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633A -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633A
KR20140065633A KR1020120130897A KR20120130897A KR20140065633A KR 20140065633 A KR20140065633 A KR 20140065633A KR 1020120130897 A KR1020120130897 A KR 1020120130897A KR 20120130897 A KR20120130897 A KR 20120130897A KR 20140065633 A KR20140065633 A KR 2014006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dex
management
factory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769B1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나다에스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다에스앤브이 filed Critical (주)나다에스앤브이
Priority to KR102012013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7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내에 설치되는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개별 설비의 중요도에 근거하여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전체 공장 단위의 상태는 물론 개별 설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Factory State Management System Using Factory Management Index}
본 발명은 공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내에 설치되는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개별 설비의 중요도에 근거하여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전체 공장 단위의 상태는 물론 개별 설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단위 공장 내에는 다수 개의 개별 설비들이 레이 아웃되고, 상기 개별 설비들은 전체 공장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공장 단위로 고장 시기를 예측하기 위한 상태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장 내의 개별 설비들도 고장 시기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개별 설비들에 대한 고장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내에 설치되는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개별 설비의 중요도에 근거하여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전체 공장 단위의 상태는 물론 개별 설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상태 관리가 가능한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은 공장 내에 설치된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설비들의 중요도를 기초로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부와 상기 지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공장 관리 지수와 개별 설비의 설비 지표가 높은값 순서대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관리하는 설비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개별 설비의 진동 정보를 기초로 설비 관리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관리 지수에 공장 내의 레이 아웃된 개별 설비가 전체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에 따라 설정된 개별 설비의 중요도를 곱하여 상기 개별 설비들의 설비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개별 설비의 진동표시 중 에너지를 의미하는 진동 속도값 뿐만아니라, 충격을 의미하는 진동가속도 및 특정 고장을 의미하는 특정 주파수 범위의 진동 속도 또는 가속도값과 단위가 없는 파고율(Crestfactor) 등 기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든 Factor의 상대값으로 설비 관리 지수를 설정하며,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설비 관리 지수를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설비의 현재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설비 관리 지수에 따른 설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수 산출부는 개별 설비마다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의 진동 속도값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설비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요도는 상기 개별 설비가 독립적인 설비(A)인 경우 100%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가 종속적인 설비(A-1)이고 병렬적으로 종속된 설비의 개수가 N인 경우 1/N X 100%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가 상기 종속적인 설비에 다시 종속되는 설비(A-1-1)인 경우 병렬적으로 종속된 설비의 개수가 M인 경우 1/N X 100 X 1/M %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산출된 설비 지표 중 가장 높은 값을 공장 관리 지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수 산출부는 복수 개의 공장에 대해 개별 공장 마다 공장 내에 설치된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설비들의 중요도를 기초로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상태 관리부는 상기 지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복수 개의 공장 각각에 대해 공장 관리 지수와 각 공장 내의 개별 설비의 설비 지표가 높은값 순서대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비 상태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장에 대해 공장 관리 지수가 높은 순으로 출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은 공장 내의 개별 설비에 대한 고장 시기 예측을 공장 관리 지수 개념을 도입하여 공장 단위로 확대함으로써 공장 단위의 상태 정보가 정상 상태인지 고장 상태인지 여부와 고장 상태인 경우 고장 시기가 어느 단계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관리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다수 개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공장에 대해 개별 공장에 대해 산출된 공장 관리 지수를 비교 분석하여 공장 단위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고장 관리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임의의 공장 설비 라인에 대한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은 공장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설비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공장내의 설비들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설비들의 경제적인 설비 관리 순서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가능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은 공장 내에 설치된 각 설비들로부터 전송된 진동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진동 데이터 관리부(10)와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설비들의 중요도를 기초로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부(20)와 상기 지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설비 지표를 상기 공장 관리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대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설비 상태 관리부(30)와 상기 진동 정보 및 산출된 공장 관리 지수 및 설비 지표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40) 및 상기 설비 지표 및 공장 관리 지수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공장 내의 각 설비들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지수를 의미하고,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각 설비들의 진동속도 값을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속도는 각 설비마다 설치된 진동 분석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진동 속도 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진동 데이터 관리부(1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설비 관리 지수에 대한 기준표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상태 설비 관리 지수
양호 good 1.7 이하
양호 fair 1.7
1차 경고 caution 3
2차 경고 failure 4.5
3차 경고 repair 7
4차 경고 stop 10 이상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고장의 개념은 부품이 손상되지는 않았으나 관심을 가져야 할 단계인 1차경고로부터 즉시 정지 해야하는 4차경고까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호한 수준이라해도 신규 설비의 수준과 일상적인 양호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별 설비의 고장은 양호 2단계, 고장 4단계 (1차경고, 2차경고, 3차경고, 4차경고)로 총 6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진동 수준으로 구분한다면 1차 경고는 진동속도가 3mm/s, 2차경고는 4.5mm/s, 3차 경고는 7mm/s, 4차 경고는 10mm/s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설비의 진동 속도가 7.2mm/s인 경우 설비 관리 지수는 7.2가 된다.
상기와 같은 설비 관리 지수의 기준값은 ISO 기준 및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산출되어 정의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설비의 종류에 따라 기계의 크기와 운전부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설비마다 가중치가 부여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설비의 가중치는 1이고, B설비의 가중치가 1.5인 경우 진동속도가 3mm/s로 동일하다 하더라도, 설비 관리 지수는 3과 4.5로 달라질 수 있다.
하기의 <표 2>은 정상 상태를 2단계, 고장 상태를 4단계로 세분한 상태 진단구분표이다.
경고 표시 정의 대책
양호 good 특별한 문제없이 장기간 운전 가능
양호 fair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진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철저한 감시 필요
1차경고 caution 손상된 부분은 없으나 진동이 기준치보다 높음 즉시 정밀진단 실시
2차경고 failure 손상 초기 단계로서 고장 시기를 예측할 것 수리 계획 수립
3차경고 repair 손상 심각도가 증가되고 있으나, 단기간 운전 가능함 최대한 빨리 수리 실시
4차경고 stop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즉시 정지할 것 즉시 정지후 수리
설비의 상태는 기본적으로 정상 상태와 이상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지만, 상기 <표 1>과 같이 정상상태를 2단계로 세분하여 판단할 수 있고, 이상 상태를 4단계로 세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양호(good) 상태는 신규 도입 설비 또는 수리 직후의 설비로서 손상에 의한 충격은 물론 불평형, 조립불량에 의하거나 전기적이거나 유체역학적인 설계불량으로 의심되는 모든 종류의 진동이 매우 작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고장 원인별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양호(fair) 상태는 이상적인 안정된 수준의 진동 설비로서, 고장의 범주안에 들지는 않지만 신규 도입 설비에 비해 진동이 높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준을 의미하고, 고장 원인별 주파수가 존재하지만 진폭(amplitude)이 매우 작은 수준을 의미한다.
1차 경고(Caution, 관심) 상태는 명확한 손상의 증거는 없으나, 진동의 수준이 일반적인 고장의 기준을 넘고 있는 정도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진동수준을 말하며, 정밀진단의 실시가 권장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2차 경고 (Failure, 손상) 상태는 명확한 손상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거나 명확한 손상의 흔적은 없으나 일반 진동 기준으로 2차 경고를 넘는 수준으로 1차 경고 이후의 진동증가 추세를 분석하여 고장 시기를 예측하고, 적정한 수리 시기를 결정하는 수리계획을 수립할 것이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3차 경고 (Repair, 수리) 상태는 가능하면 즉시 수리할 것이 요구되는 수준으로 손상에 의한 충격이 심해지고 있으며, 1개월 이내에 망실될 위험에 있는 설비로서 특히, 베어링 손상 발생 가능성이 높아 베어링 소손에 의한 영구 변형의 가능성이 있는 진동 수준을 의미한다.
4차 경고 (Stop, 즉시정지) 상태는 손상이 발생하여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즉시 정지가 필요한 수준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각 상태의 구분은 상기 <표 1>의 설비 관리 지수에 따라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장 내의 개별 설비들에 대해 설비 관리 지수가 결정되면, 개별 설비에 대한 중요도를 곱하여 설비 지표를 산출하여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고장의 개념은 부품이 손상되지는 않았으나 관심을 가져야 할 단계인 1차경고로부터 즉시 정지 해야하는 4차경고까지로 구분할 수 있다.
공장 관리 지수는 이와 같은 개별 기계의 고장 지수를 공장의 단계로 확대한 개념으로 개별 설비의 관리 지수로 설비라인의 설비 관리 지수를 구하고, 이를 토대로 전체 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를 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장 관리 지수에 따른 공장의 설비 상태 관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장 내에 4개의 회전 기계 설비(A,B,C,D)가 있는 경우 각 기계 설비에서 측정된 진동 속도(K)/ 중요도(L)는 A 기계설비가 4.5/ 100%이고, B 기계 설비가 3.4/ 50%이고, C 기계설비가 6.2/ 25%이고, D 기계 설비가 5.2/ 25%이다.
여기서, A 기계설비의 가중치(M)는 1이고, B 기계설비는 1.2이고, C 기계설비는 1.5이고, D 기계설비는 1.7인 경우를 가정해 보면, 각 기계 설비의 설비 관리지수(N= K × M)는 A 기계 설비는 4.5, B 기계 설비는 8.84, C 기계 설비는 4.08, D 기계 설비는 9.3이다.
그리고 상기 설비 관리 지수(N)에 중요도(L)를 곱한 설비 지표는 A 기계 설비는 4.5이고, B 기계 설비는 2.04이고, C 기계 설비는 2.325이고, D 기계 설비는 2.21이므로 A 기계 설비의 공장 관리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A 기계설비가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 관리 지수(4.5)가 된다.
도 2는 임의의 공장 설비 라인에 대한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공장 설비의 경우 파이프 라인으로 설비의 연속성으로 설계되므로 각 설비는 설비와의 관계에서 독립적일 수도 있으며, 종속적일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설비가 독립적인 위치에 있는 경우 개별 설비 고장시 공장 전체가 정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설비의 중요도는 100%가 된다.
그러나, 특정 설비가 독립적이지 않고 종속적인 경우 예를 들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설비가 다수 개(N)가 존재할 경우 설비의 중요도는 1/N만큼 낮아지게 되므로, 이 경우 설비의 중요도은 1/N X 100%가 된다. 결국, N이 2일 경우 설비의 중요도는 50%가 된다.
이를 토대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비의 중요도를 산출해 보면, 도 2의 A,C,D, E의 설비는 각각 공장에 대해 독립적인 위치에 있고, 개별설비 고장시 공장전체가 정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설비의 중요도는 100%이다. 예를 들어, 설비 A가 정지했을 경우 설비 B는 정지하지 않지만 A에서 전달되는 작업품이 없을 때 결국 그 만큼 정지하는 효과가 있고, 나머지 설비도 마찬가지가 된다
도 2의 B-1, B-2 설비의 경우 독립적인 설비가 아니라, A설비에 종속적인 설비로 B-1과 B-2가 동일한 작업을 하는 설비라면 B-1과 B-2설비가 공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50%이므로 상기 B-1과 B-2 설비의 중요도는 50%가 된다. 상기 B-1 설비가 고장날 경우 나머지 설비인 B-2 설비는 50%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B-2-1과 B-2-2 설비의 경우 B-2 설비에 종속적인 설비로서, 역시 동일한 작업을 하는 설비라면, 각 설비가 공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B-2설비의 50%가 되므로 B-2-1과 B-2-2 설비의 중요도는 각각 25%가 된다.
결국, 공장 내에 레이 아웃된 모든 설비에 대한 중요도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설정된 중요도를 설비 관리 지수와 곱하여 설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별 설비에 대한 설비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설비의 진동 속도를 기준으로 각 설비 별로 산출되는 값으로, 상기 <표 3>에 표시된 값은 임의로 설정된 값이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중요도를 곱하면 설비 지표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설비 지표 중 가장 높은 값의 설비가 공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장 높은 설비 지표 값이 공장 관리 지수가 된다.
즉, <표 3>에서는 설비 E의 설비 지표가 6.4로 가장 큰 값이므로, 설비 E가 공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설비이며, 공장 관리 지수는 6.4가 된다.
이 경우 공장의 상기 공장 관리 지수가 6.4이므로 2차 경고 상태(Failure)에 해당하므로, 상기 공장은 진동증가 추세를 분석하여 고장 시기를 예측하고, 적정한 수리 시기를 결정하는 수리계획을 수립할 것이 요구되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공장 관리 지수가 산출되면, 설비 상태 관리부는 상기 공장 관리 지수와 함께 개별 설비들을 설비 지표 순으로 표시하여 출력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비 지표의 순서는 는 공장 관리 지수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순서로 경제적인 설비 순서를 의미한다. 즉, 설비 지표가 높은 순으로 설비의 중요도를 분산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단일의 공장에 대한 설비 지표와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지만, 다수 개의 공장에 대한 공장 관리 지수 정보를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형 공장 관리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형 공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장이 국내 또는 해외의 다수 지역에 구축된 경우 각 공장의 상태를 인터넷 또는 랜을 통한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또는 해외의 각 지역에 A, B, C 공장이 운영되는 경우 각 공장 마다 진동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수집하여 각 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A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가 4.8이고, B공장이 6.2이고, C공장이 3.6이라면 공장 관리 지수가 가장 높은 B공장이 다른 공장에 비해 관리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B공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 중 설비 지표가 가장 높은 기계 설비(A 기계 설비)가 집중 관리 대상이 되어 진동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결국, 각 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는 생산성과도 관련되며, 공장 관리 지수가 높은 공장일수록 동일한 능력(Capability) 대비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공장 관리 지수가 높은 공장의 기계 설비를 보수 및 수리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형 공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다수 개의 공장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회사 단위의 공장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을 통해 다수 개의 회사를 구분하여 각 회사에 속하는 다수 개의 공장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데이터 관리부는 각 회사마다 고유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회사마다 속하는 공장들을 트리 구조로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지수 산출부 30 : 설비 상태 관리부

Claims (8)

  1. 공장 내에 설치된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설비들의 중요도를 기초로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지수 산출부와;
    상기 지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공장 관리 지수와 개별 설비의 설비 지표가 높은값 순서대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관리하는 설비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개별 설비의 진동 정보를 기초로 설비 관리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관리 지수에 공장 내의 레이 아웃된 개별 설비가 전체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에 따라 설정된 개별 설비의 중요도를 곱하여 상기 개별 설비들의 설비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관리 지수는
    개별 설비의 진동 속도값으로 설비 관리 지수를 설정하며;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설비 관리 지수를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설비의 현재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설비 관리 지수에 따른 설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산출부는
    개별 설비마다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의 진동 속도값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설비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는
    상기 개별 설비가 독립적인 설비(A)인 경우 100%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가 종속적인 설비(A-1)이고 병렬적으로 종속된 설비의 개수가 N인 경우 1/N X 100%로 설정하고;
    상기 개별 설비가 상기 종속적인 설비에 다시 종속되는 설비(A-1-1)인 경우 병렬적으로 종속된 설비의 개수가 M인 경우 1/N X 100 X 1/M %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산출부는
    상기 산출된 설비 지표 중 가장 높은 값을 공장 관리 지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산출부는 복수 개의 공장에 대해 개별 공장 마다 공장 내에 설치된 개별 설비들의 설비 관리 지수와 상기 설비들의 중요도를 기초로 설비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지표로부터 공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장의 공장 관리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설비 상태 관리부는 상기 지수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복수 개의 공장 각각에 대해 공장 관리 지수와 각 공장 내의 개별 설비의 설비 지표가 높은값 순서대로 구분하여 출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상태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장에 대해 공장 관리 지수가 높은 순으로 출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KR1020120130897A 2012-11-19 2012-11-19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KR10142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97A KR101420769B1 (ko) 2012-11-19 2012-11-19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97A KR101420769B1 (ko) 2012-11-19 2012-11-19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33A true KR20140065633A (ko) 2014-05-30
KR101420769B1 KR101420769B1 (ko) 2014-07-21

Family

ID=5089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97A KR101420769B1 (ko) 2012-11-19 2012-11-19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7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50A (ko) * 2016-10-14 2018-04-2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중요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1877629B1 (ko) * 2016-10-14 2018-07-1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운전빈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WO2018199656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WO201819965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WO2018199659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변전소 자산 관리 방법
KR102612058B1 (ko) * 2023-05-24 2023-12-08 주식회사 시스너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불량률 예측을 통한 스마트 팩토리 운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53A (ko) * 2000-04-03 2001-03-05 김민호 통신망을 이용한 설비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그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047325B1 (ko)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50A (ko) * 2016-10-14 2018-04-2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중요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1877628B1 (ko) * 2016-10-14 2018-07-1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중요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1877629B1 (ko) * 2016-10-14 2018-07-1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운전빈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WO2018199656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WO201819965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WO2018199659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효성 변전소 자산 관리 방법
KR20180121217A (ko) * 2017-04-28 2018-11-07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US11507074B2 (en) 2017-04-28 2022-11-22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 for asset management of substation
KR102612058B1 (ko) * 2023-05-24 2023-12-08 주식회사 시스너 인공지능 모델 기반 불량률 예측을 통한 스마트 팩토리 운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769B1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769B1 (ko)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CN104268678B (zh) 一种以动态可靠性为基础的石化设备预防性维修方法
CN103617110B (zh) 服务器设备状态检修系统
CN107025488A (zh) 一种设备检维修方法及系统
Liu et al. Maintenance scheduling for multicomponent systems with hidden failures
US9331897B2 (en) Recovery from multiple fault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8089078A (zh) 设备劣化预警方法及系统
KR20170115596A (ko) 전기 소비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EP2455897A2 (en)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power system grid management
CN105095056A (zh) 一种数据仓库数据监控的方法
KR101683262B1 (ko)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942738A (zh) 一种电能表综合评价方法及系统
CA24266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fault and quantized operational data for automated diagnostics of locomotives
WO2016185596A1 (ja) 遠隔監視装置、遠隔監視保守システム、遠隔監視方法、及び遠隔監視プログラム
US201402440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es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graphical sector representation
CN106815770A (zh) 一种综合考虑系统充裕性和系统安全性的风险评估方法
CN113762604B (zh) 一种工业互联网大数据服务系统
CN112036704A (zh) 电力设备故障管理系统
Sainz et al. Methodology for the maintenance centered on the reliability on facilities of low accessibility
CN105872061A (zh) 一种服务器集群管理方法、装置及系统
Azadeh et al. Selection of optimum maintenance policy using an integrated multi-criteria Taguchi modeling approach by considering resilience engineering
Fraser et al. A review of the three most popular maintenance systems: how well is the energy sector represented?
KR101527080B1 (ko)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및 병목 공정 정보 처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제조 최적화 시스템
KR20210044657A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Akhavein et al. Adequacy equivalent development of composit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ystems using network sc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