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896A -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896A
KR20140061896A KR1020120129081A KR20120129081A KR20140061896A KR 20140061896 A KR20140061896 A KR 20140061896A KR 1020120129081 A KR1020120129081 A KR 1020120129081A KR 20120129081 A KR20120129081 A KR 20120129081A KR 20140061896 A KR20140061896 A KR 20140061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pening
pulling
closing
wi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광
Original Assignee
백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광 filed Critical 백정광
Priority to KR102012012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896A/ko
Publication of KR2014006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을 보온할 수 있는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복수개의 지지대에 지지되고 개폐되는 보온덮개를 지지대에 각각 구비된 견인와이어의 견인을 통해 개폐함으로써 안정된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를 구비하여 보온덮개를 좀 더 쉽고 편리하게 개폐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소정 간격으로 병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개폐되는 보온덮개; 상기 보온덮개에 연결되어 개폐동작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 및 동력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견인와이어는 상기 보온덮개의 폐쇄동작을 견인하는 제1견인와이어부와,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2견인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와이어는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폐쇄와이어부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개방와이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COVER SYSTEM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을 보온할 수 있는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복수개의 지지대에 지지되고 개폐되는 보온덮개를 지지대에 각각 구비된 견인와이어의 견인을 통해 개폐함으로써 안정된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를 구비하여 보온덮개를 좀 더 쉽고 편리하게 개폐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닐하우스를 통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작물의 성장 촉진 또는 계절이나 밤낮의 변화에 따른 일교차에 의하여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비닐하우스내의 작물을 직접 보온할 수 있는 소형 비닐하우스를 구비하고, 상기 소형 비닐하우스를 덮는 보온덮개를 설치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보온덮개의 개폐작업을 반복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술한 보온덮개의 개폐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수작업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인력이 소모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는
종래에는 상술한 보온덮개의 개폐를 수작업으로 행하였으나, 공개특허 제10-2000-0056378호(공개일자 2000.09.15.)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다수의 골주가 다수의 층으로 배치되고 각층의 골주에 비닐을 씌워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메인로프와 가지로프, 상기 골주의 정상에는 양단에 골주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지로프를 안내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에 의하여 유도되어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롤러로 구성되는 메인롤러부재, 상기 골주의 정상과 최하단 사이에는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제1롤러에 의하여 유도되는 가지로프를 안내하는 다수의 보조롤러부재 ,상기 보조롤러부재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지로프를 메인로프에 각각 연결됨과 가지로프의 하단을 상기 비닐의 최하단 가장자리부에 다수개 연결되며 상기 비닐을 적층할 수 있는 다수의 비닐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롤러부재의 제2롤러에 의하여 유도되는 가지로프가 메인로프에 각각 연결되며 메인로프의 일측 연부를 수동윈치 또는 동력윈치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프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큰 비닐하우스 내의 복수의 작은 비닐하우스의 비닐을 개폐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036미도시호(등록일자 2005.07.15.)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거적을 덮거나 벗기기 위한 견인 로울러와 안내 링 및 거적 개폐 줄 안내구가 결합된 가이드 레일을 비닐하우스내의 버팀대 사이에 각각 설치한 것과; 상기 가이드 레일상의 안내 링에 일단이 고정되고, 지지 줄이 연결된 또 다른 안내 링과 거적 개폐 줄 안내구의 로울러에 안내되면서 승강 유도편이 끼움된 거적 개폐 줄과; 거적의 일측이 고정되는 견인 로울러에 일단이 고정되고 안내 링과 거적 개폐 줄 안내구의 로울러에 안내되는 거적 개폐 줄을 각각 견인 줄에 고정한 것과; 상기 견인 줄의 양끝을 정ㆍ역 회전하는 모터로부터 구동되는 구동축의 양측 체인기어와 지지대에 결합된 체인기어에 연결된 체인에 각각 고정시켜 거적을 덮거나 벗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거적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399139호(등록일자 2005.10.12.)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통로 양측에 제1안내롤러와 제2안내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부재와; 회전봉과, 회전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고, 레일부재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와인딩장치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레일부재 상부에 덮혀지되, 레일부재 설치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보온덮개와; 와인딩장치의 회전봉에 일측이 감겨 있고, 제1안내롤러에 일부 감겨 레일부재의 가이드통로 내부 바닥면을 통과한 다음 제2안내롤러에 일부 감겨 있으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핀이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보온덮개로 하여금 비닐하우스를 덮게 하는 제1와이어부재와; 와인딩장치의 회전봉에 일측이 감겨 있고, 보온덮개의 외주면 측을 통해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온덮개를 개방시키는 제2와이어부재; 로 구성되는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밖에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85371호(등록일자 2007.02.1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대형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비닐하우스 상부에 부직포 등의 보온덮개를 자동으로 덮거나 또는 이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소형비닐하우스 보온덮개 자동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소형비닐하우스 보온덮개 자동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은 와이어로프를 당기기 위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2 모터와; 제 1 모터에 의해 당겨지고 일측에 이동롤러가 구성되는 제 1와이어로프와; 보온덮개와 결합되어 상기 보온덮개를 위로 끌어 당기는 제 2와이어로프와; 대형비닐하우스 골조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 1, 2와이어로프를 안착시키는 상부 고정롤러와; 측면 골조에 설치 고정되어 제 1와이어로프를 안착시키는 측면 고정롤러와; 제 2와이어로프가 안착되고 제 1와이어로프 에 고정되어 제 1와이어로프와 동기 하여 움직이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소형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자동개폐 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 및 고안은 보온덮개(거적 포함)를 개폐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 줄) 등의 부재가 비닐하우스 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보행을 방해하거나 재배 작업을 행하기 어렵고, 상기 와이어 등의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 부재가 비닐하우스 상부에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골조가 휘어지거나 뒤틀리기 쉬우며, 보온덮개 개폐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소형 비닐하우스의 골조외의 별도 가이드부재 등의 설치가 필요하여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형 비닐하우스 내의 소형 비닐하우스의 골조로 이용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활용하고, 보온덮개를 개폐시키는 견인와이어 및 메인와이어 등이 대형 비닐하우스 상부 또는 소형 비닐하우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행로 등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대형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작업이 방해 받지 않도록 보온덮개를 개폐시키는 견인와이어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를 소형 비닐하우스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온덮개의 개방 시 보온덮개가 일측으로 쏠려 개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균형 있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소형 비닐하우스 내의 작물의 일조량을 안정되게 확보하지 못해 작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와이어의 견인에 의하여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을 보조하는 보조와이어를 구비한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메인와이어를 동력장치로 안내하는 안내롤러에 상기 견이와이어 및 상기 보조와이어가 동반하여 상기 안내롤러로 안내되어 와이어 상호간에 엉킴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회롤러들로 구성되는 착종(錯綜) 방지 수단을 구비한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온덮개의 개방 시 보온덮개가 뭉치거나 위치가 역전되어 보온덮개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덮개가 중첩되어 차곡차곡 포개어지도록 상기 견인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링을 구비한 보온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소정 간격으로 병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개폐되는 보온덮개;
상기 보온덮개에 연결되어 개폐동작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 및
동력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견인와이어는 상기 보온덮개의 폐쇄동작을 견인하는 제1견인와이어부와,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2견인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와이어는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폐쇄와이어부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개방와이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와이어는 일측 말단이 상기 보온덮개에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1보조와이어부와, 상기 개방와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제2보조와이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서 상기 견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연결부 및 상기 보조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연결부에는 상기 와이어들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와이어 및 상기 보조와이어를 우회시켜 상기 메인와이어와 연결되도록 하는 우회롤러들로 구성되는 착종(錯綜) 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서 상기 보온덮개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내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는 상기 안내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소형 비닐하우스를 형성하는 지지대에 지지되어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견인와이어 및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를 도입함으로써, 보온덮개를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보행로나 작업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보온덮개의 균형있고 안정된 개방이 이루어져 소형 비닐하우스 내 작물의 일조량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우회롤러들로 구성되는 착종 방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견인와이어 또는 상기 보조와이어가 상기 메인와이어를 동력장치로 안내하는 안내롤러에 동반되어 견인되지 않아 와이어 상호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복수개의 안내링을 구비한 보온덮개를 도입하여, 보온덮개 개방 시 보온덮개가 개방 순서에 따라 차곡차곡 중첩되어 포개어짐으로써, 보온커버의 뭉침 등으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의 지지대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와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 의한 개폐 상태를 각각 개략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의 착종 방지 수단을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의 커버를 투영하여 개략 도시한 정면 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보이는 부분을 정면으로 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 덮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하에서는 하나의 지지대를 대표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있고, 이는 소형 비닐하우스 전체에 배열된 다수의 지지대 중 일부만을 대표하여 설명하는 것으로써, 다수의 지지대 모두에 각각 적용가능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시스템이 완성된다.
설명에 앞서 통상적으로 소형 비닐하우스(H1)는 대형 비닐하우스(H2) 내부에 복수개가 다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비닐하우스(H1)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보행하고 작업할 수 있는 보행로(R)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형 비닐하우스(H2)내에 두개의 소형 비닐하우스(H1)가 형성되어 있고, 소형 비닐하우스(H1)간의 사이에 작업자가 통행하고,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보행로(R)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형 비닐하우스와 소형 비닐하우스 사이(대형 비닐하우스의 양측 내부)에는 소정간격의 이격공간(B)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소형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의 형상을 갖고 양말단이 지반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대(10)가 대형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열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소형 비닐하우스 내부에는 작물 재배를 위하여 두둑(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둑에 작물을 파종하여 재배가 행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형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지지벽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흙더미가 게재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상기 두둑은 소형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대 안의 지표면위에 형성되는 흙더미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은
소정 간격으로 병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대(10);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개폐되는 보온덮개(20);
상기 보온덮개(20)에 연결되어 개폐동작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30); 및
동력 장치(M)와 연결되어 상기 견인와이어(30)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하우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대형 비닐하우스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및 일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대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보온덮개 개폐상태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의 착종 방지 수단을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도면 중 도 3 내지 도 5는 소형비닐하우스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견인와이어, 메인와이어 및 보조와이어는 정면이 아닌 우측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소형 비닐하우스는 대형 비닐하우스(H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소형 비닐하우스(H1)의 골조로서 기능을 갖는 것과 동시에,
단면 형상이 "U" 자 형으로 이루어진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견인와이어(30)를 지지, 안내하는 지지롤러(12)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견인와이어(30)의 보온덮개(20) 개폐 견인을 보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U"자 형 의 단면 형상뿐만 아니라, 도 2의 최 상측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ㄷ"자 형으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지지롤러(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을 축설할 수 있고 상기 지지롤러가 안착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지지롤러는 회전 방향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지지홈(11)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견인와이어(30)의 안정된 진퇴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11)은 후술하는 안내롤러(47), 보조롤러(53) 및 제1전환롤러(43) 등의 모든 롤러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각각의 구성 와이어의 안정된 진퇴운동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보온덮개(20)는 상기 지지대(10)에 지지되어 소형 비닐하우스(H1) 내부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직접 보온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닐, 거적 기타 보온이 가능한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덮개(20)는 대형비닐하우스 내의 이격공간(B),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소형 비닐하우스(H1)의 양 외측 이격공간(B) 모두에 보온덮개 폐쇄 시 적층되어 작물의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참고)
그리고 상기 보온덮개(20)는 하면 일측에 상기 견인와이어(30)가 고정, 결합되는 제1고정부(30A)를 갖고, 상기 견인와이어(30)의 진퇴운동에 의하여 상기 보온덮개는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견인와이어(30)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온덮개(20)의 폐쇄동작을 견인하는 제1견인와이어부(31)와,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와 연결되고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을 견인하는 제2견인와이어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는 소형 비닐하우스 내부에 형성된 두둑(F) 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는 상기 지지대의 지지롤러(12)에 지지, 안내되어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을 견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일부가 두둑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는 상기 지지대(10)의 지지롤러(12)에 지지, 안내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는 상기 보온덮개(20)의 개폐 동작에 따른 구분으로써, 와이어의 일점을 특정하여 구분하는 지칭이 아니며, 상기 견인와이어부(30)의 진퇴에 따라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는 상기 지지대(10)의 지지롤러(12)에 지지,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덮개(20)와 상기 제1, 제2견인와이어부(31)(32)는 견인부(30B)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부(30B)는 상기 보온덮개(20)의 제1고정부(30A)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견인와이어부의 견인에 따라 상기 보온덮개를 직접 개폐시킬 수 있다.
즉,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개폐 견인 시 상기 견인부(30B)는 견인하는 방향에 따라 유동됨으로써, 상기 견인와이어는 보온덮개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좌측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부(30B)와 상기 보온덮개의 제1고정부(30A)는 상기 보온덮개의 말단과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덮개의 말단과 이격되어 상기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유동가능한 견인부를 통해 견인와이어와 보온덮개가 연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시스템은 보온덮개 폐쇄 완료 시 보온덮개가 소형 비닐하우스에 미폐쇄 공간이 없도록 덮을 수 있어 보온덮개의 보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와이어(40)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개폐 견인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대형 비닐하우스 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와이어(40)는 상기 제1견인와이어(31)와 연결되어 상기 보온덮개(20)의 폐쇄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폐쇄와이어부(41)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32)와 연결되어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개방와이어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폐쇄와이어부(41)와 상기 개방와이어부(42)는 이격공간(B)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있되, 폐쇄와이어부는 지지대의 내측에 형성되고 개방와이어부는 이격공간(B)에 형성되어 하나의 메인와이어(40)가 상기 이격공간(B)의 말단에서 롤러 등의 방향전환수단(도면미도시)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폐쇄와이어부(41) 및 상기 개방와이어부(42)의 보온덮개(20) 개폐를 위한 진퇴운동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진퇴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 및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는 일방향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일방향 운동에 의해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 및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는 상기 보온덮개(20)를 견인하여 개폐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1의 중앙 상측 일점쇄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와이어(40)의 진퇴운동을 위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동력 장치(M)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핸들 등을 통한 수동 동력 장치 또는 모터 등의 자동 동력 장치(M)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감안하였을 때 모터 등의 자동 동력 장치(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대형 비닐하우스(H2) 내부의 공간 확보 및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온덮개(20)의 편리한 개폐동작이 가능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동력 장치(M)는 대형 비닐하우스(H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개폐 시스템은 상기 동력 장치가 설치되는 지주(M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주(M1)의 개수나 축설 방식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나, 도 1에서는 동력장치의 안정된 설치와, 후술하는 안내롤러에 의한 상기 메인와이어의 원활한 진퇴운동을 위하여 대형 비닐하우스의 양외측에서 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최상단을 향하서 축설된 지주(M1)가 두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폐 시스템은 대형 비닐하우스(H2) 상부(상기 지주(M1)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동력 장치(M)와 이격공간(B)에 형성되는 메인와이어(4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메인와이어(40)를 상기 동력 장치(M)로 안내하는 안내롤러(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지주(M1) 말단에 축설되어 상기 메인와이어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와이어(40)는 한 쌍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롤러(47) 역시 한 쌍으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47)는 폐쇄와이어부(41)가 경유되는 제1안내롤러(47a)와 개방와이어부(42)가 경유되는 제2안내롤러(47b)로 이루어지고,
지주를 따라 형성된 두개의 와이어부가 이격되어 상호 간섭을 하지 않도록 상기 지주(M1)는 내부와 외부가 격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안내롤러(47a)는 상기 지주의 내측에 축설되어 상기 폐쇄와이어부(41)를 안내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47b)는 상기 지주의 일외측에 축설되어 상기 개방와이어부(42)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는 내부에서 진퇴운동을 하는 폐쇄와이어부(41)가 후술하는 동력장치의 체인부(49)에 안정되게 결합되기 위하여 폐쇄와이어부(41)를 상기 개방와이어부(41)가 위치하는 일외측의 반대편, 즉, 지주의 타외측으로 안내하는 제3안내롤러(47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안내롤러(47c)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에서는 두 개의 제3안내롤러(47c)를 구비하여 상기 폐쇄와이어부를 지주의 타외측(개방와이어부가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안내롤러의 축설방법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장치(M)는 동력전달을 위한 스프로킷(S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와이어(40)는 상기 동력 장치(M)의 스프로킷(S1)과의 결합을 위한 체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인부는 상기 보온덮개의 개폐 견인을 위한 이동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의 우측 상부 일점쇄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주(M1)에 상기 동력장치의 스프로킷과 대응하는 대응스프로킷(S2)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장치의 스프로킷 및 상기 대응스프로킷(S2)에 연결된 체인부(49)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부(49)와 상기 메인와이어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와이어부 및 상기 폐쇄와이어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진퇴운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개방와이어부 및 상기 폐쇄와이어부와 상기 체인부(49)의 연결부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 장치(M)의 스프로킷(S1)과 상기 체인부(49)는 종래의 스프로킷 및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뿐만 아니라, 타이밍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수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소형 비닐하우스(H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력 장치(M)의 스프로킷(S1)을 병렬 배열하고 본 발명의 개폐 시스템을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소형 비닐하우스(H1)의 보온덮개(20)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시스템이 상호 대칭된다는 표현은 상기 폐쇄와이어부(41) 한 쌍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와이어부(42) 한 쌍이 상기 폐쇄와이어부(41)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호 대칭되어 상기 폐쇄와이어부와 개방와이어부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될 경우 상기 동력장치의 스프로킷(S1)의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때 좌, 우측의 폐쇄와이어부(41) 또는 개방와이어부(42)는 동시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예를 들어 도 1에서 동력장치가 시계반대방향 회전을 할 때, 우측의 개폐시스템은 개방와이어부(42)가 당겨지는데 반해 좌측의 개폐 시스템은 폐쇄와이어부(41)가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좌측 상부 일점쇄선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3안내롤러(47c)를 상기 지주에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폐쇄와이어부(41)와 상기 개방와이어부(42)가 상호 교차하여 상기 체인부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동력장치의 일방향 회전만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폐쇄와이어부(41) 또는 개방와이어부(42)가 각각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두 개 이상의 소형 비닐하우스(H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당업자라면 상기 스프로킷(S1)의 수를 달리하고, 메인와이어(4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47)를 추가하여 충분히 변형, 수정, 치환할 수 있으므로 소형 비닐하우스(H1) 수에 따른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견인와이어(30)와 상기 메인와이어(40)는 상호 직교된 방향으로 진퇴운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보온덮개(20)의 개폐를 위한 견인력을 보다 확고히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와이어(40)의 비닐하우스 길이방향 진퇴운동을 상기 견인와이어(30)의 지지대(10) 길이방향 진퇴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별도의 부재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상기 지지대(10)의 안착홈에 구비되는 지지롤러(12)로서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기능을 대신하고,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둑(F) 위에 형성된 제1견인와이어부(31)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제1전환롤러(4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진퇴 방향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견인와이이어부(32)의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지지롤러는 상기 지지대의 지지롤러 중 일측 최외측 지지롤러 즉, 대형 비닐하우스의 이격공간에 인접한 지지롤러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향전환부재 기능을 갖는 지지롤러를 제2전환롤러(12A)라 칭한다.
상기 제2전환롤러(12A)는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원활한 진퇴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축이 축설되며, 상기 지지롤러(12)들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안정된 지지와 진퇴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선방향으로 축설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축설된 제2전환롤러(12A)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환롤러(43)는 상기 지지대(10)의 말단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롤러들의 회전축의 형성 각도 및 방향 등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어서 보온덮개(20)의 하면에 제1고정부(30A)로 연결된 제2견인와이어부(32)의 견인만으로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이 이루어질 경우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보온덮개(20)를 감안하였을 때 견인력이 균등하지 않아 개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개방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덮개 하면에서 견인하는 제2견인와이어부로 인하여 보온덮개가 개방되면서 하측으로 말려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보온덮개 미개방으로 인한 작물의 일조량 확보가 안정되게 보장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을 견인함과 동시에, 보온덮개가 개방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보온덮개의 개방을 보조하는 보조와이어(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와이어(50)는 일측 말단이 상기 보온덮개(20)의 상면에 제2고정부(40A)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2보조와이어부(52)와,
상기 개방와이어부(22)와 연결되어 개방을 위한 동작 시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의 견인을 행하도록 하는 제1보조와이어부(51)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51)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연결이 생략되어 있으나, 도 5에서 그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의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개방 견인력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51)의 일측에는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를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는 보조롤러(53)를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롤러(53) 는 상술한 전환롤러(12A)(43)와 마찬가지로 위치에 따라 회전축의 각도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축설부(도면 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롤러(53)가 축설되거나, 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미도시)에 축설될 수 있다.
이이서 본 발명의 상기 견인와이어(30) 및 상기 보조와이어(50)는 보온덮개(20)의 개폐 견인을 위하여 지지대의 길이에 상응되는 진퇴운동을 하는데,
상기 안내롤러(47)와 인접한 지지대(10)에 형성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0) 및 보조와이어(50)는 상기 메인와이어(40)와 동반하여 상기 안내롤러(47)를 경유하고 상기 동력 장치(M)로 안내될 수 있으며,
이때 둘 이상의 와이어가 상기 안내롤러(47)를 경유하게 되고 이러한 경유가 반복될 경우 와이어 상호간의 착종(錯綜) 즉, 와이어간에 엉킴이 발생하여 원활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간의 착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와이어(30)와 상기 메인와이어(40)의 연결부 및 상기 보조와이어(50)와 상기 메인와이어(40)의 연결부에는
상기 견인와이어(30) 및 보조와이어(50)를 우회시켜 상기 메인와이어(40)와 연결되도록 하는 우회롤러(61)들로 구성되는 착종(錯綜) 방지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착종이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 중 제1견인와이어부(31)를 대표하여 상기 착종 방지수단(6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보온덮개의 폐쇄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때 상술한 착종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개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는 지지대(10)의 길이만큼 진퇴운동을 하므로, 상기 안내롤러(47)와 인접한 위치(즉, 동력 장치(M)의 지주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견인와이어부(31)는 상기 폐쇄와이어부(41)와 동반하여 진퇴운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안내롤러(47a)를 경유하다 착종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진퇴 운동이 상기 제1안내롤러(47a)를 향하지 않도록(제1안내롤러(47a)를 경유하지 않도록) 형성 방향을 전환해 주는 우회롤러(61)를 구비하여 와이어 상호간의 착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우회롤러(61)는 상기 폐쇄와이어부(41)의 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제1안내롤러(47a)가 형성된 위치 반대 방향)에 상기 지지대의 길이만큼 이격 형성되어 상기 폐쇄와이어부(41)가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를 이끌더라도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는 상기 제1안내롤러(47a)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이격공간(B)에 형성되는 폐쇄와이어부(41)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우회롤러(61)들로 구성되는 착종 방지수단(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와 상기 폐쇄와이어부(41)의 연결부뿐만 아니라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32)와 상기 개방와이어부(42)의 연결부,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51)와 상기 개방와이어부(42)의 연결부 및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와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51)의 연결부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안내롤러(47)와 최인접하여 위치하는 와이어들의 연결부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10)의 길이에 따라(진퇴운동에 의하여 변위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안내롤러(47)를 경유하여 착종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부 모두에 상기 우회롤러(61)들을 구비하여 와이어간의 착종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우회롤러(61)는 지지대(10)의 형성 위치 또는 지지대(10)의 길이(진퇴구간 길이) 또는 연결된 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하나의 우회롤러(61)로 착종 방지가 난해할 경우 다수의 우회롤러(61)를 구비하여 지그재그 우회되도록 함으로써 여유구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로 구성되어 착종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는 상기 보온덮개(20)의 상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보조롤러(53)외에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의 진퇴를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제2보조와이어부(52)의 견인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 3 및 도 4의 요부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덮개(2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일렬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내링(2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링(26)은 일종의 고리로써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가 상기 안내링(26)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의 말단은 상기 보온덮개(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40A)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고정부(40A)가 상술한 제1고정부(30A)와 마찬가지로 보온덮개의 말단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링(26)과 상기 제2고정부(40A)는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가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을 원활하게 보조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온덮개(20)의 개방 시 이격공간(B)에 상기 보온덮개(20)가 뭉치지 않도록 즉, 보온덮개(20)가 중첩되어 차곡차곡 적층되도록 하여 보온덮개(20)의 개폐가 반복되어 이루어지더라도 보온덮개의 안정된 개폐를 보장할 수 있어 작물의 일조량을 안정되게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에서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일부는 두둑(F) 위에 형성되므로 와이어가 소형 비닐하우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재배 작업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물의 파종 등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진퇴운동으로 인하여 작물과 접촉하여 작물의 재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의 진퇴운동을 보조 안내하면서 작물의 뿌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를 내장하는 제1커버(3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의 커버를 투영하여 개략 도시한 정면 단면도 및 평면 단면도이다.
상기 제1커버(33)는 통공된 중공부(33a)를 갖고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31)가 내장되어 상기 중공부(33a)에서 진퇴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온덮개(20)의 원활한 개폐작동 및 작물의 보호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B)에 형성되는 메인와이어(40) 및 제1보조와이어부(51)는 외부로 노출되므로 와이어 상호간에 착종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와이어(40) 및 제1보조와이어부(51)를 격리하는 제2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미도시)는 상기 제1커버(33)와 마찬가지로 와이어가 진퇴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갖으며, 특히 상기 메인와이어 및 제1보조와이어부는 상기 견인와이어(30) 및 상기 제2보조와이어부(5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견인와이어(30) 및 상기 제2보조와이어(52)를 위한 연결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기 와이어들을 지지하고 안내하여 진퇴운동을 돕는 각종 롤러의 형성 위치, 형성 각도 및 형성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이 특징과는 직접적 관련성이 낮은 것이고,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다양하게 변형, 수정, 치환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동력장치 R : 보행로
B : 이격공간 10 : 지지대
11 : 지지홈 12 : 지지롤러
20 : 보온덮개 26 : 안내링
30 : 견인와이어 30A : 제1고정부
31 : 제1견인와이어부 32 : 제2견인와이어부
40 : 메인와이어 40A : 제2고정부
41 : 폐쇄와이어부 42 : 개방와이어부
43 : 제1전환롤러 47 : 안내롤러
50 : 보조와이어 51 : 제1보조와이어부
52 : 제2보조와이어부 53 : 보조롤러
60 : 착종 방지 수단 61 : 우회롤러
F : 두둑

Claims (4)

  1. 소정 간격으로 병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개폐되는 보온덮개;
    상기 보온덮개에 연결되어 개폐동작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 및
    동력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메인와이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견인와이어는 상기 보온덮개의 폐쇄동작을 견인하는 제1견인와이어부와,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2견인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와이어는 상기 제1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폐쇄와이어부와, 상기 제2견인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개방와이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와이어는 일측 말단이 상기 보온덮개에 고정되어 상기 보온덮개의 개방동작을 견인하는 제1보조와이어부와,
    상기 개방와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의 견인이 행해지도록 하는 제2보조와이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연결부 및 상기 보조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연결부에는
    상기 와이어들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와이어 및 상기 보조와이어를 우회시켜 상기 메인와이어와 연결되도록 하는 우회롤러들로 구성되는 착종(錯綜) 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내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와이어부는 상기 안내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KR1020120129081A 2012-11-14 2012-11-1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KR20140061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81A KR20140061896A (ko) 2012-11-14 2012-11-1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81A KR20140061896A (ko) 2012-11-14 2012-11-1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96A true KR20140061896A (ko) 2014-05-22

Family

ID=5089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81A KR20140061896A (ko) 2012-11-14 2012-11-14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929A (zh) * 2018-06-19 2020-05-26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929A (zh) * 2018-06-19 2020-05-26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CN111200929B (zh) * 2018-06-19 2021-10-22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903B1 (ko) 식물의 대량재배장치
EP1795067A1 (en) Retractable greenhouse
AU2012274165B2 (en) Protection system for mechanized covering of plant crops
ITBZ20130058A1 (it) Sistema di apertura/chiusura rapida per reti antigrandine
WO2015072668A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 장치
CN107432203B (zh) 植物栽培系统
JP3268297B2 (ja) シートの開閉装置
KR20140061896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 시스템
JP4912690B2 (ja) パイプハウス、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連棟型パイプハウス
ITBZ20120004A1 (it) Impianto antigrandine per colture agricole
KR101044833B1 (ko) 무차광 온실 보온커텐 종형 개폐장치
KR20150041555A (ko) 내부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자동개폐시스템
KR20170135320A (ko) 비닐하우스용 롤러가이드식 내부차광장치
JP4361957B2 (ja) トマト栽培誘引装置およびトマトの栽培方法
KR100527913B1 (ko) 원예시설용 자동 수평예인권취식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KR101888519B1 (ko) 비닐하우스용 롤러가이드식 외부차광장치
KR101761272B1 (ko) 비닐하우스용 내부차광장치
KR101627730B1 (ko) 비닐하우스용 차광장치
KR101336537B1 (ko) 비닐 하우스용 비닐 고정로프
KR102440292B1 (ko) 내림재배용 줄기 지지장치
CN221011056U (zh) 一种全钢架连栋保温膜温室
KR102492175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넝쿨식물의 재배 장치
KR101074513B1 (ko) 보온덮개 및 내부 프레임이 자동개폐되는 비닐하우스
KR102361062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보관장치
KR100515895B1 (ko) 자주식 보온덮개 개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