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309A -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1309A KR20140071309A KR1020140060872A KR20140060872A KR20140071309A KR 20140071309 A KR20140071309 A KR 20140071309A KR 1020140060872 A KR1020140060872 A KR 1020140060872A KR 20140060872 A KR20140060872 A KR 20140060872A KR 20140071309 A KR20140071309 A KR 20140071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t
- skin
- pig
- pig skin
- microorganis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7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130 Arctium lap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078 Arctium m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250 Chrysanthe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4000307700 Fragaria ves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40738 Sesamum ori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332371 Abutilon x hybr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032 Acri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520 Angelica archangel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818 Ar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40 Brassica rapa subsp ra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940 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10324 Cetraria isla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960 Cit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235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05754 Colocasia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1 Colocasia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04 Cucurb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5850 Diospyros virgi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70 Fragari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28 Fragaria vesca ssp.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60 Fragaria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21 Humulus lup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0406 Malus silve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70916 Paeonia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09 Phytolacca dio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142 Por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9 Prun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06 Ranun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47145 Sebastes good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6603 Virgilia orob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35 cit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61 fat-fr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947 parasit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EFOAORQXAOVJQ-RZFZLAGVSA-N schisandrol a Chemical compound C1[C@H](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RZFZLAGV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61 spon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0 tallo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 tre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돼지껍질을 침지시켜 40℃ 이하의 온도에서 10~100시간 동안 숙성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분해되도록 하는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액상의 유용미생물 침지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은 돼지껍질 특유의 잡 냄새도 사라지며, 또한 돼지껍질에 서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잡균들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위생적인 돼지껍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돼지껍질을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할 수 있음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일력을 감축할 수 있음으로, 지출되는 경비를 크게 줄이데 기여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액상의 유용미생물 침지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은 돼지껍질 특유의 잡 냄새도 사라지며, 또한 돼지껍질에 서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잡균들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위생적인 돼지껍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돼지껍질을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할 수 있음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일력을 감축할 수 있음으로, 지출되는 경비를 크게 줄이데 기여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돼지껍질에 붙은 지방을 분해함으로써,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껍질은 돼지 껍데기로도 불리는 육류의 부산물이다. 특히, 돼지껍질은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호성 식품이다.
그러나 돼지껍질의 내피에 붙어있는 다량의 지방(일명, 비개)은 돼지껍질의 식감을 떨어드리는 것은 물론 설사, 비만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돼지껍질을 충분히 익힌 다음 돼지껍질의 내피에 붙은 지방을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긁어내는 방법으로 돼지껍질의 지방을 제거하여 쫄깃쫄깃한 식감이 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돼지껍질에 붙여있는 지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너무 많은 시간과 일력이 소요되며, 또한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돼지껍질에 붙여있는 지방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이때 발생하는 지방이 하수구로 유입된 경우 하수구 내에서 응고됨으로써 하수구가 막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돼지껍질을 침지하여 숙성과정에서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분해되도록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면, 유용미생물에 침지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제거됨은 물론, 돼지껍질 특유의 잡 냄새도 사라지며, 또한 돼지껍질에 서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잡균들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위생적인 돼지껍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면, 액상의 유용미생물 침지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제거토록 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다량의 돼지껍질을 유용미생물에 침지가 가능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일력을 감축할 수 있음으로, 지출되는 경비를 크게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액상의 유용미생물 또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돼지껍질의 털 등 불순물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준비하는 돼지껍질 준비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b단계에서 준비된 돼지껍질을 침지시켜 40℃ 이하의 온도에서 10~100시간 동안 숙성하여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분해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지방 분해가 완료된 돼지껍질을 깨끗한 물로 세척 후 탈수하여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의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보통 EM(이엠)을 알려진 유산균, 납두균, 효모, 아세트산균, 광합성세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유용미생물로서 통상 설탕, 과당, 맥아당, 유당, 자당, 꿀, 엿, 조청, 올리고당, 과당, 원당, 사탕, 포도당, 당밀, 원당 등으로 예시되는 당을 먹이원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시판되는 EM을 구입하여 그대로 또는 그것을 배양하여 사용되거나, 국내특허 출원 제10-2014-10-2014-0016440호의 유용미생물 증류배양액의 제조방법, 국내특허 출원 제10-2014-10-2014-0016430호의 발효식품을 이용한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 한국등록특허 제 10-1268079 호의 한약재와 선옥균을 이용한 식품 첨가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청구 1항의 b단계의 유용미생물 제조방법 등의 유용미생물의 제조방법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시판되는 유용미생물을 구입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의 배양방법을 예시하면; 발효조에 조성물 총 중량부(%) 대비 유용미생물 0.5~30%, 미강 0.5~10%, 소금 0.5~2%, 설탕 0.5~10%에 나머지 물을 넣어 잘 혼합한 혼합물을 28~30℃의 온도에서 7~30일간 혐기발효시키고, 발효가 완료되면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함으로써 배양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한방약재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90%의 비율로 혼합하고 10~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6개월 정도 혐기 발효시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한방약재가 지니는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발효되도록 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한방약재는 쌀·겉보리·쌀보리·밀·맥주보리·기장·조·수수·옥수수·메밀·밀콩·팥·녹두·강낭콩·동부·감자·고구마·고구마줄기·누에·벌·식용메뚜기·배추·양배추·시금치·상추·미나리·수박·참외·오이·호박·토마토·딸기·가지·피망·순무·무·당근·우엉·도라지·토란·꽈리고추·고추·마늘·파·양파·생강·사과·배·복숭아·포도·감귤·감·밤·호도·대추·잣·도토리·은행·산딸기·면화·유채·참깨·들깨·땅콩·호프·녹차·구기자·길경·당귀·작약·황기·천궁·지황·시호·오미자·사삼·인삼·더덕·여주·알로엘·수세미·국화·장미·안개꽃 및 허브로 대변되는 등과 감나무·대추나무·잣나무·매실나무·자두나무·뽕나무·왕대·솜대·맹종·죽대·두릅나무·엄나무·초피나무(제피나무)·꾸지뽕나무·편백나무·구상나무·스트로브잣나무·리기다소나무·테다소나무·리기테다소나무·버지니아소나무·해송·소나무·낙엽송·전나무·삼나무·옻나무·향나무 등으로 예시되는 약용류 등과 같이 약리효과나 식용에 적용할 수 있는 굴취한 수목·수실(樹實)·수피(樹皮)·수지(樹脂)·생엽(生葉)·수액·낙엽·꽃·뿌리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톳·김·미역·곰취·파래·우뭇가사리·모자반·가사리·꼬시래기·다시마·함초·매생이·세모가사리·멈·개파래·불등가사리·바다감초 등으로 예시되는 수산식물과 솔이끼·우산이끼·송라·물이끼·리트머스이끼·난쟁이이끼·매화나무이끼· 공작이끼· 구슬이끼·엷은잎우산이끼·아이슬란드이끼·빛이끼·꽃이끼·수염이끼·괴불이끼·선구실사리 등으로 예시되는 이끼류 등으로 예시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재료 선택은 필요시 관련 전문가나 동의보감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개선효과, 상처치료 또는 개선효과, 피부질환치료효과, 보습효과, 탈모방지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더욱 좋다. 론, 상기에서 예시된 한방약재는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한방약재는 세척과정 등을 통해 위생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며, 부피가 큰 것은 잘게 썰거나 조각을 내거나, 분쇄하거나, 마쇄하는 등 각 재료가 지니는 유효성분이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서 추출하기 용이한 크기의 것이면 좋다.
상기 한방약재 중 특히 양파, 우엉, 녹차 등은 동물성 지방 분해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를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용미생물을 추출하고 또한 발효시켜 유용미생물에 의한 양파 발효추출물, 우엉 발효추출물, 녹차 발효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돼지껍질에 붙여있는 지방을 제거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국내특허 출원 제10-2014-10-2014-0016461호의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기술을 적용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상의 유용미생물 또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 이외에도 양파, 우엉, 녹차, 발효주, 주정, 식초, 구연산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정육점 등 육류 판매점으로부터 돼지껍질을 구매하여 토치 및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돼지껍질의 털 등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돼지껍질을 준비하면 된다. 이때, 돼지껍질 내피에 붙어있는 지방이 너무 두껍게 붙어있는 경우라면 지방을 칼로 베어내어 제거할 수도 있다.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얇을수록 하기 단계에서 지방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b단계에서 준비된 돼지껍질을 침지시켜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분해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넣은 용기에 유용미생물을 담지하고,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돼지껍질을 침지 시 나무토막이나 돌, 스테인리스스틸 등 을 세척하여 돼지껍질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돼지껍질의 일부가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양파자루 등에 돼지껍질을 담은 상태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하여도 좋다.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된 돼지껍질은 40℃이하의 온도에서 미생물 활동이 완성하게 일어 남으로서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 분해가 잘되며, 10℃ 이하에서는 유용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됨으로써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분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더 많이 소요됨으로 바람직하게는 10~40℃ 정도의 온도가 적합하다. 물론, 필요시 40℃이상에서도 가능하나 미생물이 사멸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60℃ 이하)에서 바람직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유용미생물에 침지된 상태의 돼지껍질은 10~100시간, 바람직하게는 24~72시간 정도면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충분히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시간보다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시간보다 적으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충분히 분해시킬 수 없다.
그리고 돼지껍질이 침지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은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혼탁해질 수 있다. 이때, 돼지껍질을 용기로부터 꺼낸 다음 혼탁물을 버리고 사용되지 않는 액상의 유용미생물로 교체한 후 상기 돼지껍질을 다시 유용미생물에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필요시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제거됨은 물론, 돼지껍질 특유의 잡 냄새도 사라지며, 또한 돼지껍질에 서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성 대장균 등의 잡균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더욱 위생적인 돼지껍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지방제거가 완료된 돼지껍질을 액상의 유용미생물로부터 꺼내어 수돗물 등 깨끗한 물로 세척 후 탈수기로 탈수하여 물기를 뺀 다음 용기에 적당량을 담아 포장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한다. 물론, 진공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 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은 그대로 또는 양념에 묻혀 열에 가열하거나, 기름에 튀기거나, 열에 가열하고 건조하거나 더 나아가 분쇄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하여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식품 이외에도 분쇄된 돼지껍질은 콜라겐으로서 이를 물 등의 희석제와 혼합한 팩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인체의 경피에 적용하기 용이한 화장품 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등 우리 인간의 건강을 위해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기,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실시예 1
(1) 액상의 유용미생물을 제조하는 제 1공정
40L의 발효조에 전통방법으로 제조되어 3년 숙성 발효된 된장 600g, 당밀 1L, 지하수 정수물 39L을 넣어 잘 혼합하고 그것을 25~32℃의 온도에서 20일간 혐기발효시키되 밀폐된 발효조에서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 배출을 위해 발효조의 뚜껑에 형성된 한 개의 미세한 구멍(직경 0.1mm)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유용미생물을 부직포주머니를 여과기로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된장에서 추출 배양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을 대략 39L 정도를 제조하였다.
(2)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준비하는 제 2공정
육류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정육점에서 0.3~0.5mm 정도를 두께를 갖는 돼지껍질을 구매하여 화기인 토치로 돼지껍질 외피에 열을 가하여 돼지털을 태운 후 칼로 태운 부위를 강제로 굵어 내어 돼지털을 제거한 다음, 칼로 폭 및 길이가 10Cm 이내의 크기로 잘게 잘라낸 후 이를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돼지껍질 5kg을 준비하였다.
(3) 돼지껍질의 지방을 제거하는 제 3공정
10L의 플라스틱용기에 상기 제 1공정에서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 4L를 넣고,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제 2공정에서 준비된 돼지껍질 2kg을 투입한 후 물이 담겨진 병을 돼지껍질 위에 올려놓아 돼지껍질이 액상의 유용미생물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용기의 뚜껑을 덮고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된 돼지껍질을 15~29℃ 정도의 온도에서 76시간을 숙성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 내피에 붙어 있는 지방이 분해되어 제거되도록 하였다.
(4) 지방이 분해된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포장하는 제 4공정
상기 제 3공정에서 지방 분해가 완료된 돼지껍질을 깨끗한 물로 세척 후 탈수기에서 탈수하여 돼지껍질의 물기를 뺀 다음, 지퍼백에 약 300g 씩을 나누어 담아 밀봉 후 냉동고에 냉동보관함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공정
20L의 발효조에 상기 실시예 1의 제 1공정에서 제조된 액상의 된장 유용미생물 17L에 건조 연잎 1kg을 침지 후 밀폐시켜 25~32℃의 온도에서 90일간 혐기발효시킴으로써, 된장 유용미생물에 의해 연잎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동시에 그 추출물은 발효되게 하였고, 발효종료일에 발효조로부터 발효물을 꺼내어 부직포 주머니를 여과기로 사용하여 연잎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 16L 정도를 제조하였다.
(2) 돼지껍질의 지방을 제거하는 제 2공정
10L의 플라스틱용기에 상기 제 1공정에서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 4L를 넣고, 그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에 상기 실시예 1의 제 2공정에서 준비된 돼지껍질 3kg을 투입한 후 물이 담겨진 병을 돼지껍질 위에 올려놓아 돼지껍질이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용기의 뚜껑을 덮고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에 침지된 돼지껍질을 20~29℃ 정도의 온도에서 72시간 정도를 숙성한 다음,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약재 발효추출물을 숙성조로부터 꺼낸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제 공정에서 제조된 액상의 유용미생물 4L를 넣고 20시간을 더 숙성하여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 내피에 붙어 있는 지방이 분해되어 제거되도록 하였다.
(3) 지방이 분해된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포장하는 제 3공정
상기 제 2공정에서 지방 분해가 완료된 돼지껍질을 깨끗한 물로 세척 후 탈수기에서 탈수하여 돼지껍질의 물기를 뺀 다음, 지퍼백에 약 300g 씩을 나누어 담아 밀봉 후 냉장고에 냉장보관함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위생적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 600g을 물과 함께 요리용 냄비에 넣고 가스레인지로 가열하여 충분히 익힌 후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꺼내어 채반에서 자연냉각한 후 칼로 잘게 썰어 먹기가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20대 남성 및 여성 각 3명, 40대 남성 2명, 50대 남성 6명 및 여성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잡 냄새, 쫄깃쫄깃한 맛, 기호도 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가 하기 표 1 및 표2에서와 같다.
구 분 | 실시예1 제형을 익힌 식품 |
쫄깃쫄깃한 맛 | 5 |
기호도 | 5 |
1) 숫자는 1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을 익힌 식품에 대한 쫄깃쫄깃한 맛, 그리고 기호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구 분 | 실시예1 제형을 익힌 식품 |
잡 냄새 | 4 |
1) 숫자는 1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을 익힌 식품에 대한 잡 냄새가 전혀 없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 1.5kg을 고추장, 양파, 참께 등 각종양념에 묻힌 다음 석쇠에서 익힌 식품을 즉석에서 20대 남성 및 여성 각 2명, 40대 남성 1명, 50대 남성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쫄깃쫄깃한 맛, 기호도 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가 하기 표 3에서와 같다.
구 분 | 실시예2 제형을 양념을 묻혀 익힌 식품 |
쫄깃쫄깃한 맛 | 5 |
기호도 | 5 |
1) 숫자는 1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에 대한 쫄깃쫄깃한 맛, 그리고 기호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선반에 얇게 올려놓고 건조기에서 80~110℃의 온도에서 4시정도 건조하여 지방이 제거된 건조 돼지껍질을 제조한 다음 이를 일명, 도깨비방망이로 불리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돼지껍질 분말 300g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돼지껍질 분말을 물에 희석하되 조성물 총 중량(%)대비 돼지껍질분말:물을 1:80%로 희석하여 팩 형태로 제조하였다. 20대 남성 및 여성 각 2명, 40대 여성 2명, 5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얼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팩을 약 15분 정도 실시하여 보습력 및 기호도 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가 하기 표 3에서와 같다.
구 분 | 실시예2 제형을 분말화하여 물에 희석된 팩 |
보습력 | 5 |
기호도 | 5 |
1) 숫자는 2회 실험 평균값
2) 판정 기준;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 결과 >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제형에 대한 보습력 및 기호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은 돼지껍질 특유의 잡 냄새도 사라지며, 또한 돼지껍질에 서식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는 잡균들을 유용미생물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위생적인 돼지껍질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한 발명인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다량의 돼지껍질을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침지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할 수 있음으로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일력을 감축할 수 있음으로, 지출되는 경비를 크게 줄이데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은 건조기에서 40~120℃의 온도로 건조한 다음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돼지껍질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식품에 이용되거나, 인체의 경피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물 등의 희석제에 혼합하여 경피에 도포하기 용이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 형태로 제조가능하다.
여기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에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함유비율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분말:희석제를 1:10~99%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 조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은 얼굴 등 경피에 적당량 도포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보습효과를 포함하는 경피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제조하여 상품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돼지껍질을 이용하는 식품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 a) 액상의 유용미생물 또는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의한 한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유용미생물 제조단계; b) 돼지껍질의 털 등 불순물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준비하는 돼지껍질 준비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액상의 유용미생물에 b단계에서 준비된 돼지껍질을 침지시켜 40℃ 이하의 온도에서 10~100시간 동안 숙성하여 유용미생물에 의해 돼지껍질에 붙어있는 지방이 분해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지방 분해가 완료된 돼지껍질을 깨끗한 물로 세척 후 탈수하여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청구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제 1항 내지 2항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
- 제 3항에 있어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통상의 조리방법에 의해 조리하여 식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 - 제 3항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건조기에서 40~120℃에서 건조한 다음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 분말을 제조 후, 조성물 총 중량(%)대비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분말:물을 1:10~99%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
- 제 5항의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을 보습효과 등이 목적으로 인체의 경피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을 함유하는 팩의 용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872A KR20140071309A (ko) | 2014-05-21 | 2014-05-21 |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872A KR20140071309A (ko) | 2014-05-21 | 2014-05-21 |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1309A true KR20140071309A (ko) | 2014-06-11 |
Family
ID=5112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0872A KR20140071309A (ko) | 2014-05-21 | 2014-05-21 |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7130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951B1 (ko) * | 2020-03-27 | 2020-07-31 | 김정학 |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
KR20210068674A (ko) * | 2019-12-02 | 2021-06-10 | 주식회사 봄봄 | 돼지고기 숙성방법 |
-
2014
- 2014-05-21 KR KR1020140060872A patent/KR201400713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8674A (ko) * | 2019-12-02 | 2021-06-10 | 주식회사 봄봄 | 돼지고기 숙성방법 |
KR102139951B1 (ko) * | 2020-03-27 | 2020-07-31 | 김정학 |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ejano et al. | Table olives: varieties and variations | |
KR20150095308A (ko) | 미생물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
CN104397637A (zh) | 一种直投式复合乳酸菌发酵制备秧草泡菜的方法 | |
KR20160122607A (ko) | 유용미생물 발효 절임 야채 음식재료의 제조방법 | |
KR20150095258A (ko) | 발효주의 제조방법 | |
CN102987312A (zh) | 一种麻辣蕨菜的制备方法 | |
KR20150095292A (ko) |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 |
CN105995776A (zh) | 一种低亚硝酸盐倒坛腌制蔬菜及其制作方法 | |
KR20140071309A (ko) | 지방이 제거된 돼지껍질의 제조방법 | |
CN105211803B (zh) | 一种鲜泡菜的制备工艺 | |
KR101915708B1 (ko) |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 |
JP7036425B2 (ja) | 椎茸エキ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椎茸エキスを含有する日持向上剤 | |
CN105520123A (zh) | 一种蘑菇酱配方及制作方法 | |
JP6360346B2 (ja) | 自然発酵システムを利用した発酵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発酵製品並びに菌叢の拡張・利用方法 | |
KR100704095B1 (ko) | 메밀의 싹, 꽃을 원료로 한 쥬스의 제조 방법 | |
JP6981712B2 (ja) | 柿果実処理方法 | |
CN104757488A (zh) | 一种酸渍辣黄瓜的制作工艺 | |
KR102753909B1 (ko) | 무염 멸치액젓을 포함하는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US11298389B2 (en) | Method for preparing non-toxic lacquer, fermented rice bran powder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dered grain nutrient food | |
KR102770586B1 (ko) | 바이오플락 사육수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숙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90930B1 (ko) | 양념 게장용 양념 | |
KR101663889B1 (ko) | 청양고추 발효액을 이용한 통무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통무김치 | |
KR102677947B1 (ko) | 김치의 현지화 생산을 위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 |
KR102000842B1 (ko) | 대나무통 숙성 모링가 장아찌와 이의 제조방법 | |
KR20100042953A (ko) | 참치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