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013A -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013A
KR20140064013A KR1020120130859A KR20120130859A KR20140064013A KR 20140064013 A KR20140064013 A KR 20140064013A KR 1020120130859 A KR1020120130859 A KR 1020120130859A KR 20120130859 A KR20120130859 A KR 20120130859A KR 20140064013 A KR20140064013 A KR 2014006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cartridge type
pants
tug
type l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김인일
김신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013A/ko
Publication of KR2014006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58Adaptations of hooks for towing; Towing-hook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8Split barges interconnected hingedly or slid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를 예인선에 체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예인선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 체결부; 및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예인선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며 암 체결부에 대응되는 수 체결부를 포함하되, 수 체결부가 암 체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 고정되어,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Connecting System For Cartridge Type LNG Barge And Tug Ship}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과 예인선에 암 체결부와 수 체결부를 마련하여, 수 체결부가 암 체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 고정되어,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경제성이 있고 친환경적인 에너지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 상태로 이송하기에는 부피로 인해 운송 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상태로 운송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액화천연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가스를 대기압에서 -162℃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시켜 그 부피를 600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서, 기체상태보다 수송 효율이 좋아서 장거리 수송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액화천연가스는 생산 플랜트의 건설 및 운반선의 건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대규모, 장거리 수송에 적용되어 왔으며, 이에 반하여, 소규모, 단거리 수송에는 파이프라인이나 CNG(Compressed Natural Gas)가 경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수송의 경우 지리적 제약이 따르며, 환경 파괴의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고, CNG는 수송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어, 극저온의 LNG를 적재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마련한 LNG carrier와 같은 선박으로 수송하는 경우가 많다.
LNG carrier 등의 운송수단으로 운송된 액화천연가스는 재기화단계를 거쳐서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로 최종 소비지에 공급된다.
이때 LNG를 재기화하는 설비에도 극저온인 LNG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구비된다.
LNG는 수송효율이 기체상태인 천연가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지만, 천연가스를 액화하는 액화플랜트와, LNG 운반선, 이를 하역하여 재기화하는 설비 모두에 극저온인 LNG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갖추어야 한다. -163℃의 극저온인 LNG는 온도변화에 민감하므로 극저온용 탱크를 갖추어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극저온에 대한 내구성을 갖춘 소재로 탱크를 제작하고 단열설비까지 갖추기 위해서는 설비에 대한 막대한 투자비용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LNG 시스템은 대규모의 공급과 수요가 있는 경우에만 경제성을 갖출 수 있었고, 중소형 규모의 시장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중소형 규모의 시장에도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경제성 있는 LNG 시스템으로써, 카트리지형 LNG 바지를 마련하여, 중복된 LNG 저장 탱크를 요하지 않고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LNG 저장 탱크를 LNG 액화플랜트 및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 설비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며 LNG 저장 설비로 활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예인선에 체결 고정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를 예인선에 체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상기 예인선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 체결부; 및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상기 예인선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암 체결부에 대응되는 수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 체결부가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 고정되어, 상기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양단부에는 상기 암 체결부 및 상기 수 체결부 중 어느 하나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는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는 LNG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접안하여,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LNG 저장탱크는 멤브레인형, IMO 독립형 B형, IMO 독립형 C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예인선에는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포드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인선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의 체결을 위한 흘수를 조절하고 상기 예인선을 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상기 예인선의 체결부분을 맞닿게 하고, 상기 수 체결부를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수 체결부는 원뿔형 돌출부재와, 상기 원뿔형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과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흘수 조절시 상기 원뿔형 돌출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고, 흘수 조절 후 상기 예인선이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체결부분에 맞닿으면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상기 예인선이 체결되어 맞닿는 부분에는 완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를 예인선에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된 예인선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예인선의 흘수를 낮추고 상기 예인선을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결합위치까지 접근시키는 단계;
2) 상기 예인선에 마련된 결합부를 상승시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 마련된 홈에 상기 결합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해수를 빼내 상기 예인선의 흘수를 높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는 LNG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접안하여,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며 상기 선수와 선미에 각각 상기 홈이 마련되어, 상기 예인선이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 양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며 내부에 LNG 저장탱크가 마련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에 체결부를 마련하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짝 체결부가 마련된 예인선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를 체결하여,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형 LNG 바지과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과 예인선에 암 체결부와 수 체결부를 마련하여, 수 체결부가 암 체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 고정되어,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A로 자른 단면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 B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몇 가지 예의 LNG 저장 탱크가 마련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예인선에 체결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며 LNG가 처리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이 체결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에서 A로 자른 단면 모습의 일부를 도 2에, 도 1에서 B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 3에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의 체결 시스템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100)를 예인선(200)에 체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 또는 예인선(20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 체결부(120)와,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 또는 예인선(200)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며 암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수 체결부(210)를 포함하되, 수 체결부(210)가 암 체결부(120)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이 체결 고정되어, 예인선(200)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는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할 수 있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양단부에는 암 체결부(120) 및 수 체결부(210) 중 어느 하나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며,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선수와 선미는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암 체결부(120) 또는 수 체결부(210)를 양단부에 마련하여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선수와 선미를 대칭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선수와 선미 중 어느 방향에서도 예인선(200)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 암 체결부(120)가, 예인선(200)에 수 체결부(210)가 각각 마련된 예를 나타내었다.
예인선(200)의 선수는 일반적인 선박에서와 같이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제작된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 역시 예인삭에 의해 예인선(200)에 연결될 때 보다 이와 같은 유선형 선수의 예인선(200)에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운송시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는 LNG 저장탱크(110)가 구비되며, LNG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터미널(RG)에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가 접안하여,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LNG 저장탱크(110)가 LNG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터미널(RG)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10)가 구비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를 제작하여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의 LNG 저장 설비로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를 예인선(200)에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효과적으로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의 체결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천연가스로부터 LNG를 액화하고 운송하여 재기화하는 LNG value chain 전체 시스템에서 LNG 저장탱크(11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액화, 운송 및 재기화 단계에서 공통된 LNG 저장탱크(1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극저온용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온도변화에 민감한 LNG를 저장하기 위해 단열설비를 갖추고 BOG(Boil Off Gas)의 재액화 설비까지 갖추어야 하여, 막대한 설비 투자비용이 소요되었던 LNG 저장탱크를 시스템의 각 단계별로 중복하여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LNG value chain이 막대한 투자비용으로 대규모 시장에서만 경제성이 있었던데 비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적용되면 설비 투자비용이 크게 절감되므로 중소형 규모의 시장에 적용할 때에도 경제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LNG 저장탱크(110)는 멤브레인형, IMO 독립형 B형, IMO 독립형 C형(110A, 110B, 110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LNG 저장탱크(110)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는 독립탱크 타입과 멤브레인 타입의 LNG 저장탱크(110)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 이러한 LNG 저장탱크(110A, 110B, 110C) 중 몇 가지 예가 마련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는 액화플랜트(LP) 또는 재기화 터미널(RG)의 접안 시설(D)에 정박하여 LNG를 선적(loading) 또는 하역(unloading)하기 위한 LNG 이송 매니폴드(manifold)(미도시)가 마련된다. LNG 이송 매니폴드(미도시)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가 정박할 액화플랜트(LP) 또는 재기화 터미널(RG)의 접안 시설(D)이 side type인지 tandem type인지에 따라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선체 좌우 양측부 또는 선수/선미에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는 LNG 저장탱크(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BOG를 처리하는 BOG 처리 설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BOG 처리 설비(미도시)는 예를 들어 BOG를 재액화하여 LNG 저장탱크(110)로 저장하는 설비일 수도 있고, 발생하는 BOG를 연소시켜 제거하는 설비 등 다양한 기능의 설비가 적용될 수 있다.
예인선(200)에는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포드 시스템(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인선(200)은, 예인선(200) 후방에 체결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를 액화 플랜트 및 재기화 터미널(RG)의 접안 시설(D)에 정박시키기 위해 후진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진과 후진이 모두 가능한 포드 시스템(미도시)을 예인선(200)에 구비한다.
예인선(200)에는 밸러스트 탱크(미도시)가 마련되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의 체결을 위한 흘수를 조절하고 예인선(200)을 이동시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의 체결부분을 맞닿게 하고, 수 체결부(210)를 암 체결부(120)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수 체결부(210)는 원뿔형 돌출부재(212)와, 원뿔형 돌출부재(212)가 삽입되는 케이스(211)를 포함하되, 예인선(200)과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흘수 조절시 원뿔형 돌출부재(212)는 케이스(211)에 삽입되고, 흘수 조절 후 예인선(200)이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체결부분에 맞닿으면 케이스(211)로부터 빠져나와 암 체결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원뿔형 돌출부재(212)가 케이스(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인선(200)을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 접근시킨 후,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예인선(200)의 흘수를 낮춘다. 흘수를 낮춘 상태에서 예인선(200)을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체결부분까지 이동시키고, 원뿔형 돌출부재(212)를 케이스(211)로부터 암 체결부(120)로 삽입되도록 한다. 원뿔형 돌출부재(212)의 삽입이 완료되면, 예인선(200)의 밸러스트 탱크에서 해수를 배출하여 예인선(200)의 흘수를 높이면서 원뿔형 돌출부재(212)가 암 체결부(120)에 완전히 밀착시킨다.
밀착된 원뿔형 돌출부재(212)와 암 체결부(120)가 예인선(200)의 이동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원뿔형 돌출부재(212)와 암 체결부(120) 표면을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 형태로 마련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장치일 수도 있다.
원뿔형 돌출부재(212)를 암 체결부(120)로 삽입시키기 위한 유압 장치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이 체결되어 맞닿는 부분에는 완충 부재(3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예인선(200)에 체결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가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하며 LNG가 처리되는 전체적인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6에는 이와 같이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가 예인선(200)에 체결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Barge)를 예인선(200)에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된 예인선(200)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예인선(200)의 흘수를 낮추고 예인선(200)을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결합위치까지 접근시키는 단계;
2) 예인선(200)에 마련된 결합부를 상승시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 마련된 홈에 결합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3)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해수를 빼내 예인선(200)의 흘수를 높여 결합부를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예인선(200)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는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의 체결 방법이 제공된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에는 LNG 저장탱크(110)가 구비되며, LNG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터미널(RG)에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가 접안하여,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LNG 저장탱크(110)가 LNG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터미널(RG)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는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며 선수와 선미에 각각 홈이 마련되어, 예인선(200)이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 양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며 내부에 LNG 저장탱크가 마련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선수와 선미에 체결부를 마련하고,
체결부에 대응하는 짝 체결부가 마련된 예인선(200)에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를 체결하여,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하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LNG 저장탱크(110)가 LNG 액화플랜트 및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과 예인선(200)의 체결 시스템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과 예인선(200)에 암 체결부(120)와 수 체결부(210)를 마련하여, 수 체결부(210)가 암 체결부(120)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간편하게 예인선(200)에 체결 고정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는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하며, 이들의 LNG 저장탱크(110)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선수와 선미는 대칭을 이루도록 제작함으로써, 선수와 선미 방향으로 모두 예인선(200)에 체결될 수 있어 수월하게 LNG 액화플랜트(LP)와 재기화 터미널(RG)을 왕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와 예인선(200)의 체결 시스템을 통해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의 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운송시간 단축에 따라 운송 중 발생하는 BOG의 양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재액화 비용도 절감된다.
이와 같은 체결 시스템이 적용된 카트리지형 LNG 바지(100)를 통해,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설비에는 극저온인 LNG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 설비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화플랜트(LP) 및 재기화 설비에서 저장 설비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중소형 규모의 시장에 적용하더라도 경제성을 갖출 수 있어, 중소형 규모의 시장에도 LNG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카트리지형 LNG 바지
110: LNG 저장탱크
120: 암 체결부
200: 예인선
210: 수 체결부
211: 케이스
212: 원뿔형 돌출부재
300: 완충 부재
LP: 액화플랜트
RG: 재기화 터미널
D: 접안 시설

Claims (12)

  1.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를 예인선에 체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상기 예인선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 체결부; 및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 또는 상기 예인선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암 체결부에 대응되는 수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 체결부가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이 체결 고정되어, 상기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양단부에는 상기 암 체결부 및 상기 수 체결부 중 어느 하나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는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는 LNG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접안하여,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저장탱크는 멤브레인형, IMO 독립형 B형, IMO 독립형 C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선에는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포드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선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의 체결을 위한 흘수를 조절하고 상기 예인선을 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상기 예인선의 체결부분을 맞닿게 하고, 상기 수 체결부를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는
    원뿔형 돌출부재; 및
    상기 원뿔형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과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흘수 조절시 상기 원뿔형 돌출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고, 흘수 조절 후 상기 예인선이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체결부분에 맞닿으면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암 체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상기 예인선이 체결되어 맞닿는 부분에는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9. 카트리지형 LNG 바지(Barge)를 예인선에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된 예인선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워 예인선의 흘수를 낮추고 상기 예인선을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결합위치까지 접근시키는 단계;
    2) 상기 예인선에 마련된 결합부를 상승시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 마련된 홈에 상기 결합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해수를 빼내 상기 예인선의 흘수를 높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홈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에 체결 고정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에는 LNG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가 접안하여,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는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며 상기 선수와 선미에 각각 상기 홈이 마련되어, 상기 예인선이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 양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방법.
  12. 선수와 선미가 대칭을 이루며 내부에 LNG 저장탱크가 마련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선수와 선미에 체결부를 마련하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짝 체결부가 마련된 예인선에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를 체결하여, LNG 액화플랜트와 재기화 터미널을 왕복하면서 상기 카트리지형 LNG 바지의 상기 LNG 저장탱크가 상기 LNG 액화플랜트 및 상기 재기화 터미널의 LNG 저장을 위한 설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KR1020120130859A 2012-11-19 2012-11-19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KR20140064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59A KR20140064013A (ko) 2012-11-19 2012-11-19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59A KR20140064013A (ko) 2012-11-19 2012-11-19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13A true KR20140064013A (ko) 2014-05-28

Family

ID=5089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59A KR20140064013A (ko) 2012-11-19 2012-11-19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9367A1 (fr) * 2021-01-29 2022-08-05 Technifrance Plateforme flottante, procédés de désassemblage et d’assemblage associé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9367A1 (fr) * 2021-01-29 2022-08-05 Technifrance Plateforme flottante, procédés de désassemblage et d’assemblage associé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AU2017207324B2 (en) Natural gas liquefaction vessel
AU2007295027B2 (en) Transporting and managing liquefied natural gas
WO2009008301A1 (ja)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および液化天然ガスの海上輸送方法
US8141645B2 (en) Offshore gas recovery
CN104608880A (zh) 一种大型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KR102086024B1 (ko) 액화 천연 가스 lng 탱커 트럭 운반용 바지선
KR20130009460A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20160036838A (ko) 선박의 lng 벙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4013A (ko) 카트리지형 lng 바지와 예인선의 체결 시스템
CN204297030U (zh) 大型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KR20140148144A (ko)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102333068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1996278B1 (ko) 카트리지형 lng 바지를 이용한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시스템 및 액화 플랜트의 lng 저장 및 운송 방법
US20180134346A1 (en) Box shaped bilge keel
KR101775041B1 (ko) 부유식 저장장치
KR102372752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선외 전기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239826B1 (ko) 해상 천연가스 액화 및 저장 구조물 및 방법
JP4426367B2 (ja) ガスハイドレート海上輸送方法及びガスハイドレート海上輸送船
KR20140064219A (ko) Lng 재기화 터미널 시스템
KR102055398B1 (ko) 카트리지형 lng 바지를 이용한 lng 처리 시스템
KR20120027790A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102333069B1 (ko)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CN112805217A (zh) 船舶的制造方法
KR101483463B1 (ko) 선박의 연안 액화공정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