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924A -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924A
KR20140069924A KR1020120137801A KR20120137801A KR20140069924A KR 20140069924 A KR20140069924 A KR 20140069924A KR 1020120137801 A KR1020120137801 A KR 1020120137801A KR 20120137801 A KR20120137801 A KR 20120137801A KR 20140069924 A KR20140069924 A KR 20140069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bu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rv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965B1 (ko
Inventor
송준화
이상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2013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내 탑승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버스 내부 기기를 조작, 제어하거나, 또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대용량의 데이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용자 단말을 버스 등과 같이 장시간 여행을 하는 사람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고속으로 이동하는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다양한 인터렉션과,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부 기기의 제어 방법과 장치는 아직 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다양한 인터렉션과,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부 기기의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으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와이파이 서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버스 내부 무선서버로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는 제어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400)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내 탑승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버스 기기를 조작, 제어하거나, 또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대용량의 데이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여행하는 버스 탑승자 각각은 영상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맞춤형으로 효과적으로 전송받아 즐길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과 좌석 정보를 매칭하여, 단말의 조작신호에 따라 좌석 기기를 조작하거나, 운전자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승인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승객의 사용자 단말과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예를 들어 와이파이 서버)를 이용하여, 운행 중인 버스 외부의 서버와 버스 내의 단말간의 통신 끊김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특히 복수 명의 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독립적으로 분할된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시켜, 각 좌석의 버스 기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버스 내의 좌석 기기를 탑승자 별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탑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접속은 개방형이 아닌, 보안 방식으로, 탑승객이 가지고 있는 버스 티켓에 표시된 별도의 비밀번호로 접속이 승인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버스 티켓에 표시된 비밀정보와 상기 버스 티켓의 좌석 번호의 조합에 따라 접속 승인과 단말 위치 확인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서버 접속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즉, 좌석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는 버스 티켓의 좌석 번호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서버가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운전수 등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한다(S120). 또한, 달리는 버스에서의 외부 서버 또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서 발생하는 문제, 특히 복수 개의 단말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통신 접속 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로 버스 내의 무선 통신 서버에 연결되었을 때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와 단말간의 연결을 통하여 상술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에는 탑승객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버스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현재의 주행중인 버스의 정보(위치, 속도, 교통상황)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즉 탑승객의 좌석정보)가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스 좌석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무선 통신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탑승객이 구매한 티켓으로 승인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승인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탑승객이 구매한 버스 티켓에는 무선 통신 서버(200)로의 액세스를 승인하는 액세스 코드(코드)가 표시되며, 상기 코드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서버(200)의 접속 여부가 승인된다. 이때 상기 코드는 통신 접속을 위한 고유의 코드거나, 기존에 티켓에 표시된 일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코드가 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소정의 메시지(예를 들어 추워요)가 입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된 메시지는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접속된 무선 통신 서버(200)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로 전송된 메시지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춥다는 메시지가 들어오는 경우, 버스 운전수는 실내 온도를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서버(200)와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와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인터렉션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각 좌석에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을 좌석 위치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로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200)에 접속하며, 상기 접속은 버스 티켓 등에 표시된 코드를 통하여 승인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승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탑승객 좌석 위치)가 바로 확인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접속과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다(도 10 참조). 이러한 위치 정보 확인은,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여, 음향 세기, 공조 온도 또는 조명의 밝기 등을 조작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 경우, 탑승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좌석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공조 기기 등을 독립적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서버(200)에 동시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는 각각의 위치 정보에 따라 식별되므로, 이를 통하여 독립적인 좌석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서버를 제공하는데, 이는 도 12에서 도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메시지 등을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등에 표시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의 통신부(400)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비밀번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사용자 단말간 인터렉션용 무선 통신 서버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무선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서버는, 외부 통신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500);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0);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부(520)을 포함한다. 즉, TV나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통신 서버의 데이터 저장장치(510)에 일시 또는 영구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음악 등)는 이후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저장은 상기 설명한 사용자 단말-버스 무선통신 서버 간의 인터렉션 방식을 따른다. 또한 상기 외부 데이터는 TV 기지국이나, 또는 외부 인터넷 서버 등으로부터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통신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사용자 단말간 인터렉션 기반 내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지능형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지능형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2.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으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버스 내부 무선서버로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는 제어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14. 제 12항에 있어서,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400)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15. 버스 내부 기기 무선서버로서,
    외부 통신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500);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0);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부(520)을 포함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서버는 인터넷 또는 TV 중계용 통신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KR20120137801A 2012-11-30 2012-11-30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KR10149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ko) 2012-11-30 2012-11-30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ko) 2012-11-30 2012-11-30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24A true KR20140069924A (ko) 2014-06-10
KR101495965B1 KR101495965B1 (ko) 2015-02-26

Family

ID=5112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ko) 2012-11-30 2012-11-30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69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티노스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KR20220133560A (ko) * 2021-03-25 2022-10-05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009A (ja) * 2000-11-16 2002-05-24 Hitachi Ltd 移動体搭載型情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よるサービ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69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티노스 승객 운송수단의 비상상황 대응장치
KR20220133560A (ko) * 2021-03-25 2022-10-05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965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6013A1 (en) Portable and personalized passenger infotainment system in connected car
US9832607B2 (en) Method of processing beacon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40094143A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itons
US988344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US2016027787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156881A1 (en) Personal work system capable of dynamic combination and adjustment
US20120254428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KR20160094815A (ko) 다중 디스플레이 기반 전자 장치
CN104903880A (zh) 利用云客户端设备的统一通信
EP2770787B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CN104641622A (zh) 用于借助于移动电话控制车载计算机的系统
KR101707549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2911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KR20150144774A (ko) 셀프 서비스 컴퓨팅 장치용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EP4096256A1 (en) Method for invoking nfc applications, electronic device, and nfc apparatus
EP3139319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EP2916257A1 (en)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5014221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방법
KR101495965B1 (ko)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
US11934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ones as a service
US20150372965A1 (en) Method of inviting other electronic devices to chat room by using information on access poi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2020191573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12196A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31303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90933B1 (ko) 오프라인 행사의 단체 티켓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