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338B1 -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338B1
KR100483338B1 KR10-2002-0074150A KR20020074150A KR100483338B1 KR 100483338 B1 KR100483338 B1 KR 100483338B1 KR 20020074150 A KR20020074150 A KR 20020074150A KR 100483338 B1 KR100483338 B1 KR 10048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chloroform
fer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146A (ko
Inventor
박인호
송종호
김민주
Original Assignee
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10-2002-007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3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4Pteridophyta [fern allies];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85Substances of natural origin of unknown constitution, f.i.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 식품, 및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천연의 기능성 물질로서의 개고사리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클로로포름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따른 개고사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 능력으로 보아, 새로운 항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작물 재배 분야에서의 항균 목적 및 식품 분야에서의 항균보존제로서의 응용이 가능하고, 또한 천연의 항균성을 지난 화장품으로의 응용가능성과 의약품 분야에서도 새로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Extract of Athyrium niponicum with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개고사리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업, 식품, 및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천연의 기능성 물질로서의 개고사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항균제 대부분은 화학합성을 통해 제조되며 농약에서부터 의약용 항생제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이와같은 화학합성 항균제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이 빈번해지고, 대부분 이들 화학합성 항균제 자체가 지니는 독성이 크기 때문에 동식물에 유해하여 화학합성 항균제의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현재 식품의 장기간 보존과 산패를 억제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 PG(propyl gallate) 및 TBHQ(tert-butyl hydroquinone) 등 인공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력이 강한 반면에, 열 안정성이 떨어지고, 유해물질을 생성하여 안정성 측면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새로운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 특히, 식품속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탐색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장 항산화능이 높아 매우 실용적인 것으로 토코페롤(tocopherol)이 있으며, 페놀(phenol)성 물질,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함황물질, 및 질소화합물 등이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식품의 산패 및 체내에서의 산화는 식품 품질과 영양가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유해 미생물에 의한 피해는 식품산업 뿐만 아니라 의약, 농업, 저장, 유통산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어서, 보다 안정성이 확보 가능한 천연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천연의 기능성 물질로서 개고사리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개고사리 추출물은,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클로로포름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개고사리 추출물은,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고, 상기 클로로포름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개고사리 추출물은,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고, 상기 클로로포름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수거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부탄올을 가한 후 부탄올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부탄올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예에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재용해시키는 물에 에탄올을 9(물):1(에탄올) 비율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개고사리의 순차 추출물 제조]
1. 에탄올 추출물
추출에 사용되는 개고사리(Athyrium niponicum)는 우리나라의 산야에 자생하는 것으로서 잎이 자리기 전의 전초(지하부)를 사용하였으며, 식물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먼저, 건조된 개고사리 600g에 에탄올 6ℓ을 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현탁한 후에 여과지로 에탄올을 여과시켜 에탄올 분획을 추출한다. 이 때, 에탄올에 미쳐 녹아나오지 못한 것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시 잔사에 6ℓ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에탄올 분획을 한번 더 추출한다. 개고사리 성분에는 극성 뿐만 아니라 무극성 성분이 존재하는데, 에탄올에는 극성 뿐만 아니라 무극성 성분도 녹아 나오므로 에탄올 추출물에는 극성 및 무극성 성분이 모두 포함된다.
2. 클로로포름 추출물상기와 같이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감압하여 농축하고 동결건조기(F/D)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한 후에, 건조된 에탄올 추출물을 물(500 ㎖) : 에탄올 = 9:1 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 500㎖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얻는다. 클로로포름은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물(수용성 분획)과 클로로포름이 구분되어 층을 이루는데, 이 때 클로로포름층만 수거하면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물에 에탄올을 소량 섞는 이유는 상기 에탄올 추출물 획득과정에서 녹아나온 무극성 물질을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서이다. 물에는 극성 성분만이 녹으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극성성분은 물에 포함되게 되고 무극성 성분은 클로로포름에 포함되게 되어 클로로포름 추출물에는 무극성 성분만 존재하게 된다.3.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상기 클로로포름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수용성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는다. 에틸아세테이트는 클로로포름보다는 덜하지만 물과 잘 섞이지 않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층만을 수거함으로써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는 클로로포름에 의해 추출되지 않은 나머지 성분 중에서 극성이 매우 약한 성분이 포함되게 된다.4. 부탄올 추출물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수용성 분획에 부탄올을 가하여 부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부탄올은 에틸아세테이트보다는 덜하지만 물과 섞이지 않으므로 부탄올층만을 수거함으로써 부탄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부탄올 추출물에는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추출되지 않은 나머지 성분 중에서 극성이 약한 성분(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경우보다 극성 경향이 더 큼)이 포함되게 된다.5. 물 추출물상기 과정을 거침으로 인해서 상기 수용성 분획에는 상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에 의하여 추출되지 않은 나머지 성분, 즉 지극히 극성인 성분만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이 물 추출물이다.[분석1; 각 순차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5가지의 순차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감압하여 농축하고 F/D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여 항균활성 측정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항균활성은 20종의 병원성 미생물을 선택하여 바우어(Bauer)의 디스크 확산(disc diffusion)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Am. J. Clin. Pathol., 45권, 495페이지, 1966년).동결건조된 각 추출물을 에탄올에 재용해시켜 멸균된 디스크(직경 8mm, Toyo Co., Japan)에 0.25 및 0.5mg/disc의 농도가 되도록 점적한 후 완전히 건조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 검정을 위해 하루 전 배양된 각 균주를 100㎕씩 평판 배지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각각의 검정균이 도포된 평판 배지상에 디스크 (disc)를 완전히 밀착시키고, 각 추출물의 확산을 위해 4℃ 냉장고에서 1시간 방치한 뒤, 37℃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disc) 주변에 나타나는 투명대의 존재와 직경을 mm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이것을 미생물 성장 억제 지역으로 결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1에 나타내었다.[표1. 개고사리의 각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값] 개고사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디스크 당 처리량이 0.25mg에서 20종의 검정균 중 16종의 검정균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항균력의 크기는 상호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다른 식물 유래 천연물질의 항균력보다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분석2;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 측정]분석1에 의하면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경우가 항균력이 특히 강하게 나타나므로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하여 만(Mann)과 마크함(Markham)의 방법을 변형하여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J. Appl. Microbiol., 84권 , 538페이지, 1998년).배지 9.9 ㎖와 추출물 100 ㎕를 혼합한 시험관에 660nm에서 흡광도값이 0.1±0.02가 되도록 현탁한 각각의 검정균을 25 ㎕접종하고, 22∼24시간 동안 37℃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 후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흡광도 값이 0.1 미만이 되어 미생물의 증식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의 농도를 미생물 최소성장억제농도로 결정하여 이를 표2에 나타내었다.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최소성장 억제농도는 5∼40ppm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천연 항균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몽씨 추출물과 대등한 항균활성을 보여 주고 있다.[표2.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 [분석3; 각 순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5가지의 순차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의 측정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Nature, 26권, 1199페이지, 1958년). DPPH 용액은 100 ㎖에탄올에 DPPH 16 mg을 녹인 후 증류수 100 ㎖를 혼합하여 여과지에 여과시켜 만들었다. 이 용액 4.9 ㎖에 일정농도의 시료용액 100 ㎕를 혼합한 후 30분 뒤, 528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100으로 하여 이 값을 1/2로 감소시키는 능력, 즉 RC50(reduce concentration 50%)을 가지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을 측정하여 이를 표3에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은 RC50 값이 20∼40ppm,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20ppm,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은 10∼20ppm으로 나타났는데 RC50의 값이 낮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표3. 개고사리의 각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값]
본 발명에 따른 개고사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 능력으로 보아, 새로운 항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작물 재배 분야에서의 항균 목적 및 식품 분야에서의 항균보존제로서의 응용이 가능하고, 또한 천연의 항균성을 지난 화장품으로의 응용가능성과 의약품 분야에서도 새로운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삭제

Claims (6)

  1.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클로로포름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
  2. 삭제
  3. 삭제
  4.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고, 상기 클로로포름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
  5. 개고사리에 에탄올을 가한 후에 에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물에 재용해하고, 여기에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고, 상기 클로로포름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수거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수거됨으로써 남은 물 분획에 부탄올을 가한 후 부탄올층을 수거하여 얻어지는 상기 부탄올층 내의 개고사리 추출물.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건조한 후에 이를 재용해시키는 물에 에탄올을 9(물):1(에탄올) 비율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고사리 추출물.
KR10-2002-0074150A 2002-11-20 2002-11-20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KR10048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150A KR100483338B1 (ko) 2002-11-20 2002-11-20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150A KR100483338B1 (ko) 2002-11-20 2002-11-20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146A KR20020095146A (ko) 2002-12-20
KR100483338B1 true KR100483338B1 (ko) 2005-04-18

Family

ID=2772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150A KR100483338B1 (ko) 2002-11-20 2002-11-20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28B1 (ko) * 2012-11-21 2014-10-08 강은영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1062B1 (ko) * 2021-11-25 2022-03-11 김형민 새우 양식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053918B (zh) * 2021-12-20 2023-09-22 山西大学 中华蹄盖蕨挥发油壳聚糖纳米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146A (ko)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eshzadeh et al. An investigation on phytochemic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xtract from Eryngium billardieri F. Delaroche
Gökbulut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of selected Inula species from Turkey
Luis et al. Bioactive compounds, RP-HPLC analysis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Portuguese shrub species extracts
Amin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proximate composition, phytochemical screening,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num usitatisimum L.(flaxseeds)
Iqbal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wlai (Amaranthus viridis L.) leaf and seed extracts
Bargougui et al. Antimicrobial, antioxidant,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 of four cactus (Opuntia ficus-indica) cultivars
ŞEN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cumin (Nigella sativa L.) seeds cultivating in different regions of Turkey
Mabrouki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Opuntia streptacantha and Opuntia ficus indica fruits pulp
Hosseini et al. Total pheno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Ferulago angulata ssp. angulata
SHARİFİ et al. The survey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fresh and dry hybrid Barberry fruits (Berberis integerrima× vulgaris)
El Mannoubi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kin and pulp of Tunisian red and yellow–orange Opuntia ficus indica fruits
Chimshirova et al. EXTRACTION OF VALUABLE COMPOUNDS FROM BULGARIAN ST. JOHN'S WORT (HYPERICUM PERFORATUM L.).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
Sayar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tioxy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nonis natrix leaves extracts
KR100483338B1 (ko)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갖는 개고사리 추출물
Zeynep et al. LC–MS/MS and RP–HPLC–UV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um italicum Miller edible and nonedible tuber parts
Almulaiky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enzyme content, phenolic conte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iphora gileadensis grown in Saudi Arabia
Sellami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different spices and plants
Bamidele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s of the methanolic leaf extracts of vegetables, fruits and medicinal plants commonly consumed in Kaduna State, Nigeria
Tabet et 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wo Algerian halophytes
Ulusoy et al.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weetgum (Liquidambar orientalis) leaf, a medicinal plant
Mammadov et 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uscari parviflorum Desf
Naz et al. Phenolic profiling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Fagonia crefica native to Pakistan
Eddine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fraction extract from Arnebia decumbens (Vent) growing in South East Algeria
Dewana et al. Test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ndaliman Fruit (Zanthoxylum Acanthopodium Dc.) Ethanol Extract With Abts Method (2, 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nd Minimum Resistant Concentration
Akhbari et al. Variation in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terocarya fraxinifolia Lam. stem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