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134A -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134A KR20140065134A KR1020120132293A KR20120132293A KR20140065134A KR 20140065134 A KR20140065134 A KR 20140065134A KR 1020120132293 A KR1020120132293 A KR 1020120132293A KR 20120132293 A KR20120132293 A KR 20120132293A KR 20140065134 A KR20140065134 A KR 20140065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n
- hot water
- water extract
- oil
- prepar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40000005893 Pteridium aquilin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09936 Pteridium aquilin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194036 Lactococc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4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50 trypticase soy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88 green tea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094952 green tea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837 past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73 Abies balsam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8245 Aspergillus nige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57 Bals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18716 Impatiens b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47 Klebsiella pneumon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105 Paenibacillus polymyx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985694 Polypodiopsi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3830 Pter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17088 Thanatephorus sasak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332371 Abutilon x hybr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MQVRGDZCYDEQML-UHFFFAOYSA-N Astragalin Natural products C1=CC(OC)=CC=C1C1=C(OC2C(C(O)C(O)C(CO)O2)O)C(=O)C2=C(O)C=C(O)C=C2O1 MQVRGDZCYDEQ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90235 Ceratobasidium cere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08375 Gramin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68 Kirby-Bauer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132 Leuconostoc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BSPRNADVQNDOU-UHFFFAOYSA-N Menaquinone 1 Natural products C1=CC=C2C(=O)C(CC=C(C)C)=C(C)C(=O)C2=C1 ABSPRNADVQND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53 Papaver somnife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3 Peanu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001 Pedi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39 Pyth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22911 Pythium gramin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8584 Pythium ult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4 Rape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13090 Rhizoctonia solan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6628 Rhizoctonia solani AG-2-2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74 Rice Br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4117 Sporo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52 bab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514 candida albicans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555 cloac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0 coco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64 coconu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2 colony 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43 cotto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85 cotton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24 evening primrose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75 evening primros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020 evening primrose oi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9 grape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36 growth inhib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Substances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1
- BTIJJDXEELBZFS-QDUVMHSLSA-K hemin Chemical compound CC1=C(CCC(O)=O)C(C=C2C(CCC(O)=O)=C(C)\C(N2[Fe](Cl)N23)=C\4)=N\C1=C/C2=C(C)C(C=C)=C3\C=C/1C(C)=C(C=C)C/4=N\1 BTIJJDXEELBZFS-QDUVMHSLSA-K 0.000 description 1
- 229940025294 he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 isoquerecetin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PUKWEQWGBDDQB-QSOFNFLRSA-N kaempferol 3-O-beta-D-gluc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2C=CC(O)=CC=2)OC2=CC(O)=CC(O)=C2C1=O JPUKWEQWGBDDQB-QSOFNFLR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4 lin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8 li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6 palm kerne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65 palm kerne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2 pea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59 percent control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2 phylloqui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HUZOJHMOBOZST-UHFFFAOYSA-N phylloquino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1=C(C)C(=O)c2ccccc2C1=O)C SHUZOJHMOBOZ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BWXNTAXLNYFJB-NKFFZRIASA-N phyllo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C/C=C(C)/CCC[C@H](C)CCC[C@H](C)CCCC(C)C)=C(C)C(=O)C2=C1 MBWXNTAXLNYFJB-NKFFZRIA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5 phylloquin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98 phytomenad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5 rice br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1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71 synthetic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8 yeas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68—Deodorant compos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취,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의 제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 또는 쌀뜨물을 혐기발효하여 선발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세정제 조성물이 소취,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므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소취,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의 제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고사리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졌다. 전 세계적으로 열대에서 온대까지 분포하고 약 60속, 1500종이 분포한다. 그 중 12속 33종이 약용으로 사용되며 주로 근경류와 엽류 부위가 활용된다. 한국의 고사리 분포는 남부와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지혈약 8종, 해독약 14종, 청열(淸熱)약 24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Lee et al., 2008). 생약으로는 지상 부를 사용하며 지상부에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이소퀘레세틴(isoquerecetin), 루틴(rutin) 및 타닌(tannin)이 포함되어 있다 (Medicinal Botany Rec. Soc. Korean, 2001).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잔고사리과(Dennsteadtiaceae) 고사리속(Pteridium)에 속한다. 식물 전체에 털이 있고 근경(뿌리 줄기)은 땅 속 깊이 포복하고 잎이 드문드문 난다. 고사리의 수확 시기는 4~5월이며 어린 잎만을 취하여 삶아서 말린 후 건 고사리로 만들어 저장하여 놓았다가 식용으로 사용하거나 삶은 후 말리지 않고 바로 식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1). 한방에서는 어린잎을 궐(蕨)이라하고 뿌리를 궐근(蕨根)이라 칭하며 열을 내리고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몸속의 독을 풀어주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황달이나 목이 아플 때, 고열이 날 때 가을에 줄기를 뿌리째 캐어 햇볕에 말려서 약으로 처방하였다. 흉년에 대비한 구황식량을 묵나물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고사리, 고비, 도라지를 들 수 있다. Oh et al.(1994)은 고사리의 다당류에서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서 보이는 항암성 다당류와 유사 기작을 확인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고사리의 독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더니 생고사리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며 익힌 고사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 하였다(Yoon & Lee, 1988). 제주에서 재배되는 고사리를 가공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액(열수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연간 3억 원 정도의 손실액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사리 채취시기인 3~5월 3개월간 발생하는 폐부산액 생산량이 제주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많으나, 고사리 폐부산액의 가공에 관한 선행기술이 전무한 상태이다.
쌀을 씻을 때 나오는 뿌연 물을 쌀뜨물이라 하는데, 우리 조상들은 미감(米監), 백수(白水) 등으로 부르며 세안제나 세제, 화초의 영양제로 이용해 왔다. 현대에는 쌀뜨물의 보관과 사용의 번거로움 때문에 대부분 생활하수로 배출되고 있으며, 음식물 중 오염농도는 적으나, 다량의 유기물과 영양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량의 쌀뜨물을 그냥 하수구에 흘려보낼 경우 하천의 산소를 고갈시키고, 하천 부영양화로 인한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2003). 이러한 쌀뜨물을 친환경농업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데, 작물생육을 위한 엽면시비와 미생물(EM)을 배양하는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당류 등을 기질로 하여 유산을 만들어내고 혐기상태에서는 단백질을 아미노산까지 분해한다. 유산균은 주로 발효된 육류나 야채, 과일, 음료와 같은 음식물과 우유, 치즈와 같은 유제품,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 등에 발견된다. 이러한 유산균은 Lactobacillus , Bifidobacterium , Streptococcus , Leuconostoc , Pediococcus , Sporolactobacillus 등의 종류로 구분된다.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유산에는 강한 정균력이 있으며, 특히 유해한 미생물의 번식과 유기물의 급격한 부패분해를 억제한다 (강국희, 1990).
유아용품시장은 잠재력이 무한하고 수익이 큰 산업 중 하나로 각 나라의 GDP 증가를 촉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중국은 매년 2000만~3000만 명에 달하는 신생아가 태어나고 8~36개월 유아 수는 4500만 명인 것으로 알려져 유아용품시장에 거대한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고려된다. 중국 내 0~3세 유아용품의 가정당 월별 소비액은 약 900위엔 기준으로 알려졌고 시골지역의 유아 소비까지 합산할 경우 중국의 유아용품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위엔을 초과한다. 또한, 최근 생활수준이 현저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중고급 유아용품의 출시를 위한 물질적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으며, 이는 의식주, 교통, 교육, 지능개발 등 방면의 유아용품시장이 급속히 발전할 수 있는 내재적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최근, 제품의 품질 향상과 세분화가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유아 피부 및 건강에 '안전'한, '천연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세정용품 개념을 대폭 광고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친환경 유아세제는 수입에 의존하거나 합성방부제를 사용하여 1종 친환경 유아용 세제 개발이 국내에서는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가공처리과정에서 생성되는 폐부산액(열수 및 쌀뜨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유아용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소취, 자외선차단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요구되는 유아용 세정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 또는 쌀뜨물을 혐기발효하여 선발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한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세정제 조성물의 소취,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므로, 기존의 합성세제의 문제점을 극복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쌀뜨물에서의 발효 전·후 쌀뜨물에서의 미생물 분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및 B: 쌀뜨물 발효 전 미생물; 및
C 및 D: 쌀뜨물 발효 후 미생물.
도 2는 잔디병원균 Pythium graminicola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도 3은 잔디병원균 Rhizoctonia solani AG-1(1B)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A 및 B: 쌀뜨물 발효 전 미생물; 및
C 및 D: 쌀뜨물 발효 후 미생물.
도 2는 잔디병원균 Pythium graminicola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도 3은 잔디병원균 Rhizoctonia solani AG-1(1B)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지는 아마인유, 오동유, 해바라기유, 양귀비유, 들기름, 참기름, 유채유, 쌀겨기름, 옥수수기름, 면실유, 땅콩기름, 아주까리기름, 팜핵유, 코코넛유, 달맞이유, 포도씨유, 호호바유 또는 올리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상온에서 고체상인 것을 지방, 액체상인 것을 기름 또는 지방유라고 하며, 양자를 총칭하여 유지라고 한다. 그러나 온도에 따라 그 상태는 상호 변화하므로 양자의 구별은 뚜렷한 것은 아니고, 단지 상온에서 외관상의 구별에 지나지 않는다. 의학과 식품관계에서는 전부 일괄하여 지방(脂防)이라고도 한다.
상기 예열은 50 내지 70 ℃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KOH 수용액의 농도는 지방량의 10 내지 30%의 KOH를 동량의 물에 녹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탕 수용액의 농도는 유지 총 량의 5 내지 6%의 설탕량과 설탕량의 6배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숙성은 밀봉하여 18 내지 40℃의 조건으로 2주 이상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은 동결건조, 진공건조, 제습건조 및 열풍건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가공시 생산되어 버려지는 폐부산액인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를 유지로 이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탁한 섬유의 소취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소취 (표 1 참조) 및 자외선 차단 (표 2 참조) 효과를 보였으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항균 효과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세정제 조성물이 친환경적이면서 월등한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1)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지는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1)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의 쌀뜨물, 상기 단계 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 유래 세균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쌀뜨물 유래 세균은 쌀뜨물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것이 바람직하며,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쌀뜨물은 배양하여 발효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쌀뜨물을 발효한 뒤, 발효된 쌀뜨물에서 항진균 효능을 가진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도 1, 도 2 및 도 3 참조), 이들을 고사리 가공시 생산되어 버려지는 폐부산액인 고사리 열수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여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지로 사용하고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를 유지로 사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정제 조성물의 소취, 자외선 차단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소취 (표 1 참조), 자외선 차단 (표 2 참조) 및 항균 (표 3 참조)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세정제 조성물이 친환경적인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고사리
열수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5월에 채취된 어린 고사리(재배: 제주시 표선)를 물 1.0 L당 고사리 1.0 kg의 비율로, 90 ℃의 물에 넣어 15분 동안 끓였다. 끓인 고사리는 건조되어 가공품으로 사용되고, 이 외에 폐부산물로 남은 고사리 열수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추출액을 90 ℃로 유지하고 상기와 동일한 양의 고사리를 다시 넣어 동일하게 끓인 후, 고사리를 분리하였다. 90 ℃의 끓는 물에 고사리를 총 4회 넣었으며, 4회째 고사리를 분리한 후 최종 고사리 열수추출액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추출물을 밀폐용기에 담아 -20 ℃의 냉동실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또한,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동결건조기(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평균 분말의 수율은 4.85%(취득분말무게/채취시료무게)이다. 분말화된 시료를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제조
<2-1> 콩기름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을
이용한 세제 제조
본 발명자들은 콩기름을 유지로 사용하고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수지로 이용하여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콩기름 500 g을 60 ℃로 온도를 올려주고, 정제수 90.38 g, KOH 90.38 g을 혼합하여 제조한 KOH 수용액을 제작하여 60 ℃로 식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180 g에 설탕 30 g을 넣어 설탕 수용액을 만든다. 상기 예열한 콩기름을 교반한 뒤, 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열을 가하여 혼합물에 기포가 생기면 다시 교반하였다. 교반된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밀봉하여 2주 이상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물과 정제수, 녹차 추출물, 편백추출물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을 1:1 내지 1:4의 비율로 섞어서 세제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콩기름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세제가 제조되었다.
<2-2> 폐식용유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세제 제조
본 발명자들은 폐식용유를 유지로 사용하고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수지로 이용하여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식용유 500 g을 60 ℃로 온도를 올려주고, 정제수 90.38 g, KOH 90.38 g을 혼합하여 제조한 KOH 수용액을 제작하여 60 ℃로 식혔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180 g에 설탕 30 g을 넣어 설탕 수용액을 만든다. 상기 예열한 폐식용유을 교반한 뒤, 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열을 가하여 혼합물에 기포가 생기면 다시 교반하였다. 교반된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밀봉하여 2주 이상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물을 정제수 또는 녹차 추출물,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과 1:1 내지 1:4의 비율로 섞어서 세제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폐식용유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세제가 제조되었다.
<
실시예
3>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제조
<3-1> 발효균 선발 및 동정
본 발명자들은 쌀뜨물에서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발효하기 위한 발효균을 선발 및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0 g의 무농약 재배 쌀(생토미, 경북울진군, 제12-3-117)을 1000 ml의 멸균수를 넣어 2회의 쌀 씻는 과정을 통해 쌀뜨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쌀뜨물을 멸균된 병에 넣고 10%의 설탕(sugar)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28 ℃의 항온기에서 1000 rpm으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한 쌀뜨물을 제조하였다. 쌀뜨물의 발효 전 및 후의 미생물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쌀뜨물 및 발효한 쌀뜨물을 TSA 배지에 도말하였으며, 그 결과, 쌀뜨물 발효 전·후에 미생물 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 그 후, 상기 발효한 쌀뜨물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발효 쌀뜨물을 멸균수가 9 ml씩 들어간 테스트 튜브에 넣어 10-1 내지 10-5로 희석하였으며, 상기 희석액 중 10-3, 10-4, 10-5의 희석액을 100 ㎕씩 추출하여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 도말하여 28 ℃의 항온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TSA 배지에 자란 쌀뜨물 유래 미생물 중 육안으로 서로 다른 모양 및 색깔로 자란 콜로니를 구분한 뒤, 새로운 TSA 배지에 분주하여 단세포 분리함으로써 총 12 종류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을 PDA(potato dextros agar) 배지에서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받은 잔디병원균 Pythium graminicola, Pythium ultimum, Rhizoctonia cerealis, Rhizoctonia solani AG-1(1A), Rhizoctonia solani AG-1(1B) 및 Rhizoctonia solani AG-2-2에 대해 대치 배양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 효과를 보이는 세균 2종을 선발하였으며 (그림 2 및 3), 상기 분리 세균의 DNA를 Ausubel 등 (1987)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추출하고 총 DNA에서 rDNA의 ITS(internal transcribe spaces) 염기서열을 universal 프라이머 38r: 5’-CCG GGT TTC CCC ATT CGG-3’ 및 72f: 5’-TGC GGC TGG ATC TCC TT-3’ (Gurtler and Stanisich, 2001)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잔디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나타낸 세균들은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로 동정되었다.
<3-2> 고사리
열수추출물의
발효
본 발명자들은 쌀뜨물에서 분리된 발효균 및 쌀뜨물을 이용하여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의 설탕이 함유된 고사리 열수추출물 2.0L에 쌀뜨물 500 ml을 첨가한 후, 상기 실시예 <4-1>에서 분리한 쌀뜨물 유래 미생물 Lactobacillus plantarums 및 Lactococcus latis의 현탁액을 첨가하여 20 ℃에서 40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만들어진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동결건조기(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건조시켜 분말화한 뒤,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에서 보관하였다.
<
실시예
4>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 제조
<4-1> 콩기름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한 세제 제조
본 발명자들은 콩기름을 유지로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지로 이용하여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콩기름 500 g을 60 ℃로 온도를 올려주고, 정제수 90.38 g, KOH 90.38 g을 혼합하여 제조한 KOH 수용액을 제작하여 60 ℃로 식혔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180 g에 설탕 30 g을 넣어 설탕 수용액을 만든다. 상기 예열한 콩기름을 교반한 뒤, 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열을 가하여 혼합물에 기포가 생기면 다시 교반하였다. 교반된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밀봉하여 2주 이상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물을 정제수, 편백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과 1:1 내지 1:4의 비율로 섞어서 세제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콩기름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한 세제가 제조되었다.
<4-2> 폐식용유 콩기름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한 세제 제조
본 발명자들은 폐식용유를 유지로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지로 이용하여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식용유 500 g을 60 ℃로 온도를 올려주고, 정제수 90.38 g, KOH 90.38 g을 혼합하여 제조한 KOH 수용액을 제작하여 60 ℃로 식혔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180 g에 설탕 30 g을 넣어 설탕 수용액을 만든다. 상기 예열한 폐식용유을 교반한 뒤, 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열을 가하여 혼합물에 기포가 생기면 다시 교반하였다. 교반된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밀봉하여 2주 이상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물을 정제수, 편백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과 1:1 내지 1:4의 비율로 섞어서 세제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폐식용유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한 세제가 제조되었다.
<
실시예
5>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의 효과 확인
<5-1>
소취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 직물의 소취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섬유평가기술협의회(JTETC)의 시험법을 따라, 상기 실시예 <2-1>, <2-2>, <4-1> 및 <4-2>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10 ㎝ X 10 ㎝의 직물 및 대조군으로 증류수로 세탁한 10 ㎝ X 10 ㎝의 직물을 준비한 뒤, 이를 5 ℓ의 테트라백에 넣고 초기 농도로 조정한 암모니아 3La (땀 냄새), 초산 81 (노인 냄새) 및 황화수소 4LT (담배 냄새) 가스 3 ℓ를 각각 주입하였다. 가스 주입 2시간 후, 가스 농도를 검지관(암모니아 3La, 초산 81 및 황화수소 4LT)으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소취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1> 및 <2-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직물, 및 실시예 <4-1> 및 <4-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직물 모두 소취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
암모니아 3La | 초산 81 | 황화수소 4LT | |
대조군 | 28.6% | 34.1% | 16.2% |
실시예 <2-1> | 88.8% | 78.0% | 28.6% |
실시예 <2-2> | 82.3% | 72.2% | 24.3% |
실시예 <4-1> | 93.2% | 83.0% | 35.1% |
실시예 <4-2> | 91.5% | 80.4% | 34.8% |
<5-2>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 직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KS K 0850-2009법에 준하여 자외·가시부 분광광도계 (UV-VISIBLE-NIR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Lambda950)를 이용하여, 파장 범위 280 내지 400 nm에서 파장 간격 5 nm 단위로 주사하면서, 시료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 중, 파장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UV-A(320 내지 400 nm) 및 UV-B(290 내지 320 nm)에서의 상기 실시예 <2-1>, <2-2>, <4-1> 및 <4-2>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시료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값을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율(%)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1> 및 <2-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직물, 및 실시예 <4-1> 및 <4-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한 직물 모두 대조군인 증류수로 세탁한 직물에 비해 자외선 차단율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자외선 차단율 (UV-A)% |
자외선 차단율 (UV-B)% |
|
대조군 | 67.1 | 68.4 |
실시예 <2-1> | 94.2 | 96.8 |
실시예 <2-2> | 95.1 | 94.4 |
실시예 <4-1> | 96.3 | 97.4 |
실시예 <4-2> | 94.1 | 94.7 |
<5-3> 항균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의 항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세균 성장 저해 효과 검사법인 원판확산법(Kirby-Bauer method, AJCP., 45, 493-496, 1996)으로 항균 효과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의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는 NCCLS(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에 따라 결정하였으며, 세균의 농도는 생리 식염수(0.9% NaCl)로 희석시켜 1 ㎖ 당 104 내지 106 CFU(Colony forming Unit)의 농도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를 각각 20 ㎕/㎖로 맞추고 이를 2 배씩 연속 희석하여 10 ㎕/㎖, 5 ㎕/㎖ 및 2.5 ㎕/㎖로 농도를 조절한 후, 각각 20 ㎕ 씩 고체평판배지(BHIA, Difco, USA, Brain heart infusion broth, Yeast extract, Distilled water, Resaqurin solution 0.025%, Cystein HCl·2H2 O, Hemin solution, Vitamin K1 solution, Agar)에 직접 도말하여 30 분 동안 방치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병원균은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클레브셸라(Klebsiella pneumoniae IFO 13277), 대장균(Escherichia coli IFO 3301),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IID P-1), 장염 비브리오(Vivrio parahaemolyticus IFO 12711) 및 흑누룩곰팡이(Aspergillus niger IFO 4407)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세제 및 대조군으로 증류수가 도말된 고체평판배지에 멀티포인트 이노큘레이터(multipoint inoculator, Bootles, England)를 이용하여 상기 병원균 6종을 각각 1 ㎕씩 접종한 후 7 내지 10% CO2 농도와 37 ℃를 유지하는 배양기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세균에 대한 본 발명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의 MIC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세제가 모두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항균력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세제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세제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친환경 세제임을 확인하였다.
균주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4-1> | 실시예 <4-2> | 대조군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 > 20 | > 20 | > 20 | > 20 | - |
Klebsiella pneumoniae IFO 13277 | > 20 | > 20 | > 20 | > 20 | - |
Escherichia coli IFO 3301 | > 20 | > 20 | > 20 | > 20 | - |
Pseudomonas aeruginosa IID P-1 | > 20 | > 20 | > 20 | > 20 | - |
Vivrio parahaemolyticus IFO 12711 | > 20 | > 20 | > 20 | > 20 | - |
Aspergillus niger IFO 4407 | > 20 | > 20 | > 20 | > 20 | - |
(단위: ㎕/㎖)
Claims (8)
1)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2) 유지를 예열하는 단계;
3) KOH 수용액을 제조하여 예열하는 단계;
4) 상기 1) 단계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설탕을 첨가하여 설탕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2) 단계의 예열된 유지에 상기 단계 3)의 예열된 K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단계 4)의 설탕 수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의 결과물을 숙성한 뒤,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섞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콩기름 또는 폐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1)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의 쌀뜨물, 상기 단계 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 유래 세균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의 쌀뜨물, 상기 단계 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 유래 세균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쌀뜨물 유래 세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또는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 3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아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293A KR101447228B1 (ko) | 2012-11-21 | 2012-11-21 |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293A KR101447228B1 (ko) | 2012-11-21 | 2012-11-21 |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134A true KR20140065134A (ko) | 2014-05-29 |
KR101447228B1 KR101447228B1 (ko) | 2014-10-08 |
Family
ID=5089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2293A KR101447228B1 (ko) | 2012-11-21 | 2012-11-21 |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72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2517B1 (ko) * | 2020-12-26 | 2021-06-09 | 씨앤에스테크 주식회사 | 친환경 세정제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338B1 (ko) * | 2002-11-20 | 2005-04-18 | 박인호 |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
KR100917337B1 (ko) | 2008-11-25 | 2009-09-17 | 김영배 | 친환경성 세제 조성물 |
KR101138157B1 (ko) | 2010-12-02 | 2012-04-19 | 김미량 |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
KR101183306B1 (ko) | 2012-05-25 | 2012-09-14 | 광주시농업기술센터 | 곡물세척수 발효용 발효제와 이를 이용한 곡물세척수 발효액 및 곡물세척수 발효액 제조방법 |
-
2012
- 2012-11-21 KR KR1020120132293A patent/KR101447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2517B1 (ko) * | 2020-12-26 | 2021-06-09 | 씨앤에스테크 주식회사 | 친환경 세정제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7228B1 (ko)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86155B (zh) | 一种植物乳杆菌n13及其用途 | |
KR101532005B1 (ko) |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CN105087423A (zh) | 新型芽孢杆菌cjbv及含有其的抗菌组合物 | |
JP5669943B2 (ja) | 抗菌剤とその製造方法 | |
CN102168051B (zh) | 一株对井岗霉素水剂具有较高抗性的蜡状芽孢杆菌及应用 | |
KR101138684B1 (ko) | 유용미생물 배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 |
CN105132321A (zh) |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 |
KR20160057855A (ko) |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590492B1 (ko) | 발효된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소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65696B1 (ko) | 항균 및 방충 조성물 | |
KR101426501B1 (ko) |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2321540B (zh) | 乳酸双芽菌发酵液的制备方法及利用该发酵液制备乳酸双芽菌发酵液复合防腐剂的方法 | |
KR100851290B1 (ko) | 유용미생물이 살아있는 발효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발효쌀 | |
KR20130057757A (ko) |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 |
KR101447228B1 (ko) |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951273B1 (ko) |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 |
KR101119142B1 (ko) |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694395A (zh) | 一株对花生果腐病具有防效的金龟子绿僵菌及其发酵工艺 | |
KR20110105580A (ko) | 백연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항진균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14941B1 (ko) |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57649B1 (ko) | 인삼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마늘식품과 그 제조방법 | |
KR101797548B1 (ko) |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조성물 | |
KR101286603B1 (ko) | 스피룰리나 함유 장류식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장류식품 | |
CN109810918A (zh) | 一株对枸杞叶枯病有防效的萎缩芽孢杆菌、生物菌剂及其应用 | |
CN102154187B (zh) | 解淀粉芽孢杆菌及其在番茄早疫病菌中的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