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876A - Buoy for sea boundary - Google Patents

Buoy for sea bound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876A
KR20140066876A KR1020120133460A KR20120133460A KR20140066876A KR 20140066876 A KR20140066876 A KR 20140066876A KR 1020120133460 A KR1020120133460 A KR 1020120133460A KR 20120133460 A KR20120133460 A KR 20120133460A KR 20140066876 A KR20140066876 A KR 2014006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vibration
sea
ro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2193B1 (en
Inventor
김정완
Original Assignee
(주)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3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1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6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marking sea boundari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oy for marking sea boundaries, for marking a certain point or a zone at sea where a specific surrounding landmark for becoming a standard point for indicating the boundaries of sea, fish farms, and coastal fisheries does not exis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oy capable of floating on the sea; a bird-proof rod equipped on an upper part of the buoy; and an elastic body prepared on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bird-proof rod, which is capable of bending the bird-proof rod when a bird sits on the body of the rod, and of coming back to an original position when the bird flies away.

Description

해역표시용 부표{BUOY FOR SEA BOUNDARY}Buoy for sea area display {BUOY FOR SEA BOUNDARY}

본 발명은 해역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의 경계, 양식지역 또는 어장구역 등과 같이 기준이 될 만한 특별한 주변 지형물이 없는 바다 위에서 특정의 지점이나 지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해역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sea area ind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 for sea area indication, which can be used to display a specific point or area on a sea without any special peripheral landmarks such as sea boundari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sea area indication.

바다에도 특정인의 양식지역이나 지역어민들의 공동어로구역 등과 같이 특정 구역을 나누고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다에서는 기준이 될 만한 주변지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육상에서처럼 해수면에 특정의 표시를 해 두는 것도 쉽지가 않다. 따라서 해상에서 특정 지점이나 지역 또는 어구의 위치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부표가 사용된다.In the sea, it is necessary to divide and display specific areas such as a specific fishery area or a fishery area of local fishermen.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terrain around the sea, and it is not easy to make a specific mark on the sea surface as on land. Thus, a buoy is us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a particular point, region, or phrase in the ocean.

부표는 물에 뜨는 재질로 구성된 도구를 바다에 띄우고, 그것을 와이어(wire)나 체인(chain) 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바다의 바닥이나 어구 등에 고정하는 것을 말한다.A buoy is a tool that floats on the ocean and fixes it on the bottom of the sea or on a fishing boat using a mechanism such as a wire or a chain.

일반적으로 부표는 바닷물에 뜨기만 하면 그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바다 위에 떠있는 부표를 멀리서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야간에 멀리서도 부표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In general, it is true that buoys do not have a great deal of burden to perform their basic role if they are placed in the s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buoys floating on the sea easy to find from afar. Further, if necessary, means for easily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uoy at a distance from the night is needed.

이를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던 부표에는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멀리서 식별이 가능한 부표가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To this end, buoy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have been equipped with light emitting means and buoy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afar at night have been used.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부표의 경우에는 발광수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거나 교체주기를 최대한 길게 할 수 있는 부표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부표에는 태양전지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양전지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즉, 장마철이나 동절기 등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를 보충해 주거나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태양전지와 더불어 혹은 태양전지와는 별개로 자체충전이 가능한 장치가 있으면 좋을 것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buoy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must be continuously replaced in order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ight emitting mea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buoy to avoid the need to replace the battery or to make the replacement cycle as long as possib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buoys use solar cells. However, solar cell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are high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at is, when the time to receive the sunlight is short such as the rainy season or the winter season,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electric power, so that a separate battery must be supplemented or replaced. So it would be nice to have a self-charging device with or without a solar cell.

한편, 바다 위에 떠있는 부표는 갈매기 등과 같은 바다조류의 휴식처가 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갈매기가 부표에 앉는 경우에는 그 배설물로 인하여 부표가 쉽게 부식되거나 식별력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표의 상부에 갈매기가 앉는 것을 방지하는 조류방지봉을 구비하거나, 소음이나 포식자의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갈매기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표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buoys floating on the sea are also a resting place for sea birds such as seagulls. When the seagulls sit on the buoys, the buoys are easily eroded or the discrimination power is lowered due to the excre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buoy to prevent the seagull from sitting on the top of the buoy, or to prevent the seagull from sitting by making noises or predators sound.

KR10-2003-0010297 a1KR10-2003-0010297 a1 KR20-0440108 a1KR20-0440108 a1 KR20-2011-0009834 a1KR20-2011-0009834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표의 내부에 파도나 파랑에 의하여 구동되는 진동발전장치를 더 구비하여 내장된 배터리에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해역표시용 부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충전된 배터리는 발광수단에 공급하거나 스피커를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표의 상부에 갈매기 등과 같은 바다조류가 안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방지봉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 for sea-area display that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driven by waves or waves, There is a purpose. The battery thus charged can be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means or used for driving the speaker.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gae prevention rod for preventing seagulls such as seagulls from being seated on the upper part of a buo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닷물 위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부표, 상기 부표의 상부에 구비되어 조류가 쉽게 안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류방지봉 및 상기 조류방지봉의 몸체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조류가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조류방지봉이 휘어지도록 하고, 조류가 날아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rd's nest of a bird's nest, comprising: a buoy provided on a seawater so as to float on the seawater; And an elastic body which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allow the bird's bar to be bent when the bird is seated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bird is bl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부표에는 발광수단 또는 스피커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표의 내부에 구비되어 바닷물의 일렁임에 의하여 발전을 하는 진동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발전장치는 내부에 진동발전에 필요한 자석 및 유도코일이 구비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의 제1 발전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의 제1 발전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진동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표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때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means and a speaker,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buoy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a sling of seawater.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ower generating unit having a magnet and an induction coil for generating vibration therein, a first power generating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generati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vibrating rod, wherein the buoy is generated when the buoy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진동발전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진동봉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연장봉과, 상기 연장봉의 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진동발전에 필요한 자석 및 유도코일이 구비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제2 발전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발전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봉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발전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발전홀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진동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표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때에도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power generation device includes an extension rod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ivotal shaft,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A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having an induction coil, a second power gener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part, and a second power generation ho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extension rod and the other end provided to the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And a second vibrating bar which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move, so that the power can be generated even when the buoy flows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부표의 상부에는 동작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detec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에 의하며, 부표에 바다조류가 안착하여 그 배설물로 인하여 부표가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닷물의 일렁임을 이용하여 진동발전을 하고 그것을 부표에 구비된 전기기기에 제공함으로써 에너지절약은 물론 배터리를 교체하는데 드는 수고를 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ea buoy indica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a buoy is seated on the buoy and the buoy is damaged or corroded by the excremen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nergy is saved as well as labor for replacing the battery by providing vibration to the electrical equipment provided in the buoy by using vibration of the sea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의 계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진동발전장치의 측면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진동발전장치의 저면도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a area indica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uoy for sea area display equipp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power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Fig. 4 schematically shows a bottom view of the vibration power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a area indica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200)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100)는, 바닷물 위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부표(100)와, 상기 부표(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조류가 쉽게 안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류방지봉(190) 및 상기 조류방지봉(190)의 몸체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조류가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조류방지봉(190)이 휘어지도록 하고, 조류가 날아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탄성체(1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sea chart indicating buoy 100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 100 provided to float on seawater, The anti-bird bar (190) prevents the bird from easily seated and the body of the bird's bar (190) so that when the bird is seated, the bird's bar (190) And an elastic body 195 for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blown.

부표(100)는 내부가 비어있거나 부력이 있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재질이 충진될 수 있다. 부표(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130)과 하부유닛(150)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유닛(130)은 상부(도 1을 기준으로 한 방향임, 이하 동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뿔형 또는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유닛(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표(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유닛(130)과 하부유닛(150)으로 나누는 대신에 상부유닛(130)과 하부유닛(150)을 일체로 하면서 바닥면에 분리가능한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buoy 100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which is empty or buoyant inside. The buoy 10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unit 130 and a lower unit 150 as shown in the figure, and can be separated as necessary. The upper unit 130 may have a conical or polygonal conical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portion (direction based on FIG. 1,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The lower unit 15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above configura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buoy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but may be realized in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If necessary, the upper unit 130 and the lower unit 150 may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stead of being divided into the upper unit 130 and the lower unit 150.

부표(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부표(100)를 해저면 또는 어구 등에 연결하는 와이어나 채인 등과 같은 고정수단(1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 100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170 such as a wire or a drawer for connecting the buoy 100 to the sea floor,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는, 부표(100)의 상부에 구비된 조류방지봉(190)은 뾰족한 형상의 봉이 최소한 하나 이상, 다수 개가 구비되어 조류가 쉽게 안착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조류의 배설물로 인하여 부표(100)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ea area indica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sharp-pointed bars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 100 to prevent the bird from easily seat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oy 100 from being contaminated or corroded by algae excrement.

조류방지봉(190)은 뾰족한 형상의 봉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의 몸체 중 어느 한 부분(바람직하게는 가운데 부분 또는 하단에 인접한 부분)에 탄성체(1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조류가 안착하기 위해서 조류방지봉(190)을 디디면 상기 조류방지봉(190)이 급격히 휘어지게 되어 조류가 놀라서 다시 날아가게 된다. 조류가 날아가면 조류방지봉(190)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서 직립한 상태가 된다.
The anti-birdcage rod 190 may be composed of only a pointed rod,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elastic body 195 may be attached to any part of the body of the rod (preferably the middle part or the part near the lower end) . Thus, when the algae prevention rod 190 is tilted in order for the algae to settle, the algae prevention bar 190 is rapidly bent, and the algae is frightened again. When the algae fly, the algae prevention rod 19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stands uprigh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의 계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진동발전장치의 측면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진동발전장치의 저면도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a area indicating buoy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2, 3 schematically shows a bottom view of the vibration power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200)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100)는, 전술하여 설명한 부표(100)의 내부에 파도의 일렁임에 의하여 발전을 하는 진동발전장치(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2, a sea area indicating buoy 100 provided with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00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a sine wave within the buoy 100 described abov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부표(100)는 내부가 비어있거나 부력이 있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재질이 충진될 수 있는데, 후술하여 설명할 진동발전장치(200)가 구비되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의 공간에만 충진재가 구비된다.The buoy 100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which is hollow or buoyant, and the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only in the remaining space except the position wher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is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부표(100)의 상부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조류방지봉(190) 외에 발광수단(180) 및/또는 스피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lgae prevention rods 190, light emitting means 180 and / or a speak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진동발전장치(200)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진동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으로, 부표(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진동발전장치(200)는 부표(100)의 상부유닛(13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전장치(200)는 진동에 의하여 발전을 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내부에는 발전에 필요에 자석 및 유도코일 등이 구비되어 유도기전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발전을 한다. 진동발전장치(200)의 그 기본적인 구성과 원리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vibration generator 200 generates electricity by using vertical and / or lateral vibrations, and is provided inside the buoy 100. The vibration generator 200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unit 130 of the buoy 100.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is designed to generate power by vibration, and a magnet, an induction coil,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to generate electric power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he basic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0 are well-known constituent ele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100)에 사용되는 진동발전장치(200)는 제1 발전부(210)와 제1 발전홀(220) 및 제1 진동봉(230)으로 구성되며, 제1 발전홀(220)은 제1 발전부(210)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발전홀(220)에는 제1 진동봉(23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진동봉(230)의 일단이나 양단에는 상기 제1 진동봉(2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움직였을 때,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복원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제1 진동봉(23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하방향의 운동을 이용하여 제1 발전부(210)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봉(230)은 제1 발전홀(22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 발전홀(220)이 회전하면서 하는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The vibration generator 200 used in the sea area indicator buo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ower generator 210, a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20 and a first vibrating bar 230, The power generating hole 22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ower generating portion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20, the first vibrating bar 230 is vertically coupled. When the first vibrating bar 230 is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restoring means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for restoring the original vibrating bar to its original position is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irst vibrating bar 230, The first vibrating bar 230 can vibrate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a constant external force is applied. Thus, the first power generation unit 210 can generate electrical energy using the up / down motion. The first vibrating rod 23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the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20. The role of the first generating hole 220 in rot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100)에 사용되는 진동발전장치(200)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제1 진동봉(230)의 하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봉(250)과, 상기 연장봉(250)의 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2 발전부(260)와 상기 제2 발전부(26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발전홀(270)에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진동봉(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200 used in the sea area indicating buo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rod 250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winging rod 230 described above, A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having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250 and a second power generation hole 270 provided in the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reciprocate A second vibrating rod 280 may be further provided.

연장봉(250)은 타단에 진동추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진동봉(23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진동봉(230)의 상하운동과는 무관하게 부표(10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면 연장봉(250) 또한 제1 진동봉(230)과의 결합부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One end of the extension rod 2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winging rod 230. [ Accordingly, when the buoy 100 swing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rrespective of the up and down movements of the first swinging rod 230, the swinging rod 250 is also swu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first swinging rod 230.

제2 발전부(260)는 연장봉(250)의 측면에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발전부(260)는 진동발전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자석 및 유도코일 등과 같이 진동발전장치(200)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발전부(260)의 중심부에는 제2 발전홀(270)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26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250,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wo or more power generating units 260 may be provided, and only one power generating unit 260 may be provided. The second power generation unit 260 includes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vibration power generation device 200 such as a magnet and an induction coil in order to enable vibration generation. A second power generating hole 27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power generating part 260.

제2 진동봉(280)은 일단이 연장봉(25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제2 발전홀(270)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발전부(26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발전홀(270) 및 제2 진동봉(280)은 상기 제2 진동봉(280)의 운동궤도와 일치되도록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부표(100)가 파도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면, 연장봉(25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되고, 연장봉(25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면 상기 연장봉(250)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진동봉(280)이 제2 발전홀(270)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One end of the second vibrating rod 28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extension rod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brating rod 280 is coupled to the second power generation hole 270 so as to reciprocate. The second generating hole 270 and the second vibrating rod 280 provided in the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260 are formed in a curved line so as to coincide with the motion trajectory of the second vibrating rod 280. When the buoy 100 swing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wave, the elongated rod 250 swing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elongated rod 250 swing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econd elongated rod 250, And the enclosure 280 reciprocates within the second power generating hole 270, thereby enabling vibration generation.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200)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100)에 구비된 진동발전장치(200)는 전술하여 설명한 제2 발전부(260)가 가이드링(29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장봉(250)의 회전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제2 발전부(260)도 진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발전부(260)가 원활하게 발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링(290)은 그 자체가 진동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링(290)에 구비된 제2 발전부(260)가 상기 가이드링(29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3, the vibration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sea area indicating buoy 100 equipped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power generator 260 described above, Ring 290, as shown in FIG. Thus,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rod 250 changes, the second power generation unit 260 also rotate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power generation unit 260 can smoothly generate electricity. The guide ring 290 itself may be rotated in the vibration direction or the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260 provided in the guide ring 290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ring 290.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 부표(100)의 상부에는 발광수단(180) 및/또는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수단(180)은 야간에 원거리에서 부표(1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전구나 전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는 조류가 내려앉은 경우에 소리를 내어 조류를 쫓아내기 위한 수단이다. 발광수단과 스피커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다에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방수처리가 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ght emitting unit 180 and / or a speak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ea level indic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180 may be any of a variety of known bulbs or lamps for discriminating the buoy 100 from a distance at night. And the speaker is a means to make a sound when a bird falls and to drive out the bird. A variety of known light emitting means and loudspeakers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hat waterproofing is used in consideration of being used in the sea.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부표(100)의 상부에는 동작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갈매기가 내려앉은 경우에 스피커를 통하여 소음 또는 천적이나 포식자의 소리를 내도록 할 수 있다.
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uoy 100 described above. Thus, when a seagull sits down, it can make a noise, a nemesis, or a predator sound through the speaker.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전장치(200)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100)의 구동과정을 살펴본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driving process of the sea chart indicating buoy 100 provided with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다 위에 있는 부표(100)는 작은 파도에 의하여도 항상 흔들리게 된다. 파도는 특별한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상하방향만으로 흔들릴 수도 있고, 좌우방향으로만 흔들릴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좌우방향으로 동시에 흔들릴 수도 있다.The buoy 100 on the ocean is always shaken by small waves. Since the wave has no special directionality, it can be shaken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lateral direction only. In some cases, it may be shaken simultaneous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먼저, 부표(100)가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제1 진동봉(230)이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제1 발전부(210)가 발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연장봉(25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고, 그에 따라 제2 진동봉(28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제2 발전부(260)가 발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진동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제1 진동봉(230)이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진동봉(230) 및 상기 제1 진동봉(230)에 연결된 연장봉(250)이 진동방향으로 회전하여 부표(100)의 진동방향이 가장 큰 방향으로 상기 연장봉(25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진동방향이 변하면 연장봉(250) 자체의 무게 및 연장봉(250)의 하단에 구비된 추의 무게에 의하여 제1 진동봉(230)이 진동방향으로 쉽게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the buoy 100 swings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first power generating unit 210 can generate power by oscillating the first vibrating bar 230 described above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swing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extension rod 250 is shaken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260 can generate power by oscillating the second power-generating rod 28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vibration direction is changed, since the first vibrating bar 230 can rotat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ibrating bar 230 and the extending bar 250 connected to the first vibrating bar 230 The extension rod 250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buoy 100 is the greatest. The first vibrating bar 230 is easily rotated in the vibration dire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extending rod 250 itself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rod 250. [

그리고 제1 진동봉(230) 및 연장봉(250)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제2 발전부(260)가 가이드링(290)을 따라 또는 가이드링(290)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제1 발전부(210)는 항상 진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first power generator 230 and the extension rod 250 rotate and the second power generator 260 rotates together with the guide ring 290 or with the guide ring 290, 210 are always moved in the vibration direction.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역표시용 부표(100)에 구비된 진동발전장치(200)는 부표(100)가 상하방향으로 흔들릴 때는 제1 발전부(210)에 의하여 발전이 가능하며,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는 제2 발전부(260)에 의하여 발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부표(100)의 좌우방향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동을 하더라도 연장부, 제2 진동봉(280) 및 제2 발전부(260)도 그에 따라 회전하면서 진동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부표(100)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일 때도 발전이 가능하다.
Thus, the vibration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sea area indicating buo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electricity by the first generator 210 when the buoy 100 vibrat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power can be generated by the second power generation unit 260. Even i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uoy 100 vibrates in any direction, the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vibrating bar 280, and the second power generation portion 260 can also be vibrated while rotating accordingly. Further,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buoy 100 simultaneous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부표
130: 상부유닛
150: 하부유닛
170: 고정수단
180: 발광수단
190: 조류방지봉
200: 진동발전장치
210: 제1 발전부
220: 제1 발전홀
230: 제1 진동봉
250: 연장봉
260: 제2 발전부
270: 제2 발전홀
280: 제2 진동봉
290: 가이드링
100: Buoy
130: upper unit
150: Lower unit
170: Fixing means
180: Light emitting means
190: Anti-bird bar
200: Vibration generator
210: first power generation section
220: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30: First enclosure
250: Extension rod
260: second power generation section
270: Second power generating hole
280: Second enclosure
290: Guide ring

Claims (4)

바닷물 위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부표(100);
상기 부표의 상부에 구비되어 조류가 쉽게 안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류방지봉(190); 및
상기 조류방지봉(190)의 몸체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조류가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조류방지봉(190)이 휘어지도록 하고, 조류가 날아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탄성체(19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
A buoy 100 provided to float above the sea water;
An algae prevention rod 19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uoy to prevent the algae from being easily seated; And
An elastic body 195 is provided on any part of the body of the algae prevention rod 190 so that the algae prevention rod 190 is bent when the algae is seated an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algae are blown, ;
And a buoy for displaying a sea area equipped with the vibration power gener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100)에는 발광수단(180) 또는 스피커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표(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바닷물의 일렁임에 의하여 발전을 하는 진동발전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발전장치(200)는 내부에 진동발전에 필요한 자석 및 유도코일이 구비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의 제1 발전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발전부(210)와, 상기 발전부의 제1 발전홀(22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진동봉(2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표(10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때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means 180 and a speaker,
And a vibration generator (200) provided inside the buoy (100)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a sling of seawater,
The vibration generator 200 includes a first power generator 210 having a magnet and an induction coil necessary for vibration generation and a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vibrating bar (230)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power generating hole (220), and is generated when the buoy table (100) flows in a vertical direction. Buoy f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전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제1 진동봉(2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연장봉(250)과, 상기 연장봉(250)의 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진동발전에 필요한 자석 및 유도코일이 구비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제2 발전홀(27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발전부(260)와 일단이 상기 연장봉(25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발전부(26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발전홀(270)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진동봉(28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표(10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때에도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
The method of claim 2,
The vibration power generation device (200)
An extension rod 250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swing arm 230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250 and a magnet and induction coil A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having a second power generation hole 270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side of the extension rod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being provided at the second power generation part 260 And a second vibrating rod 280 coupled to the second power generating hole 270 so as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ower can be generated even when the buoy 100 flows in the lateral direction A buoy for sea area display equipped with a vibration gener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표(100)의 상부에는 동작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전장치가 구비된 해역표시용 부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o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tion detection senso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KR1020120133460A 2012-11-23 2012-11-23 Buoy for sea boundary KR101432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60A KR101432193B1 (en) 2012-11-23 2012-11-23 Buoy for sea bound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460A KR101432193B1 (en) 2012-11-23 2012-11-23 Buoy for sea bound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876A true KR20140066876A (en) 2014-06-03
KR101432193B1 KR101432193B1 (en) 2014-08-21

Family

ID=5112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460A KR101432193B1 (en) 2012-11-23 2012-11-23 Buoy for sea bound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19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083A (en) * 2015-05-14 2016-11-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flow circulator for algal culture systems
KR101978598B1 (en) * 2018-01-22 2019-05-23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Solar collector buoy with solar LED indicator function
KR102282597B1 (en) * 2020-02-07 2021-07-28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buoy robot for charging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77B1 (en) * 2016-02-04 2016-10-04 문조영 Lighting buoy using carbon and solar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98A (en) * 2000-10-23 2002-05-03 황의식 Inverted Pendulum Generator and Signal Light Stick adopting the same
KR100650793B1 (en) * 2006-02-16 2006-11-28 (주)한국초음파연구소 Buoy
KR20120103797A (en) * 2011-03-11 2012-09-20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The buoy of sea
KR101165777B1 (en) * 2012-02-07 2012-07-13 주식회사 천일 Birds landing prevention equipment with motion sen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083A (en) * 2015-05-14 2016-11-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flow circulator for algal culture systems
KR101978598B1 (en) * 2018-01-22 2019-05-23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Solar collector buoy with solar LED indicator function
KR102282597B1 (en) * 2020-02-07 2021-07-28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buoy robot for charging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193B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193B1 (en) Buoy for sea boundary
KR101169567B1 (en) A device to expel a bird
KR101613674B1 (en) Hybrid marine system
KR101609838B1 (en) Wave power generating appatatus using pendular movement and buoy for sea boundary using the same
KR101957037B1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combined with farm
KR100531078B1 (en) Marking buoy device using wave-force generation
JP2019104420A (en)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KR101707916B1 (en) Apparatus for driving out of wild animals and birds
JP2019104419A (en) Offshore wind farm
CN204335602U (en) Electronics bait device
KR20110009834U (en) Buoy flickering device by using a vibration generator
KR101801768B1 (en) private power station type LED light emitting indicator
JPH1018956A (en) Surface power generating method and its device
CN103535305A (en) Novel artificial fish reef
KR20190077709A (en) Artificial fishes for sea creatures
KR102197225B1 (en) Artificial spawning area for mackerel pike
CN203709034U (en) LED fish-inducing fish reef
JP2020014473A (en) Aquatic organism jump-out prevention device
CN207284936U (en) Magnetic-type navigation mark elasticity scarer
JP3766414B2 (en) Aquaculture feeding device
CN103503852A (en) Water insect killer
KR101340433B1 (en) System for correcting information of ocean topography by observation of height change in the sea floor
JP6017088B1 (en) Starling Group Sweeping Method and Starling Swarming Tool
CN208434556U (en) A kind of deep-sea Multifunctional circular net cage
KR20210119761A (en) Device For Chasing Birds From Electric Pole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