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69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699A
KR20140067699A KR1020120135274A KR20120135274A KR20140067699A KR 20140067699 A KR20140067699 A KR 20140067699A KR 1020120135274 A KR1020120135274 A KR 1020120135274A KR 20120135274 A KR20120135274 A KR 20120135274A KR 20140067699 A KR20140067699 A KR 20140067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ata
header
termi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699A/ko
Publication of KR2014006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중망(PDN)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이 단일 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단일 망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각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중망(PDN)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이 단일 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본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MTS 시스템은 기존 WCDMA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셀(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eNB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 송신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AG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G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상기 TA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다. 단말은 특정 TA에서 다른 TA로 이동할 경우, AG에게 자신이 위치한 TA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CN(Core Network)은 AG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3 및 4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하위 3개 계층을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 시에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도 3에서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은 단말 및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존재한다.
MME는 LTE 접속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제어-노드이다. MME는 휴지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해 트랙킹 및 페이징 과정 등을 담당한다. 또한, MME는 무선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에 관여하고, 'Initial Attach' 시에 또는 핵심망 리로케이션(relocation)을 포함한 인트라-LTE 핸드오버시에 단말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선택을 담당함다. MME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말 인증을 담당한다. NAS 시그널링은 MME에서 종결되고, MME는 임시 식별자를 생성하여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ME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캠프-온(camp-on)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MME는 네트워크에서 NAS 시그널링을 위한 암호화/무결성 보호를 위한 종결점이고 보안키 관리를 담당한다. MME는 LTE와 2G/3G 접속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한다.
NAS 계층에서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EMM(EPS Mobility Management) 등록 상태(EMM-REGISTERED) 및 EMM 미등록 상태(EMM-UN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 미등록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접촉(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접촉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 등록 상태가 된다.
또한 NAS 계층에서는 단말과 EPC 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 휴지 상태(ECM_IDLE) 및 ECM 연결 상태(ECM_CONNECTED) 두 가지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 휴지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 연결 상태가 된다. ECM 휴지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을 맺으면 ECM 연결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 휴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컨텍스트(context)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 휴지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절차와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 휴지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TA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
단말이 망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접속 과정(Attach Procedure)을 통하여 단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망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IP)기반의 패킷 스위칭(PS)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에서는 접속 과정 중에 공중망 접속성 절차(PDN connectivity procedure)를 통하여 기본 베어러 활성화(Default Bearer Activation)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단말은 IP주소를 할당 받게 된다. 여기서, 단말은 추가적인 공중망 접속성 절차를 수행하여 복수의 PDN GW에 접속 함으로써,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그런데, 단말이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필요한 공중망의 숫자만큼 공중망 접속성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또는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 입장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PD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가 동시에 생성되어 모뎀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뎀에서 각 데이터가 복수의 PDN 중 어떤 PDN으로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의 지연 또는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이 공중망 접속성 절차를 최소한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의 모뎀과 망(Network)이, 어플리케이션 단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공중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단일 망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각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단일 망 연결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단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각각에 부착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망 중 연결된 어느 하나의 망으로 전송하는 모뎀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의 서비스가 요구되는 단말이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공중망이, 단말과 망 사이에 미리 결정되거나 한 번의 공중망 접속성 절차만 수행한 후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복수회의 공중망 접속성 절차 없이도 복수의 공중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부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에 해당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공중망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므로 단말의 모뎀의 오버로드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의 버전 4(IPv4) 헤더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단말이 복수의 공중망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설립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단말이 복수의 공중망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설립한 경우 네트워크 토폴로지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단말이 복수의 망에 접속한 단말이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단일 망 접속 상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망으로 전송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 개선된 이동 단말기(Advanced Mobile Station, AMS), 모바일 핸드 셋(mobile hand set)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통신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다중 망 접속 연결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다중 망 접속 연결이 어떠한 이유로 지원되지 않거나 단일 망 접속만을 수행한 상태에서도 복수개의 망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하나의 공중망(single PDN)에 접속이 된 경우에, 망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특정 망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공중망 접속 만으로도 단말의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특정 망으로부터 서비스받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다중 망 접속 연결에 의한 데이터 전송 지연 방지 및 데이터 전송 시에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망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의 헤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다중 공중망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헤더는 특정 계층의 단위 데이터에 결합되어 해당 단위 데이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크기, 특성 등)를 나타낸다.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은, OSI 7구조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IP 헤더는 사용자 데이터 (user data, 여기서는 어플리케이션 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음)와 함께 전송계층(예를 들어, TCP, UDP 등)의 헤더에 결합되어 인터넷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IPv4의 헤더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5는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의 버전 4(IPv4) 헤더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IPv4 헤더는 기본적으로 20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Version (4bit):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으로 IPv4 일 경우 ‘4’로 설정된다.
- HL: Header Length (4bit): IP 프로토콜 헤더의 길이를 나타낸다.
- TOS: Type Of Service (8bit): 교환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지연 통신효율, 신뢰성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8비트 중 6비트가 사용되며, 2비트는 유보(reserved bit)로 사용되지 않는다.
- Total Length(16bit): 헤더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그램의 길이를 바이트(byte) 단위로 나타낸다.
- Identification (16bit), Flags (4bit), Fragment Offset(13bit): 최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넘어선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나누어(fragmentation)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본 필드들이 사용된다.
- TTL (Time to live, 8bit): 통과 가능한 라우터들의 숫자를 나타내며, 값이 '0'이 되면 라우터에 의하여 삭제된다.
- Protocol Type(8bit): 데이터에 포함된 상위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6은 TCP를 나타낸다)
- Header Checksum(16bit): IP 헤더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체크섬이다.
- Source address (32bit)/ destination address(32bit): 데이터의 발신 주소/ 수신 주소를 각각 나타낸다.
상술한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옵션(option) 설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헤더 내에 새로운 필드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전술한 IPv4 헤더 외에, IPv6 헤더를 추가로 설명한다. IPv6 헤더는 기본적으로 40바이트 크기로, 16 바이트 (즉, 128bit) 크기의 주소 체계를 가짐으로써, IPv4 주소 체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보안 및 QoS (Quality of Service) 측면에서 개선된 헤더라 할 수 있다. 아래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몇 가지 IPv6 헤더를 구성하는 필드(field)를 설명한다.
- Version (4bit):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으로 IPv6 일 경우 ‘6’으로 설정된다.
- Traffic Class (8bit): 데이타의 트래픽에 대한 클래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업자에 의하여 임의로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Pv6 Traffic Class 필드의 6bit와 IPv4의 TOS 필드의 6-bit를 사용하여, QoS 기능의 목적으로 DSCP (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를 인터넷 표준(RFC 2474)을 제정하여, 사업자가 임의의 값(code pint)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QoS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IP 데이터 흐름 마다 서로 다른 DSCP값을 부여하여 각 라우터에서 전송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 Payload Length (16bit): IP 헤더를 제외한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 Source address (128bit)/ destination address(128bit): 데이터의 발신 주소/ 수신 주소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단말이 두 개의 PDN GW(1 및 2)와 IPv4의 공중망 타입(PDN type)을 사용하는 연결을 설립하는 과정을 관련된 NAS신호(NAS signalling)와 함께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단말이 복수개의 공중망 게이트 웨이와 연결을 설립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접속 과정과 함께, 공중망 접속성(PDN connectivity) 과정을 수행하여 IPv4의 IP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PDN GW와 연결을 먼저 설립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은 보안의 목적으로, APN(Access Point Name: 단말기 등을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때 필요한 대상을 지정하는 문자열을 의미한다)을 접속 요청(Attach request)을 보내는 과정에서 전송하지 않고, 프로토콜 설정 옵션(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을 보안(security)이 활성화된 이후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APN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에서는 단말의 가입자정보(Subscriber Information)을 바탕으로 하며 기본 APN(default APN)을 결정하여 공중망 연결을 설립할 수도 있다. 단말은 이 과정에서 IPv4의 주소를 할당받으며, 이 IP주소를 사용하여 IPv4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첫 번째 PDN GW와 연결을 설립한 이후, 단말은 또 다른 IPv4의 주소를 사용하기 원할 경우(즉, 다중 공중망 접속), 공중망 접속성 요청(PDN connectivity request)을 전송하여, 두 번째 PDN GW와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은 또 다른 IPv4의 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전술한 공중망 접속성 절차에서 단말은 연결 요청 시에 공중망 타입(PDN type, IP 버전을 의미할 수 있음)을 명시하여, 단말이 요청 및 사용하고자 하는 IP 버전을 망에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PDN 타입으로 현재 IPv4, IPv6, IPv4v6의 세 가지 종류 있다. 단말이 동일한 PDN 타입의 IP 주소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두 번째 PDN GW와 연결을 설립할 때 반드시, 첫 번째에 연결했던 APN과는 다른 APN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동일한 PDN 타입 내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단말이 서로 다른 APN을 사용하여 세 개의 PDN GW에 접속된 경우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명한다.
도 7은 단말이 복수개의 공중망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설립한 경우 네트워크 토폴로지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서, LTE 단말(100)은 세 개의 공중망 게이트웨이를 통해 세 개의 공중망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세 개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 및 FTP)은 각각의 서로 다른 공중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LTE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기능 및 사용자(또는 일반 어플리케이션)에게 LTE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10) 및 LTE 망 접속을 수행하는 모뎀 모듈(1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모듈(110)은 Terminal Equipment (TE)라 칭할 수 있으며, 모뎀 모듈(120)은 Mobile Terminal(MT)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1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과 IP(즉, 네트워크) 계층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한편, 공중망 게이트웨이(PDN GW)는 단말이 서비스받는 네트워크에서의 진입 또는 종단 지점에서의 라우터(Router)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FTP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이 FTP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면, PDN GW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면, 해당하는 데이터의 목적 IP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Routing)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해당 목적 IP주소에 대응되는 라우터(Router)로 데이터를 전달(forwarding)하여 해당 FTP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반대로, FTP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에는, 외부 Router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면, 목적 IP주소를 기반으로 PDN GW가 대상 단말의 여부를 판별하고 해당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망으로 접속한 단말은 복수의 IP 주소를 IP 계층에 설정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단에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데이터 경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망에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각 어플리케이션은 각 망으로 연결되는 논리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복수의 망에 접속한 단말이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단말이 복수의 망에 접속한 단말이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망으로 전송할 경우, 즉,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의 경우 복수의 망(또는 PDN)으로부터 서비스받는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데이터가 발생되므로, 모뎀(120)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송신하는 데이터가 어떤 PDN GW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구분하여 해당하는 PDN에 속하는 기본 베어러(default bearer)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도 8의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그에 해당하는 PDN GW로부터 할당받은 IP주소를 소스 주소(source address)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모뎀(120)에서는 기본 베어러 활성화(default bearer activation)과정에서 특정 PDN에 해당하는 진보된 패킷 서비스 식별자(EPS ID)와 단말의 소스 주소를 할당받았으므로, 상방향 데이터의 소스 주소와 EPS ID로 각 데이터가 어떤 PDN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EPS ID 는 PDN 마다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가지므로 EPS ID는 PDN을 식별하기 위한 PDN ID로 간주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는 전송되어야 하는 PDN의 기본 베어러에 해당하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통하여 기지국(eNB),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공중망 게이트웨이(PDN GW)의 순서를 거쳐 PDN으로 전송되며, 인터넷으로 향하는 데이터는 인터넷상의 라우터를 거쳐 최종 피어 단말 (또는 Node)에 도착하게 된다. 하향 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은 상술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반대로 동작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LTE 시스템은 상/하향링크로 각각 50Mbps/100Mbps까지 초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이 초고속으로 망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즉, 어플리케이션)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도 데이터 송수신 속도에 상응해야 하는 요구 사항이 생긴다.
단말 입장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PD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가 동시에 생성되어 모뎀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뎀에서 각 데이터가 복수의 PDN 중 어떤 PDN으로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분류 동작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의 지연 또는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복 수개의 망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공중망 접속성(PDN connectivity) 과정을 통해서 IP 주소 할당,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PD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으므로,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서비스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망에서는 복수의 PDN GW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이는 망 구성에 대한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망과 다중접속연결(multiple PDNs connections)하는 과정 없이도, 다중 망(multiple networks)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즉, 단말이 망과 단일접속연결(single PDN connection) 상태에서 복수의 망과 통신하여, 단말에서는 다중접속 연결로 인한 데이터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PDN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IP 헤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말과 망은 다중망연연결 접속 과정 (PDN connectivity procedure)없이, 사용자(또는 어플리케이션)가 생성한 데이터에 PDN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IP 헤더에 PDN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즉, 단말은 상향링크로 데이터 전송시에, IP 헤더에 특정 PDN (또는 망)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DN을 지시하는 식별정보를 N-ID(Network-Identifier)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N-ID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IP 헤더의 구성을 설명한다.
1) 4 개의 N-ID를 사용하는 방법
IPv4 헤더의 경우, 'Type of Serve(TOS)' 필드의 8비트 중 사용되지 않는 2비트를 사용하여 4개의 접속 망에 대한 N-ID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또한, IPv6 헤더의 경우, 'Traffic Class' 필드의 8비트 중 사용되지 않는 2비트를 사용하여 4개의 접속 망에 대한 N-ID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하여 헤더의 수정 없이 사용되지 않는 2 비트를 이용하여 최대 4개까지의 N-ID가 식별될 수 있다.
2) 4개 보다 많은 N-ID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IP 헤더에서 사용되지 않는 다른 필드(예를 들어, IPv4의 flag field의 1bit)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IPv4 헤더의 경우, 옵션(option)을 정의하여, 헤더 포맷에 N-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IPv6 헤더의 경우 N-ID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 헤더(extension header)를 IP 헤더에 붙이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그 외에, 부가 헤더(additional header)가 사용될 수 있다. 즉, IP 헤더와 데이터에 부가적으로 N-ID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다시 붙이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전송계층 헤더가 부착된 데이터에 IP 헤더가 부착된 후, 다시 그에 부가 헤더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헤더가 추가되므로 망에서는 부가 헤더로부터 N-ID 정보를 획득한 이후 해당 헤더를 제거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각 N-ID에 어떠한 PDN이 대응되는지 여부가 단말과 망 사이에 결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1)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N-ID를 부여하는 방법
예를 들어, 도 8에서 IMS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에 N-ID의 값을 '1'로, BIP 클라이언트는 '2'로, 그 외의 어플리케이션(즉, ftp 클라이언트)의 경우 '3'으로 N-ID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N-ID가 부여될 경우, N-ID와 PDN의 대응관계는 망과 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예를 들어, 사업자 요구사항SPEC에 명시 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망과 단말이 N-ID를 협의하거나, 일방이 타방에 통지하는 방법
망(또는 단말)이 N-ID를 먼저 결정하고, 그 결과를 단말(또는 망)에 알려주는 방법을 말한다. 일 예로, 사업자 망에서 N-ID 할당을 위한 목적의 특별한 어플리케이션 (special application)을 운용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N-ID를 사용하도록 지정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N-ID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망으로 전달할 경우, 망(이 경우, PDN GW 또는 MME)에서는, N-ID값에 따라, 데이터가 서비스받게 되는 PDN을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일방적인 통보일 수도 있고, 요청/응답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망과 단말 사이에 협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1) 방법과 2) 방법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N-ID 별 어플리케이션 및 PDN의 대응관계가 단말과 망 사이에 미리 정의되어 있더라도 협상 과정을 통해 특정 대응관계가 다시 설정될 수도 있다.
결국, 미리 N-ID 별 어플리케이션/PDN 대응관계가 정립되는 경우, N-ID로 PDN의 식별이 가능하며, 미리 대응관계가 정립되지 않은 경우에도 하나의 망 연결만 존재한다면 그를 통해 대응관계를 통보하거나 협상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operator)는 단일 공중망 연결 상태에서도 다중접속 연결이 사용된 경우와 동일하게 복수의 PDN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ID를 사용하여 단일 망 접속 상태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복수의 PDN으로 전송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단일 망 접속 상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망으로 전송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단말로부터 망에 전송되며, 세 개의 PDN을 사용하는 4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이러한 4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은 IP 타입으로 버전 4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N-ID는 IPv4 헤더의 TOS 필드의 유보된 2bit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인 N-ID 별 어플리케이션과 망의 대응 관계는 도 9의 (a)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9의 (a)에 대응관계는 망과 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된 것일 수도 있고, 일방적 통보 또는 망과 단말 사이의 협상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IMS 클라이언트와 그에 대응되는 IMS 망은 N-ID 1을 사용하고, BIP 클라이언트와 그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프라이빗 망은 N-ID 2를 사용하며, 그외의 FTP나HTTP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응되는 일반 망(Public network)은 N-ID 3을 사용하도록 대응관계가 설정된다.
FTP 데이터의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도 9의 (b)와 같이 단말(UE)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FTP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가 생성되면, IP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의 IP 헤더에 N-ID를 삽입한다. 여기서 N-ID가 삽입된다고 함은 가정한 바와 같이 IPv4 헤더의 TOS 필드의 유보된 2bit를 FTP에 대응되는 N-ID, 즉, '3'으로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다. IP 헤더가 부착된 FTP 데이터는 모뎀 모듈(120, MT)을 통해 공중망 게이트웨이(P-GW)로 전송된다.
공중망 게이트웨이는 IP 헤더의 TOS 필드 마지막 2비트가 '3'으로 설정됨을 확인하고, 해당 데이터가 일반 망(Public network)으로 전달되어야 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공중망 게이트웨이는 해당 일반 망으로 FTP 데이터를 전달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단말은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복수의 망에 일일이 공중망 접속성 절차를 수행할 필요 없이 단일 망 연결 상태에서도 복수의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에서 데이터 송수신시에 발생하는 모뎀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LTE 모뎀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중 접속 연결이 가능한 다른 모뎀(예를 들어, eHRPD가 지원되는 CDMA modem)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단말이 복수의 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망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방법은 반드시 단일 망 접속 상태에서만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중 접속 연결을 사용하는 경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서로 다른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경우, 2 개의 망에만 연결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망에 대한 데이터 교환시 상술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단일 망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각각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별 어플리케이션과 망의 대응관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복수의 망 사이에 미리 결정된,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별 어플리케이션 및 망의 대응관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연결된 망에 통보하거나, 상기 연결된 망이 상기 단말에 통보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별 어플리케이션 및 망의 대응관계는 상기 단말과 상기 연결된 망 사이에서 협의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의 유보된 비트에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보된 비트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가 IPv4 헤더인 경우 서비스 타입(TOS: Type of Service) 필드의 유보된 2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가 IPv6 헤더의 경우,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필드의 유보된 2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헤더의 확장 헤더(Extended header)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는 상기 연결된 망의 공중망 게이트웨이(PDN GW)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복수의 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단일 망 연결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계층 헤더를 상기 생성된 데이터 각각에 부착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부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망 중 연결된 어느 하나의 망으로 전송하는 모뎀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120135274A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140067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74A KR20140067699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74A KR20140067699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699A true KR20140067699A (ko) 2014-06-05

Family

ID=5112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74A KR20140067699A (ko) 2012-11-27 2012-11-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75045B (zh) 基于控制面的时间敏感网络配置
US10362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DU session id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53935B1 (ko) Mtc 디바이스 대역폭 감소
US994292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bearer activation in a core network for wireless devices
TWI520541B (zh) 於單一區塊封包存取程序中減少協定附加資料
CN105338655B (zh) 一种用户平面承载建立的方法及装置
US20100150049A1 (en) bearer control and management method in the ip-based evolv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40003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r Discovery
EP2661122B1 (en) Method for transceiving ip data by performing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537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875763A1 (en) Internetworking of cellular radio networks and wireless data networks
US20190260857A1 (en) Data Packet Processing Metho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nd User Plane Network Element
EP3255922A1 (en) Service flow offloading method and apparatus
EP23323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release of resources associated with node failure
US10187914B2 (en) Establishment of a wireless backhaul connection from a small cell RBS
JP2019205001A (ja) ユーザ装置、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6163416A1 (ja) 端末装置、pgw及びmme
JP6478197B2 (ja) ダウンリンクのオフロードおよび統合の方法、アップリンクのオフロードおよび統合の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
Gebert et al. Fat pipes for user plane tunneling in 5G
WO2021029380A1 (ja) Ue
KR101691830B1 (ko) 멀티 모드 단말에서 nas 프로시져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676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WO2022059627A1 (ja) UE(User Equipment)
WO2021132190A1 (ja) 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