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831A - Clamp for coupling plumbing - Google Patents

Clamp for coupling plumb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831A
KR20140069831A KR1020120137597A KR20120137597A KR20140069831A KR 20140069831 A KR20140069831 A KR 20140069831A KR 1020120137597 A KR1020120137597 A KR 1020120137597A KR 20120137597 A KR20120137597 A KR 20120137597A KR 20140069831 A KR20140069831 A KR 2014006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ing body
pressing portion
body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2935B1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102012013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935B1/en
Priority to US14/435,441 priority patent/US10107428B2/en
Priority to EP13857523.8A priority patent/EP2924329A4/en
Priority to PCT/KR2013/008124 priority patent/WO2014081112A1/en
Priority to PCT/KR2013/008123 priority patent/WO2014081111A1/en
Priority to PCT/KR2013/008242 priority patent/WO2014081114A2/en
Publication of KR2014006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for coupling pipes and, more specifically, a device for preventing a second pipe from being separated by being coupled to a flange to couple a first pipe to a second pipe. the clamp includes a body unit which includes one or more protruding corners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and one or more press units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a slip regardless of the steel kind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in a pipe joint.

Description

배관연결용 클램프{Clamp for coupling plumbing}Clamp for coupling plumbing

본 발명은 배관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연결 시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on c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amp that provides a clamping force when a pipe is connected.

최근, 상수도의 수질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이와 같이 수질문제를 중요시 하는 경향에 따라 수질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스테인리스 강관에 대한 수도관 사용이 주목 받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water quality of tap water, and the use of water pipes for stainless steel pipes, which are kn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water qualit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importance of water quality problems.

지하에 매설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은 내부의 수질을 보호하는 내부식성이 있어야 하고, 연결부의 수밀성, 수압에 의한 이탈저지성, 및 시공의 편리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구조적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스테인리스 강관은 이러한 수도관에 요구되는 조건에 가장 부합한 재질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인리스 강관은 소구경13A(0.8T)~50A(1.2T)일 경우에는, 관 끝을 확관한 소켓에 고무링을 넣고 관을 밀어 넣은 후 기계힘으로 눌러 접합하는 방식 통칭 프레스식 관 이음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Water pipes buried underground and supplying tap water should have corrosion resistance to protect the inside water quality, water tightness of connection part, prevention of separation by water pressur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in response to external environment change do. Stainless steel pipes are known to have 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best meet the requirements of such water pipes. When such a stainless steel pipe is small diameter 13A (0.8T) to 50A (1.2T), a rubber ring is inserted into a socket with a large pipe end and the pipe is pushed in, Can be used.

그러나, 80A이상은 관두께가 2.0T이상으로 프레스식으로는 현장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통해서 관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80A이상의 관을 작업현장에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서, 숙련된 용접기술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However, since the tube thickness of 2.0A or more is above 80A,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field work in the press type. At this time, it is very difficult to weld a pipe having a diameter of 80 A or more to a work site, requiring a skilled welding technician, and the work process is delayed.

따라서, 80A 이상의 수도관은 대부분 주철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주철관은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렵고, 분기관 형성시 분기공 주변에서 녹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관로 내부에 녹 발생을 위한 별도의 코팅공정을 수행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한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arry and install the cast iron pipe because the weight of the cast iron pipe is heav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ust is generated around the branch hole when the branch pipe is form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oating process of the coating layer is perform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ly generated.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9881호의 상수도용 스테인리스 강관(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 외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re has been proposed a stainless steel pipe for waterw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Korean Patent No. 10-0999881.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ynthetic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ipe.

그러나, 스테인리스 강관 외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스테인리스 관끼리의 연결 작업시, 고정밴드를 일측 스테인리스 관의 관삽입부 외경에 결합하는 선행작업이 요구되며, 이 후, 전용 작업공구를 이용해 연결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a synthetic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In the connecting operation between the stainless steel pipes, a preceding work for bonding the fixing ba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a dedicated work tool for connection, it is troublesome to work, and improvement is required.

또한 스테인리스 강관의 경우 강성이 높아 이음매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 등의 고정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현장에서의 능동적인 배관 작업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tainless steel pipe has a high rigidity, so that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fix the clamps for connecting the joints, thereby making active piping work in the field difficul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본 발명은 강종에 관계없이 미끌림 없이 연결 대상인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 connecting means capable of fixing a pipe to be connected without slipp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steel.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사전 작업 없이 파이프를 간편하게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ing connection means that can easily fix a pipe without any prior work.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고정력을 간편하게 증가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iping connection mean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increase the clamping force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은 지반 침식 등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iping connection means capable of maintaining structural stabilit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oil erosion.

제1 파이프에 제2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램핑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dge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a flange for fastening a second pipe to the first pipe. And a clamping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가압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및 다각뿔의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one,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yramid, and a polygonal pyramid.

나아가 상기 가압부는 뿔의 꼭지점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방향을 향하고 상기 뿔의 밑면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삽입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apex of the horn is directed toward the releasing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the underside of the horn is directed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또한 상기 클램핑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는 가압부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and adapted to receive a remain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os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나아가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는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urthermore,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또한 상기 클램핑 몸체부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lamp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to allow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to be detach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외주면 일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나아가 상기 고정돌기는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least two or more at regular intervals.

더 나아가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외주면 타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oth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hook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caught.

더 나아가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xing protrusion can be fastened by penetrating the hook por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클램핑 몸체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용 부재가 적어도 둘 이상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lamping body may b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assembling members formed in an arc shape.

나아가 상기 조립용 부재의 단부 각각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용 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assembling member may have an outwardly extending extension portion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between the assembling member and the extension portion.

더 나아가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조립 시 인접하는 각각 연장부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장부 쌍 간을 이격 시키는 이격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clamping body, any one of the pair of adjacent extension portions may be provided with a spacing portion for separating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는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be a straight pipe, a T pipe, or an L pipe.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테인리스 강관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be a stainless steel pipe.

나아가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코팅 강관일 수 있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be a non-coated steel pipe.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나아가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및 다각뿔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밑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t least a part of any one of a cone,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yramid, and a polygonal pyramid, and the corn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강종에 관계없이 미끌림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배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rrence of slippage can be minimiz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steel, thereby increas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ipe j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가공성이 떨어지는 스테인리스 강을 별도의 사전 작업 없이 현장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 뿐 아니라 배관 자체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inless steel having a poor workability in the field can be installed in the field without any prior work,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efficiency of work but also the sanitary property of the pipe itsel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에 이용되는 파이프, 플랜지 및 클램프 등을 스테인리스와 같은 동일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이종 재질간의 전위차 부식의 염려가 없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fear of erroneous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materials by using the sam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pipes, flanges, clamps and the like used for pip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력의 향상을 위하여 배관 표면에 페인팅이나 Pe코팅 작업을 추가로 하여야할 필요가 없어 코팅이 벗겨지거나 찍힘으로써 발생하는 표면 흠집에 의한 부식이 없어서 안정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apply paint or Pe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pip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fixation force, and the stability is high because there is no corrosion due to surface scratches caused by peeling or peeling of the co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향상된 고정력을 기반으로 클램프 간 또는 클램프와 플랜지 간의 체결부를 후크 걸이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지반 침하 등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큰 가동각을 가지는 기능성 이음쇠를 제공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변위에 대응하는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unctional fitting having a relatively large movable ang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bsidence of the ground or the like, by using a hooking structure between the clamps or between the clamp and the flange on the basis of such improved fixing force, Is excellent in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의 시공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루어 짐으로써 필요에 따라 파이프 이탈 저지력이 많이 필요한 L자 또는 T자형 배관 등에는 다수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amp is easily installed in the field, an L-shaped or T-shaped pipe or the like,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pipe separation blocking force,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amps continuously, thereby achieving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 및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파이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flange and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away view of a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n incis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cision along a central axis of the fla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pa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packing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nge is cut along the central ax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a pipe which is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portion and a pressuriz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ed to a flange and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piping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flange and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와 클램프(10)를 포함한다. 플랜지(20)는 어느 한 파이프에 사전 작업 등에 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밀 구조를 제공하는 구성부이다.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20 and a clamp 10 as shown in Fig. The flange 20 is a component that is fixed to a pipe by welding or the like by a preliminary operation or the like and receives the end portion of another pipe to be connected to provide a watertight structure.

플랜지(10)는 플랜지(20)에 결합하여 플랜지(20)에 삽입된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각 파이프들은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단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파이프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flange 10 is engaged with the flange 20 and functions to fix the pipe inserted in the flange 20 so as not to come off. In this case, each of the pipes may be a straight pipe, a T-shaped pipe or a L-shaped pipe or a valve, or an end thereof,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pipe.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The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away view of a fla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away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a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pack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packing take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몸체부(200)와 수용되는 파이프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lang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200 forming an outer housing and a packing portion 250 forming a watertight structure between the accommodated pipe.

몸체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된다. 몸체부(200)의 내주면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제1 패킹 수용부(201) 및 제2 패킹 수용부(202) 및 삽입 제한부(205)가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200 is formed into a hollow tubular shape as shown in FIGS. The first packing receiving portion 201, the second packing receiving portion 202, and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205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from the upper si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제1 패킹 수용부(201)는 몸체부(200)의 타 내주면에 비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1 패킹 수용부(201)는 후술할 제1 패킹(26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The first packing receiving portion 201 is formed as a constant space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The first packing receiving portion 201 receives the first packing 260 to be described later and fixes the first packing 26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제2 패킹 수용부(202)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02) 및 제2 돌출부(204) 사이의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2 패킹 수용부(202)에는 후술할 제2 패킹(27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The second packing accommodating portion 202 is formed as a sp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02 and the second protrusion 204 protruding inwardly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A second packing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in the second packing receiving portion 202 and fix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삽입 제한부(205)는 제1 패킹 수용부(201) 측으로부터 제2 패킹 수용부(202) 방향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성부이다. 삽입 제한부(205)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삽입 제한부(205)의 내측 단부에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형상의 연장부(20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6)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파이프 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패킹(28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205 restric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pe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cking accommodation portion 202 from the first packing accommodation portion 201 side.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20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205 may have an extended portion 206 protruding upward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extension 206 function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inserted pipe or to prevent the third packing 280 provided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from being separated.

또한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즉, 파이프가 진입하는 측의 단부에는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의 제1 고정돌기(22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ok-shaped first fix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200, that is, at an end of the pipe on which the pipe enters.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200) 중 파이프(1)가 삽입 및 수용되는 구간을 제1 수용부(P1)라 한다. 또한 파이프(1)와 연결되는 타 파이프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제2 수용부(P2)라 한다. 이 때 타 파이프는 제2 수용부(P2)의 단부에 구비되는 용접부(209)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는 이러한 용접 방식뿐 아니라 나사 체결 방식 등 기존의 관 체결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ection in which the pipe 1 is inserted and received in the body 200 is referred to a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P1. A portion where the other pipe connected to the pipe 1 is received and fixed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ceiving portion P2. At this time, the other pipe may be fixed to the welded portion 209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2 by welding. However, the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not only such a welding method but also a conventional pipe fastening method such as a screw fastening meth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킹(27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패킹(270)의 내주면, 즉 파이프와 접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패킹(28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패킹(280)은 일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부 패킹부(281)가 형성되어, 단면 형상이 L자형으로 형성된다. 단부 패킹부(281)는 상술한 파이프의 단부에 접촉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packing 270 is formed in a ring shape.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cking 270, that i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ipe may be curved. The third packing 280 is formed in a ring shape. Further, the third packing 280 is formed with an end packing portion 281 extending inwardly from one end thereof, and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The end packing portion 281 contacts the end portion of the pipe to form a watertight struct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킹(260)은 가압방향(D1)으로 형성된 다수의 유체 수용홈(262)이 형성된다. 유체 수용홈(262)은 플랜지(200) 내의 유체를 수용하여 해당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확장되어 제1 패킹(260) 자체를 팽창시킨다. 또한 제1 패킹(260)을 포함하는 플랜지(200)가 시공 시 파이프(1)를 수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수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파이프(1)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packing 2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eiving grooves 262 formed in the pressing direction D1. The fluid receiving groove 262 receives the fluid in the flange 200 and expands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increases to expand the first packing 260 itself. Further, the flange 200 including the first packing 260 can be shrunk to a certain extent when the pipe 1 is receiv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so that the pipe 1 can be inserted without a separate tool .

이 때 유체 수용홀(2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수용홀(262)의 장축(a1, a2)는 제1 패킹(260)의 중심축(Q)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수용홀(262)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수용홀(262)이 압축되는 경우에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 이상의 유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fluid receiving hole 262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or a spindle shap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axes a1 and a2 of the fluid receiving hole 262 are formed so as to be directed to the central axis Q of the first packing 260. When the fluid receiving hole 26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a spindle shape, the fluid passage hole 262 is compressed.

한편, 이러한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체 수용홈(262)에 삽입되는 보강링(2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링(26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유로 수용홈(262)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링(265)은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유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체 수용홈(262)의 강성을 보강한다.Meanwhile, a reinforcing ring 265 inserted into the fluid receiving groove 262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effect. As shown in Fig. 4, the reinforcing ring 265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ow passage receiving groove 26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einforcing ring 265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fluid receiving groove 262 so that a constant flow path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reinforcing ring 265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유체를 수용하고 확장함으로써 수밀구조를 강화하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수용홀(262)의 내측 단부간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부(26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내측 공간부(263)는 제1 패킹(260)의 내측을 일주하며 유체 수용홀(262)과 유체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watertight structure by accommodating and expanding the fluid, an inner space portion 263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fluid receiving hole 262 may be further formed as shown in FIG. The inner space portion 263 in this embodiment is surrounded by the inner side of the first packing 260 and is fluidly connected with the fluid receiving hole 262.

또한 내측 공간부(262)와 외측 사이에는 절개선(264)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선(264)은 내측 공간부(262)의 형성을 위한 공정 상에서 이용되거나, 내측 공간부(262) 상에 기타 다양한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개선(264)은 외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절개함으로써 외부의 압력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 내측 공간부(262) 상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Further, a cutout 264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pace 262 and the outer side. The incisional reduction 264 may be used in the process for forming the inner space portion 262 or in the case of inserting various other members on the inner space portion 262. [ The incision 264 may also function to assist the inflow of the fluid onto the inner space 262 when the external pressure greatly increases by cutting the V-shaped from the outside.

한편, 내측 공간부(262)에는 흡습성 재질의 흡습팽창부를 채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흡습팽창부는 유체를 흡수하는 경우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만을 유입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팽창함으로써 수밀구조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portion 262 can be filled with a hygroscopic expansion portion of hygroscopic material. The hygroscopic expansion unit expands the volume when the fluid is absorbed, so that the hygroscopic expansion unit expands more than when only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62, thereby enhancing the watertight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공간부(262)는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가 유입되어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단축(B1, B2) 방향으로 압력이 집중되어 가장 많이 팽창된다. 즉,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패킹(260)이 파이프(1) 측으로 가장 많이 팽창함으로써 수밀 구조를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pace 262 is formed such that the minor axes B1 and B2 are direct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pipe 1.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inner space 262 and the pressure is increased,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axes B1 and B2 and the most expanded. That is, when the short axes B1 and B2 are formed so as to face the central axis of the pipe 1, the first packing 260 expands most to the pipe 1 side,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watertight structur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내의 유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유체는 파이프(1)의 단부를 통하여 유출된 후 파이프(1)의 외주면과 플랜지(260)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진행하면서,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을 지나 제1 패킹(260)에 도달한다. 이 때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이 순차적으로 수밀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에 의하여 수밀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약한 수 충격이나 낮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 패킹(270) 및 제3 패킹(28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되고, 높은 수 충격이나 높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uid pressure in the pipe 1 rises, the fluid flows out through the end of the pipe 1 and then proceed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260, Reaches the first packing (260) through the packing (280) and the second packing (270). In this case, when the third packing 280 and the second packing 270 sequentially form a watertight structure and a relatively large pressure is generated as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tantaneously increases, the first packing 260 The watertight structure is maintained. That is, when a weak water impact or a low fluid pressure is generated, the second packing 270 and the third packing 280 correspondingly maintain the watertight structure, and when a high water impact or a high fluid pressure is generated, 1 packing 260 corresponds to the watertight structure.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 및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파이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ipe which is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unit and a pressuriz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ed to a flange and a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클램프(10)는 클램핑 몸체부(110)와 가압부(160)를 포함한다.The clamp 10 includes a clamping body portion 110 and a pressing portion 16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조립부재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일 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다수개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각각의 인접하는 클램프간을 체결 및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타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걸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13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타 클램프의 걸이부(1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됨으로써 두 클램프 간을 연결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 is formed by fixing a pair of arc-shaped forming members against each other. A second fixing protrusion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20 are used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between adjacent clamps when a plurality of clamp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fix the pipe.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120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ther hand,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110, a hook 130 formed in a ring shap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0 can be engaged and fastene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20 penetrat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ook portion 130 of the other clamp, thereby connecting the two clamps.

클램프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각 조립부재들은 양 단부에 연장부(140)가 형성된다. 연장부(140)는 각 조립부재들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연장부(140)에는 볼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체결구(141)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각각의 체결구(140)를 볼트(171)가 관통한 후 해당 볼트(171)에 너트(172)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조립 시 인접하는 각각 연장부(140)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연장부(140) 쌍 간을 이격 시키는 이격부(142)가 형성된다. 이격부(142)는 연장부(140)간을 이격 시킴으로써 볼트(171) 및 너트(172)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Each of the assembling members constituting the clamping body 110 is formed with an extension 140 at both ends thereof. The extension portion 140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ends of each of the assembling members. The extension 14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41 through which the bolt can be received. 8,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 is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lts 171 pass through the respective fasteners 140 and then the nuts 172 are fastened to the corresponding bolts 171.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clamping body 110, each of the pair of adjacent extension portions 140 is formed with a spacing portion 142 for separating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140 from each other. The spacing portion 142 separates the extension portion 140 so as to form a gap that can be adjusted by the bolt 171 and the nut 172. [

이와 같은 클램프 간 또는 클램프와 플랜지간 연결구조로 인하여 현장에서 신속 용이하게 필요한 만큼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Because of such a connection between the clamps or between the clamp and the flange, it is possible to install as many clamps as needed on the spot quickly and easily.

클램핑 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가압부 고정부재(150)를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고정부재 수용부(111)는 타 내주면에 비하여 일정 깊이 단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용된 가압부 고정부재(15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 a fix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11 for receiving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150 is formed. The fix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11 is formed so as to be stepped at a predetermined depth with respect to the oth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received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150 from being deviated to the outside.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사출물로서 내측에 가압부(160)가 내측으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150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such that the pressing portion 160 is inwardly exposed to th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150 may be formed to hav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ipe.

가압부(160)는 종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뿔형상, 또는 꼭지점이 잘린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0)는 클램핑 몸체부(110)가 조여지는 경우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미끄러지거나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가압부(160)는 뿔의 꼭지점이 파이프가 이탈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뿔형상의 바닥면이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반면, 뿔형상의 바닥면 모서리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파이프의 이탈이 어려운 환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혼 베어링 형상의 가압부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이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파이프의 경우에도 미끄러짐 없이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sing portion 16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horn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its vertical section, or a truncated cone or polygonal prism in a vertex. The pressing portion 160 presses the inner pipe when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 is tightened, thereby fixing the pipe so that the pipe does not slip of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160 is provided so that the apex of the horn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is separated, and the bottom of the horn is orien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pipe is easily inserted, while being pressurized by the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horn shape, thereby form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ipe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horn-bearing pressing portion has the effect of fixing the pipe without slipping even in the case of a pip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such as stainless steel.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60)는 밑면과 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모서리에 의하여 파이프(1)를 가압한다. 즉, 가압 시에 파이프(1)에는 가압부(160)의 측면과 밑면에 대응하는 음각 형상의 모서리형상의 홈(5)이 형성된다. 도 9a를 살펴보면, 이러한 모서리 형상의 홈(5)은 가압부(160)의 측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제1 측면(5a)과 가압부(160)의 밑면에 대응하는 평면형상의 제2 측면(5b)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측면(5a)이 파이프(1)가 이탈하는 방향(D2)으로 배열되고, 제2 측면(5b)이 파이프(1)가 이탈하는 방향(D2)의 역방향, 즉 파이프(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때 제1 측면(5a)은 파이프(1)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예각을 이루고, 제2 측면(5b)은 파이프(1)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수직에 가깝거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1)가 클램프로부터 이탈하려는 경우에는 제2 측면(5b)이 가압부(160)에 걸리거나 파이프(1)로 파고들게 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반대로 파이프(1)가 클램프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가압부(160)가 상대적으로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측면(5a)을 타고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ressing portion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sses the pipe 1 by the edg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That i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he pipe 1 is formed with a groove 5 having an 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60. 9A, this edge-shaped groove 5 has a curved first side surface 5a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60 and a second flat surfac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60) 5b. The first side face 5a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D2 in which the pipe 1 is separated and the second side face 5b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D2 in which the pipe 1 departs, Are inser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ide surface 5a is formed at an acute angle relativ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5b is formed vertically or relatively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1. In this case, when the pipe 1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lamp, the second side face 5b is caught by the pressurizing portion 160 or penetrated into the pipe 1, In the case of insertion into the clamp, the pushing portion 160 can be easily inserted on the first side face 5a formed at a relatively acute angle.

한편, 도 9b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보면 종래에는 단순히 쐐기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V자형의 홈을 형성하는 데에 그쳤다. 이 경우 형성되는 홈(6)은 단면형상이 V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클램프의 고정능력이 떨어져 스테인리스 강관과 같은 파이프를 별도의 사전작업 없이 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an enlarged view of FIG. 9B, conventionally, only a V-shaped groove is formed by using a projection protruding in a wedge shape. In this case, the grooves 6 formed are V-shaped in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fixing ability of the clamps is poor, and it is difficult to fix the pipe such as the stainless steel pipe without any prior work.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이프(1)는 플랜지(20) 내로 삽입 및 수용된 후 필요한 고정력에 따른 개수의 클램프(10)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20)의 용접부(209)에 다른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pipe 1 may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flange 20, and then fixed with a number of clamps 10 according to the required fixing force. At this time, another pipe can be fixed to the welded portion 209 of the flange 20 by welding or the like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1 and 12, a c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a)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측에 가압부 고정부재가 없는 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clamp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re is no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inside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a.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주면에 직접 가압부(16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160a)는 뿔이 종방향으로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클램핑 몸체부(110a)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가압부(160a)는 내주면을 따라 일 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160a is formed direct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a. The pressing portion 160a in this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a in a shape in which the horns are cut in hal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160a may be formed in one r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to improve the fixing force.

클램핑 몸체부(110a)의 조립 시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 고정부재 없이 조립된다. 볼트(171)와 너트(172)가 체결구(141)를 관통하여 체결된 후에 조여지는 경우 가압부(160a)가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부(160a) 이외의 다른 구성부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en the clamping body portion 110a is assembled, it is assembled without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as shown in Fig. When the bolts 171 and the nuts 172 are fastened after being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tool 141, the pressing portion 160a presses and fixes the inner pipe. Components other than the fixing portion 160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는 고정력이 종래의 동일 장치에 비하여 고정력 및 수 충격에 대응하는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 강관의 경우에도 별도의 사전 작업이나 코팅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and the clamp for connecting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seal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force and the water impact,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vice, so that the stainless steel pipe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any prior work or coating operation hav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배관연결용 클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 / RTI >

10: 클램프 20: 플랜지
120: 고정돌기 130: 걸이부
150: 가압부 160: 가압부 고정부재
200: 몸체부 250: 패킹부
262: 유체 수용홀 263: 내측 공간부
264: 절개선
10: Clamp 20: Flange
120: fixing projection 130:
150: pressing portion 160: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200: body part 250: packing part
262: Fluid receiving hole 263: Inner space part
264: Improve section

Claims (20)

제1 파이프에 제2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램핑 몸체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An apparatus connected to a flange for fastening a second pipe to the first pipe to prevent disengagement of the second pipe,
And a clamping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rner protru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및 다각뿔의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of a cone,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yramid or a polygonal pyram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뿔의 꼭지점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방향을 향하고 상기 뿔의 밑면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삽입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클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apex of the horn is directed toward the releasing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the undersurface of the horn is directed toward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부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는 가압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and adapted to receive a remain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is exposed in a center direction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클램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는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는 클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econd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amping body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stepped portion to receive the pressing portion fixing member so as not to be detach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외주면 일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amp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클램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t least two of the fix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외주면 타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가 구비되는 클램프.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d a hook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caught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는 클램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engaged by penetrating the hook por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용 부재가 적어도 둘 이상 결합되어 형성되는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ing body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at least two assembling members formed in an arc sha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부재의 단부 각각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용 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는 클램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assembling member has an outwardly extending extension portion and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between the assembling member and the extension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조립 시 인접하는 각각 연장부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장부 쌍 간을 이격 시키는 이격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lamping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pacing portion for separating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from each other when the clamping body portion is assemb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는 플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는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인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a straight pipe, a T pipe, or an 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테인리스 강관인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a stainless steel pip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코팅 강관인 클램프.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a non-coated steel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클램핑 몸체부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por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및 다각뿔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밑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클램프.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of at least a part of any one of a cone,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yramid, and a polygonal pyramid, and the corn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pipe.
KR1020120137597A 2012-11-26 2012-11-30 Clamp for coupling plumbing KR101422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597A KR101422935B1 (en) 2012-11-30 2012-11-30 Clamp for coupling plumbing
US14/435,441 US10107428B2 (en) 2012-11-26 2013-09-09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EP13857523.8A EP2924329A4 (en) 2012-11-26 2013-09-09 Clamp for connecting pipes and pipe coupler comprising same
PCT/KR2013/008124 WO2014081112A1 (en) 2012-11-26 2013-09-09 Flange for connecting pipes
PCT/KR2013/008123 WO2014081111A1 (en) 2012-11-26 2013-09-09 Clamp for connecting pipes and pipe coupler comprising same
PCT/KR2013/008242 WO2014081114A2 (en) 2012-11-26 2013-09-12 Flange for connecting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597A KR101422935B1 (en) 2012-11-30 2012-11-30 Clamp for coupling plumb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31A true KR20140069831A (en) 2014-06-10
KR101422935B1 KR101422935B1 (en) 2014-07-24

Family

ID=5112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597A KR101422935B1 (en) 2012-11-26 2012-11-30 Clamp for coupling plumb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9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328B1 (en) 2022-10-19 2023-10-16 지엠기공 주식회사 PE pipe welding auxiliary roll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45B1 (en) 2007-08-29 2008-03-07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Pipe joint
KR100999881B1 (en) 2010-09-08 2010-12-09 부덕실업 주식회사 Stainless steel pipe for water works
KR100997534B1 (en) * 2010-09-09 2010-12-01 김창규 Clamp connecting pipe for water supply
KR101207634B1 (en) * 2012-08-24 2012-12-03 강석근 Three steps apparatus fixing joint of pipe under pressure by one touch and method constructing plastics pip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935B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JP6948372B2 (en) Pipe fitting
KR101146603B1 (en) Flange coupling, and metal pipe joining structure
JP5400594B2 (en) Flange joint structure for pipe components
JP4412589B2 (en) Flange joining device
EP1834123B1 (en) Flange
KR101681908B1 (en) Corrugated steel pipe of the connection device integrated of non-welding fastening system
KR101422935B1 (en) Clamp for coupling plumbing
KR100574745B1 (en) Pipe joint device by flange
JP2015137683A (en) Flange connection part reinforcing structure and annular protection member used in reinforcing structure
KR101335828B1 (en) Flange for coupling plumbing
JP6327897B2 (en) Flang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KR10093020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synthetic resin pipe
CA2732048C (en)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JP4542364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in-pipe work machine to insertion tube
JP2008127824A (en) Method of connecting building structures and connecting member
KR200342277Y1 (en)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 manhole
KR101225697B1 (en) a pipe connector for sewer pipe
JP5998003B2 (en) Branch pipe connection device
JP2005233209A (en) Flange jointing device
KR101773392B1 (en) Drain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manhole connectors and Manhole connectors for drain pipe
KR20120133501A (en) Flange assembly for connecting pipe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with clip-hook
JP7427322B2 (en) Pipe fitt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JP5706720B2 (en) Resin pipe with joint for temporary piping, connection structure of resin pipe with joint for temporary piping, temporary piping pipeline and metal fitting
KR100779984B1 (en) A pip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