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77A -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77A
KR20140065577A KR1020120130240A KR20120130240A KR20140065577A KR 20140065577 A KR20140065577 A KR 20140065577A KR 1020120130240 A KR1020120130240 A KR 1020120130240A KR 20120130240 A KR20120130240 A KR 20120130240A KR 20140065577 A KR20140065577 A KR 20140065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light source
source substrate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899B1 (ko
Inventor
이세민
장현우
손지은
연주영
송재연
윤용중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899B1/ko
Priority to US14/019,256 priority patent/US9323084B2/en
Priority to EP13185779.9A priority patent/EP2730966B1/en
Priority to TW102135735A priority patent/TWI512359B/zh
Priority to TW102135731A priority patent/TWI514036B/zh
Priority to CN201310467704.5A priority patent/CN103809315B/zh
Priority to EP20130189476 priority patent/EP2730967B1/en
Priority to CN201310531173.1A priority patent/CN103809307B/zh
Priority to US14/074,369 priority patent/US9261720B2/en
Publication of KR2014006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형상을 가진 광원 기판을 이용하여 곡면형 보강바에 배치하여 네로우 베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기판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보강바에 배치된 핀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광원 기판과 상기 보강바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휘어질 수 있는 광원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바의 크기와 곡률 각에 맞추어 상기 보강바의 상하 측면에 안정적으로 배치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로는 브라운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과는 달리 그 자체가 비 발광형이기 때문에 배면 광원인 백라이트 유닛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좌우 테두리 영역을 좁게 하여 화면이 커보이게 하기 위한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크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원 기판을 백라이트 유닛의 좌우 측면이 아닌 상하 측면에 배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몰입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상하 측면은 곡면 형상인데 반해 좌우 측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평면 형태의 광원 기판을 상하 측면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네로우 베젤을 실현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강바(Bar)와 광원 기판의 미스얼라인(Miss Align)을 방지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강바의 크기와 곡률 각에 맞추어 휘어질 수 있는 광원 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부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에 배치되는 광원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는 중심부에서 좌 우 측면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진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 보강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와 교차하여 체결되며 평면의 바(Bar) 형상인 다수의 수직 보강바; 및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 중에서 최외곽 수평 보강바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측이 절곡되어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과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일 측에서 이격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일 측에서 이격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정부는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수직 보강바는, 수직 평면부 및상기 수평 보강바와 교차되는 영역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수직 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수평 보강바는 상기 수직 홈부에 수납되고, 체결부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면이 평평한 측면 수평부, 상기 측면 수평부로부터 돌출된 측면 돌출부 및 상기 측면 수평부로부터 함몰된 측면 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학시트의 측면에는 돌출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측면 돌출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홈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ㄱ자 형상을 가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1면과 2면을 포함하고, 상기 1면의 일측은 상기 도광판에 접촉되고, 상기 2면은 상기 측면 보강바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바텀 커버에 밀착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바텀 커버는 중앙영역의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단차를 가지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수평 보강바의 일부를 노출하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수평 보강바와 상기 측면 보강바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에 배치되는 광원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는, 중심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진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 보강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와 교차하여 체결되며 평면의 바(Bar) 형상인 다수의 수직 보강바 및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 중에서 최외곽 수평 보강바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이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영역에는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평 보강바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측이 절곡되어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돌출 영역 사이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돌출 영역 사이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돌출 영역 사이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광원 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이 된다.
본 발명은 곡면형상을 가진 광원 기판을 곡면형의 보강바에 배치하여 네로우 베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 기판에 형성된 고정부와 보강바에 배치된 핀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광원 기판과 상기 보강바의 미스얼라인(Miss Align)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휘어질 수 있는 광원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바의 크기와 곡률 각에 맞추어 상기 보강바의 최외곽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b은 수평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
도 2c는 수직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
도 2d는 측면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
도 3a은 바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측면 보강바, 체결부재, 바텀 커버 및 도광판이 결합된 사시도.
도 3c는 도2b에서 점선부분(A, A')을 절단한 단면도.
도 3d는 측면 보강바와 광학시트가 결합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 기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기판이 결합되어 일부가 절단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되어 일부가 절단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기판이 결합하여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b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
도 8은 도 6b의 점선 부분(B, B')을 절단한 단면도.
도 9a, 도 9b 및 도 9c 는 측면 보강바와 핀이 결합하는 단면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원 기판의 사시도.
도 11a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 기판의 사시도.
도 11b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백라이트 유닛(9), 바텀 커버(1) 보강바(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9)은 광학시트(8), 도광판(7), 반사시트(6), 광원 기판(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가 포함된 표시장치를 시청자가 시청 시, x축 방향이 상기 표시장치의 상부 방향이고 y축 방향이 상기 표시장치의 좌 우측 방향이 되며, z축 방향이 상기 표시장치의 정면이 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9)의 하면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9)을 지지하는 바텀 커버(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텀 커버(1)의 하면에는 보강바(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1)의 곡면 형상을 통해 상기 바텀 커버(1)가 곡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텀 커버(1)는 상기 보강바(3)와 체결되어 곡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는 측벽 없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곡률을 가지더라도 주름이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도광판(7)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도광판(7)의 상 측면 또는 하 측면 중 어느 한 곳이나 상기 도광판(7)의 상 하 측면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7)은 상기 광원 기판(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기판(2)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광학시트(8) 상부에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미도시)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7)은 입사된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7)은 균일한 면광을 공급하기 위해 특정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7)은 PMMA(Poly methylmethacrylate), PC(polycarbonate), 아크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7)과 상기 바텀 커버(1) 사이에는 반사시트(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6)는 인쇄 패턴 또는 요철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으로부터 상기 도광판(7) 내부로 입사된 광은 상기 반사판(6)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되고, 상기 도광판(7)에 특정 임계각을 넘는 각도로 입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7)의 상부 면을 통해 출사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7) 상부에는 광학시트(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8)는 다수의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8)는 상기 도광판(7)으로부터의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a는 보강바(3)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보강바(3)는 다수의 수평 보강바(31), 수직 보강바(32) 및 측면 보강바(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보강바(31)는 중심에서 양 측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휘어진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z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바(32)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31)를 연결 시키고, 상기 수평 보강바(31)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31) 중에서 외곽에 위치하는 수평 보강바(31)의 외측면에 상기 수평 보강바(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의 상면에 비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바텀 커버(미도시)의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제작하여 부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b은 수평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수직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d는 측면 보강바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수평 보강바(31)에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와 수직 보강바(32)가 교차하는 영역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통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보강바(32)에는 수직 평면부(32a) 및 수직 홈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홈부(32b)는 상기 수직 평면부(32a)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홈부(32b)에는 결합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홀(312)은 상기 관통 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홈부(32b)와 상기 수평 보강바(31)는 상기 체결부(313)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13)는 상기 관통홀(311)을 관통하고, 상기 결합 홀(312)에 결합하여 상기 수평 보강바(31) 및 수직 보강바(32)를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바(3)는 상기 수평 보강바(31)가 상기 수직 홈부(32b)에 수납되어 상면이 돌출영역 없이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바(30)의 상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보강바(3)는 바텀 커버(미도시)와 면 접촉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측면 수평부(33a), 측면 홈부(33b) 및 측면 돌출부(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홈부(33b)는 상기 측면 수평부(33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 돌출부(33c)는 상기 측면 수평부(37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은 바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a을 참조하면, 바텀 커버(1)는 중앙부(11)와 날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는 상기 중앙부(11)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는 중심 영역에서 좌 우측 영역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날개부(12)는 상기 중앙부(11)의 양 측면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져 ㄴ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에서 수평 보강바(31)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수납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13)은 상기 수평 보강바(31)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보강바(31)는 상기 수납홈(13)에 관통하여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에서 상기 수평 보강바(31)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다수의 커버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홀(14)은 상기 중앙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홀(14)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수평 보강바(31)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보강바(31)에는 상기 커버 홀(14)과 대응되는 영역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중앙부(11)와 상기 수평 보강바(31)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바텀 커버(1)와 상기 보강바(3)가 고정되고, 상기 바텀 커버(1)가 상기 보강바(3)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에는 커버 돌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돌출부(15)는 상기 중앙부(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결합 부재(54, 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돌출부(15)의 중앙영역에 커버 체결홀(1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돌출부(15)는 상기 체결 부재(5,미도시)와 결합되어, 도광판(7,미도시)을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1)를 제작 시 상기 중앙부(11)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굴곡을 가진 중앙부(11, 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중앙부(11)에 엠보싱(embossing, 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부(11)가 요철이나 엠보싱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바텀 커버(1)가 온도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는 측면 보강바, 체결부재, 바텀 커버 및 도광판이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2b에서 점선부분(A, A')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측면 홈부(33b)에는 상기 체결부재(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의 폭(l1)은 상기 측면 홈부(33b)의 폭(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는 제1 면(51)과 제2 면(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51)의 일측은 상기 도광판(7)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면(52)은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도광판(7)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5)의 제1 면(51)에 체결홀(5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53)에 결합부재(54)를 삽입하여 상기 결합부재(54)가 상기 체결홀(53)을 관통하여, 도 3a에서 도시된 상기 바텀 커버(1)의 커버 돌출부(15)에 삽입 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재(5)가 상기 바텀 커버(1)와 상기 도광판(7)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5)의 폭(l1)이 상기 측면 홈부(33b)의 폭(l2)보다 작으므로 상기 체결부재(5)의 제1 면(51)의 일측이 상기 도광판(7)을 지지하는 체결력은 상기 바텀 커버(1)의 하부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체결부재(5)가 상기 도광판(7)을 상기 바텀 커버(1)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d는 측면 보강바와 광학시트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시트(8)의 일측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트 돌출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돌출부(81)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측면 돌출부(33c)에 상기 시트 돌출부(8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광학시트(8)는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 기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보강바(3)의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내면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대응되는 형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광원(21) 및 커넥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1)은 상기 광원 기판(2)에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21)은 LED(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 기판(2)의 일 측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영역에 커넥터(22)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는 보강바와 광원기판이 결합되어 일부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배치될 때, 상기 광원 기판(2)의 배면 전면에 접착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미도시)는 상기 광원 기판(2)과 상기 측면 보강바(33)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 기판(2)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전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보강바(3)의 양 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양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각각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보강바(3), 광원 기판(2) 및 하우징(4)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하우징(4)은 바닥부(40)와 상기 바닥부(40)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측부(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는 상기 보강바(4)의 수평 보강바(31)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는 상기 보강바(4)의 측면 보강바(33)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5b는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되어 일부가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는 상기 보강바(3)의 수평 보강바(31)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는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측벽(41)과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스크류(screw,미도시) 체결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광원 기판(2)의 배면에 접착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상기 광원 기판(2)을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4)은 상기 광원 기판(2)에서 발생될 열을 외부로 전달하고, 상기 광원 기판(2)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의 높이와 폭은 적어도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높이와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보강바(3) 일측에 상기 하우징(4)이 배치된 형상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광원 기판(2)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4)이 상기 보강바(3)의 양 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양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각각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6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바와 광원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광원 기판(2)과 보강바(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는 상기 광원 기판(2)을 고정하는 핀(231,pin)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측면 보강바(33)에는 상기 핀(2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보강바(33)에는 상기 핀(231)이 삽입될 수 있는 홀(232)과 홈(23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핀(231)은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광원 기판(2)은 광원(21), 커넥터(22) 및 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21)은 상기 광원 기판(2)에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의 일 측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영역에 커넥터(22)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광원 기판(2)의 일 측 외곽에 형성된 돌출 영역 중에서 상기 핀(23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있는 고리 형태(23)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기판(2)과 상기 핀(231)은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금속 재질이 될 수 있고, 상기 핀(231)은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동일한 재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b는 보강바와 광원기판이 결합하여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에 형성된 핀(231)에 상기 광원 기판(2)의 고정부(23)가 끼워지면서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보강바(3)의 양 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양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각각에 배치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배치됨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네로우 베젤이 실현될 수 있고, 상기 백라이드 어셈블리(10)가 포함된 표시장치를 시청하는 경우 좌우측 태두리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어 몰입감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제4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2 및 제3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보강바(3), 하우징(4) 및 광원 기판(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는 상기 광원 기판(2)을 고정하는 핀(231,pin)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핀(231)은 상기 하우징(3)의 측부(4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의 배면에는 상기 핀(231)이 삽입될 수 있는 홀(232)과 홈(23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핀(231)은 상기 측부(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7b 는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는 상기 보강바(3)의 수평 보강바(31)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는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 형성된 핀(231)과 상기 광원 기판(2)의 고정부(23)가 결합하면서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하우징(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기판(2)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4)은 상기 보강바(3)의 양 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양측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각각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8은 도 6b의 점선 부분(B, B')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와 수평 보강바(31)는 분리 제작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8과 같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수평 보강바(31)가 일체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보강바(3)는 압출 성형이나 롤(Roll)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롤 성형에 의해 상기 보강바(3)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바(3)를 얇고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롤 성형을 통해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수평 보강바(31)를 수직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도 8의 B영역과 같이 완전한 수직이 아닌 완만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B영역이 곡면이 아닌 완전한 수직인 경우 광원 기판(2)의 일측을 상기 수평 보강바(31)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광원 기판(2)의 배면은 상기 측면 보강바(31)에 접촉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광원 기판(2)을 상기 보강바(3)에 배치할 수 있으나, 상기 B영역과 같은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광원 기판(2)을 상기 보강바(3)에 배치 시, 상기 광원 기판(2)의 일측이 접촉되는 상기 보강바(2)의 면이 곡면이므로, 상기 광원 기판(2)을 안정적으로 상기 보강바(3)에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보강바(1)의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광원 기판(2)의 배면 사이에 접착패드(미도시)를 부착하거나, 핀(231)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에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광원 기판(2)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광원 기판(2)이 미스얼라인 되면서 발생하는 광량 부족에 의한 휘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1)에 핀(231)이 형성되는 것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a와 같이 하우징(4)에 상기 핀(231)이 형성되는 경우, 도 8의 상기 보강바(33)를 상기 하우징(4)으로 대체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 경우 도 8에서 설명한 기능과 작용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 는 측면 보강바와 핀이 결합하는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보강바(33)는 홀(232)과 상기 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홈을(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233)의 폭(W2) 상기 홀(232)의 폭(W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231)은 돌출부(234)와 걸림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4)의 길이(l1 )상기 홀(232)의 깊이 (l2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35)의 두께(t)는 상기 홈(233)의 깊이(h)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35)의 폭(W3)은 상기 홈(233)의 폭(W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핀(231)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결합 될 때 상기 돌출부(234)는 상기 홈(232)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234)의 일부가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35)가 상기 홈(233)에 걸려 상기 핀(231)이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235)의 외면을 상기 홈(233) 방향으로 충격을 주어 상기 걸림부(235)가 뭉개지면서 상기 걸림부(235)가 상기 홈(233) 내부에 밀착되어 상기 측면 보강바(33)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235)의 외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돌출부(234)는 사각기둥, 원통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홀(232) 내부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23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5)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홈(233) 내부의 형상은 상기 걸림부(23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9a, 도 9b 및 도 9c 는 상기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핀(231)이 결합하는 단면도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으나 도 7a와 같이 하우징(4)에 상기 핀(231)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a 내지 도 9c에서 설명한 기능과 작용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원 기판의 사시도이다.
제5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 기판(2)은 바(Bar)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 기판(2) 일 측 외곽에 이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영역(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영역(24) 중 어느 하나의 돌출 영역(24)에는 커넥터(22)가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돌출 영역(24)에는 광원(21)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영역(24)은 사각형, 사다리꼴 형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바닥부(200)와 측부(201)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201)에는 상기 커넥터(22)가 배치된 상기 돌출 영역(24)과 상기 광원(21)이 배치된 나머지 돌출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와 상기 측부(201)가 수직한 형태가 되도록 상기 바닥부(200)와 상기 측부(201)는 도10b에 나타난 것처럼 접힐 수 있다. 또한 도10c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바닥부(200)는 곡률을 가지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부(201) 또한 상기 바닥부(20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게 되면서 상기 측부(201)에 포함된 상기 돌출 영역(24)상의 상기 광원(21)이 입광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광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기판 원판에서 곡선형의 광원 기판을 제작하여 분리하는 경우보다 바 형태의 광원 기판(2)을 제작하여 분리하고, 도 10b 및 도 10c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된 광원 기판(2)을 곡면을 띠도록 하는 경우, 상기 기판 원판의 면취 효율이 높아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1a은 보강바와 광원 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11b은 보강바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바(3)의 수평 보강바(31)에는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에는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200)는 상기 수평 보강바(31)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기판(2)은 신축성을 가진 플렉시블(flexible) 기판으로 상기 보강바(3)의 크기나 곡률 각에 대응하여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200)가 휘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201)에 포함된 돌출영역(22)이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200)가 휘어질 때 상기 측부(201)도 그에 대응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201)가 상기 측면 보강바(3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기판(2)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플렉시블 필름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접착 부재(미도시) 또는 스크류(미도시) 체결을 통해서 상기 보강바(3)와 상기 광원 기판(2)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바텀 커버, 하우징 및 광원 기판이 결합한 사시도이다.
제6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5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보강바(3), 하우징(4) 및 광원 기판(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는 상기 보강바(3)의 수평 보강바(31)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는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1)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200)는 상기 하우징(4)의 바닥부(40)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201)는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의 수평 보강바(31), 상기 하우징(4) 및 상기 광원 기판(2)의 바닥부(40,200)는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41,201)는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와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는 스크류(미도시)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4)과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하우징(4)의 측부(41)와 상기 광원 기판(2)의 측부(201) 사이에 접착 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원 기판(2)이 배치된 하우징(3)은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양쪽 모두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제7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 내지 제6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원 기판(2)의 돌출영역(24) 사이사이에는 고정부(23)가 배치될 수 있고, 보강바(3)의 측면 보강바(33)에는 핀(231)이 상기 고정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핀(231)에 결합되면서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보강바(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원 기판(2)은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양쪽에 모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제8 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7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이나 동일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원 기판(2)의 돌출영역(24) 사이사이에는 고정부(23)가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4)의 측부(41)에는 핀(231)이 상기 고정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핀(231)에 끼워지면서 상기 광원 기판(2)이 상기 하우징(4)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원 기판(2)이 배치된 하우징(4)은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양쪽에 모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바(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측면 보강바(33)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도 있다.
1. 바텀 커버
2. 광원 기판
3. 보강바
4. 하우징
5. 체결부재
6. 반사시트
7. 도광판
8. 광학시트
9. 백라이트 유닛
10.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바텀 커버의 중앙부
12. 바텀 커버의 날개부
13. 바텀 커버의 수납홈
14. 바텀 커버의 커버 홀
15. 바텀 커버의 커버 돌출부
16. 바텀 커버의 커버 체결 홀
21. 광원
22. 커넥터
23. 광원 기판의 고정부
24. 광원 기판의 돌출영역
31. 수평 보강바
32. 수직 보강바
32a 수직 평면부
32b 수직 홈부
33. 측면 보강바
33a 측면 수평부
33b 측면 홈부
33c 측면 돌출부
40. 하우징의 바닥부
41. 하우징의 측부
51. 체결부의 제1 면
52. 체결부의 제2 면
53. 체결부의 체결홀
54. 결합부재
81. 시트 돌출부
200. 광원 기판의 바닥부
201. 광원 기판의 측부
231. 핀
232. 홀
233. 홈
234. 핀의 돌출부
235. 핀의 걸림부
311. 관통홀312. 결합 홀

Claims (18)

  1.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부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에 배치되는 광원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는,
    중심부에서 좌 우 측면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진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 보강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와 교차하여 체결되며 평면의 바(Bar) 형상인 다수의 수직 보강바; 및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 중에서 최외곽 수평 보강바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측이 절곡되어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상기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일 측에서 이격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일 측에서 이격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을 가진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바는,
    수직 평면부; 및
    상기 수평 보강바와 교차되는 영역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수직 홈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보강바는 상기 수직 홈부에 수납되고,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면이 평평한 측면 수평부;
    상기 측면 수평부로부터 돌출된 측면 돌출부; 및
    상기 측면 수평부로부터 함몰된 측면 홈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측면에는 돌출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측면 돌출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홈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ㄱ자 형상을 가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1면과 2면을 포함하고,
    상기 1면의 일측은 상기 도광판에 접촉되고, 상기 2면은 상기 측면 보강바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바텀 커버에 밀착 고정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는 중앙영역의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단차를 가지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수평 보강바의 일부를 노출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보강바와 상기 측면 보강바는 일체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에 체결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에 배치되는 광원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바는,
    중심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진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 보강바;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와 교차하여 체결되며 평면의 바(Bar) 형상인 다수의 수직 보강바; 및
    상기 다수의 수평 보강바 중에서 최외곽 수평 보강바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광원 기판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이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영역에는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평 보강바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 14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측이 절곡되어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상기 최외곽 수평 보강바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는 상기 측면 보강바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돌출 영역 사이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바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상기 돌출 영역 사이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고리 형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핀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120130240A 2012-11-08 2012-11-16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43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40A KR101432899B1 (ko) 2012-11-16 2012-11-16 백라이트 어셈블리
US14/019,256 US9323084B2 (en) 2012-11-08 2013-09-05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13185779.9A EP2730966B1 (en) 2012-11-08 2013-09-24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102135731A TWI514036B (zh) 2012-11-08 2013-10-02 彎曲型液晶顯示裝置
TW102135735A TWI512359B (zh) 2012-11-08 2013-10-02 彎曲型液晶顯示裝置
CN201310467704.5A CN103809315B (zh) 2012-11-08 2013-10-09 弯曲型液晶显示装置
EP20130189476 EP2730967B1 (en) 2012-11-08 2013-10-21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1310531173.1A CN103809307B (zh) 2012-11-08 2013-10-31 弯曲型液晶显示装置
US14/074,369 US9261720B2 (en) 2012-11-08 2013-11-07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40A KR101432899B1 (ko) 2012-11-16 2012-11-16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77A true KR20140065577A (ko) 2014-05-30
KR101432899B1 KR101432899B1 (ko) 2014-08-22

Family

ID=5089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240A KR101432899B1 (ko) 2012-11-08 2012-11-16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8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915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160044073A (ko) * 2014-10-14 2016-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 표시장치
KR20160073721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토비스 절곡된 곡면형태의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000381A (ko) 2016-12-21 2017-01-02 주식회사 토비스 절곡된 곡면형태의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장치
US10302854B2 (en) 2015-08-18 2019-05-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90070373A (ko)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59B1 (ko) 2015-04-16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20210049565A (ko) 2019-10-25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54B1 (ko) * 2009-10-19 2017-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77272A (ko) * 2009-12-30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62236B1 (ko) * 2010-03-26 2016-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8389A (ko) * 2010-04-23 2011-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915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20160044073A (ko) * 2014-10-14 2016-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 표시장치
KR20160073721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토비스 절곡된 곡면형태의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장치
US10151949B2 (en) 2014-12-17 2018-12-11 Tovis Co., Ltd. Backlight unit comprising bent curve-shaped back plate, and curve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302854B2 (en) 2015-08-18 2019-05-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70000381A (ko) 2016-12-21 2017-01-02 주식회사 토비스 절곡된 곡면형태의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070373A (ko)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899B1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89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US7896536B2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US20120320630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597313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226148B1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US10281765B2 (en)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supporter of light source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po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JP2013073876A (ja) 液晶表示装置
JP4780216B2 (ja) 面光源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62360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147214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60124268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722946B2 (ja) バックキャビネット、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US20160085117A1 (en) Direct backlight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6056084A1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601633B1 (ko) 백라이트 장치
JP5726947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JP541685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テレビ
KR102415255B1 (ko) 백라이트 장치
JP5651734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5722945B2 (ja) バックキャビネット、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JP5651735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5651736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220007794A (ko)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가이드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732102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JP5918338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