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658A - Stack type oil cooler - Google Patents

Stack type oil coo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658A
KR20140072658A KR1020120140420A KR20120140420A KR20140072658A KR 20140072658 A KR20140072658 A KR 20140072658A KR 1020120140420 A KR1020120140420 A KR 1020120140420A KR 20120140420 A KR20120140420 A KR 20120140420A KR 20140072658 A KR20140072658 A KR 2014007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let
inlet
tube membe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0968B1 (en
Inventor
이종문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201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68B1/en
Publication of KR2014007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01M2005/004Oil-cool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9Oil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tacked oil cooler comprising: a tube unit; an inflow flange; and an outflow flange, wherein the tube unit includes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tube member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forms a passage therein so that a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s through the passage, and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and an external second heat exchange medium. The tube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tube member which includ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rrang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mutually molten and coupled with the first plate to form a passage; and a second tube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bottom plate, has a structure same as that of the first plate, and has a third plate and a fourth plate mutually molten and coupled by vertically facing each other. Therefore, the stacked oil cooler can increas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ypes of components and improving assembling properties and increase reliability of a product by improving heat radiation and pressure resistance.

Description

적층식 오일쿨러 {Stack type oil cooler}[0001] Stack type oil cooler [0002]

본 발명은 적층식 오일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종류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식 오일쿨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oil coo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inated oil cooler that can simplify a component type and improve assemblability to improve reliability.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해당 부품 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기능은 물론, 마모나 마멸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도모한다. 가령, 변속기에 사용되는 오일은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내에 동력을 전달하고,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각종 유압기구 즉, 밸브, 클러치 등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변속기의 접동부를 냉각시키고, 이때의 오일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하측에 연결되는 오일 팬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각종 밸브기구 및 유압부품으로 공급된다. Generally, various kinds of oil of automobiles are provided with functions such as lubricating function for smooth operation between the parts, prevention of wear and abras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oil used in the transmission transmits power within the torque converter of the transmission, smoothes rotation of gears or bearings, smoothes the sliding portions of the transmission while smoothly operating various hydraulic devices such as valves, clutches, The oil at this time is supplied from the oil pa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to various valve mechanisms and hydraulic components by a pump.

한편, 이러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부품 상호 간의 윤활작용과 함께 과열 등을 방지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오일은 온도에 따른 점성 등이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kinds of oil of such automobile may prevent overheating as well as lubrication between parts. In such a case, it is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constant because the viscosity of oil influences performance by temperature.

이러한 오일에 대한 냉각방식으로, 별도의 오일 쿨러(Oil cooler)를 설치하여 고온의 오일을 냉각시키거나, 저온의 오일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유럽등록특허 제1231447호의 알루미늄 플레이트 오일 쿨러(Aluminium plate oil cooler)가 개시 된 바 있다. As a cooling method for this oil, a separate oil cooler is installed to cool the high temperature oil or to heat the low temperature oil. Examples of such technologies include aluminum of European Patent No. 1231447 An aluminum plate oil cooler has been disclos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오일 쿨러는 플랜지, 플레이트 및 이너핀을 포함하여 많은 종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복잡하며,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너핀을 포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쁘고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나 누락 등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oil cooler includes many kinds of parts including a flange, a plate, and an inner pin, the assembl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a lot of air is required. The assemblability is poor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due to mistakes or omissions that may occur during assembly.

본 발명은, 부품 종류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식 오일쿨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oil cooler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parts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Top plate)와, 최하측에 위치하는 바텀플레이트(Bottom plate)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바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외부의 제2열교환매체와 열교환 시키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튜브부;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 및 상기 튜브부재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유출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튜브부재와, 상기 바텀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동일구조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3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식 오일쿨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top plat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a bottom plate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and a bottom plate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 tube portion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including a tube member for heat-exchang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with an external second heat exchange medium; An inlet flange formed wit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ube member to supply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member; And an outlet flang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member to form an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s out from the tube member, wherein the tube member includ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The first plate member is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tube member composed of a third plate and a fourth plate mutually fused and bond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튜브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접합 후 용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필렛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ube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illet portion, which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a molten state after the first tube member is joined to the rim portion to whic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joined.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양측에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사이에 복수개의 돌출부와 복수개의 딤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와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딤플부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late may have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protrusion and the dimple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주변으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방사홈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방사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방사홈부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방사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radial grooves protruding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to allow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to radially spread and flow in and out,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adiating protrusions to be bonded to the radiating recesses.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는, 양측 단부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가 각각 끼움 조립되고, 끼움조립되는 양측단부 각각에는 조립 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가 하단으로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 plate is assembled by inserting both the inlet flange and the outlet flange into the both end portions, and each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which are fitted and assembled, are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to prevent the inlet flange and the outlet flange from being curled And 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바텀플레이트는, 상기 제4플레이트와 대면하여 상기 제2튜브부재를 상방지지하고, 양측에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엠보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plate may have an embossed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face the fourth plate and support the second tube member.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대면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입구와 제2유출구에 삽입 접촉되는 버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may further include a burr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first plate.

또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 각각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끼워지는 부분에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Each of the inflow flange and the outflow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ortion which is fit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is fit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have.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는, 서로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상호 조립되는 조립홈과 조립돌기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form an assembly groove and an assembling protrusion, which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t a rim portion to which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are joined.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오일쿨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e laminated oil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품종류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the kinds of parts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ability can be improved, an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둘째, 방열성능 및 내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cond,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and the pressure resistance can be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에서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플레이트에서 방사돌기부 및 방사홈부에 의한 오일 유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오일 유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튜브부에서 상호조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Ⅰ부분 및 Ⅱ부분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oil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be portion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1. Fig.
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oil flow by the radial projection and the radiation groove in the first plate of Fig. 5;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il flow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tual assembly in the tube portion of FIG. 1; FIG.
Figs. 9 and 10 are enlarged views of part I and part II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에서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플레이트에서 방사돌기부 및 방사홈부에 의한 오일 유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적층식 오일쿨러의 오일 유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튜브부에서 상호조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Ⅰ부분 및 Ⅱ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oil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ube portion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1, and Figs. 5a and 5b are plan views show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il flow by the radial projection and the radial groove in the first plate of Fig. 5,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oil flow of the laminated oil cooler of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tual assembly in the tube portion of FIG. 1, and FIGS. 9 and 10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I and II of FIG.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오일쿨러(700)는, 차량용 라디에이터(Radiator; 미도시)의 탱크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튜브부(400)와, 유입플랜지(500)와, 유출플랜지(600)를 포함한다. 1 and 2, a laminated oil coole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side a tank of a radiator (not shown) for a vehicle, and includes a tube portion 400, An inflow flange 500, and an outflow flange 600.

상기 튜브부(400)는, 탑플레이트(Top plate;100)와, 바텀플레이트(Bottom plate;200)와, 튜브부재(300)를 포함한다. The tube unit 400 includes a top plate 100, a bottom plate 200, and a tube member 300.

상기 탑플레이트(100)는, 최상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로 상기 유입플랜지(500)와 상기 유출플랜지(600)가 각각 끼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탑플레이트(100)는, 상기 유입플랜지(500)와 상기 유출플랜지(600)에 끼움 조립되는 양측단부 각각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110)가 구비되어, 조립 시 상기 유입플랜지(500)와 상기 유출플랜지(600)의 하단 조립면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op plate 100 i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and the inflow flange 500 and the outflow flange 600 are fitted to both ends of the top plate 100, respectively. Here, the top plate 100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110 protruding upward from both the inlet flange 500 and the outlet flange 6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let flange 500 and the outflow flange 600 from being entrained into the lower assembly surface of the outlet flange 600.

상기 바텀플레이트(200)는, 상기 제4플레이트(322)와 대면하는 최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튜브부재(300)를 상방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바텀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와 대응되는 양측에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에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엠보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부(21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00)의 내압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 후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에 접합 브레이징 되면서 제1열교환매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ottom plate 200 is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facing the fourth plate 322 and supports the tube member 300 upward. Here, the bottom plate 200 is formed to be upwardly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The embossed portion 210 is formed. The embossed portion 210 can improve the withstand pressure of the bottom plate 200 and is assembled and brazed to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after assembly, Leakage can be prevented.

상기 튜브부재(300)는, 상기 탑플레이트(10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외부의 제2열교환매체와 열교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열교환매체는 고온의 열교환매체로서 차량용 자동 변속기 내부를 유동하는 오일이고, 상기 제2열교환매체는 보다 저온의 열교환매체로서 라디에이터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일 수 있다. The tube member 300 is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and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s, Exchanges heat with the heat exchange medium. Here,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is oil flowing inside the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as a high-temperature heat exchange medium,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may b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side the radiator as a heat exchange medium at a lower temperature.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튜브부재(30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튜브부재(300)는 제1튜브부재(310)와, 상기 제1튜브부재(31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튜브부재(320)를 포함한다. 3, the tube member 300 includes a first tube member 310 and a second tube member 3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tube member 310 and the bottom plate 200 And a second tube member 320 which is made of a metal.

상기 제1튜브부재(310)는,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1플레이트(311)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2플레이트(312)를 포함한다. The first tube member 310 includes a first plate 311 and a second plate 311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311 and fused together with the first plate 311 to form the flow path. 312).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311)는, 양측에 상기 유입홀(510)과 상기 유출홀(610)과 각각 대응되도록 제1유입구(3111)와 제1유출구(311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 사이에 복수개의 돌출부(3113)와 복수개의 딤플부(3114)가 형성되어 있다. 5A, a first inlet 3111 and a first outlet 3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3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510 and the outlet hole 61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3113 and a plurality of dimple portions 3114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312)는,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와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3121)와 제2유출구(3122)가 각각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3124)와 상기 딤플부(312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상기 돌출부(3113)와 상기 딤플부(3114)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113, 3124)는 냉각수 유동 영역을 기준으로 돌출된 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딤플부(3114,3123)는 냉각수 유동 영역을 기준으로 오목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러한 기준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5B, the second plate 312 includes a second inlet 3121 and a second outlet 3122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respectively And the protruding portion 3124 and the dimple portion 3123 are formed so as to be opposite to the protruding portion 3113 and the dimple portion 3114 of the first plate 311. Here, the protrusions 3113 and 3124 represent protrud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cooling water flow region, and the dimple portions 3114 and 3123 denote concave portions based on the cooling water flow reg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standards.

여기서, 상기 제1튜브부재(31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2)가 조립되면 상기 돌출부(3113,3124)와 상기 딤플부(3114,3123)가 서로 접합되면서, 내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제1열교환매체와 제2열교환매체에 와류를 발생시켜 열전달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re assembled together, the protrusions 3113 and 3124 and the dimple portions 3114 and 3123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tube member 310, The pressure resistance can be ensured and a vortex can be gener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rate.

한편, 상기 제2튜브부재(32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0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동일구조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3플레이트(321)와 제4플레이트(32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2튜브부재(32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상기 제3플레이트(321)와 상기 제4플레이트(322)를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여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플레이트를 제작할 필요 없어 부품의 종류를 단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튜브부재(320)는 상기 제3플레이트(321)와 상기 제4플레이트(322)가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tube member 320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200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plate 311 and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321) and a fourth plate (322). That is, since the second tube member 320 can be constructed by disposing the third plate 321 and the fourth plate 322, which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plate 311, facing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a separate plate, so that the kinds of parts can be simplified. Here, since the third plate 321 and the fourth plate 322 of the second tube member 32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plate 31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2) 및 상기 제3플레이트(321)와 상기 제4플레이트(322)는, 서로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상호 조립되는 조립홈(3117)과 조립돌기(3127)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홈(3117)과 상기 조립돌기(3127)의 형상은 상호 조립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각 플레이트에 대하여 테두리부 외측으로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또한 일 실시예로 그 개수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nd the third plate 321 and the fourth plate 322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edge of the assembly plate 311, And an assembling protrusion 3127, respectively. In this case, if the assembling recess 3117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3127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various structures are possible. In the figure, a pair of the assembling recess 3117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3127 are provided outside the frame But the number and position thereof can be variously changed.

상기 유입플랜지(500)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며, 상기 튜브부재(300)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300)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홀(510)이 형성되어 있다. The inlet flange 500 includes an inlet hole 510 for supply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member 300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ube member 300 and introduc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Is formed.

상기 유출플랜지(600)는, 상기 튜브부재(30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300)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유출하는 유출홀(6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에서 배출된 제1열교환매체는 오일펌프(미도시)의 작용에 의하여 자동 변속기 내부로 복귀되고 다시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로 순환되면서 냉각된다.The outlet flange 600 includes an outlet hole 610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tube member 300 and discharg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rom the tube member 300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Respectively. Here,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from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by the action of an oil pump (not shown), and then circulated to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to be cooled.

상기 유입플랜지(500)와 상기 유출플랜지(600) 각각은,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에 끼워지는 부분에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부(520)를 구비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Each of the inflow flange 500 and the outflow flange 600 is fitted into the first inflow port 3111 and the first outflow port 3112 and is fitted into the first inflow port 3111 and the first outflow port 3112 And a fitting portion 520 protruding downward slantingly on a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520. The fitting portion 520 facilitates assembly.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튜브부재(31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2)가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접합 후 용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필렛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렛부(330)는 상기 테두리부가 "ㄷ"자 밴딩 구조대신 "Y"자 구조로 되어 있어 밴딩 후 크랙발생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브레이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측에 형성된 클래드(10)의 필렛으로 용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4, the first tube member 310 includes a fillet portion (not shown)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11 and 312 are joined to the rim of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330 are formed. Since the edge portion of the fillet portion 330 has a Y-shaped structure instead of the U-shaped band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cracking after bending and secure the brazing property, The molten state can be visually confirmed with a fillet.

한편, 상기 돌출부(3113,3124)와 상기 딤플부(3114,3123)는 유체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113,3124)와 상기 딤플부(3114,3123)는 서로 그 열이 번갈아 형성된 구조를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otrusions 3113 and 3124 and the dimples 3114 and 3123 are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so as to reduce fluid resistance and the protrusions 3113 and 3124 and the dimples 3114 and 3123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311)는, 상기 제1유입구(3111)와 상기 제1유출구(3112) 주변으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방사홈부(31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에 상기 제2플레이트(312)는, 상기 제2방사홈부(312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방사홈부(3115)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제2방사홈부(3125)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late 31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eat exchanging media 3111 and a plurality of second heat exchanging media 3112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first heat exchanging medium radially into the vicinity of the first inlet 3111 and the first outlet 3112, The first radiation groove 3115 is protruded so that the second plate 312 has a plurality of second radial grooves 3115 joined to the first radiation groove 3115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ation groove 3125, A radiation groove 3125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1방사홈부(3115)와 상기 제2방사홈부(3125)는 입출구에서의 제1열교환매체를 균등하게 분배해주는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압 보강의 역할도 한다. Here, the first radiation groove 3115 and the second radiation groove 3125 serve as a guide for evenly distribut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at the inlet and outlet,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상기 제2플레이트(312)는, 상기 제2유입구(3121)와 상기 제2유출구(3122)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대면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 또는 상기 제3플레이트(321)의 제1유입구(3111)와 제2유출구(3112)에 삽입 접촉되는 버링부(3126; 도 3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링부(3126)는, 상기 제2플레이트(312)와 상기 제1 및 제3플레이트(311,321)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plate 312 is disposed on the first plate 311 or the third plate 32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inlet 3121 and the second outlet 3122, And a burring portion 3126 (see FIG. 3) inserted into and contacted with the second outlet 3112 and the second outlet 3112 are provided. The burring portion 3126 facilitates assembly between the second plate 312 and the first and third plates 311 and 321 and fixes them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튜브부재(31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2플레이트(312)가 브레이징을 통하여 용융 접합되고, 상기 제2튜브부재(320) 또한 상기 제3플레이트(321)와 상기 제4플레이트(322)가 브레이징을 통하여 용융 접합된다. 이때 용융 접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1튜브부재(310)와 상기 조립홈(3117)의 테두리부(A)와, 서로 맞닿아 있는 상기 돌출부(3113,3124)와 상기 딤플부(3114,3123)가 서로 접하여 브레이징 된다. The first tub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re fusion bonded through brazing and the second tube member 320 is also welded to the third plate 321 And the fourth plate 322 are fusion bonded through brazing. At this time, the portion to be fusion-bonded is formed by the rim portion A of the first tube member 310 and the fitting groove 3117, the protruding portions 3113 and 3124 and the dimple portions 3114 and 3123,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raz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는 상기 돌출부(3113,3124)를 통하여 상기 탑플레이트(10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200)와 전면적에 걸쳐 접촉되지 않고 부분 부분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를 유동하는 제1열교환매체의 열이 직접 방열하여 열전달에 유리하며, 상기 제2열교환매체에 와류를 유도하여 열전달률을 향상시키며, 탑플레이트(100)와 바텀플레이트(200)와 균일하게 배열 및 접합 브레이징되기 때문에 내압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7,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p plate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are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contacting the entire surface through the protrusions 3113 and 3124 The heat of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is advantageous for heat transfer and the vortex is induc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 medium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rate and uniformly arranged with the top plate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And the brazed joint can ensure the withstand voltag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튜브부재(310a)는 상기한 "Y"자형의 테두리 구조가 아닌 상기 제1플레이트(311a)와 상기 제2플레이트(312a) 중 어느 하나가 절곡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00a, 320a, 321a, 322a 및 500a는 전술한 부호 300, 320, 321, 322 및 500의 구성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first tube member 310a is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the first plate 311a and the second plate 312a, which is not the Y-shaped rim structure, Structure. Here, the reference numerals 300a, 320a, 321a, 322a, and 500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ference numerals 300, 320, 321, 322, and 500 described above.

한편, 도면에서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는, 상기 제1튜브부재(310) 2개와 상기 조립홈(3117) 하나가 적층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부재(310)의 개수는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is formed by stacking two of the first tube members 310 and one of the assembly grooves 3117. However, Needless to say, the number of the tube members 31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and the like.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는 구성 부품의 종류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은 향상시키고 중량은 저감시켜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이너핀을 없앰으로써 부품 누락에 대한 검사가 불필요하며, 이너핀이 플레이트 사이에 끼이는 것과 같은 조립상의 문제발생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식 오일쿨러(700)는,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 및 내압성을 확보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can simplify the types of components, improve the assemblability, reduce the weight,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eliminate the inner pin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assembling such that the inner pin is sandwiched between the plates. Further, the laminated oil cooler 700 can simplify the entire structure to assure the assembling property and the pressure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interio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탑플레이트 110... 끼움돌기
200... 바텀플레이트 210... 엠보부
300... 튜브부재 310... 제1튜브부재
311... 제1플레이트 3111... 제1유입구
3112... 제1유출구 3113, 3124... 돌출부
3114, 3123... 딤플부 3115... 제1방사홈부
312... 제2플레이트 3121... 제2유입구
3122... 제2유출구 3125... 제2방사홈부
3126... 버링부 3117... 조립홈
3127... 조립돌기 320... 제2튜브부재
321... 제3플레이트 322... 제4플레이트
330... 필렛부 400... 튜브부
500... 유입플랜지 510... 유입홀
520... 끼움부 600... 유출플랜지
610... 유출홀 700... 적층식 오일쿨러
100 ... top plate 110 ... fitting projection
200 ... bottom plate 210 ... embossed portion
300 ... tube member 310 ... first tube member
311 ... first plate 3111 ... first inlet
3112 ... first outlet 3113, 3124 ... protruding portion
3114, 3123 ... dimple portion 3115 ... first radiation groove
312 ... second plate 3121 ... second inlet
3122 ... second outlet 3125 ... second radiation groove
3126 ... burring part 3117 ... assembly groove
3127 ... assembly protrusion 320 ... second tube member
321 ... third plate 322 ... fourth plate
330 ... Fillet part 400 ... Tube part
500 ... inlet flange 510 ... inlet hole
520 ... fitting portion 600 ... outflow flange
610 ... Outlet hole 700 ... Laminated oil cooler

Claims (9)

최상측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Top plate)와, 최하측에 위치하는 바텀플레이트(Bottom plate)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바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외부의 제2열교환매체와 열교환 시키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튜브부;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 및
상기 튜브부재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된 유출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튜브부재와,
상기 바텀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동일구조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용융 접합되는 제3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튜브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식 오일쿨러.
A bottom plate positioned on the uppermost side, a bottom plate positioned on the lowermost side, and a flow path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s, A tube portion including a tube member for heat-exchanging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with an external second heat exchange medium;
An inlet flange formed wit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ube member to supply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member; And
And an outlet flang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member and having an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flows out from the tube member,
Wherein the tube member comprises:
One or a plurality of first tube members including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below the first plate and fusing together with the first plate so as to form the flow path,
And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tube members which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plate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are fusion- Express oil coo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접합 후 용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필렛부가 형성된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ube member comprises:
And a fillet portion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a molten state after joining to a rim portion to which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join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양측에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사이에 복수개의 돌출부와 복수개의 딤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와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딤플부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plate has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dimpl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Lt; / RTI &
Wherein the second plate has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the protrusion and the dimple being opposite to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 주변으로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방사홈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방사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방사홈부와 접합되는 복수개의 방사돌기부가 형성된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radial grooves protruding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so that the first heat exchange medium spreads radially and flows in and out,
Wherein the second plate has a plurality of radial protrusions joined to the second radial groov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adial protrusio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대면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입구와 제2유출구에 삽입 접촉되는 버링부를 더 구비하는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late
Further comprising: a burr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first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는,
양측 단부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가 각각 끼움 조립되고,
끼움조립되는 양측단부 각각에는 조립 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가 하단으로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를 더 구비하는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plate comprises:
The inflow flange and the outflow flange being fitted into both end portions,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protruded upward to prevent the inlet flange and the outlet flange from being curled at the bottom during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는,
상기 제4플레이트와 대면하여 상기 제2튜브부재를 상방지지하고,
양측에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엠보부가 형성된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comprises:
Facing the fourth plate to support the second tube member upward,
And an embossed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il coo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 각각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끼워지는 부분에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끼움부를 더 구비하는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flow flange and the outflow flang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fitting portion fitted in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는,
서로 접합되는 테두리부에 상호 조립되는 조립홈과 조립돌기를 각각 형성하는 적층식 오일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And an assembling groove and an assembling protrusion which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t an edge portion to be joined to each other are respectively formed.
KR1020120140420A 2012-12-05 2012-12-05 Stack type oil cooler KR1019709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20A KR101970968B1 (en) 2012-12-05 2012-12-05 Stack type oil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20A KR101970968B1 (en) 2012-12-05 2012-12-05 Stack type oil coo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58A true KR20140072658A (en) 2014-06-13
KR101970968B1 KR101970968B1 (en) 2019-04-25

Family

ID=5112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420A KR101970968B1 (en) 2012-12-05 2012-12-05 Stack type oil coo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9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892A (en) * 1985-02-07 198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Plate type heat exchanger
JPH0674676A (en) * 1992-08-31 1994-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KR100892109B1 (en) * 2008-07-10 2009-04-0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Transmission oil cooler
KR20100033666A (en)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원진 Laminated pathway type heat exchanger of 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892A (en) * 1985-02-07 198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Plate type heat exchanger
JPH0674676A (en) * 1992-08-31 1994-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KR100892109B1 (en) * 2008-07-10 2009-04-0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Transmission oil cooler
KR20100033666A (en)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원진 Laminated pathway type heat exchanger of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968B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211B2 (en) Heat exchanger
US20120325446A1 (en) Oil cooler
JP6126358B2 (en) Multi-plate oil cooler
US8857503B2 (en) Calibrated bypass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EP3124832A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4209064A (en) Panel-type radiator for electrical apparatus
EP3106818A1 (en) Can-type heat exchanger
EP3037772A1 (en) Heat exchanger
KR102173397B1 (en) Oil Cooler
KR101970968B1 (en) Stack type oil cooler
CN110617120B (en) Oil cooler
JP4857074B2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KR101062407B1 (en) Multi-layer Oil Heat Exchanger
KR101273440B1 (en) Heat Exchanger
KR102176493B1 (en) Stack type oil cooler
KR100389699B1 (en) Water Cooling Heat Exchanger
JP2015102279A (en) Oil cooler
JP5511571B2 (en) Heat exchanger
KR100600561B1 (en) Water-Cooled Oil Cooler for Cooling of Automobile Engine Oil
KR101707046B1 (en) Oil cooler
JP2008304133A (en) Heat exchanger
KR102567473B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multiple fluids
KR101020067B1 (en) Laminated Heat Exchanger of Oil
JP2007147186A (en) Core part structure of housingless-type oil cooler
KR100988319B1 (en) H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