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930A -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930A
KR20140062930A KR1020120129247A KR20120129247A KR20140062930A KR 20140062930 A KR20140062930 A KR 20140062930A KR 1020120129247 A KR1020120129247 A KR 1020120129247A KR 20120129247 A KR20120129247 A KR 20120129247A KR 20140062930 A KR20140062930 A KR 2014006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lectric wire
connecting means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경
Original Assignee
박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경 filed Critical 박혜경
Priority to KR102012012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930A/ko
Publication of KR2014006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수단은 일단에는 볼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결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제1연결수단의 볼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게 체결되는 볼결합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제1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하좌우로 요동치는 곳의 전선을 서로 연결하면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휘어지므로 전기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케이블 연결장치{The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력케이블은 전기를 전달시킨다. 이때 전달되는 전기의 세기가 클수록 전력케이블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파력발전기의 경우 바다에서 파도의 힘에 의해서 바다에서 전기를 생산하며, 파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는 육지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바다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지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력케이블이 이용된다. 이때 파력발전기에 설치된 전선과, 육지에서 바다로 연결된 전선을 서로 연결시켜서 파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지로 전달시킨다.
그런데 파력발전기의 용량이 클 경우 케이블의 굵기가 굵어진다. 한편 파력발전기는 파도의 힘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므로 파도의 움직임처럼 상하좌우의 요동이 심하다. 그래서 전력케이블을 파력발전기에 연결시키면 전력케이블도 상하좌우로 요동을 치게 된다. 그런데 전력케이블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유연성이 떨어진다. 한편, 전선과 전선을 연결시키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도 유연하게 휘어지지 못한다. 그래서 일정시간 사용되면 전력케이블이 손상되거나 또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전력케이블 및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없으므로 파력발전기와 같이 상하좌우로 요동을 치는 경우에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로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를 전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요동치는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휘어질 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수단은 일단에는 볼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결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제1연결수단의 볼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게 체결되는 볼결합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제1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볼이 상기 볼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볼을 상기 볼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볼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볼은 상기 볼이나 상기 볼결합부의 일측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압볼이 돌출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일단은 상기 볼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볼결합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볼과 상기 볼결합부를 잡아당기는 탄성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과, 중간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수단은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1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결수단은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2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연결수단은 일단에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부와 힌지결합된 제1힌지결합부와, 타단에는 상기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돌기부와 힌지결합된 제2힌지결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1힌지결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제1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2돌기부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돌기부를 상기 제2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볼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볼은 상기 제1돌기부나 상기 제1힌지결합부의 일측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압볼이 돌출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머리부와, 핀과, 너트와, 이탈방지핀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핀은 상기 머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힌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너트는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힌지결합부가 상기 머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핀에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핀은 상기 너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핀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너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제1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의 일 측면 및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상기 제1연결수단에 삽입된 전선에서부터 상기 제2연결수단에 삽입된 전선까지 감싸서 밀봉시키는 유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은 감싸는 전선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연관의 양단을 압박하도록 감싸는 벨트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부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삽입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이 상기 전선을 다단으로 감싸도록 상기 유연관을 다단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하좌우로 요동치는 곳의 전선을 서로 연결하면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휘어지므로 전기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관을 구비하여 내부가 방수되도록 밀폐를 시키므로 수중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서 파력발전장치 등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연결수단과 중간연결수단의 결합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연결수단(10)과, 제2연결수단(20)을 포함한다.
제1연결수단(10)은 일단에는 볼(11)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13)를 구비한다. 전선삽입부(13)에 전선(1)이 삽입된 경우 볼트(15)를 사용하여 전선(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연결수단(20)은 일단에는 제1연결수단(10)의 볼(1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게 체결되는 볼결합부(21)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23)를 구비한다. 제2연결수단(20)의 전선삽입부(23)의 경우에도 전선(3)이 삽입되면 볼트(15)를 사용하여 전선(3)을 전선삽입부(23)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연결수단(10)의 전선삽입부(13)에 삽입된 전선(1)에서 제2연결수단(20)의 전선삽입부(23)에 삽입된 전선(3)까지 전기를 통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1연결수단(10) 및 제2연결수단(20)은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수단(10)과 제2연결수단(20)은 볼 결합하므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1)이 제1연결수단(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전선(3)이 제2연결수단(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전선(1)에서 전선(3)으로 전기가 전달될 수 있다. 그래서 요동치는 부위에 본 실시예의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를 사용하면 전력케이블 연결장치가 변형을 받으므로 전선(1) 및 전선(3)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가압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전선(1)에서 전선(3)으로 전기를 전달시켜야 하므로 제1연결수단(10)과 제2연결수단(20)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수단(30)은 볼(11)이 볼결합부(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볼(11)을 볼결합부(21)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수단(30)은 가압볼(31)과 스프링(33)을 구비한다. 볼결합부(21)에 삽입되는 볼(31)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가압볼(31)은 볼(3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스프링(33)은 볼(3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가압볼(31)이 돌출되도록 지지한다. 그래서 스프링(33)에 의하여 가압볼(31)이 돌출되면서 볼결합부(21)를 압박한다. 그러면 그 반력이 볼(11)에 작용하여 볼(11)이 볼결합부(21)에 접촉하도록 볼(11)을 가압한다. 그래서 볼(11)과 볼결합부(21)의 접촉을 항상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수단(30)은 볼(11)에 삽입되었지만 볼결합부(21)에 홈이 형성되어 볼결합부(21)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압수단(30)은 가압볼(31)과 스프링(33)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수단(30)은 탄성와이어(35)로 구성된다.
탄성와이어(35)는 일단(35a)은 제1연결수단(10)의 볼(11)에 삽입되고, 타단(35b)은 제2연결수단(20)의 볼결합부(21)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볼(11)과 볼결합부(21)를 잡아당긴다. 즉 탄성와이어(35)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인장력으로 볼(11)과 볼결합부(21)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볼(11)과 볼결합부(21)의 접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력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연결수단(50)과, 제2연결수단(55)과, 중간연결수단(60)과, 가압수단(70)을 포함한다.
제1연결수단(50)은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1돌기부(51)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53)를 구비한다.
제2연결수단(55)은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2돌기부(57)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59)를 구비한다.
중간연결수단(60)은 일단에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연결수단(50)의 제1돌기부(51)와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결합부(61)와, 타단에는 상기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연결수단(55)의 제2돌기부(57)와 힌지결합된 제2힌지결합부(63)를 구비한다. 제1힌지결합부(61)와 제2힌지결합부(63)는 연결핀(65)을 제1연결수단(50) 및 제2연결수단(55)과 결합될 수 있다.
가압수단(70)은 제1돌기부(51)와 제1힌지결합부(61)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1돌기부(51)를 제1힌지결합부(61)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수단(70)은 가압볼(71)과 스프링(73)을 구비한다. 제1힌지결합부(61)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가압볼(71)은 제1힌지결합부(61)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스프링(73)은 제1힌지결합부(61)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가압볼(71)이 돌출되도록 지지한다. 그래서 스프링(73)에 의하여 가압볼(71)이 돌출되어 제1돌기부(51)를 압박한다. 그러면 제1힌지결합부(61) 및 제1돌기부(51)가 스프링(73)의 압력에 의해서 서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수단(70)은 제1힌지결합부(61)에 삽입되었지만 반대로 제1돌기부(51)에 홈이 형성되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수단(70)은 제2돌기부(53)와 제2힌지결합부(63)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2힌지결합부(63)에도 삽입된다. 그래서 가압수단(70)에 의해서 제1연결수단(50)과 중간연결수단(60)과 제2연결수단(55)의 결합부는 그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연결수단(50)과 중간연결수단(60) 및 제2연결수단(55)이 결합되면 제1연결수단(50)은 일축을 중심으로 중간연결수단(6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제2연결수단(55)은 일축과 수직인 타축을 중심으로 중간연력수단(6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연결수단(50)의 전선삽입부(53)에 삽입된 전선(1)에서 제2연결수단(55)의 전선삽입부(59)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연결수단(50)과, 중간연결수단(50) 및 제2연결수단(55)은 모두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가압수단(70)이 차이 나며, 이 경우 가압수단(70)은 머리부(75)와, 핀(77)과, 너트(78)와, 이탈방지핀(79)과, 스프링(81)과, 가압판(83)을 구비한다.
핀(77)은 머리부(75)에서 돌출되어 제1돌기부(51) 및 제1힌지결합부(61)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래서 핀(77)을 제1돌기부(51) 및 제1힌지결합부(61)에 삽입시키면 머리부(75)가 제1돌기부(51)의 외측에 접촉한다. 너트(78)는 제1돌기부(51) 및 제1힌지결합부(61)가 머리부(75)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핀(77)에 결합된다. 그래서 너트(78)을 핀(77)에 결합시키면 제1돌기부(51) 및 제1힌지결합부(61)가 핀(77)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탈방지핀(79)은 너트(78)가 분리되지 않도록 핀(77)의 단부에 결합된다. 스프링(81)은 머리부(75)와 너트(78)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돌기부(51)를 제1힌지결합부(61)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돌기부(51)와 제1힌지결합부(61)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를 가압한다. 가압판(83)은 스프링(81)의 가압력으로 제1힌지결합부(61)를 가압하도록 스프링(81)의 단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수단(70)에 의하여 제1연결수다(50)의 제1돌기부(51)와 중간연결수단(60)의 제1힌지결합부(61)는 그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수단(70)은 제2연결수단(55)의 제2돌기부(57)와 중간연결수단(60)의 제2힌지결합부(63)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2돌기부(57)와 제2힌지결합부(63)에도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유연관(40)을 더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는 밀폐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방수가 되지 아니하여 물속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유연관(40)은 제1연결수단(10)과 제2연결수단(20)으로 연결되는 전선(1, 3)을 밀폐시켜 물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유연관(40)은 제1연결수단(10)에 삽입된 전선(1)에서부터 제2연결수단(20)에 삽입된 전선(3)까지 감싸서 밀봉시킨다. 유연관(40)은 제1연결수단(10) 및 제2연결수단(20)과 함께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자브라 타입으로 요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관(40)이 감싸는 전선(1, 3) 내부를 확실히 밀폐시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을 압박하도록 감싸는 벨트링(4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유연관(40)이 감싸면 제1연결수단(10), 제2연결수단(20), 제1연결수단(10) 및 제2연결수단(20)에 결합되는 전선(1, 3)이 밀폐되므로 물속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파력발전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연관(4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유연관(40)이 제1연결수단(10)과 제2연결수단(20)을 한 번 밀폐시켰지만, 그 밀폐기능을 확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유연관(40)이 한번 더 감싼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유연관(40)이 다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 : 제1연결수단 11 : 볼
13 : 전선삽입부 15 : 볼트
20 : 제2연결수단 21 : 볼결합부
23 : 전선삽입부 30 : 가압수단
31 : 가압부 33 : 스프링
35 : 탄성와이어 35a : 일단
35b : 타단 40 : 유연관
41 : 벨트링 50 : 제1연결수단
51 : 제1돌기부 53 : 전선삽입부
55 : 제2연결수단 57 : 제2돌기부
59 : 전선삽입부 60 : 중간연결수단
61 : 제1힌지결합부 63 : 제2힌지결합부
65 : 연결핀 70 : 가압수단
71 : 가압부 73 : 스프링
75 : 머리부 77 : 핀
78 : 너트 79 : 이탈방지핀
81 : 스프링 83 : 가압판

Claims (12)

  1. 일단에는 볼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수단과,
    일단에는 상기 제1연결수단의 볼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게 체결되는 볼결합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 상기 볼결합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볼을 상기 볼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볼이나 상기 볼결합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가압볼과,
    상기 가압볼이 돌출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일단은 상기 볼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볼결합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볼과 상기 볼결합부를 잡아당기는 탄성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5.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1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수단과,
    일단에는 단부가 돌기된 제2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수단과,
    일단에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부와 힌지결합된 제1힌지결합부와, 타단에는 상기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돌기부와 힌지결합된 제2힌지결합부를 구비한 중간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의 전선삽입부에 삽입된 전선까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1힌지결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제1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2돌기부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2돌기부를 상기 제2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1돌기부나 상기 제1힌지결합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가압볼과,
    상기 가압볼이 돌출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힌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과,
    상기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힌지결합부가 상기 머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핀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핀의 단부에 결합된 이탈방지핀과,
    상기 머리부와 상기 너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돌기부를 상기 제1힌지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에 삽입된 전선에서부터 상기 제2연결수단에 삽입된 전선까지 감싸서 밀봉시키는 유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은 감싸는 전선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연관의 양단을 압박하도록 감싸는 벨트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부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삽입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관이 상기 전선을 다단으로 감싸도록 상기 유연관을 다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KR1020120129247A 2012-11-15 2012-11-15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KR20140062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47A KR20140062930A (ko) 2012-11-15 2012-11-15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247A KR20140062930A (ko) 2012-11-15 2012-11-15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930A true KR20140062930A (ko) 2014-05-27

Family

ID=5089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247A KR20140062930A (ko) 2012-11-15 2012-11-15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93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38B1 (ko) 2015-09-10 2017-01-03 주식회사 건원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KR101877813B1 (ko) * 2014-09-04 2018-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877815B1 (ko) * 2014-09-04 2018-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17184258A3 (en) * 2016-04-22 2018-07-26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Breakaway railcar power connector
KR20180087074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건원 난연 신소재로 이루어진 감온변색 직선접속재
USD833978S1 (en) 2016-04-22 2018-11-2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Rail car power connector
KR102214184B1 (ko) 2020-06-19 2021-02-08 정해양 케이블 접속장치 및 접속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13B1 (ko) * 2014-09-04 2018-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877815B1 (ko) * 2014-09-04 2018-07-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1692638B1 (ko) 2015-09-10 2017-01-03 주식회사 건원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WO2017184258A3 (en) * 2016-04-22 2018-07-26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Breakaway railcar power connector
USD833978S1 (en) 2016-04-22 2018-11-2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Rail car power connector
US10199766B2 (en) 2016-04-22 2019-02-05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Breakaway railcar power connector
USD898672S1 (en) 2016-04-22 2020-10-13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 connector
USD900751S1 (en) 2016-04-22 2020-11-03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 connector
KR20180087074A (ko)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건원 난연 신소재로 이루어진 감온변색 직선접속재
KR102214184B1 (ko) 2020-06-19 2021-02-08 정해양 케이블 접속장치 및 접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2930A (ko) 전력케이블 연결장치
CN105406286B (zh) 具有电缆出口区垫圈的连接器模块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399070B1 (ko) 수중케이블커넥터
JPWO2011055806A1 (ja) モータケースに設置されたインバータ端子台
CN101304136A (zh) 具有多个构造的紧密封电连接装置
JP2009032589A (ja) 電気器具、及び該電気器具の製造方法
JP2011102825A5 (ko)
CN101861540A (zh) 光缆终端装置
KR20130134146A (ko) 케이블 정착 장치
JP2012243636A (ja) コネクタ
JPWO2014181841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CN102865210A (zh) 用于密封式压缩机的紧固连接终端
CN202050226U (zh) 水下线缆接头保护套
CN109428185A (zh) 背板连接器组件及背板连接器用密封组件
CN218586864U (zh) 海缆锚固装置
CN103944136A (zh) 水下平台电缆密封装置
CN103545655B (zh) 用于在电缆和传感器之间产生电接触的接触系统和方法
CN201629546U (zh) 防水接头
CN204167826U (zh) 一种有利于接线效率的防爆接线盒
CN208923439U (zh) 一种用于低压岸电连接的电力连接器
CN206460871U (zh) 一种应用于电子元器件的防火防爆保护罩
CN105428897A (zh) 一种封装电线接头的装置
CN214340644U (zh) 一种具有防水结构的加热饭盒
CN206546379U (zh) 加速度传感器组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