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249A -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 Google Patents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249A
KR20140067249A KR1020120134256A KR20120134256A KR20140067249A KR 20140067249 A KR20140067249 A KR 20140067249A KR 1020120134256 A KR1020120134256 A KR 1020120134256A KR 20120134256 A KR20120134256 A KR 20120134256A KR 20140067249 A KR20140067249 A KR 2014006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ller
liquid
tube
body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358B1 (ko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관 filed Critical 김동관
Priority to KR102012013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3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에 플러싱 기능을 추가한 수액조절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와 고정롤러와 구동롤러를 구비한다. 고정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고정롤러홈에 축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구비한다. 구동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수납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돌리면 구동롤러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압박면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한다. 구동롤러는 또한 플러싱 위치에서는 수액관을 사이에 두고 고정롤러의 제1기어부와 협력하여 회전함으로써 플러싱이 되도록 한다. 고정롤러의 제2기어부는 래칫 기어(ratchet gea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몸체부는 고정롤러의 래칫 기어에 맞물려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폴(pawl)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 기어에 의해 역방향의 플러싱 동작을 방지하므로 플러싱 역동작에 의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IV flow controller with flushing feature}
본 발명은 플러싱(flushing)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관을 통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에 플러싱 기능을 추가한 수액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링겔의 수액을 환자에게 공급할 때 공급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액조절기가 사용된다. 그런데,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을 하는 등의 이유로 수액흐름이 감소하거나 수액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액관을 통해 약물투입을 하는 경우, 환자가 수술 구역으로 들어가기 전, 또는 수술 진행 도중에도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수액관을 통한 수액 공급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동작을 플러싱(flushing)이라고 한다.
종래에는 수액의 공급 및 플러싱을 위하여 Y자 형태의 3개의 가지를 갖는 주사기 연결구가 사용되었다. 3개의 가지 중에서 2개의 가지 양측에는 수액관(링겔 튜브)가 삽입되며, 나머지 하나의 가지 내측에는 고무재를 삽입되어 있어서, 이 고무재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수액관 내측으로 주사약을 주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주사바늘을 고무재에 삽입하여 주사하게 되므로 주사기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주사기를 사용하므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하였다.
한편, 미국특허 제6,953,450호에서처럼 주사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도 제안되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지고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플러싱을 하는 장치도 있으나 고가이고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 제10-1024406호를 제안하였다. 특허등록 제10-1024406호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고정롤러, 구동롤러를 구비하고, 제1몸체부는 밑면부와 벽면부를 포함하며, 벽면부의 반대쪽에 개방된 공간을 가지며, 제2몸체부는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수액관이 통과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고, 구동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서 개방된 공간쪽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수납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돌리면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부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롤러가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수액관을 사이에 두고 고정롤러와 협력하여 회전함으로써 플러싱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수액조절기에서도 구동롤러가 플러싱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쪽으로 수액조절기를 밀어올리면 수액이 역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러싱 동작을 과하게 하여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액을 교체하거나 할 때 수액관을 거치시켜 둘 곳이 없어서 환자에게 잡고 있게 하거나 침상 위에 올려놓거나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동작 중에 수액관이 바닥에 떨어져서 오염이 될 우려도 있고, 수액관을 집어드는데 허리를 굽혔다가 집어들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러싱 기능을 구비한 수액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싱 동작을 역방향으로 실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액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관을 교체하거나 할 때 수액관을 손쉽게 거치해둘 수 있는 수액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와 고정롤러와 구동롤러를 구비한다. 제1몸체부는 밑면부와 벽면부를 포함하며, 벽면부의 반대쪽에 개방된 공간을 가지며 튜브압박면과 고정롤러홈을 갖는다. 제2몸체부는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수액관이 통과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튜브압박면과 고정롤러홈을 갖는다. 고정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고정롤러홈에 축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구비한다. 구동롤러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서 상기 개방된 공간쪽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수납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돌리면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압박면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쪽 끝부분의 플러싱 위치에서는 수액관을 사이에 두고 고정롤러의 제1기어부와 협력하여 회전함으로써 플러싱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액관을 끼워넣을 수 있는 수액관 거치수단이 형성된다. 수액관 거치수단은 수액관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롤러의 제2기어부는 래칫 기어(ratchet gea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몸체부는 고정롤러의 래칫 기어에 맞물려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폴(pawl)을 구비한다.
제1몸체부의 밑면부에는 구동롤러의 축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몸체부의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튜브압박면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튜브압박면과 구동롤러 가이드홈 사이의 평균 거리는 구동롤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점점 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 및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한쪽 끝부분 위치에 근접하여 상기 개방된 공간쪽으로 형성된 대피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가 상기 대피홈에 들어가면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벽면부 사이에서의 수액관의 압박이 최소화된다.
또한, 플러싱 위치의 제1 및 제2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플러싱 대피홈이 마련되며, 플러싱 위치의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한 수액차단위치에서는 구동롤러가 수액관을 최대로 압박하여 수액관을 통해 수액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거리에 튜브압박면이 형성되어 있다. 수액차단위치에 인접한 제1 및 제2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클릭감을 주기 위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고정롤러, 구동롤러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단가가 저렴하며, 플러싱 기능을 위하여 주사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감염의 위험도 없고 일반인도 사용하기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칫 기어에 의해 역방향의 플러싱 동작을 방지하므로 플러싱 역동작에 의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 동작시에 래칫 기어와 폴에 의해 회전음이 발생하므로 과도한 플러싱 동작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또한, 수액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수액관을 수액관 거치수단에 끼워놓을 수 있으므로 수액관의 오염 우려가 없으며 수액 교체를 좀더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수액조절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수액조절 및 플러싱 시의 구동롤러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러싱 동작이 역방향으로 실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수액관을 거치시키기 위한 수액관 거치수단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수액조절기에서 수액관 거치수단에 수액관을 거치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수액관 거치수단에 수액관이 거치된 수액조절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100)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 고정롤러(130), 구동롤러(140)를 구비한다. 또한,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클립수용홈(111, 121)에 조립되는 클립(15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클립수용홈(111, 121)과 클립(150)은 생략 가능하다.
제1몸체부(110)는 밑면을 구비하고 밑면의 한쪽 끝에는 벽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부의 반대쪽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있다. 벽면부는 손으로 쥐기 편하도록 손가락이 닿는 부위에 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와 결합되어 제1몸체부(110)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수액관이 통과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몸체부(120)도 밑면을 구비하고 밑면의 한쪽 끝에는 벽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부의 반대쪽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제1몸체부(110)의 개방된 부분과 함께 구동롤러(14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A)을 형성한다. 제2몸체부(120)의 벽면부도 손으로 쥐기 편하도록 손가락이 닿는 부위에 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몸체부(110)에는 갈고리가 달린 기둥을 마련하고, 제2몸체부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갈고리가 클릭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마련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 중의 어느 한쪽에만 4개의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서는 나사를 삽입하여 양 몸체부를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 중의 어느 한쪽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2개의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다른 쪽 몸체부의 다른 쪽 단부에 2개의 결합수단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한 결합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액관은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통과한다. 이를 위하여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사이에는 수액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롤러(130)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 사이에 형성된 고정롤러 수납공간에 수납된다. 고정롤러(130)의 축(135)의 양 단부는 각각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롤러홈(115)에 삽입되어 고정롤러(130)가 회전가능하도록 양 몸체부(110, 120)에 고정설치된다.
고정롤러(130)는 제1기어부(131) 및 제2기어부(133)의 복층 기어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기어부(131)는 구동롤러(140)에 형성된 기어부(141)와 맞물려서 플러싱 동작시에 구동롤러(140)와 함께 고정롤러(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기어부(133)는 래칫 기어(ratchet gear)로 형성되어 제2몸체부(120) 안쪽에 마련된 폴(pawl)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기어부(133)의 기어에 물려있는 폴(126)의 돌기 부분(126a)이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므로, 도 8에서 고정롤러(130)는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이 되지만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폴(126)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고정롤러(130)가 회전하면서 폴(126)이 제2기어부(133)의 어느 한 기어에 맞물렸다가 다음 기어로 넘어가는 동작에 의해 클릭감이 발생하게 된다.
구동롤러(140)는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 사이에 수납되되, 개방된 공간(A) 쪽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수납된다. 사용자는 이 노출된 부분을 돌려서 구동롤러(1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구동롤러(140)가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압박면(113, 123)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구동롤러(140)를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몸체부(110)의 밑면부의 제2몸체부(120)와 마주보는 면쪽에는 구동롤러(140)의 축(145)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고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1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몸체부(120)의,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14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과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을 통칭하여 구동롤러 가이드홈이라 한다.
한편, 구동롤러(140)가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압박면(113, 123)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기 위하여, 튜브압박면(113, 123)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튜브압박면(113, 123)과 구동롤러 가이드홈 사이의 거리가 구동롤러(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점점 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롤러(140)는 구동롤러 가이드홈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플러싱 대피홈(119), 대피홈(118), 그리고 수액관(T)을 통해 수액이 흐르지 않게 되는 위치로 들어감을 알려주기 위한 클릭감을 주기 위한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롤러(140)의 위치에 따라 수액관(T)을 통해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모습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수액관(T)을 통해 수액이 흐르지 않게 되는 위치에 구동롤러(140)가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위치(수액차단위치)에서는 구동롤러(140)가 수액관(T)을 최대로 압박하여 수액관을 통해 수액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거리에 튜브압박면(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의 튜브압박면은 다른 부분과는 구동롤러(140)와의 접촉면이 경사면이 아니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구동롤러(140)가 도 6a의 위치에서 벗어나서 수액관(T)을 통해 수액이 약간 흐르게 되는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수액차단위치에 인접한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롤러(140)가 수액차단위치에서 벗어날 때는 돌기(117)에 의해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튜브압박면(113)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도 6a 내지 도 6e에서 튜브압박면(113)의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보다 높다. 따라서, 도 6b의 위치에서는 튜브압박면(113)이 평균적으로 도 6c의 위치보다는 구동롤러(140)와 가까워서 수액관(T)이 구동롤러(140)에 의해 더 많이 압박이 된다. 따라서, 도 6c보다는 도 6b에서 흐르는 수액의 양이 적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e에서는 제1몸체(110)의 안쪽면만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2몸체(120)의 안쪽면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액관(T)은 구동롤러(140)와 튜브압박면(113, 123) 사이에서 눌려지게 된다.
구동롤러 가이드홈의 한쪽 끝부분에 못미치는 곳에는 대피홈(11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d에서와 같이 구동롤러(140)가 대피홈(118) 위치에 다다르면, 구동롤러(140)는 대피홈(118)으로 들어가게 되어 클릭감이 생김과 동시에 수액관(T)에 압박을 전혀 가하지 않는 또는 최소한으로 가하는 상태가 된다.
구동롤러(140)를 대피홈(118)을 지나 고정롤러(130)를 마주하는 위치(플러싱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플러싱을 할 수가 있다. 이때의 모습이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수액관(T)을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140)의 기어부(141)가 고정롤러(130)의 제1기어부(131)와 맞물려서 구동롤러(140)가 고정롤러(130)와 협력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수액조절기(100)를 아래쪽으로 훑어내리면 플러싱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플러싱 동작 중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고정롤러(130)의 제2기어부(133)가 회전하면서 폴(126)의 돌기 부분(126a)이 기어부에 맞물렸다가 벗어났다가를 반복하면서 클릭감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롤러 가이드홈의 플러싱 위치에도 플러싱 대피홈(119)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러싱 대피홈(119)에 들어갈 때 생기는 클릭감에 의해 구동롤러(140)가 플러싱 위치에 들어갔음을 사용자가 쉽게 알아챌 수 있으며, 플러싱 동작 중에 구동롤러(140)가 플러싱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수액관을 거치시키기 위한 수액관 거치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수액관을 거치시키기 위한 수액관 거치수단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수액조절기에서 수액관 거치수단에 수액관을 거치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수액관 거치수단에 수액관이 거치된 수액조절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수액조절기는 도시의 단순화를 위해 제1몸체와 제2몸체만이 결합되어 몸체(116)를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부호 C로 표시된 부위의 안쪽에는 고정롤러가 조립되며, 그 맞은편으로 구동롤러가 조립된다. 몸체(116)의 상부에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원형 구멍이 수액관 거치수단(114)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9는 수액관 거치수단(114)에 수액관(T)을 끼워놓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수액을 교체할 때는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수액관(T1)이 수액조절기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액관의 한쪽 끝부분(T2)에 가까운 부위를 수액관 거치수단(114)에 끼워놓고 수액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액을 교체하는 동안에도 수액관의 한쪽 끝이 바닥에 떨어져서 수액관이 오염될 우려가 없고 또한 수액관의 한쪽 끝을 환자가 잡고 있을 필요가 없이, 수액관의 한쪽 끝을 수액조절기에 거치시켜둘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수액조절기의 몸체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액조절기의 몸체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더 많은 수의 몸체부를 조립하여 구성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은 그와 균등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액조절기, 110 제1몸체,
111 클립 수용홈, 113 튜브압박면,
114 수액관 거치수단, 115 고정롤러홈,
120 제2몸체, 121 클립수용홈,
123 튜브압박면, 130 고정롤러,
131 제1기어부, 133 제2기어부,
140 구동롤러, 150 클립,
T 수액관.

Claims (7)

  1. 밑면부와 벽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면부의 반대쪽에 개방된 공간을 가지며, 튜브압박면과 고정롤러홈을 갖는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와 결합되어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수액관이 통과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튜브압박면과 고정롤러홈을 갖는 제2몸체부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기 고정롤러홈에 축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1기어부와 래칫 기어(ratchet gear)로 형성된 제2기어부를 구비하는 고정롤러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서 상기 개방된 공간쪽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수납되며, 상기 노출된 부분을 돌리면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튜브압박면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쪽 끝부분의 플러싱 위치에서는 수액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롤러의 제1기어부와 협력하여 회전함으로써 플러싱이 되도록 하는 구동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려서 역회전을 방지하는 폴(pawl)을 구비하며,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액관을 끼워넣을 수 있는 수액관 거치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수액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몸체부의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축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몸체부의 상기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압박면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압박면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롤러 가이드홈 사이의 평균 거리는 상기 구동롤러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점점 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조절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 및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한쪽 끝부분 위치에 근접하여 상기 개방된 공간쪽으로 형성된 대피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가 상기 대피홈에 들어가면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벽면부 사이에서의 수액관의 압박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조절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위치의 제1 및 제2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플러싱 대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조절기.
  6.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기 고정롤러홈에 축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구비하는 고정롤러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서 상기 개방된 공간쪽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수납되며, 상기 노출된 부분을 돌리면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튜브압박면에 대해서 수액관을 압박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수액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쪽 끝부분의 플러싱 위치에서는 수액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롤러의 제1기어부와 협력하여 회전함으로써 플러싱이 되도록 하는 구동롤러
    를 구비하며,
    제1몸체부의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축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몸체부의 상기 제1구동롤러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구동롤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싱 위치의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한 수액차단위치에서는 구동롤러가 수액관을 최대로 압박하여 수액관을 통해 수액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거리에 튜브압박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액차단위치에 인접한 제1 및 제2 구동롤러 가이드홈에는 클릭감을 주기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액관을 끼워넣을 수 있는 수액관 거치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수액조절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관 거치수단은 수액관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조절기.
KR1020120134256A 2012-11-26 2012-11-26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KR10142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56A KR101429358B1 (ko) 2012-11-26 2012-11-26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56A KR101429358B1 (ko) 2012-11-26 2012-11-26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49A true KR20140067249A (ko) 2014-06-05
KR101429358B1 KR101429358B1 (ko) 2014-09-23

Family

ID=5112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256A KR101429358B1 (ko) 2012-11-26 2012-11-26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13B1 (ko) 2018-12-26 2020-10-19 (의료)길의료재단 수액세트의 플러싱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960B1 (ko) * 2021-01-19 2021-10-12 주식회사 파텍메디컬코리아 수액 유량 조절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615A (en) * 1992-09-23 1995-07-04 Starchevich; Jovanka Intravenous flow regulating and mounting assembly
JPH0648676U (ja) * 1992-12-16 1994-07-05 テルモ株式会社 ローラクランプのカバー体
KR101024406B1 (ko) * 2010-09-15 2011-03-23 김동식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358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56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EP3646905B1 (en) Single dose drug delivery device
KR101024406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KR101429358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CN101716080A (zh) 采血器械
EP3372262A1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202102367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ringe handling
KR100701223B1 (ko) 자동식 약물주사용 건
KR101535947B1 (ko) 약액 주입장치
US20170335978A1 (en) Fluid switching valve, fluid delivery cartridge, and fluid delivery driving unit
JP2016538011A (ja) カテーテル前進デバイス
CN104645439A (zh) 含药液注射器专用运送装置
KR20150025046A (ko) 절환성이 뛰어나고 풀림방지와 함께 시간예측이 용이한 수액조절장치
US9839753B2 (en) Systems for managing reservoir chamber pressure
WO2008086552A3 (de) Einweg-injektionsgerät
JP2010051702A (ja) 皮下注入器
US20140200519A1 (en) Medical device having user friendly control input
KR20210088689A (ko) 채수 디스펜서 및 순수제조장치
JP2015536221A (ja) ニードルアセンブリ交換デバイス
CN201791186U (zh) 一种全自动精确注射装置
JP2018520827A (ja) 薬剤注入装置
JP3185453U (ja) 薬液の注入装置
JP6392869B2 (ja) 針収納デバイス
KR101342572B1 (ko) 제어가 용이한 카테터 장치
CN112138245A (zh) 一种自我反馈止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