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908A - 탄환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탄환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908A
KR20140070908A KR1020120137377A KR20120137377A KR20140070908A KR 20140070908 A KR20140070908 A KR 20140070908A KR 1020120137377 A KR1020120137377 A KR 1020120137377A KR 20120137377 A KR20120137377 A KR 20120137377A KR 20140070908 A KR20140070908 A KR 2014007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unit
roller
mo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학
Original Assignee
(주) 포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스탑 filed Critical (주) 포스탑
Priority to KR102012013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0908A/ko
Publication of KR2014007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탄환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된 탄환을 일렬로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탄환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탄환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탄환을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탄환을 검사하여 분류하는 작동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환검사장치 {APPARATUS FOR TESTING BULLET}
본 발명은 탄환을 검사한 후 검사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분류하는 탄환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환은 탄자(탄두)와 탄피를 별도로 제작하고, 탄피의 단부에 뇌관을 설치하고, 탄피의 내부에 탄약을 주입한 후, 탄피에 탄자를 결합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한편 탄환은 제조공정 중에 크랙, 스크래치 등이 있는 경우 총기사고로 직결될 수 있는바, 탄자가 탄피에 정확하게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 탄자 및 탄피에 이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 탄자 및 탄피에 변색이나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있는지 여부, 뇌관이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 등 탄환의 외관에 불량이 있는지를 확인 후에 출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탄환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탄환에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으므로, 탄환을 검사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탄환의 불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탄환을 검사하는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환의 외관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탄환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환의 불량여부를 측정하는 공정과, 불량탄환을 분류하는 공정을 하나의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는 탄환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탄환을 일렬로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탄환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탄환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탄환을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환검사장치는, 상기 반송유닛에 탄환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탄환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안착부재상의 상기 탄환을 상기 안착부재로부터 상기 반송유닛상으로 로딩시키는 로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회전방향으로의 양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반송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회전방향으로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재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상기 탄환을 밀어 상기 안착부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절곡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송유닛은, 순환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이웃하는 롤러와 함께 탄환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되는 탄환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송유닛은, 직선형으로 순환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와,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사이에 탄환을 지지하며 지지되는 탄환을 회전시키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에는 상기 탄환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상부에서의 상기 탄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롤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 또는 상기 롤러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이동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에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오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널링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립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롤러회전부재를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회전부재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탄환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탄환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탄환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명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탄환의 반송방향으로의 상기 촬상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유닛상에서의 상기 탄환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탄환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불량으로 검사된 탄환을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장치; 상기 가스분사장치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반송유닛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탄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된 상기 탄환이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탄환이 공급되는 상기 반송유닛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분류유닛에 의하여 분류되지 않은 상기 탄환이 배출되어 수용되는 배출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복수의 탄환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탄환을 순차적으로 반송하고, 반송되는 탄환의 불량여부를 측정한 후, 불량이 있는 탄환과 불량이 없는 탄환을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므로, 탄환을 검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탄환을 회전시키면서 반송할 수 있으므로, 탄환의 둘레 전체에 대한 검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불량이 있는 복수의 탄환을 불량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납용기에 나누어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리가 가능한 불량탄환과 폐기대상인 불량탄환을 분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의 상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환검사장치의 공급유닛과 반송유닛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탄환검사장치의 측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탄환검사장치의 반송유닛의 롤러 및 탄환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탄환검사장치의 측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탄환검사장치의 분류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에서, 반송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탄환(B)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10)에 의하여 공급된 탄환(B)을 일렬로 반송하는 반송유닛(20)과,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탄환(B)의 반송경로상에 설치되어 탄환(B)을 검사하는 검사유닛(30)과,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된 검사결과에 따라 탄환(B)을 분류하는 분류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유닛(10)은, 검사유닛(30)에 탄환(B)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공급유닛(10)은, 탄환(B)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11)와, 공급장치(11)로부터 공급된 탄환(B)이 안착되는 안착부재(12)와, 안착부재(12)를 지지하는 지지바(13)와, 지지바(13)를 통하여 안착부재(12)와 연결되어 안착부재(12)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4)와, 안착부재(12)상의 탄환(B)을 안착부재(12)로부터 반송유닛(20)상으로 로딩시키는 로딩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장치(11)로는, 예를 들면, 복수의 탄환(B)이 수용되고 일측에 탄환(B)이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호퍼나, 복수의 탄환(B)이 수용되며 회전되는 볼피더 및 볼피더와 연결되어 탄환(B)을 직선형으로 이동시키는 라인피더로 구성되는 공급기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안착부재(12)는 그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재(12)는 안착부재(12)의 회전방향으로의 양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재(12)상에 탄환(B)이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도록, 안착부재(12)는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장치(14)로는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장치(14)의 작동에 의하여 안착부재(12)가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장치(14)에 작동에 의한 안착부재(12)의 회전속도는 안착부재(12)상에 탑재된 탄환(B)이 안착부재(12)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딩부재(15)는, 반송유닛(20)의 상부에서 안착부재(12)의 회전방향으로의 전방에 배치되어, 안착부재(12)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탄환(B)을 밀어 안착부재(12)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딩부재(15)는 안착부재(12)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탄환(B)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부재(15)는 안착부재(12)의 절곡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재(12)가 중앙부분이 절곡된 대략 V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로딩부재(15)는 안착부재(12)의 중앙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딩부재(15)를 이용하여 안착부재(12)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탄환(B)을 반송유닛(20)으로 로딩할 수 있으므로, 반송유닛(20)으로 탄환(B)을 로딩하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반송유닛(20)은, 직선형으로 순환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21)와, 이동부(2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이동부(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21)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22)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롤러(22)들은 이웃하는 롤러(22)와 함께 탄환(B)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되는 탄환(B)을 회전시킨다.
이동부(21)는,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이송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1)가 무한궤도타입의 체인(211)과 연결되는 경우, 반송유닛(20)에는, 체인(211)이 감기는 스프로킷(212) 및 스프로킷(212)과 연결되어 스프로킷(212)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22)들은 한 쌍의 이동부(21)에 그 양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롤러(22)의 회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롤러(22)의 양단과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2)들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에 탄환(B)이 위치되는데, 롤러(22)상에서 탄환(B)의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롤러(22)에는 탄환(B)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22)의 상부에서의 탄환(B)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2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수단은, 롤러(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222)이 될 수 있으며, 롤러(2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23)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221)에 의하여, 롤러(22)상에서의 탄환(B)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탄환(B)이 반송유닛(2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반송되는 과정에서 탄환(B)이 롤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수단(221)에 의하여 롤러(22)상에서의 탄환(B)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므로, 검사유닛(30)이 탄환(B)을 검사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홈(222)은 롤러(22)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23)는 롤러(22)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의 링형상의 부재를 롤러(22)의 둘레면에 감싸는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3)는 롤러(22)의 상부에서의 탄환(B)의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B)의 반송과정에서, 탄환(B)이 그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즉, 탄환(B)이 롤러(22)의 상부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반송유닛(20)은, 롤러(22)의 하부에서 롤러(22)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롤러(22)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회전부재(23)는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롤러(22)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1)의 이동에 의하여 롤러(22)가 직선형으로 이동할 때, 직선형으로 이동되는 롤러(22)와 위치가 고정된 상태인 롤러회전부재(23)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롤러(22)가 롤러회전부재(23)상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롤러(22)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환(B)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회전부재(23)에 의하여 탄환(B)이 회전되므로, 탄환(B)의 둘레 전체가 검사유닛(30)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롤러회전부재(23)는 검사유닛(30)이 탄환(B)의 외관을 측정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22)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탄환(B)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반송유닛(20)은, 롤러회전부재(23)를 이동부(21)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회전부재이동장치(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롤러회전부재(23)로는 무한궤도타입의 벨트가 이용될 수 있고, 롤러회전부재이동장치(24)로는 롤러회전부재(23)와 연결되는 풀리(241) 및 풀리(24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검사유닛(30)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탄환(B)를 촬상하여 탄환(B)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탄환(B)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검사유닛(30)은 반송유닛(20), 검사유닛(30) 및 분류유닛(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미도시)와 물리적으로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로서, 검사유닛(30)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탄환(B)을 촬상하는 촬상장치(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촬상장치(31)는, 반송유닛(2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반송되는 탄환(B)의 상부에 배치되어 탄환(B)을 촬상하는 카메라(311)와, 탄환(B)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명기(312)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311)는 탄환(B)의 반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1)가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탄환(B)이 복수의 부분으로 나뉘어 복수의 카메라(311)에 의하여 촬상될 수 있다.
한편, 검사유닛(30)은 탄환(B)의 반송방향으로의 촬상장치(31)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반송유닛(20) 상에서의 탄환(B)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32)는, 예를 들면,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321)와, 발광부(321)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21)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322)에 수광되는지 여부 및 수광되는 횟수를 감지하여, 반송유닛(20)상에서의 탄환(B)의 유무와 반송유닛(20)에 의하여 반송되는 탄환(B)의 개수를 계측할 수 있다.
감지센서(32)에 의하여 반송유닛(20)상에 탄환(B)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검사유닛(3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환(B)들이 반송유닛(20)에, 예를 들면 복수의 롤러(22)들의 사이사이에 지지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바 감지센서(32)가 반송유닛(20)상에 일부 위치에서 탄환(B)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검사유닛(30)은 감지센서(32)에 의하여 탄환이 없는 것으로 감지된 위치에서의 탄환(B)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감지센서(32)가 발광부(321) 및 수광부(322)로 구성되는 광학센서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지센서(32)로 초음파센서, 카메라 등의 다양한 감지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유닛(40)은, 탄환(B)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검사유닛(30)에 의하여 불량으로 검사된 탄환(B)을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장치(41)와, 가스분사장치(4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스분사장치(41)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하여 반송유닛(20)으로부터 이탈된 탄환(B)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42)와, 가이드부재(42)와 연결되어 가이드부재(42)를 따라 이동된 탄환이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용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스분사장치(41)는, 예를 들면, 탄환(B)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는 가스분사노즐(411)과, 가스분사노즐(411)로 공기 등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412)와, 가스분사노즐(411)과 연결되며 검사유닛(30)에 의하여 불량으로 검사된 탄환(B)을 향하여 가스분사노즐(411)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기(412)로부터 가스분사노즐(411)로의 가스흐름을 개폐하는 제어밸브(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스공급기(412)로는 송풍기나 압축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어밸브(413)로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 전자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가스분사장치(41), 가이드부재(42) 및 수납용기(43)는 탄환(B)이 분류되어야 할 검사의 종류에 맞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분류되어야 할 탄환(B)의 검사결과에 따른 분류대상이 복수인 경우, 가스분사장치(41) 및 가이드부재(42)가 탄환(B)의 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가이드부재(42)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납용기(43)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2)로는 내부에 탄환(B)이 통과하는 통로가 마련되며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분류유닛(40)에 의하여 분류되는 탄환(B)은 불량탄환(B)이 될 수 있다. 즉, 검사유닛(30)은 탄환(B)에 대한 불량여부를 측정하고, 검사유닛(30)이 불량으로 측정한 탄환(B)은 분류유닛(40)에 의하여 반송유닛(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수납용기(43)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불량탄환(B)이 불량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납용기(43)에 나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분류유닛(40)은, 그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이 발생한 부위, 즉 탄자불량, 탄피불량, 뇌관불량으로 분류하여 각 수납용기(43)에 해당 탄환(B)을 나누어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류유닛(40)은, 검사유닛(20)에 의하여 미처 검사되지 않거나 검사결과가 불명확한 경우 재검사를 위하여 별도의 수납용기(43)에 해당 탄환(B)을 나누어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탄환(B)이 공급되는 반송유닛(2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는 분류유닛(20)에 의하여 분류되지 않은 양품의 탄환(B)이 배출되어 수용되는 배출용기(5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환검사장치에서, 반송유닛(20)의 다른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유닛(20)은 직선형으로 순환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21)와, 이동부(2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단이 한 쌍의 이동부(21)에 결합되는 고정바(25)와, 고정바(25)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롤러(22)와, 롤러(22)의 양단과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에서 고정바(25)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롤러(22)의 양단과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싱(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이송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바(25)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27)을 통하여 그 양단이 한 쌍의 이동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25)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22)는 고정바(25)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바(25)에 대한 롤러(22)의 회전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롤러(22)의 내주면과 고정바(25)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28)은 롤러(22)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22)는 이웃하는 롤러(22)와 함께 탄환(B)을 지지하며, 자체적인 회전에 의하여 탄환(B)를 회전시킨다. 롤러(22)의 자체적인 회전에 의하여 탄환(B)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롤러(22)의 외주면과 탄환(B)의 외주면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22)의 외주면에는 슬립방지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립방지수단은 롤러(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오링(2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링(225)은 롤러(22)의 외주면으로부터 롤러(22)의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내입되며 롤러(22)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링삽입홈(224)에 끼워지는 형태로 롤러(22)에 배치될 수 있다. 오링(225)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링(225)은 롤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링(225)은 롤러(22)의 외주면과 탄환(B)의 외주면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롤러(22)와 탄환(B)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여 탄환(B)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 및 롤러(22)의 상부에서의 탄환(B)의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슬립방지수단은 롤러(2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널링가공하여 형성하는 슬립방지부(2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오링(225)은 롤러(22)의 외주면 중 탄환(B)의 탄피(B1)가 접촉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슬립방지부(226)는 롤러(22)의 외주면 중 탄환(B)의 탄자(B2)가 접촉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자(B2)의 직경이 탄피(B1)의 직경에 비하여 작으므로, 슬립방지부(226)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환(B)은 롤러(22)의 상부에서 수평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부싱(26)은 롤러(22)의 양단에 배치되어 한 쌍의 이동부(21)상에서의 롤러(22)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싱(26)은 롤러(22)가 그 길이방향으로 임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의 대상이 되는 탄환(B)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탄환(B)의 길이에 따라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 없이, 한 쌍의 이동부(21)의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설정하고, 탄환(B)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롤러(22)를 고정바(25)에 끼운 후, 롤러(22)의 양단과 한 쌍의 이동부(2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부싱(26)을 롤러(22)의 양단에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탄환(B)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환검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급유닛(10)의 공급장치(11)로부터 안착부재(12)상으로 탄환(B)이 공급되는 것과 함께 안착부재(12)가 구동장치(14)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반송유닛(20)의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안착부재(12)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탄환(B)이 로딩부재(15)에 의하여 밀리면서 안착부재(12)로부터 반송유닛(20)의 복수의 롤러(22) 사이의 영역으로 낙하함에 따라 복수의 롤러(22) 사이의 영역에 복수의 탄환(B)이 순차적으로 로딩된다. 이때, 복수의 롤러(22) 사이의 영역에 탄환(B)이 안정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롤러(22)에 마련되는 위치결정수단(221)에 의하여 롤러(22)상에서의 탄환(B)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이동부(21)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롤러(22) 및 복수의 롤러(22)들 사이에 지지된 탄환(22)이 검사유닛(30)을 향하여 직선형으로 이동한다.
이때, 감지센서(32)에 의하여, 복수의 롤러(22)상의 탄환(22)의 유무가 감지될 수 있고, 검사유닛(30)으로 반송되는 탄환(22)의 유무, 개수 등이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유닛(30)이 탄환(B)의 외관을 측정하는 영역에서, 복수의 롤러(22)가 롤러회전부재(23)와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롤러(22)가 회전되면서 직선형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롤러(22)상의 탄환(B)이 회전되면서 직선형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검사유닛(30)의 촬상장치(31)가 회전되면서 직선형으로 이동되는 탄환(B)의 둘레 전체를 촬상하며, 촬상된 탄환(B)의 이미지로부터 탄환(B)에 불량이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이때, 검사유닛(30)은 불량이 있는 것으로 검사된 탄환(B)의 위치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분류유닛(40)이 해당 탄환(B)를 검사결과에 따라서 분류하도록 한다.
그리고, 검사유닛(30)에 의하여 불량이 있는 것으로 검사된 탄환(B)은, 검사유닛(30)을 통과하여 분류유닛(40)으로 반송된 후, 가스분사장치(41)의 가스분사노즐(421)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의 힘에 의하여 롤러(22)의 상부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부재(42)로 유입되고, 가이드부재(42)를 따라 이동한 후, 수납용기(43)에 수납된다.
그리고, 검사유닛(30)에서 불량이 없는 것으로 검사된, 즉 양품의 탄환(B)은 분류유닛(40)을 통과하여 반송유닛(20)에 의하여 이동된 후, 배출용기(50)에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복수의 탄환(B)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탄환(B)을 순차적으로 반송하고, 반송되는 탄환(B)의 불량여부를 검사한 후, 불량이 있는 탄환(B)과 불량이 없는 탄환(B)을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므로, 탄환(B)을 검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탄환(B)을 회전시키면서 반송할 수 있으므로, 탄환(B)의 둘레 전체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환검사장치는, 불량이 있는 복수의 탄환(B)을 불량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납용기(43)에 나누어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리가 가능한 불량탄환(B)과 폐기대상인 불량탄환(B)을 분류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급유닛 20: 반송유닛
30: 검사유닛 40: 분류유닛

Claims (21)

  1. 탄환을 일렬로 반송하는 반송유닛;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탄환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탄환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및
    상기 탄환을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검사된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는 탄환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에 탄환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탄환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안착부재상의 상기 탄환을 상기 안착부재로부터 상기 반송유닛상으로 로딩시키는 로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회전방향으로의 양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반송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회전방향으로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재상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상기 탄환을 밀어 상기 안착부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절곡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순환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이웃하는 롤러와 함께 탄환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하여 지지되는 탄환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는 상기 탄환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상부에서의 상기 탄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롤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롤러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이동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오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널링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립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유닛은, 상기 롤러회전부재를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회전부재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반송유닛에 의하여 반송되는 상기 탄환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탄환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상기 탄환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탄환의 반송방향으로의 상기 촬상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송유닛상에서의 상기 탄환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탄환의 반송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유닛에 의하여 불량으로 검사된 탄환을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장치;
    상기 가스분사장치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하여 상기 반송유닛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탄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된 상기 탄환이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탄환이 공급되는 상기 반송유닛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양품의 탄환이 배출되어 수용되는 배출용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검사장치.
KR1020120137377A 2012-11-29 2012-11-29 탄환검사장치 KR20140070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77A KR20140070908A (ko) 2012-11-29 2012-11-29 탄환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77A KR20140070908A (ko) 2012-11-29 2012-11-29 탄환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08A true KR20140070908A (ko) 2014-06-11

Family

ID=5112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77A KR20140070908A (ko) 2012-11-29 2012-11-29 탄환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09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80B1 (ko) 2015-12-03 2016-03-15 주식회사 풍산 조절된 자기력을 이용한 탄환정렬이송장치
KR101638033B1 (ko)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 중인 탄환의 측정과 수정을 연속 수행하는 탄환검사장치
KR101638032B1 (ko) *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중인 탄환의 자전과 공전을 이용한 탄환이미지 검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80B1 (ko) 2015-12-03 2016-03-15 주식회사 풍산 조절된 자기력을 이용한 탄환정렬이송장치
US9592962B1 (en) 2015-12-03 2017-03-14 Poongsan Corporatio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transferring ammunition using controlled magnetic force
KR101638033B1 (ko)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 중인 탄환의 측정과 수정을 연속 수행하는 탄환검사장치
KR101638032B1 (ko) *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중인 탄환의 자전과 공전을 이용한 탄환이미지 검사장치
US9709371B1 (en) 2015-12-28 2017-07-18 Poongsan Corporation Ammunition inspecting system
US9863747B2 (en) 2015-12-28 2018-01-09 Poongsan Corporation System for inspecting, fixing, or screening ammun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31242B2 (en) Gemstone inspection
US6959108B1 (en) Image based defect detection system
US74038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manufactured parts and sorting the inspected parts
KR101980860B1 (ko) 스프링 핀 선별장치
KR101287464B1 (ko)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WO2012001414A2 (en) Inspection
KR20140070908A (ko) 탄환검사장치
KR101123282B1 (ko) 강구 비전 검사기
TW2009143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and inspecting objects
KR101638032B1 (ko) 이송중인 탄환의 자전과 공전을 이용한 탄환이미지 검사장치
JP6521227B2 (ja) 部品検査装置
JP2006234725A (ja) 筒状物品の側面部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180591B1 (ko) 볼케이지 정렬 공급장치
KR101682091B1 (ko) 캡 검사장치
KR200416589Y1 (ko) 오링 자동검사장치
KR101366072B1 (ko) 광량조절형 원통형제품 검사장치
JP2016049515A (ja) 対象物検査装置
KR102099126B1 (ko)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KR101931200B1 (ko) 전자부품 검사 및 분류장치
JPH09304288A (ja) 金属リング検査装置
CA31393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preforms
JP2021010906A (ja) 果菜載せ体及び果菜自動選別装置
KR100781094B1 (ko) 오링 자동검사장치
US202401739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pipette tips
JPH05256787A (ja) 円柱状部品表面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