더(303a)의 (m,n) 지점이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제어량 계산부(352)는 환자 테이블의 슬라이더(303a)를 마커(50)의 위치와 엑스선 튜브(311) 또는 엑스선 검출기(321)의 위치가 대응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303a)와 엑스선 튜브(311) 또는 엑스선 검출기(321)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더(303a) 상에서 마커(50)가 위치하는 지점을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 또는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 중심에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제어량은 슬라이더 구동부(303c)로 전송되고, 슬라이더 구동부(303c)는 전송된 제어량에 따라 슬라이더(303a)를 구동한다.
슬라이더(303a) 상에서 마커(50)가 위치하는 지점을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 또는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 중심에 대응시키는 것은 슬라이더(303a) 상에서 마커(50)가 위치하는 지점과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 또는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 중심을 2차원 공간 상에서 일치시키는 것과 같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200)와 달리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300)는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갠트리에 장착되므로 슬라이더(303a)의 위치를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 중 하나와 대응시켜도 무방하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실시예에 관한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400)의 외관과 촬영부(430)의 구성 및 동작, 환자 테이블(403)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엑스선 영상 장치(300)와 같다.
촬영부위 인식부(440)는 촬영부(430)가 촬영한 대상체 영상에서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1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치 계산부(451)는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슬라이더(303a) 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한다. 위치는 2차원 좌표로 계산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일정 크기 이하로 작으면 중심이 아닌 다른 위치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면 그 중심 위치를 계산한다.
제어량 계산부(452)는 슬라이더(403a)와 엑스선 튜브 또는 엑스선 검출기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더(403a) 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위치하는 지점을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 또는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 중심에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계산된 제어량은 슬라이더 구동부(403c)로 전송되고, 슬라이더 구동부(403c)는 전송된 제어량에 따라 슬라이더(403a)를 구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에는 도 2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엑스선 촬영 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한다(611). 대상체 영상의 촬영은 엑스선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 즉 대상체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마커를 위치시킨다. 카메라가 대상체 또는 환자 테이블을 커버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가 표준 렌즈가 장착된 일반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대상체의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한다(612). 마커의 인식은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마커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대상체 영상에서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마커의 위치를 계산한다(613). 일 실시예로서, 마커의 위치는 2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m,n)로 계산될 수 있다.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이동시키기 전에 마커의 위치 계산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위치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마커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614). 이를 위해, 엑스선 튜브와 대상체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 및 엑스선 검출기와 대상체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대상체 영상의 좌표계에 대응되는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의 실제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의 목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각각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의 목표 위치 즉, 마커에 대응되는 위치는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의 중심이 2차원 공간 상에서 마커 또는 마커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계산된 제어량에 따라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이동시키고(615), 엑스선 촬영을 수행한다.
도 17에는 도 10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엑스선 촬영 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한다(621). 대상체 영상의 촬영은 엑스선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 즉 대상체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카메라가 대상체 또는 환자 테이블을 커버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가 표준 렌즈가 장착된 일반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대상체의 영상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한다(622).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은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대상체 영상에서 저장된 특징을 갖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를 계산한다(623). 일 실시예로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는 2차원 좌표계에서의 좌표(m,n)로 계산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중심 위치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중심 위치를 계산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크기에 따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임의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624). 이를 위해, 엑스선 튜브와 대상체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 및 엑스선 검출기와 대상체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대상체 영상의 좌표계에 대응되는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의 실제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의 목표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각각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의 목표 위치 즉,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는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엑스선 검출기의 검출 영역의 중심이 2차원 공간 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 또는 그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계산된 제어량에 따라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를 이동시키고(625), 엑스선 촬영을 수행한다.
도 18에는 도 3의 실시예에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는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CT)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엑스선 촬영 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한다(631). 대상체 영상의 촬영은 엑스선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 즉 대상체가 환자 테이블의 슬라이더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마커를 위치시킨다. 카메라가 대상체 또는 환자 테이블을 커버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가 표준 렌즈가 장착된 일반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대상체의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한다(632). 마커의 인식은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마커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대상체 영상에서 저장된 특징을 갖는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마커의 위치를 계산한다(633). 구체적으로, 환자 테이블의 슬라이더 상에서의 마커의 위치를 계산한다. 대상체 영상에 나타난 마커의 위치를 슬라이더 상의 2차원 좌표로 계산하면, 그 위치는 곧 슬라이더의 어느 지점이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의 위치가 (m,n)이면 엑스선 촬영을 위해 슬라이더의 (m,n) 지점이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그리고, 환자 테이블의 슬라이더를 마커와 엑스선 튜브가 대응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634). 이를 위해, 슬라이더와 엑스선 튜브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대상체 영상의 좌표계에 대응되는 엑스선 튜브의 실제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더 상에서 마커가 위치하는 지점을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에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갠트리에 장착되므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 중 하나와 대응시켜도 무방하다.
계산된 제어량에 따라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635), 엑스선 촬영을 수행한다.
도 19에는 도 15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 역시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CT)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엑스선 촬영 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한다(641). 대상체 영상의 촬영은 엑스선 촬영 준비가 완료된 상태, 즉 대상체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카메라가 대상체 또는 환자 테이블을 커버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가 표준 렌즈가 장착된 일반 카메라인 경우에는 대상체 영상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대상체의 영상으로부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한다(642).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인식은 다양한 물체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대상체 영상에서 저장된 특징을 갖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를 계산한다(643). 일 실시예로서, 인식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슬라이더 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한다.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는 2차원 좌표로 계산될 수 있다고,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중심을 나타내는 위치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중심 위치를 계산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크기에 따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임의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환자 테이블의 슬라이더를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엑스선 튜브가 대응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644). 이를 위해, 슬라이더와 엑스선 튜브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더 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가 위치하는 지점을 엑스선 튜브의 조사 영역 중심에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한다. 당해 실시예에 적용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검출기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갠트리에 장착되므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엑스선 튜브 및 엑스선 검출기 중 하나와 대응시켜도 무방하다.
계산된 제어량에 따라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645), 엑스선 촬영을 수행한다.
110, 210 : 영상 획득부 120, 220 : 제어부
150, 250 : 영상 표시부 130, 230 : 엑스선 발생부

Claims (29)

  1.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위치를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제어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부는,
    상기 마커의 형상, 색상, 재질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을 미리 저장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인식 가능한 특징을 갖는 물체이며, 특정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손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물체를 인식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대상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을 갖는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 계산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 계산 결과를 갱신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촬영부위 인식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1.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갠트리;
    상기 대상체를 상기 갠트리의 보어로 이송하는 슬라이더;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가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상기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제어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촬영부위 인식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15.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중심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엑스선 검출 영역의 중심이 상기 마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부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튜브 및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를 상기 마커의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형상, 색상, 재질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을 미리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인식 가능한 특징을 갖는 물체이며, 특정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손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특징을 갖는 물체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을 갖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엑스선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튜브가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 계산 결과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미리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특징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5.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갠트리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위치한 슬라이더를 상기 갠트리의 보어로 이송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의 위치가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서 상기 엑스선 촬영 부위에 위치하는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부위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마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와 상기 대상체의 영상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마커가 위치하는 슬라이더의 지점이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마커가 위치하는 슬라이더의 지점이 상기 엑스선 튜브 또는 상기 엑스선 검출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량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140002A 2012-12-05 2012-12-05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0002A KR101429068B1 (ko) 2012-12-05 2012-12-05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72001.3A EP2740405B1 (en) 2012-12-05 2013-06-14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919,496 US9028144B2 (en) 2012-12-05 2013-06-17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468512.6A CN103845067B (zh) 2012-12-05 2013-10-09 X射线成像设备和用于控制该x射线成像设备的方法
PCT/KR2013/011027 WO2014088268A1 (en) 2012-12-05 2013-11-29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694,161 US9649080B2 (en) 2012-12-05 2015-04-23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0002A KR101429068B1 (ko) 2012-12-05 2012-12-05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944A Division KR20140072837A (ko) 2014-02-13 2014-02-13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59A true KR20140072959A (ko) 2014-06-16
KR101429068B1 KR101429068B1 (ko) 2014-08-13

Family

ID=4869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0002A KR101429068B1 (ko) 2012-12-05 2012-12-05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8144B2 (ko)
EP (1) EP2740405B1 (ko)
KR (1) KR101429068B1 (ko)
CN (1) CN103845067B (ko)
WO (1) WO2014088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3395B2 (en) * 2012-07-12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X-ray imaging apparatus
CN103543166A (zh) * 2012-07-12 2014-01-29 三星电子株式会社 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9649080B2 (en) * 2012-12-05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89048A1 (ja) * 2013-05-22 2014-11-27 株式会社 東芝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天板制御装置、および天板制御方法
JP6400307B2 (ja) * 2014-03-10 2018-10-03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画像診断装置
EP3134001B1 (en) * 2014-04-24 2018-01-24 Koninklijke Philips N.V. Recognizer of staff or patient body parts using markers to prevent or reduce unwanted irradiation
DE102014218558B4 (de) * 2014-09-16 2023-06-15 Siemens Healthcare Gmbh Benutz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Positionierung eines Untersuchungstisches relativ zu einer medizintechnischen bildgebenden Anlage
EP3234821A1 (en) 2014-12-19 2017-10-25 Brainlab AG Method for optimising the position of a patient's body part relative to an irradiation source
US10722200B2 (en) * 2015-06-04 2020-07-28 Siemens Healthcare Gmbh Apparatus and methods for a projection display device on X-ray imaging devices
EP3320842B1 (en) * 2015-07-07 2020-02-12 Fujifilm Corporation Radiograph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radiography apparatus and program
CN107847203A (zh) * 2015-07-21 2018-03-27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照射装置、放射线照射装置的控制方法以及程序
CN106618615B (zh) * 2015-10-28 2020-01-10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x光摄像定位系统、定位标识板组件和x光机系统
DE102016210131B4 (de) * 2016-06-08 2023-03-09 Siemens Healthcare Gmbh Positionieren eines Untersuchungsobjekts für ein Bildgebungsverfahren
US10952689B2 (en) * 2016-06-10 2021-03-23 Principle Imaging Corporation Multi-axis linear X-ray imaging system
EP3387997B1 (en) 2017-04-13 2020-02-26 Siemens Healthcare GmbH Medical imaging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one or more parameters of a medical imaging device
US10531850B2 (en) * 2017-09-07 2020-01-14 General Electric Company Mobile X-ray imaging with detector docking within a spatially registered compartment
CN110192891A (zh) * 2018-02-24 2019-09-03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X射线成像设备及其定位方法
JP7160937B2 (ja) * 2018-09-27 2022-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US11344267B2 (en) * 2018-11-02 2022-05-31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X-ray cassette positioning
JP6916925B1 (ja) * 2020-03-31 2021-08-1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撮影範囲設定装置、医用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41239A (ja) * 2020-12-09 2021-03-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2347A (en) * 1976-03-30 1980-07-30 Emi Ltd Radiographic apparatus
DE19508715A1 (de) * 1995-03-10 1996-09-12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s Patienten in einem medizinischen Diagnosegerät
EP0904733B1 (en) * 1997-09-27 2007-09-19 BrainLAB AG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 body part
JP2000237335A (ja) * 1999-02-17 2000-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放射線治療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0262511A (ja) * 1999-03-12 2000-09-26 Toshiba Iyo System Engineering Kk 断層撮影装置
ES2180486T3 (es) * 2000-05-09 2003-02-16 Brainlab Ag Metodo de registro de datos de imagen de un paciente resultantes de un metodo de navegacion, para operaciones quirurgicas con rayos x.
DE10047382C2 (de) * 2000-09-25 2003-12-18 Siemens Ag Röntgenkalibrierphantom, Verfahren zur markerlosen Registrierung für navigationsgeführte Eingriffe unter Verwendung des Röntgenkalibrierphantoms und medizinisches System aufweisend ein derartiges Röntgenkalibrierphantom
DE10216857A1 (de) 2002-04-16 2003-11-13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Röntgeneinrichtung
DE10232676B4 (de) * 2002-07-18 2006-01-1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s Patienten in einem medizinischen Diagnose- oder Therapiegerät
DE10334073A1 (de) * 2003-07-25 2005-02-10 Siemens Ag Medizintechnisches Steuerungsystem
DE10335037A1 (de) * 2003-08-01 2005-03-10 Siemens Ag Steuerungsverfahren eines medizinischen Geräts und medizinisches Gerät zur Durchführung des Steuerungsverfahrens
DE102005032288B4 (de) 2005-07-11 2008-10-16 Siemens Ag Röntgenaufnahmeeinrichtung
JP2007252760A (ja) * 2006-03-24 2007-10-04 Shimadzu Corp X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x線断層撮影装置
EP1946702B1 (de) * 2007-01-22 2012-03-07 BrainLAB AG Abbildung anatomischer Strukturen
US8075184B2 (en) * 2008-11-26 2011-12-13 Richard King X-ray calibration
CN102462506B (zh) * 2010-11-09 2015-05-13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激光引导医疗设备自动定位系统及方法
JP2012147978A (ja) * 2011-01-20 2012-08-09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US20140085185A1 (en) * 2011-03-24 2014-03-27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Medical image viewing and manipulation contactless gesture-responsive system and method
CN202404813U (zh) * 2011-03-31 2012-08-29 徐州医学院 数字x线机摆位自动识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0405A1 (en) 2014-06-11
EP2740405B1 (en) 2017-10-25
CN103845067B (zh) 2019-01-25
KR101429068B1 (ko) 2014-08-13
CN103845067A (zh) 2014-06-11
WO2014088268A1 (en) 2014-06-12
US9028144B2 (en) 2015-05-12
US20140153697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068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1781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49589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35421B (zh)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adjustment of the selected parts of the medical equipment
US8899832B2 (en) Mobile patient positioning shield for multiple exposure imaging exams
US11382582B1 (en) Imaging systems and methods
CN111031918A (zh) 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90076106A1 (en) Radiograph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adiography system thereof
CN106618615B (zh) 一种x光摄像定位系统、定位标识板组件和x光机系统
KR20130059489A (ko)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KR20140072837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7564B1 (ko) 의료측정용 자를 내장한 방사선 촬영장치와 그 방법
KR101748348B1 (ko)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20140033474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274195B (zh) 用于x射线检查的测量场的选择
WO2015079456A3 (en) An optical need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e guided percutaneous biopsy procedure
CN110084753A (zh) 基于多传感器融合的动态dr图像拼接方法及终端
KR102210475B1 (ko) 엑스레이 영상 촬영장치
EP3525676A2 (en) Method of adjusting settings of a radiation image recording system
TW201542173A (zh) 結合深度攝影機之診療設備準直儀自動調節裝置及方法
TW201542175A (zh) 結合深度攝影機之診療設備準直儀區域選定控制裝置
KR20130121769A (ko) 방사선투시시스템
KR20190042292A (ko) 영상 정합을 위한 방사선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CN104224229A (zh) 一种记录超声探头的体表位置的设备和方法及超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