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971A -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971A
KR20140065971A KR1020120133105A KR20120133105A KR20140065971A KR 20140065971 A KR20140065971 A KR 20140065971A KR 1020120133105 A KR1020120133105 A KR 1020120133105A KR 20120133105 A KR20120133105 A KR 20120133105A KR 20140065971 A KR20140065971 A KR 2014006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guitar
button
scree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현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to KR102012013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971A/ko
Publication of KR2014006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면으로 출력되는 연주화면을 보면서 기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악보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람도 자연스럽게 악보 보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은 코드입력을 위한 버튼형태의 코드입력부와 다수의 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주용 기타와, 이 연주용 기타를 위한 기타 연주화면을 정보출력출력단을 통해 제공하는 기타 연주시스템의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악보 인식 난이도별 다단계의 연주화면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정보를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되, 제 1 및 제2 연주화면은 이미지형태의 악보를 제공하고, 제3 및 제4 연주화면은 실제 악보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Method for displaying of guitar play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면으로 출력되는 연주화면을 보면서 기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악보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람도 자연스럽게 악보 보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타는 오늘날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대표적인 유도 발현 악기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친근한 악기로 인식되어 있다. 기타는 현악기의 하나로서, 앞뒤가 평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자루를 달고, 여기에 일반적으로 여섯 개의 현을 매어 놓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타는 통상 왼손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음정을 고르고 오른손 손가락으로 현을 튕겨 연주하게 되고, 기타를 익혀서 능숙하게 연주하기까지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즉, 기타는 대중성에 비해 접근성이 그리 높지는 않다. 따라서 기타는 독학으로 그 연주방법을 익히는 것이 매우 어렵고, 통상 기타를 능숙하게 연주하는 제3 자에게 연주방법을 익히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현재 기타 연주법 등을 가르쳐 주는 학원 등이 성업 중에 있다. 그러나 일반인이 학원을 통해 기타 연주기법을 익히기 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됨은 물론, 금전적인 부담도 작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기타 연습생을 빠르게 지치게 하여 기타 연주에 대한 욕구를 저하시킴으로써 대부분의 기타 연습생은 기타의 연주 기법을 익히는 과정에서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타는 연주를 하기까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숙련도가 요구되므로 당장 기타를 연주하고 싶다는 이용자의 현실적인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연주기타를 이용하여 기타 연주를 실제 연주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연주 화면을 제공하되, 이미지 형태의 연주화면에서 실제 악보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으로 다단계의 연주화면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악보를 보면서 연주기타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은 코드입력을 위한 버튼형태의 코드입력부와 다수의 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주용 기타와, 이 연주용 기타를 위한 기타 연주화면을 정보출력출력단을 통해 제공하는 기타 연주시스템의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악보 인식 난이도별 다단계의 연주화면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정보를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되, 상기 기타 연주화면정보는 연주용 기타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가 화면의 하단에 배치되고,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연주용 기타의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타표시항목과, 연주용 기타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상기 라인표시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로 구성되어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주파트항목의 하단은 상기 연주포인트항목과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의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화음연주포인터가 연주포인트항목에 위치되는 시점이 해당 버튼 및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1 단계 연주화면과, 연주용 기타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가 화면의 좌측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연주용 기타의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우측에 코드버튼표시부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타표시항목과, 연주용 기타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상기 라인표시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로 구성되어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주파트항목의 좌측단은 상기 연주포인트항목과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의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화음연주포인터가 연주포인트항목에 위치되는 시점이 해당 버튼 및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2 단계 연주화면, TAB악보에 박자와 연주용 기타의 현을 연주하기 위한 음표정보를 포함하는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과, 각 음표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바형태의 연주포인트 바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주포인트바가 악보표시항목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악보표시항목의 음표에 위치하는 시점이 해당 음표에 대응되는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3 단계 연주화면 및, TAB악보에 박자와 연주용 기타의 현을 연주하기 위한 음표정보를 포함하는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과, 악보표시항목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마디 단위로 이동하는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 단계 연주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기타표시항목은 라인표시부의 각 라인에 대해 현의 일련번호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코드연주시간 표시부는 버튼형상의 버튼표시부와, 해당 버튼을 입력할 시간에 대응되는 길이의 연주시간 표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화음연주포인터는 연주 기타의 현 전체를 스트로크해야 하는 경우에는 화살표의 길이가 전체 라인표시부에 걸쳐져서 형성되도록 표시되고, 해당 라인표시부에 대응되는 현만을 스트로크해야 하는 아르페지오 연주의 경우에는 화살표가 라인표시부의 특정 라인에만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버튼 입력에 대해 코드버튼표시부의 해당 버튼형상이 눌려진 형태로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현 스트로크시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표시부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표시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버튼 입력 및 현 스트로크가 음표에 맞게 입력된 경우 코드버튼표시부 전체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표시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파트항목은 악보의 각 마디는 굵은 선으로 표시하고, 박자는 마디보다 얇은 선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파트항목의 일측에는 코드명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연주화면에서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연주곡의 박자를 기반으로 음표간의 거리가 음표의 음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주포인트바는 균등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또는 제4 연주화면에서 버튼입력정보는 연주용 기타의 버튼입력부 이미지에 입력할 버튼정보가 표시출력되는 버튼표시부와, 해당 버튼 입력부의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코드명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연주 화면정보를 근거로 연주용 기타를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미지 화면에서 실제 악보화면으로 단계를 선택하여 기타 연주를 수행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실제 악보 보는 법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타 연주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연주용 기타(10)의 외관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3 내지 도6은 사용자의 악보 인식 난이도별 제1 내지 제 4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타 연주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타 연주시스템은 연주용 기타(10)와 연주제어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주용 기타(10)는 기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주용 기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연주입력정보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여 연주제어장치(2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주용 기타(10)는 기타의 코드입력에 대응되는 버튼정보 및 현 스트로크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0a)와 이 센서(10a)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연주음을 MIDI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1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주제어장치(20)는 연주곡에 대응되는 MIDI파일을 근거로 생성된 연주음을 이용하여 기타 연주화면정보를 생성한 후 정보출력수단(미도시)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선택된 연주곡의 반주음과 연주용 기타(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기타연주정보에 대응되는 연주음을 합성하여 음향출력한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연주용 기타(10)의 외관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용 기타(1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몸통과 다수의 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현의 일측에는 버튼형태의 코드입력부(11)가 구비되고, 현의 타측에는 화음입력부(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드입력부(11)는 사용자가 제1 손, 예컨대 왼손으로 코드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화음입력부(12)는 사용자가 제2 손, 예컨대 오른손으로 현의 전체나 일부를 스트로크(stroke)함으로써 화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주용 기타(10)의 몸통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드입력부(11)와 화음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코드정보와 화음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0a)와, 이 센서(10a)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연주음을 MIDI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주신호생성수단(10b)이 구비된다.
상기 코드입력부(11)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 예컨대 5개의 버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버튼은 사용자가 코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튼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해야 하는 버튼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드입력부(11)의 각 버튼 하측에 구비된 센서(10a)는 해당 버튼의 입력정보를 감지하여 연주신호생성수단(10b)으로 제공한다.
화음입력부(12)는 다수, 예컨대 6개의 현으로 이루어지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용 기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면서 현의 굵기가 점점 굵어지도록 구성된다. 통상 연주용 기타(10)의 우측에 구비된 가는 현부터 예컨대 일련번호 "1" 내지 "6"이 부여된다. 이때, 화음입력부(12)의 하측에 구비되는 센서(10a)는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10)의 몸통 부분에 배치된 현을 스트로크하는 정보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 즉, 사용자가 스트로크한 현의 위치와 해당 현에 가해지는 스트로크 강/약 레벨정보를 연주신호생성수단(10b)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10)의 1번 현을 강하게 스트로크 한 경우, "1/강"에 대응되는 감지정보를 연주신호생성수단(10b)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주제어장치(20)는 하나의 연주곡에 대하여 다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정보를 정보출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연주제어장치(20)는 하나의 연주곡에 대하여 사용자의 악보 인식 난이도별 제1 내지 제4 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을 제공한다.
도3 내지 도6은 단계별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3은 악기 연주 흥미 유발을 위한 제 1단계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4는 악보를 보는 연습을 위한 제 2단계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5는 악보에 익숙해지는 제 3단계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기존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는 제 4단계 기타 연주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 1단계 기타 연주화면
제 1 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실제 연주용 기타(10)의 버튼 위치와 연주 화면을 동일하게 표현하여 사용자가 연주화면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연주용 기타(10)를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연주용 기타(10)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111)와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는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112)로 구성되는 기타표시항목(110)과, 연주용 기타(10)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120) 및,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타표시항목(110)은 화면의 하측부에 연주용 기타(10)의 코드입력부(11)에 구비된 버튼입력을 위한 버튼형상의 코드버튼표시부(111)가 배치되고, 이 코드버튼표시부(111)와 수직방향으로 라인표시부(112)의 각 라인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드버튼표시부(111)의 버튼형상은 연주용 기타(10)의 코드입력부(11)에 구비되는 버튼과 동일한 순서 및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타표시항목(110)은 화면의 하측부에 상기 라인표시부(112)의 각 라인에 대한 일련번호(112a)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라인표시부(112)의 각 라인은 연주용 기타(10)의 현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일련번호(112a)는 연주용 기타(10)의 각 현 번호에 대응되게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10)에 구비된 코드입력부(11)의 현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주파트항목(130)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111)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화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131)와, 상기 라인표시부(112)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화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드연주시간 표시부(131)는 버튼형상의 버튼표시부(131b)와 해당 버튼을 입력할 시간에 대응되는 길이의 연주시간 표시바(131a)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표시부(131b)는 상기 연주시간 표시바(131a)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드연주시간 표시부(131)는 코드버튼표시부(110)의 버튼형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화음연주포인터(132)는 연주용 기타(10)의 현의 위치 및, 스트로크 방향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10)의 현 전체를 스트로크해야 하는 경우에는 화살표의 길이가 전체 라인표시부(112)에 걸쳐져서 형성되도록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라인표시부(112)에 대응되는 현만을 스트로그해야 하는 아르페지오 연주의 경우에는 화살표가 라인표시부(112)의 특정 라인에만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주파트항목(130) 즉, 코드연주시간 표시부(131)와 화음연주포인터(132)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화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출력되고, 이 연주파트항목(130)의 하측과 상기 연주포인트항목(1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130)이 연주포인트항목(120)에 위치되는 시점이 연주용 기타(10)의 해당 버튼입력부(11) 및 화음입력부(12)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120)은 상기 기타표시항목(110)의 코드버튼표시부(111)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120)은 연주용 기타(10)의 버튼입력에 대해 코드버튼표시부(111)의 해당 버튼형상을 눌려진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함과 더불어, 연주용 기타(10)의 현 스트로크시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표시부(112)를 빛나도록 변경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120)은 연주용 기타(10)의 버튼입력에 대해 코드버튼표시부(111)의 해당 버튼의 상측으로 형성된 레인(LANE)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표시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120)은 음표에 맞도록 연주용 기타(10)의 버튼 또는 현이 연주되는 경우, 코드버튼표시부(111)를 전체적으로 반짝이게 하는 등의 시각적 그래픽변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파트항목(130)은 사용자로 하여금 박자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악보의 각 마디(A)는 굵은선으로 표시하고, 박자(B)는 마디(A)보다 얇은 선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타 연주화면은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사용자를 위해 화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화면 좌측에 코드명정보(140)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코드명정보(140)는 연주파트항목(130)과 동일한 속도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타 연주화면은 해당 연주곡의 노래 가사정보가 출력되는 가사표시항목(15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타 연주화면은 그 화면 하단에 남은시간, BEAT 정보, 메트로놈 정보, 곡 난이도, 악기 난이도 등의 연주관련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남은시간정보는 기타 연주시스템이 운용되는 장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타 연주시스템의 남은 이용시간을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메트로놈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메트로놈 바(bar)상에서 메트로놈 포인트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 2단계 기타 연주화면
제 2 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실제 기타 TAB악보와 유사한 형태의 악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실제 악보를 보는 훈련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연주용 기타(10)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211)가 화면의 좌측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는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212)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211)의 우측에 코드버튼표시부(211)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타표시항목(210)과, 연주용 기타(10)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220) 및,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타표시항목(110)은 화면의 좌측부에 상기 라인표시부(212)의 각 라인에 대한 일련번호(212a)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10)에 구비된 현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주파트항목(230)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211)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231)와, 상기 라인표시부(212)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232)로 구성된다.
상기 코드연주시간 표시부(231)는 버튼형상의 버튼표시부(231a)와 해당 버튼을 입력할 시간에 대응되는 길이의 연주시간 표시바(231b)로 구성되고, 상기 연주시간 표시바(231b)의 좌측에 버튼표시부(231a)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드연주시간 표시부(231)는 코드버튼표시부(210)의 버튼형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화음연주포인터(232)는 연주용 기타(10)의 현의 위치 및, 스트로크 방향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연주 기타(10)의 현 전체를 스트로크해야 하는 경우에는 화살표의 길이가 전체 라인표시부(212)에 걸쳐져서 형성되도록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라인표시부(212)에 대응되는 현만을 스트로그해야 하는 아르페지오 연주의 경우에는 화살표가 라인표시부(212)의 특정 라인에만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주파트항목(230) 즉, 코드연주시간 표시부(231)와 화음연주포인터(232)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화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출력되고, 이 연주파트항목(230)의 좌측과 상기 연주포인트항목(2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230)이 연주포인트항목(220)에 위치되는 시점이 연주용 기타(10)에 구비된 버튼입력부(11) 및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된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220)은 연주용 기타(10)의 버튼입력에 대해 코드버튼표시부(211)의 해당 버튼형상을 눌려진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함과 더불어, 연주용 기타(10)의 현 스트로크시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표시부(112)를 빛나도록 변경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항목(220)은 음표에 맞도록 연주용 기타(10)의 버튼 또는 현이 연주되는 경우, 코드버튼표시부(211)를 전체적으로 반짝이게 하는 등의 시각적 그래픽변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사용자를 위해 화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화면 상측에 코드명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 3단계 기타 연주화면
제 3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연주포인트항목(320)이 TAB 악보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눈으로 음표를 읽는 훈련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실제 TAB악보와 유사한 형태로 연주용 기타(10)의 현 연주를 위한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310)과, 각 음표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바(BAR)형태의 연주포인트바(320)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10)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악보표시항목(310)은 실제 TAB 악보에 박자 및 현 연주에 대응되는 음표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악보표시항목(310)은 연주곡의 박자를 기반으로 음표간의 거리가 음표의 음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박자와 음표의 길이를 시각적으로 예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주포인트바(320)는 실제 악보를 읽을 때의 눈의 흐름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악보표시항목(31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균등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악보표시항목(310)의 음표에 위치되는 시점이 현의 연주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된다.
또한, 상기 코드버튼표시항목(330)은 코드가 변경되는 부분의 악보표시항목(3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코드명정보(331)와 코드에 해당하는 버튼형태의 코드입력표시정보(332)로 구성된다.
제 4단계 기타 연주화면
제 4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실제 악보와 동일한 화면에 마디별로 연주포인트항목이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실제 음표의 음 길이에 따라 연주하도록 구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실제 TAB악보와 동일한 형태로 연주용 기타(10)의 현 연주를 위한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410)과,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마디 단위로 이동하여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420)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4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10)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악보표시항목(410)은 실제 TAB 악보에 박자 및 현 연주에 대응되는 음표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악보표시항목(410)은 음표에 프렛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연주용 기타가 아닌 일반 기타로도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드버튼표시항목(430)은 코드가 변경되는 부분의 악보표시항목(4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코드명정보(431)와 코드에 해당하는 버튼형태의 코드입력표시정보(432)로 구성된다.
제 4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사용자가 마디별로 음 길이를 읽으면서 연주용 기타(10)를 연주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 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상기 제1 단계 기타 연주화면과 같이 가사표시항목 또는 연주관련정보 표시항목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사표시항목은 제3 및 제4 단계 기타 연주화면에서 악보표시항목(310,410)의 하측에 해당 음표에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4 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상기 제1 단계 기타 연주화면과 같이 연주용 기타를 통해 연주된 버튼을 시각적으로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 단계 기타 연주화면은 연주용 기타의 버튼입력부 및 현이 연주곡의 음표에 맞도록 스트로크된 경우 화면상에 시각적인 표시변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연주곡에 대하여 기타 연주를 위한 연주화면을 이미지에서 악보의 형태로 다단계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악보 인식 난이도에 적합한 연주화면 단계를 선택하여 연주용 기타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단계의 연주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연주용 기타를 연주하면서 자연스럽게 악보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10 : 연주용 기타, 10a : 센서,
10b : 연주신호생성수단, 11 : 버튼입력부,
12 : 화음입력부, 20 : 연주 제어장치,
110,210 : 기타표시항목, 111,211 : 코드버튼표시부,
112,212 : 현 120,220,420 : 연주포인트항목,
130,230 : 연주파트항목, 131,231 : 코드연주시간표시부,
132,232 : 화음연주포인터, 140,331,431 : 코드명정보,
150 : 가사표시항목, 310,410 : 악보표시항목,
320 : 연주포인트바, 330,430 : 코드버튼표시항목,
332,432 : 코드입력표시정보.

Claims (11)

  1. 코드입력을 위한 버튼형태의 코드입력부와 다수의 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주용 기타와, 이 연주용 기타를 위한 기타 연주화면을 정보출력출력단을 통해 제공하는 기타 연주시스템의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악보 인식 난이도별 다단계의 연주화면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계의 기타 연주화면정보를 정보출력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되,
    상기 기타 연주화면정보는 연주용 기타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가 화면의 하단에 배치되고,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연주용 기타의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타표시항목과, 연주용 기타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상기 라인표시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로 구성되어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주파트항목의 하단은 상기 연주포인트항목과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의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화음연주포인터가 연주포인트항목에 위치되는 시점이 해당 버튼 및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1 단계 연주화면과,
    연주용 기타를 구성하는 버튼형태의 코드버튼표시부가 화면의 좌측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연주용 기타의 현을 표시하기 위한 라인표시부가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우측에 코드버튼표시부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타표시항목과, 연주용 기타의 버튼과 현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코드버튼표시부의 각 버튼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상기 라인표시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포인터로 구성되어 현재 연주해야하는 버튼과 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연주파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주파트항목의 좌측단은 상기 연주포인트항목과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연주파트항목의 코드연주시간 표시부와 화음연주포인터가 연주포인트항목에 위치되는 시점이 해당 버튼 및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2 단계 연주화면,
    TAB악보에 연주용 기타의 현을 연주하기 위한 음표정보를 포함하는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과, 각 음표의 연주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바형태의 연주포인트 바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주포인트바가 악보표시항목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악보표시항목의 음표에 위치하는 시점이 해당 음표에 대응되는 현의 연주 타이밍으로 표시출력되는 제3 단계 연주화면 및,
    TAB악보에 박자와 연주용 기타의 현을 연주하기 위한 음표정보를 포함하는 악보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악보표시항목과, 악보표시항목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마디 단위로 이동하는 연주포인트항목 및,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주용 기타의 코드 연주를 위한 버튼 입력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코드버튼표시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 단계 연주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기타표시항목은 라인표시부의 각 라인에 대해 현의 일련번호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코드연주시간 표시부는 버튼형상의 버튼표시부와, 해당 버튼을 입력할 시간에 대응되는 길이의 연주시간 표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화음연주포인터는 연주 기타의 현 전체를 스트로크해야 하는 경우에는 화살표의 길이가 전체 라인표시부에 걸쳐져서 형성되도록 표시되고, 해당 라인표시부에 대응되는 현만을 스트로크해야 하는 아르페지오 연주의 경우에는 화살표가 라인표시부의 특정 라인에만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버튼 입력에 대해 코드버튼표시부의 해당 버튼형상이 눌려진 형태로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현 스트로크시 화살표형태의 화음연주표시부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표시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포인트항목은 연주용 기타의 버튼 입력 및 현 스트로크가 음표에 맞게 입력된 경우 코드버튼표시부 전체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표시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파트항목은 악보의 각 마디는 굵은 선으로 표시하고, 박자는 마디보다 얇은 선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주화면에서 연주파트항목의 일측에는 코드명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주화면에서 상기 악보표시항목의 연주곡의 박자를 기반으로 음표간의 거리가 음표의 음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주포인트바는 균등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또는 제4 연주화면에서 버튼입력정보는 연주용 기타의 버튼입력부 이미지에 입력할 버튼정보가 표시출력되는 버튼표시부와, 해당 버튼 입력부의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코드명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KR1020120133105A 2012-11-22 2012-11-22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KR20140065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05A KR20140065971A (ko) 2012-11-22 2012-11-22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05A KR20140065971A (ko) 2012-11-22 2012-11-22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71A true KR20140065971A (ko) 2014-05-30

Family

ID=5089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05A KR20140065971A (ko) 2012-11-22 2012-11-22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9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72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잼이지 악기 연주음 인식 기반의 연주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72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잼이지 악기 연주음 인식 기반의 연주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9983534A (zh) * 2016-09-19 2019-07-05 才美智有限公司 基于识别乐器演奏音的演奏导引信息提供系统、装置、方法及电脑可解读记录媒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925B2 (en) Musical notation, system, and methods
JP6429336B2 (ja) 物理的オブジェクトにより音楽の学習、作曲及び演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991995B (zh) 一种无级变调及揉键变音的恒定唱名键盘数码视唱琴
US9183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9218747B2 (en) Self-teaching and entertainment guitar systems
JP2013515288A (ja)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US8642871B2 (en) Instructional music reading and instrument playing system and method
US20190213904A1 (en) Learning assistant system capable of indicating piano fingering
CN101719366A (zh) 一种音乐符号与音谱记号的编辑及显示方法及伴唱机系统
US20040055441A1 (en) Musical performance self-training apparatus
CN108028040B (zh) 音乐演奏辅助装置和方法
US20150332601A1 (en) Piano Learning System
WO201511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9099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US20110086704A1 (en) Music gam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20220069244A (ko) 인공지능 기반 악기 연주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5971A (ko) 기타 연주화면 제공방법
KR102062448B1 (ko) 드럼 악보 한글화 작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드럼 악보를 한글음으로 구성된 연주용 악보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
CN110910712A (zh) 一种基于ar的古筝辅助教学系统及方法
KR20140065953A (ko) 키보드 연주화면 제공방법
KR101380159B1 (ko) 악기연주 시스템
KR20140065966A (ko) 드럼 연주화면 제공방법
JP2011221472A (ja) 画像表示装置付きギター
JP2013000987A (ja) 譜面印刷物、譜面印刷物の譜面を表示する表示装置
JP2010266758A (ja) 鍵盤楽器学習用の楽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