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203A - Disc brake - Google Patents

Disc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203A
KR20140067203A KR1020120134161A KR20120134161A KR20140067203A KR 20140067203 A KR20140067203 A KR 20140067203A KR 1020120134161 A KR1020120134161 A KR 1020120134161A KR 20120134161 A KR20120134161 A KR 20120134161A KR 20140067203 A KR20140067203 A KR 2014006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ir
pad plates
carri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3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203A/en
Publication of KR2014006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A disc brak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 brake includes: a carrier wherein a pair of pad plates pressed to both surfaces of a disc rotating with a wheel is installed to be advanced and retreated to/from the disc; caliper housing units mounted on the carrier to be moved and operates the pad plates; and pad springs interpos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pad plates in order to support the pad plates to be slid and moved. Additionally, the disc brake includes join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upper parts of the pad plates towards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and return springs mounted on the joining protrusions to maintain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ad plates and the disc when releasing the brake,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parting direction making the pad plates be apart from each other. Supporting protrusions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ad plates from the carrier caused by the return springs are formed on the pad springs.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Disc brake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 해제시 탄성력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패드 플레이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은 물론, 조립시 패드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 brake for forcibly returning a pad plate to an original posi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when releasing a brake, and preventing a release of a pad plate during assembly.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장치이다.In general, a disk brake mounted on a vehicle is a device for decelerating, stopping, or stopping an automobile while driving, and is a device for strongly pressing a disc-shaped disk rotating together with a wheel from both sides to obtain a braking force.

이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는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차체에 결합되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디스크로 압박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하우징을 구비한다.Such a disc brake includes a pair of pad plates to which friction pads are attached, a carrier which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supports the pair of pad plates so as to be slid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air of pad plates The caliper housing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carrier.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되고, 전방부에는 하측으로 굽어져 성형된 핑거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를 통해 제동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에 마련된 피스톤이 일측의 패드 플레이트를 밀게 되며, 이의 전방부에 마련된 핑거부가 타측 패드 플레이트를 디스크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를 양쪽에서 압박하여 제동이 이루어진다.The rear portion of the calip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cylinder provided with a piston, and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ormed finger portion bent downward. When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caliper housing, the piston provided on the cylinder pushes the pad plate on one side, and the finger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pushes the other pad plate toward the disk. Accordingly, a pair of pad plates presses the disk from both sides to perform braking.

한편, 캐리어에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carrier is provided with a pad spring for supporting a pair of pad plates so that movement of the pair of pad plates can be smoothly perform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제동 후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개재된 피스톤 링의 롤 백(roll back)에 의해 피스톤이 리턴되면서 패드 플레이트도 복귀하여야 하지만 그러한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드래그(drag)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패드 플레이트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여 디스크와 마찰패드가 접촉됨에 따라 마찰패드의 마모가 발생하거나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동장치의 결함으로 인한 차량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k brak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iston is returned by the roll back of the piston ring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after braking, and the pad plate should also be returned. However, if such operation is not smooth, drag) occurs. That is, since the pad plate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riction pa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k, resulting in wear of the friction pad or noise due to vibr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vehicle safety accident is caused by a defect of the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동 해제시 패드 플레이트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c brake capable of returning a pad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a brake is released by using an elastic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조립시 패드 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c brake capable of preventing the pad plate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disc brake is assemb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측면에 각각 압착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드가 상기 디스크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캘리퍼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마련되고, 제동 해제시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디스크 사이의 거리가 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턱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gnetic disk drive comprising: a carrier having a pair of pad plates which are respectively pressed on both sides of a disk rotating together with a wheel, And a pa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pair of pad plates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air of pad plates, and a pad spring Wherein a pair of pad plat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pair of pad plates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arrier so as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ad plates and the disc when the brake is released, And the pair of pad plates ar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pad spring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for preventing the pair of pad plat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rier by the return spring.

또한,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패드 플레이트와 캐리어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감싸도록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지지턱은 상기 디스크를 향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반대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d spring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so as to surround the friction surface on which the pad plate and the carrier are frictione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tuck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ir of pad plates facing the disc.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중심이 벤딩되어 서로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의 각 끝단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턱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The return spring may include a first rod and a second rod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turn spring. The ends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opposing pads Respectively, of the plate.

또한, 상기 각 결합턱에는 이웃하는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턱과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의 끝단은 복수회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결합턱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ods are bent at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s, The bending portion may be formed to surround a part thereof.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탄성변형시 패드 플레이트, 캐리어 및 캘리퍼 하우징과의 간섭이 받지않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상부와 캘리퍼 하우징의 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plate and the inside of the caliper hous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d plate, the carrier, and the caliper housing upon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리턴 스프링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턱에 설치되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함으로써 제동 해제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원래의 위치로 원활히 복귀시켜 드레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패드의 마모 및 마모에 따른 진동과 소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urn spring is provided on a coupling jaw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pad plates so that a pair of the pad plates receiv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ra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problem of vibration and noise due to abrasion and abrasion of the pad can be solved.

또한,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에 지지턱을 마련함으로써 조립 및 제동 작용시 리턴 스프링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가 디스크 브레이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upport step on the pad spring for supporting the pad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d plat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disc brak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during assembly and braking operations.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와 패드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구비된 패드 플레이트와 패드 스프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k brake, and more particularly,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late and a pad spring provided in a disc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FIG.
4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of a disc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 bra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D)의 양측면을 각각 압착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30)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를 작동시키기 위해 캐리어(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 하우징(40)과,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캐리어(30)와 각 패드 플레이트(21, 22) 사이에 개재된 패드 스프링(50) 및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60)을 포함한다.1, a disc br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for pressing both sides of a disc D rotating together with a wheel (not shown) A caliper housing 40 movably installed on the carrier 30 for operating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 pad spring 50 and a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interposed between the carrier 30 and the pad plates 21 and 22 so as to be slidable on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nd a return spring 60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내측면에는 디스크(D)와 마찰되는 마찰패드(23)가 각각 부착되고, 각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측 단부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는 후술할 피스톤(42)과 접하도록 배치된 이너 패드 플레이트(21)와 후술할 핑거부(43)와 접하도록 배치된 아우터 패드 플레이트(22)로 구분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단 양측에는 리턴 스프링(60)이 설치되는 결합턱(25)이 형성된다. 즉, 결합턱(25)은 돌출부(24)의 상부에 위치되며, 캐리어(30)와 이격되도록 하여 캐리어(3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결합턱(25)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A friction pad 23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so as to frictionally abut against the disk D and protrusions 24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pad plates 21 and 22 .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includes an inner pad plate 21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 piston 42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outer pad plate 22 arranged to contact a fingering 43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 coupling step 25 in which a return spring 60 is installed is formed. That is, the engaging jaw 25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24 and protrudes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rrier 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rrier 30. The coupling jaw 25 will be described below again.

캐리어(30)는 디스크(D)의 외주 일측에 위치되도록 차체의 너클(미도시)에 결합된다. 캐리어(30)의 내측 양측부에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홈(34)이 형성된다. 이때, 각 슬라이딩홈(34)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각각 설치되도록 캐리어(3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 내측의 양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4)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디스크(D)가 원활히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The carrier 30 is engaged with a knuckle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k D. Sliding grooves 34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portions of the carrier 3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s 24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t this time, each sliding groove 34 is form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carrier 30 so that a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ing grooves 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carrier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sk D is opened to be smoothly inserted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thereof.

이러한 캐리어(30)의 슬라이딩홈(34)을 따라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미끄럼 이동되도록 돌출부(24)가 슬라이딩홈(34)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각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슬라이딩홈(34)을 따라 진퇴될 때 각 마찰패드(23)가 디스크(D)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제동력이 발생된다.The protrusions 24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s 34 so that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re slid along the sliding grooves 34 of the carrier 30. That is, when the pad plates 21 and 22 are advanced and retreated along the sliding grooves 34, the friction pads 23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disk D, thereby generating braking force.

캘리퍼 하우징(40)은 양단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드(45)가 캐리어(30)의 양단에 마련된 가이드홀(35)에 삽입됨에 따라 캐리어(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캘리퍼 하우징(40)은 이너 패드 플레이트(21)를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4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41)와, 아우터 패드 플레이트(22)를 가압하기 위한 핑거부(43)를 포함한다.The caliper housing 4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carrier 30 as the guide rods 45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guide holes 3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rrier 30. The caliper housing 40 includes a cylinder 41 in which a piston 42 for pushing the inner pad plate 21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 fingering 43 for pressing the outer pad plate 22 do.

실린더(41)에는 피스톤(4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42)은 실린더(41)에 제동유압이 인가되면 전진하면서 이너 패드 플레이트(21)를 가압한다.A piston (42) is provided on the cylinder (41)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he piston 42 presses the inner pad plate 21 while advancing when a braking oil pressure is applied to the cylinder 41.

패드 스프링(50)은 캐리어(30)에 설치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21, 22)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한다. 즉, 패드 스프링(5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캐리어(30)의 내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이 패드 스프링(50)은 패드 플레이트(21, 22)와 캐리어(30)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감싸도록 상기 캐리어(3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51)와, 상기 제1 지지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각 패드 플레이트(21, 22)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52)를 구비한다. 제1 지지부(51)는 캐리어(3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지지부(52)는 제1 지지부(5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하단 예컨대, 돌출부(24)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제1 지지부(51)의 하단 양측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패드 스프링(50)을 구성하는 제1 지지부(51)와 제2 지지부(52)는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The pad spring 50 is mounted on the carrier 30 and supports the pair of plates 21 and 22 to slide. That is, the pad springs 50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inner ends of the carrier 30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respectively. The pad spring 5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51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30 so as to surround the friction surfaces of the pad plates 21 and 22 and the carrier 3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52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and supporting the lower ends of the pad plates 21 and 22.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is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30. [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 is bent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51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ortion 5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 constituting the pad spring 50 ar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times.

한편, 패드 스프링(50)에는 후술할 리턴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캐리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턱(55)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턱(55)은 디스크(D)를 향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반대편 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 지지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턱(55)은 각 마찰패드(23)가 부착된 패드 플레이트(21, 22)의 반대편 측에 위치되어 패드 플레이트(21, 22)가 패드 스프링(50) 즉, 캐리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ad spring 5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55 for preventing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rier 3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a return spring 6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step 55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52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facing the disk D. 2, the supporting step 5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d plates 21, 22 to which the respective friction pads 23 are attached, so that the pad plates 21, That is, from the carrier 30.

바람직하게, 지지턱(55)은 패드 스프링(50)의 제조시 형성되는데, 리턴 스프링(60)의 하중에 맞추어 지지턱(55)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upport step 55 is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ad spring 5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step 55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return spring 6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10)의 패드 플레이트(21, 22)에는 각 패드 플레이트(21, 2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동 해제시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원래의 위치로 원활히 복귀하도록 리턴 스프링(60)이 설치된다.The pad plates 21 and 22 of the disk brake 10 having the above structure are provided with elastic forces on the pad plates 21 and 22 so that the pad plates 21 and 22 are smoothly returned A return spring 60 is provided.

리턴 스프링(60)은 각 패드 플레이트(21, 22)에 형성된 결합턱(25)에 장착되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리턴 스프링(6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The return spring 60 is mounted on the coupling step 25 formed on each of the pad plates 21 and 22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re moved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return springs 6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which are formed as a pair.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턴 스프링(60)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결합턱(25)에 설치되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를 디스크(D)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6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중심이 벤딩되어 서로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를 구비한다.3 and 4, the return spring 60 is mounted on the coupling jaw 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nd a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 D. The return spring 6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 first rod 61 and a second rod 62 which ar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의 각 끝단은 마주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결합턱(25)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각 결합턱(25)에는 이웃하는 패드 플레이트(21, 22)의 결합턱(25)과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26)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26)은 결합턱(25)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로드(61, 62)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는 결합홈(26)에 끼워져 장착되는데, 이때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의 끝단은 복수회 절곡되어 결합턱(25)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부(105)가 형성되게 된다. 즉,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의 끝단은 소위 'ㄷ'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된다. 이에, 제1 로드(61)와 제2 로드(62)가 결합홈(26)에 장착되면 절곡부(65)가 걸림턱(25)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결합홈(26)에 따른 좌우방향 및 절곡부(65)에 따른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어 리턴 스프링(60)과 패드 플레이트(21, 22) 간의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ends of the first rod 61 and the second rod 62 are mounted on the coupling jaws 25 of the pair of opposing pad plates 21 and 22, respectively. At this time, coupling grooves 26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coupling jaws 25 facing the coupling jaws 25 of the adjacent pad plates 21 and 2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ngaging groove 26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gaging jaw 25 and has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each rod 61, 62. That is, the first rod 61 and the second rod 62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6.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first rod 61 and the second rod 62 are bent a plurality of times, The bent portion 105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bent portion 25. That is, the ends of the first rod 61 and the second rod 62 are bent to have a so-called 'C' shape. When the first rod 61 and the second rod 62 are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26, the bent portion 65 support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step 25,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ent portion 65 is restricted and the tightly coupled state between the return spring 60 and the pad plates 21 and 22 can be maintained.

상기와 같은 리턴 스프링(60)은 탄성변형시 패드 플레이트(21, 22), 캐리어(30) 및 캘리퍼 하우징(40)과의 간섭이 받지않도록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상부와 캘리퍼 하우징(40)의 내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마찰패드(23)가 마모시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여 리턴 스프링(60)의 변형량이 증가하더라도 리턴 스프링(60)이 패드 플레이트(21, 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return spring 60 is elastically deformed such that the pad plates 21 and 22 and the caliper housing 40 ar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the pad plates 21 and 22, As shown in Fig. Even if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return spring 60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travel distance of the pad plates 21 and 22 when the friction pad 23 is worn, the return spring 60 is disengaged from the pad plates 21 and 22 .

한편, 리턴 스프링(6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 쌍의 리턴 스프링(6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벤딩된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 각도를 갖는 두 개의 로드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turn springs 6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ir of return springs 6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at is, two rods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end may be symmetrically formed.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10)의 작동상태에 따른 리턴 스프링(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return spring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c brake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이 캘리퍼 하우징(40)의 실린더(41)로 전달되면, 피스톤(42)이 이너 패드 플레이트(21)를 디스크(D) 쪽으로 가압한다. 이너 패드 플레이트(21)의 마찰패드(23)가 디스크(D)의 일측면에 밀착되면 피스톤(42)의 전진에 의한 반력에 의해 캘리퍼 하우징(40)이 피스톤(42)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이때, 핑거부(43)가 아우터 패드 플레이트(22)를 디스크(D)의 타측면 쪽으로 당겨 아우터 패드 플레이트(22)의 마찰패드(23)가 이너 패드 플레이트(21)의 마찰패드(23)과 함께 디스크(D)에 밀착되면서 제동력이 발생된다.When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formed in the master cylinder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ylinder 41 of the caliper housing 40, the piston 42 presses the inner pad plate 21 toward the disk D. When the friction pad 23 of the inner pad plate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face of the disk D, the caliper housing 40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iston 42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advancement of the piston 42 It is pushed. At this time, the fingering member 43 pulls the outer pad plate 22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disc D so that the friction pad 23 of the outer pad plate 22 contacts the friction pad 23 of the inner pad plate 21 A braking force is generated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disc D.

이때,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턱(25)에 장착된 리턴 스프링(60)이 탄성 변형되며 각 패드 플레이트(21, 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실린더(41)에 가해졌던 제동유압이 제거되면 피스톤(42)이 디스크(D)의 반대 방향으로 물러나고 캘리퍼 하우징(4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가 디스크(D)에서 물러난다. 이때,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는 리턴 스프링(60)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turn spring 60 mounted on the coupling jaw 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is elastically deform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each of the pad plates 21 and 22. That is, when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cylinder 41 is removed, the piston 42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k D and the caliper housing 4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D). At this time,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re smoothly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return spring 60.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10)를 조립시 리턴 스프링(60)에 의하여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캐리어(30) 즉, 패드 스프링(50)으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으나, 패드 스프링(50)에 형성된 지지턱(55)에 의하여 패드 플레이트(21, 22)가 지지되어 조립시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이탈에 따른 파손 및 패드 플레이트(21, 22)의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동작용시에도 패드 플레이트(21, 22)가 복귀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패드 플레이트(21, 22)의 과도한 리턴 작용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disc brake 1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ssembled, the return spring 6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pad plates 21 and 22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carrier 30, that is, the pad spring 50, The pad plates 21 and 22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s 55 formed on the pad springs 50 so that breakage of the pad plates 21 and 22 due to disengagement of the pad plates 21 and 22 during assembly, 22,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urther, by restricting the return distance of the pad plates 21 and 22 even during the braking operation, the excessive returning action of the pad plates 21 and 22 is preven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21, 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리턴 스프링(60)을 마련함으로써, 제동 해제시 드래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마찰패드(23)의 마모 및 그에 따른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드 플레이트(21, 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50)에 지지턱(55)을 형성함으로써 패드 플레이트(21, 22)의 이탈을 방지하여 패드 플레이트(21, 22)의 파손 및 누락에 대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the disc brak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spring 60 is provided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pad plates 21 and 22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rasion of the friction pad 23 and hence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ad plates 21 and 22 from being separated by forming the support protrusions 55 on the pad springs 50 slidably supporting the pad plates 21 and 22, And the problem of omission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디스크 브레이크 21, 22 : 패드 플레이트
25 : 결합턱 26 : 결합홈
30 : 캐리어 40 : 캘리퍼 하우징
50 : 패드 스프링 55 : 지지턱
60 : 탄성부재 61 : 제1 로드
62 : 제2 로드 65 : 절곡부
10: Disk brake 21, 22: Pad plate
25: coupling jaw 26: coupling groove
30: carrier 40: caliper housing
50: Pad spring 55: Support jaw
60: elastic member 61: first rod
62: second rod 65:

Claims (5)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측면에 각각 압착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드가 상기 디스크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캘리퍼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마련되고,
제동 해제시 상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디스크 사이의 거리가 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턱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패드 스프링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A pair of pad plates which are respectively pressed on both sides of a disk rotating together with the wheel, the carrier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carrier, the caliper housing being operable to move the pair of pad plates; And a pa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pair of pad plates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air of pad plates,
Wherein a pair of pad plates are provided on both upper ends of the pair of pad plates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arrier,
And a return spring mounted on the coupling jaw so as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ad plates and the disc when braking is releas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pad pl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ad spring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pair of pad plat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rier by the return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은 상기 패드 플레이트와 캐리어가 마찰되는 마찰면을 감싸도록 상기 캐리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지지턱은 상기 디스크를 향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반대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d spring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so as to surround the friction surface on which the pad plate and the carrier are frictione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ir of pad plates facing the dis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중심이 벤딩되어 서로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의 각 끝단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턱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urn spring includes a first rod and a second rod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each end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s mounted on a coupling jaw of the facing pair of pad plates,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턱에는 이웃하는 패드 플레이트의 결합턱과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의 끝단은 복수회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결합턱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coupling jaws has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s thereof facing the coupling jaws of the adjacent pad plates,
And the bent ends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re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oupling ja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탄성변형시 패드 플레이트, 캐리어 및 캘리퍼 하우징과의 간섭이 받지않도록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상부와 캘리퍼 하우징의 내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urn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plate and the interior of the caliper hous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d plate, the carrier, and the caliper housing upon elastic deformation.
KR1020120134161A 2012-11-26 2012-11-26 Disc brake KR201400672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61A KR20140067203A (en) 2012-11-26 2012-11-26 Disc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61A KR20140067203A (en) 2012-11-26 2012-11-26 Disc bra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03A true KR20140067203A (en) 2014-06-05

Family

ID=5112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161A KR20140067203A (en) 2012-11-26 2012-11-26 Disc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20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0771A (en) * 2015-12-09 2016-03-02 万向钱潮(上海)汽车系统有限公司 Disc brake friction plate return device
KR20180070152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ear Compensation structure of brake pad
CN113202891A (en) * 2020-02-03 2021-08-03 株式会社万都 Pad spring for automobile brak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0771A (en) * 2015-12-09 2016-03-02 万向钱潮(上海)汽车系统有限公司 Disc brake friction plate return device
CN105370771B (en) * 2015-12-09 2018-05-04 万向钱潮(上海)汽车系统有限公司 Disk brake friction wafer returning device
KR20180070152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ear Compensation structure of brake pad
CN113202891A (en) * 2020-02-03 2021-08-03 株式会社万都 Pad spring for automobile brake
CN113202891B (en) * 2020-02-03 2023-03-10 汉拿万都株式会社 Pad spring for automobile bra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7202A (en) Disc brake
KR20110034885A (en) Disk brake for vehicle
KR20170010547A (en) Disc brake
KR20140067203A (en) Disc brake
KR102624978B1 (en) Disk brake
KR20160141434A (en) Disc brake
KR101405205B1 (en) Disc brake for vehicle
KR20170030813A (en) Disc brake
KR20170019833A (en) Disc brake
KR20130052901A (en) Device for pad return of disc brake
KR20180059082A (en) Monoblock caliper brake
CN108105284B (en) Caliper brake
KR200389985Y1 (en) Disk brake for Car
KR101971529B1 (en) Disc brake
KR20160141435A (en) Disc brake
KR101283439B1 (en) Disk brake for vehicle
KR20110125126A (en) Disc brake
KR20130084031A (en) Pad spring and disc brake having the same
KR101282009B1 (en) disc brake
KR20140066307A (en) Disk brake
KR101958797B1 (en) Pad spring
KR100659593B1 (en) Disk Brake for Car
KR20170040494A (en) Disc brake
KR20230138982A (en) Pad spring and Caliper brake having the same
KR101394074B1 (en)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