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796A - 타일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타일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796A
KR20140071796A KR1020120139793A KR20120139793A KR20140071796A KR 20140071796 A KR20140071796 A KR 20140071796A KR 1020120139793 A KR1020120139793 A KR 1020120139793A KR 20120139793 A KR20120139793 A KR 20120139793A KR 20140071796 A KR20140071796 A KR 2014007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tile
display
ty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970B1 (ko
Inventor
황재철
박동식
박은주
신성의
윤여오
최해욱
박정범
송혜선
손아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9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일형 표시장치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을 접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접합부에 역반사체(retroreflector)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광원의 반사를 통해 구동 영상의 단절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비표시 경계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편광판과 표시패널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빛을 재귀반사 시키는 역반사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형 표시장치{TI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타일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도록 한 타일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표시장치는 시각정보의 전달수단으로써 중요성을 높임과 동시에 정보화사회가 구현되는 속에서 산업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멀티미디어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정보의 다양화는 전자표시장치의 필요성을 일층 더 명확하게 하고 있다. 동시에 전자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대화면, 고화질, 뛰어난 시인성 및 경제성이 강해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에서는 저전압, 저소비전력이 필수 조건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표시장치 중의 하나로써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을 특징으로 응용 시장을 확대해온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그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점점 더 큰 사이즈의 고화질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화면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대형 글라스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매우 많은 제조비용이 들기 때문에 초기에는 작은 액정표시패널에 광학계를 장착하여 스크린에 큰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른바 투사형 TV(projection TV)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 추세를 따른다 하더라도 액정표시장치의 실제 화면 사이즈를 크게 가져가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액정표시패널 모듈을 측면끼리 접하도록 배열하여 접합한 타일형 액정표시장치(tiled LCD)가 실용화되고 있다.
일 예로, 타일형 액정표시장치는 미국 특허공보 제4,980,775호, 제5,067,021호, 제5,068,740호 및 제5,079,636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 모듈을 2개 이상 접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이 경우 서로 접합된 액정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경계 부분에 대한 심리스(seamless)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일형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평면도로써, 2×2 타일형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형 표시장치(10)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30a, 30b, 30c, 30d)들이 프레임(35)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표시패널 모듈(30a, 30b, 30c, 30d)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표시패널, 광학부재 등이 부착되어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각각의 표시패널 모듈(30a, 30b, 30c, 30d)의 외곽에는 비표시영역이 존재하고 이러한 비표시영역의 접합으로 타일형 액정표시장치(10)는 심(seam)이라는 비표시 경계영역(60)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비표시 경계영역(60)은 디스플레이 구동 시 블랙인 상태를 가지게 되어 디스플레이 시청 시 이미지의 단절감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을 접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접합부에 대한 구동 영상 단절감을 개선한 타일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일형 표시장치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이 접합되어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타일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비표시 경계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편광판과 표시패널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빛을 재귀반사 시키는 역반사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 모듈은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편광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편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 편광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된 차광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반사체는 상기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비표시 경계영역의 형태에 따라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반사체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부재는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부재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반사체는 알루미늄 증착 층이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소유리구체; 다수개의 상기 미소유리구체가 서로 동일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도록 지지하여 주는 결합체 층; 및 상기 표시패널 모듈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체 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을 접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접합부에 역반사체(retroreflector)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광원의 반사를 통해 구동 영상의 단절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비표시 경계영역 하부에 역반사체를 구비하여 외부 광원을 반사시켜 심 영역(인위적 경계, 물리적 이음새)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심 영역에서 블랙에 대한 시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일형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액정표시패널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써, 2×2 타일형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접합되는 표시패널 모듈의 개수에 관계없이 n×m(n, m≥2) 타일형 표시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이웃하는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접합부의 단면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표시패널 모듈의 예로써 액정표시패널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100)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들이 지지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에는 액정표시패널, 전계방출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및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105)과 어레이 기판(110)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105)과 어레이 기판(110)사이의 셀갭에 형성된 액정층(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105)은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107)로 구성된 컬러필터(C)와 상기 서브-컬러필터(107)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126)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106), 그리고 상기 액정층(126)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10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레이 기판(110)은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개의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게이트라인(116)과 데이터라인(117), 상기 게이트라인(116)과 데이터라인(117)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T) 및 상기 화소영역(P)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105) 대신에 상기 어레이 기판(110)에 공통전극(108)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120은 상기 어레이 기판(110)에 형성된 전술한 TFT 어레이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실패턴(125)을 통해 컬러필터 기판(105)과 어레이 기판(110)이 합착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는 공통전극(108)과 화소전극(118)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126)에 전계를 인가하며, 상기 공통전극(108)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전극(118)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액정층(126)의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108)과 화소전극(118)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118)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스위칭소자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가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외측에는 각각 상, 하부 편광판(101, 11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편광판(11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150)를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키며, 상기 상부 편광판(103)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킨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 예로 지지 프레임인 커버 바텀(cover bottom) 위에 반사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반사판의 적어도 일측 상에 빛을 발생시키는 LED 어레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LED 어레이의 출광 방향으로는 상기 LED 어레이에서 발생된 빛을 패널(101)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도광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 어레이에서 발광된 빛은 투명한 재질의 상기 도광판 측면으로 입사되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도광판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빛을 도광판 상면의 광학시트들 쪽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줄이고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들은 확산시트와 상, 하부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며, 보호시트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킴으로써,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어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직하게 굴절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시트는 상기 확산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 중 특정 각 이상으로 지나는 빛은 전반사 시켜 다시 도광판으로 보내고, 특정 각 이하로 들어오는 빛은 중앙 부위로 모이도록 집광하여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에 분포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리즘시트는 빛을 위아래 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모으기 위해 2개가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시트는 먼지나 긁힘에 민감한 광학시트들을 보호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150)를 운반하는 경우에 광학시트들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하여 빛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100)는 상기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들 사이 접합부의 심(seam)에 의한 이미지 단절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접합부에 역반사체(retroreflector)(1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의 외곽에는 비표시영역(통상 이를 블랙매트릭스(106)로 가리게 되며, 이 영역의 사이즈가 베젤(bezel) 폭을 결정하게 됨)이 존재하고 이러한 비표시영역의 접합으로 타일형 액정표시장치(100)는 심이라는 비표시 경계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비표시 경계영역은 디스플레이 구동 시 블랙인 상태를 가지게 되어 디스플레이 시청 시 이미지의 단절감을 주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들 사이 접합부에 역반사체(140)를 설치하여 외부 광원의 반사를 통해 구동 영상의 단절감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 시 상기 역반사체(140)에 의한 외부 광원의 반사에 의해 심의 블랙에 대한 시청자의 눈에 대한 시감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시청자는 기존의 타일형 표시장치(100)의 심에 대한 자극이 완화되어 디스플레이 영상 구동 시 이미지 단절감이 개선되거나 심이 없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역반사체(140)는 접합부의 형태에 따라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심 영역의 최상층 편광판 아래, 즉 상기 상부 편광판(101)과 표시패널 모듈(130a, 130b, 130c, 1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역반사체(140)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역반사체(140)는 비표시 경계영역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역반사체(140)는 빛의 재귀반사(retro-reflection)를 이용하기 위해 고휘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알루미늄 증착 층이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소유리구체와 다수개의 상기 미소유리구체가 서로 동일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도록 지지하여 주는 결합체 층 및 판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체 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소유리구체는 굴절률이 1.93, 직경 30㎛ ~ 100㎛의 유리구형체로서 층 말단에 형성되는 초점 층에 입사되는 모든 빛을 전부 재귀반사 시키기 위해 미소유리구체의 말단에 알루미늄 증착 층이 0.3㎛ ~ 0.4㎛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비표시 경계영역에 대한 하부의 백라이트 광을 차단하기 위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 즉 하부 편광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에 차광 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다음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써, 2×2 타일형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접합되는 표시패널 모듈의 개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이웃하는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접합부의 단면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모듈의 예로써 액정표시패널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200)는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230a, 230b, 230c, 230d)들이 지지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패널 모듈(230a, 230b, 230c, 230d)에는 액정표시패널, 전계방출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및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패널 모듈(230a, 230b, 230c, 230d)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205)과 어레이 기판(210)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205)과 어레이 기판(210)사이의 셀갭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컬러필터 기판(205)은 적, 녹 및 청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와 상기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206), 그리고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레이 기판(210)은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개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화소영역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 대신에 상기 어레이 기판에 공통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220 및 225는 각각 상기 어레이 기판(210)에 형성된 TFT 어레이 구성요소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205)과 어레이 기판(210)의 합착을 위한 실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외측에는 각각 상, 하부 편광판(201, 21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편광판(21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50)를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키며, 상기 상부 편광판(203)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200)는 상기 표시패널 모듈(230a, 230b, 230c, 230d)들 사이 접합부의 심에 의한 이미지 단절감을 개선하기 위해,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접합부에 역반사체(2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역반사체(240)는 접합부의 형태에 따라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심 영역의 최상층 편광판 아래, 즉 상기 상부 편광판(201)과 표시패널 모듈(230a, 230b, 230c, 2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역반사체(240)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역반사체(240)는 비표시 경계영역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역반사체(240)는 빛의 재귀반사를 이용하기 위해 고휘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알루미늄 증착 층이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소유리구체와 다수개의 상기 미소유리구체가 서로 동일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도록 지지하여 주는 결합체 층 및 판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체 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소유리구체는 굴절률이 1.93, 직경 30㎛ ~ 100㎛의 유리구형체로서 층 말단에 형성되는 초점 층에 입사되는 모든 빛을 전부 재귀반사 시키기 위해 미소유리구체의 말단에 알루미늄 증착 층이 0.3㎛ ~ 0.4㎛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장치(200)는 비표시 경계영역에 대한 하부의 백라이트 광을 차단하기 위해 백라이트 어셈블리(250)의 상부, 즉 상기 하부 편광판(211)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50) 사이에 차광 부재(24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차광 부재(245)는 차광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역반사체(240)와 동일하게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광 부재(245)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245)는 비표시 경계영역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200 : 타일형 표시장치 101,201 : 상부 편광판
105,205 : 컬러필터 기판 106,206 : 블랙매트릭스
110,210 : 어레이 기판 111,211 : 하부 편광판
120,220 : TFT 어레이 구성요소 125,225 : 실패턴
130a,230a, 130b,230b, 130c,230d, 130d,230d : 표시패널 모듈
140,240 : 역반사체 245 : 차광 부재

Claims (10)

  1. 복수개의 표시패널 모듈이 접합되어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타일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비표시 경계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편광판과 표시패널 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빛을 재귀반사 시키는 역반사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은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편광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편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편광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된 차광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체는 상기 표시패널 모듈들 사이의 비표시 경계영역의 형태에 따라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체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십자형이나 격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십자형이나 격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체는
    알루미늄 증착 층이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미소유리구체;
    다수개의 상기 미소유리구체가 서로 동일 평면상에 등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도록 지지하여 주는 결합체 층; 및
    상기 표시패널 모듈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체 층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제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 표시장치.
KR1020120139793A 2012-12-04 2012-12-04 타일형 표시장치 KR10199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93A KR101996970B1 (ko) 2012-12-04 2012-12-04 타일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93A KR101996970B1 (ko) 2012-12-04 2012-12-04 타일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796A true KR20140071796A (ko) 2014-06-12
KR101996970B1 KR101996970B1 (ko) 2019-07-05

Family

ID=511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793A KR101996970B1 (ko) 2012-12-04 2012-12-04 타일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9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91A (ko) * 2015-06-05 2016-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JP2017009770A (ja) * 2015-06-22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7072336A1 (en) * 2015-10-29 2017-05-04 Miortech B.V. Electrowetting optical element
KR20190106960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위즈덤라이트코리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112908188A (zh) * 2021-02-05 2021-06-0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
US11425826B2 (en) 2017-07-11 2022-08-23 Corning Incorporated Tiled display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834A (ko) 2020-05-12 2021-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30099923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타일형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대형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181A1 (ja) * 2011-03-03 2012-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射スクリーン、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181A1 (ja) * 2011-03-03 2012-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射スクリーン、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91A (ko) * 2015-06-05 2016-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JP2017009770A (ja) * 2015-06-22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7072336A1 (en) * 2015-10-29 2017-05-04 Miortech B.V. Electrowetting optical element
US10948709B2 (en) 2015-10-29 2021-03-16 Miortech B.V. Electrowetting optical element
US11425826B2 (en) 2017-07-11 2022-08-23 Corning Incorporated Tiled display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06960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위즈덤라이트코리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112908188A (zh) * 2021-02-05 2021-06-0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970B1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970B1 (ko) 타일형 표시장치
US20190089880A1 (en) Image capturing device
JP2019207432A (ja) 光バルブ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2634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3232649U (zh) 显示装置
KR20170050734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장치
KR201101120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0260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52407A1 (en) Display unit
KR2012006849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5301276A (ja) 両面表示機能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2159949B1 (ko) 커브드 표시장치
KR20110030221A (ko) 차광테이프구조 및 차광테이프 부착방법
KR10050453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18233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4646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397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9247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826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38412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49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2004217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00041853A1 (en) Display device
JP2008083300A (ja) 液晶表示装置
KR2012004409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