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244A -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244A
KR20140061244A KR1020130132760A KR20130132760A KR20140061244A KR 20140061244 A KR20140061244 A KR 20140061244A KR 1020130132760 A KR1020130132760 A KR 1020130132760A KR 20130132760 A KR20130132760 A KR 20130132760A KR 20140061244 A KR20140061244 A KR 2014006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characters
row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호
황재엽
Original Assignee
양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호 filed Critical 양기호
Priority to PCT/KR2013/0099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69969A2/ko
Priority to EP13851909.5A priority patent/EP2916200A4/en
Publication of KR2014006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244A/ko
Priority to PH12015501295A priority patent/PH120155012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모바일기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풀키보드보다는 각 키의 면적을 더 크게 제공하되, 그 커지는 면적에 비해 늘어나는 입력타수는 극히 적은, 그리하여 더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세미콤팩트키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미콤팩트키보드는 컴퓨터의 풀키보드 배열을 기본으로 하고, 그 제공되는 키에 따라 7-7-5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7개, 7개, 5개인 형), 8-8-6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8개, 8개, 6개인 형)으로 제공된다. 그리하여 각 행에서 줄어든 키의 수만큼의 문자를 다른 문자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하되, 원래 있던 자리를 기준으로 같은 행에서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문자들을 그 문자와 좌우로 이웃해 있는 다른 문자키에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한다.
또한, 상기 더블키에 배열된 각각의 문자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는, 선순위 문자는 한 번의 터치로, 후순위 문자는 연속된 두 번의 터치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좀 더 넓은 키면적을 갖으면서도 입력타수면에서는 컴퓨터키보드에 매우 가까워 사용자의 입력스트레스를 크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본 발명은 소형 모바일기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는 키 하나에 복수의 문자를 배열하는 콤팩트 키보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위한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문자 하나 당 키 하나를 배당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전화기처럼 그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적은 수의 키를 제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를 배당하여 제공하는 콤팩트키보드를 제공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전화기의 3*4 키패드에 키 하나에 알파벳이 2~3개씩 배열되는 콤팩트키보드가 있다. 그런데 이 키보드는 컴퓨터 키보드의 배열과는 완전히 다른 배열일 수밖에 없었고, 또한 문자가 3개씩 배열된 키를 연속누르기로 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은 과다한 입력타수와 함께 문자간 충돌을 피하는 것이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과거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품들이 나왔는데, 예를 들어 컴퓨터 키보드 배열을 갖는 콤팩트쿼티키보드를 들 수 있다. 이는 좀 더 정보화가 진행된 시점에서 휴대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을 좀 더 쉽게 보낼 수 있도록 5*4 키패드에서 컴퓨터 키보드의 배열과 같은 배열을 제공하되, 키 하나에 알파벳이 일률적으로 2개씩 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콤팩트쿼티키보드도 컴퓨터 키보드에 비해서는 턱없이 불편한 것이었다.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폰이 발전하면서 넓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상키보드가 주를 이루게 되었는데, 이는 대부분 쿼티키보드를 가상의 키로써 화면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키의 크기가 너무 작고, 미끄럽고 평평한 터치스크린에서 입력해야 하는 방식 때문에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 기존의 가상키보드보다는 그 크기가 더 큰 키를 제공하되, 그 커지는 면적에 비해 늘어나는 입력타수는 극히 적은, 그리하여 더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세미콤팩트키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미콤팩트키보드는 컴퓨터의 풀키보드 배열을 기본으로 하고, 그 제공되는 키에 따라 7-7-5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7개, 7개, 5개인 형), 8-8-6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8개, 8개, 6개인 형)으로 제공된다. 그리하여 각 행에서 줄어든 키의 수만큼의 문자를 다른 문자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하되, 원래 있던 자리를 기준으로 같은 행에서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문자들을 그 문자와 좌우로 이웃해 있는 다른 문자키에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한다.
또한, 상기 더블키에 배열된 각각의 문자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는, 선순위 문자는 한 번의 터치로, 후순위 문자는 연속된 두 번의 터치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좀 더 넓은 키면적을 갖으면서도 입력타수면에서는 컴퓨터키보드에 매우 가까워 사용자의 입력스트레스를 크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쿼티키보드에서의 영문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고침이 적용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고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의 실시예들이다.
도 6은 중문 입력용 로마자(병음부호, pinyin)의 사용빈도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x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x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9는 인도네시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도네시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11은 터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터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터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14는 프랑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랑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6은 프랑스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랑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18은 스페인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21은 스페인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러시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4는 아랍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랍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7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6은 독일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30은 포르투갈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르투갈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32는 포르투갈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르투갈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34는 이탈리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37,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실시예들이다.
도 39는 말레이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말레이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41은 자바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43은 필리핀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리핀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45는 폴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47은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우크라이나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49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네덜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51은 루마니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53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55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57은 세부아노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아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59는 스와힐리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와힐리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61은 아제르바이젠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제르바이젠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63은 헝가리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헝가리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65는 체코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코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도 67은 체코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동작원리를 나타낸다.
도 68은 세르비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르비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세르비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71은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74, 도 75,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의 다양한 버전들이다.
도 77은 스웨덴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웨덴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79는 핀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핀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81은 일본어 입력용 로마자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83은 도 82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도 8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5는 도 84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도 8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87은는 도 86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도 8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7-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89는 도 88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7-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1는 도 90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도 92는 우르두어 풀키보드의 배열이다.
도 93은 우르두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도 9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르두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설명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용어의 정의>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풀키보드(Full keyboard)란 입력할 문자가 문자당 하나의 키에 배열된 키보드를 뜻하며, 그 배열에 따라 QWERTY, QWERTZ, AZERTY 등의 별칭을 가지고 있다.
콤팩트키보드(Compact keyboard)란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가 배열된 키보드로써, 대표적으로 전화기용 3*4키패드와 콤팩트쿼티키보드를 들 수 있다.
세미콤팩트키보드(Semi-compact keyboard)란 풀키보드의 배열을 기본으로 하되,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 하나가 배열된 싱글키와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에 사용빈도가 낮은 후순위 문자가 더 배열된 더블키가 고루 섞여 있는 키보드이다.
싱글키(Single key)는 하나의 문자가 배열된 키이다.
더블키(Double key)는 두 개의 문자가 배열된 키이다.
제1 선택방식이란, 키를 누르는 방식에 있어서, 터치 횟수의 추가나, 시간상 지연이나, 어떠한 제스처나, 또는 다른 기능키의 동반 사용 없이, 대었다 곧바로 떼는 한 번의 터치(또는 누름)를 말한다.
제2 선택방식이란, 두 번의 터치로 입력되거나, 시간상으로 길게 누르거나, 또는 미끄러뜨려서 떼는 등의 제스처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키와 함께 누르는 터치(또는 누름)를 말한다.
선순위 문자는 더블키에서 제1 선택방식으로 입력되는 문자이다.
후순위 문자는 더블키에서 제2 선택방식으로 입력되는 문자이다.
파생문자는 원문자에 발음구별기호를 붙이거나, 획을 추가하여 만든 문자이다.
파생문자변환키는 원문자와 함께 눌러, 입력되어 있는 원문자를 정해진 파생문자로 변환시켜주는 기능키이다.
연속누르기란 더블키 상에서 한 번의 누름으로 선순위 문자를 입력하고, 연속된 두 번의 누름으로 후순위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더블클릭(또는 더블터치)이란 두 클릭 또는 터치 간의 시간간격이 정해져 있는, 빠르게 연이어 입력하는 입력이벤트이다.
연속누르기 충돌이란, 연속누르기를 지원하고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가 배열되어 있는 콤팩트키보드에서, 동일한 키에 배열된 문자들을 연이어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값의 해석이 모호해지는 오류를 뜻한다.
<공지의 기술 생략>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밝혀 두고자 한다.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키보드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물리적인 키보드이든 가상키보드이든 키보드를 구현하는 기술은 운영체제 공급자나 하드웨어 공급자로부터 공개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도 상세히 알려져 있는 기술이며, 단지 새로운 키보드들이 기존의 키보드들과 서로 다른 점들이 있다면, 그 키보드의 형태, 그리고 거기에 배열된 키의 배열, 그리고 그러한 키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방법의 차이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키보드와 관련된 통상적인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만이 가지는 키보드의 형태, 그리고 거기에 배열된 키의 배열, 그리고 그러한 키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일반적으로 첫 행에 10개의 문자, 그리고 둘째 행에 9개의 문자, 그리고 셋째 행에 7개의 문자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배열된 키들에 따라, QWERTY, QWERTZ, AZERTY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다. 여기에 각 언어마다 추가로 더 사용되는 문자가 더 포함되기도 하고, 로마자가 아닌 한글, 아랍문자, 키릴문자 등 각 언어의 고유한 문자들이 배열되는 키보드들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영문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어차피 모든 키보드에는 영문이 표기되어야 하므로, 이런 문자들도 그 키의 수와 배열 형태가 쿼티키보드와 거의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각 키들의 면적이 너무 작아 오타가 자주 일어나 매우 불편하다.
기존의 콤팩트키보드나 콤팩트쿼티도 기존에 비해 더욱 넓어진 화면을 가진 현재의 스마트폰 사양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효율면에서 풀키보드에 육박하면서도 오타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키면적을 제공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제의 분석>
도 1은 쿼티키보드에서의 영문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풀키보드를 보면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키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키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공간의 제약을 생각할 필요가 없었던 컴퓨터 키보드에서는 당연한 것이었으나, 공간의 제약이 심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
이에, 본 발명은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는 제1 선택방식(예 : 짧게 한 번 누름)으로 바로 입력되도록 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후순위 문자로써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와 함께 하나의 키에 배열되어 제2 선택방식(예 : 더블클릭)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키의 수를 줄여 결과적으로 키의 면적을 넉넉하게 제공하면서도 입력타수의 큰 손해를 보지 않는 효율적인 세미콤팩트키보드를 구현하고 있다.
<발명의 원리 - 키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세미콤팩트키보드는, 구현하고자 하는 언어용 풀키보드 배열을 기본으로 하되, 그 키의 수와 형태는 제공되는 키와 그 형태에 따라, 7-7-5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7개, 7개, 5개인 형), 8-8-6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8개, 8개, 6개인 형), 8-7-6형(첫째 행부터 셋째 행까지의 키의 수가 각각 8개, 7개, 6개인 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 그 줄어든 키에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2개씩 배열한 콤팩트쿼티키보드와는 달리, 입력타수면에서 최적화가 이루어지도록 문자를 하나나 2개씩 재배열한다.
<발명의 원리 - 기본 문자 배열>
본 발명이 세미콤팩트키보드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각 문자를, 풀키보드보다 그 수가 줄어든 나머지 키들에 재배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현하고자 하는 언어용 풀키보드의 배열을 기본으로, 각 행에서 줄어든 키의 수만큼의 문자를 다른 문자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하되, 원래 있던 자리를 기준으로 같은 행에서 사용빈도가 평균이하인 문자들을 그 문자와 좌우로 이웃해 있는 다른 문자키에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한다.
둘째, 더블키로 결합할 이웃한 키 중에, 결합 후에 연속누르기 충돌이 적게 일어나는 쪽에 재배열한다.
셋째, 다른 조건이 같다면 우측에 있는 키보다는 (좌측에도 이웃해 있는 키가 있는 경우) 좌측으로 이웃해 있는 키를 우선한다. 이는 원래의 풀키보드 상의 위치와 그 유사성을 유지시켜주어 새로운 배열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한 행에서 2개 이상의 더블키를 만들어야 할 때, 동일한 행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그룹의 연이은 문자들이 키보드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각 키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빈도가 가장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반대쪽의 문자들로 더블키를 만들 수 있다.
<발명의 원리 - 파생 문자 배열>
위의 세 가지가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이나, 파생문자가 있는 언어의 경우에는, 그 파생문자들을 제외한 문자들은 위의 원리에 의해 재배열을 하고, 이 파생문자들은 그와는 별도로 그것을 재배열하는 데에 있어서, 위의 방법대로 좌우의 인접키와 비교하여 더블키로 만들거나 싱글키로 놓아두는 방법 이외에, 다음의 두 가지의 방법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첫째, 각 파생문자를 그 원문자의 후순위 문자로 하여 더블키로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이 파생문자들이 다른 문자들에 비해 그 사용빈도가 많이 낮고, 또한 그 원문자와 연속누르기에 의한 충돌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둘째, 원문자와 함께 눌러서 그 원문자를 파생문자로 변환시켜주는 기능키(파생문자변환키)를 하나 이상 더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움라우트가 붙는 문자들이 있다면 움라우트를 달아주는 파생문자변환키를 하나 더 제공하여, 원문자와 함께 누르면 그 원문자에 움라우트를 붙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원문자를 함께 누른다는 것은 컴퓨터의 쉬프트키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고, 원문자를 먼저 누른 후 움라우트 파생문자변환키를 그 뒤에 이어서 누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방법도 이 파생문자들이 다른 문자들에 비해 그 사용빈도가 많이 낮을 때 적용할 수 있고, 특히, 그 원문자와 함께 더블키가 될 경우 연속누르기에 의한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원리 - 키의 표기>
이와 같은 배열과는 다른 문제로써, 키보드에 그 문자들을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더블키에 배열되는 두 문자 중에 각각의 키에서 표기하는 원칙은 해당 언어의 문자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쓰는 문자이면 좌측에 선순위 문자를, 그리고 우측에 후순위 문자를 표기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선순위 문자가 우측에 표기된다.
또는 선순위 문자를 크게 표기하고, 후순위 문자를 작게 표기하여 차별을 두는 것도,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빨리 눈에 띄게 해주는 효과와, 각 키 하나에 하나의 문자만 배열된 것처럼 깔끔하게 보이즌 장점도 있다.
<발명의 원리 - 더블키 상의 문자 선택 입력 방법>
다음은 사용자가 더블키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연속누르기를 들 수 있다. 연속누르기의 장점은 이미 많은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방식이며, 또한 본 발명에서처럼 선택할 문자가 둘 중의 하나인 경우에는 기존의 3*4키패드에서 영문을 입력하던 것과는 달리 매우 간단하고 오류율도 현저히 떨어져서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연속누르기를 지원하려면 한 번 누른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이미 입력된 문자를 확정해주는 시간을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그 시간이 도달하기 전까지는 같은 키를 계속 누르면 더블키에 배열되어 있는 두 문자가 계속하여 번갈아 가며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잘못 입력했을 경우에 수정하기가 비교적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더블키에 배열된 문자를 연이어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입력된 문자가 확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기다리기 불편하면 강제로 확정하는 별도의 기능키(일반적으로 화살표)를 하나 더 제공해 주어야 하는 점은 단점이다.
다음은 더블클릭(더블터치)이다. 더블클릭은 한 번만 누르는 싱글클릭에 비해서 빠른 시간 내에 두 번을 누르는 인터페이스이므로, 반드시 연이은 두 클릭이 싱글클릭 두 번인지 한 번의 더블클릭인지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그 두 클릭간의 시간적인 간격을 정하여 그 간격 내에 두 번의 클릭이 이루어지면 더블클릭이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싱글클릭이 두 번 일어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언뜻 연속누르기와 유사한 방식이나, 더블키에 배열된 문자를 연이어 입력하고자 할 때 연속누르기의 경우보다는 확정을 대기하는 시간이 짧고, 또 그래서 화살표 등을 추가로 더 제공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싱글클릭과 더블클릭을 구분하여 틀림없이 구사만 하면 그 입력값에 모호함이 없는 편리한 방법이다.
다음은 알트키를 이용한 방법이다. 언어에 따라서는 더블키에 두 개의 문자를 배열하고 연속누르기나 더블클릭 방식을 적용하면 그 안의 두 문자 간에 입력 충돌을 일으키는 확률이 높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후순위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이 알트키를 함께 누르도록 하면 해결할 수 있다. 알트키를 함께 누른다는 것은 컴퓨터의 쉬프트키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문자키를 먼저 누른 후 알트키를 연이어 누르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둘 중의 한 가지로만 적용되어야 한다. 이 방식은 익숙해진 사용자에게는 입력오류가 전혀 없는 방식이 되지만 익숙해질 시간이 필요한 점과 또한 별도의 알트키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은 단점이 될 수 있다.
다음은 파생문자변환키이다. 위에 설명한 알트키와 유사한 방식이나, 알트키가 모든 후순위 문자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인데에 비해, 파생문자변환키는 원문자와 파생문자의 조합이 아닌 더블키에서는 연속누르기나 더블클릭 방식으로 그 안의 두 문자를 선택 입력하고, 원문자와 파생문자의 조합으로 된 더블키에서만 이 파생문자변환키로 원문자를 변환시켜 준다는 것이 다르다. 또한, 파생문자변환키는 그 기능에 따라 표기도 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문자가 되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파생시키는 발음구별기호가 각기 다른 경우,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하는 도중에 모음이 입력되면 이 파생문자변환키의 표기는 그때그때 그 모음에 적용될 수 있는 발음구별기호로 바뀌어져 나타난다. 좀 더 자세히 예를 들면, 어떤 언어에서 a와 써컴플렉스가 붙는 a가 있고, 또, u와 움라우트가 붙는 u가 있을 경우에,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a가 입력되면 즉시 써컴플렉스를 표시하고, u가 입력되면 즉시 움라우트를 표시하여, 각각 a 뒤에 누르면 a에 써컴플렉스를 붙여주고, u 뒤에 누르면 u에 움라우트를 붙여준다는 것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파생문자변환키 중에서 함께 작동하는 문자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역시 쉬프트키처럼 문자키와 동시에 누르거나 선행으로 누르거나, 또는 문자키 다음에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그 둘 중의 한 가지로만 적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함께 작동하는 문자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문자키를 먼저 누른 후 파생문자변환키를 누르도록 하여야만 한다. 그래야만 먼저 눌러진 문자에 맞는 기능을 키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애플사의 아이오에스(iOS)에서 제공하는 가상키보드에 잘 적용이 되어 있다.
다음은 오래누르기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오래누르기 방식은 현재 입력중인 모드에는 없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다가 버튼을 오래누르면 숫자가 입력되는 것과 같다. 이런 오래누르기를 이용하여 후순위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입력 오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순위 문자들이 철저히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들로 구성이 되기 때문에 오래 누를 일들이 과다하게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음은 미끄러뜨리기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선순위 문자는 그냥 해당 키를 눌렀다 떼는 것으로 하고, 후순위 문자를 입력하려면 그 문자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 중의 어느 정해진 방향으로 미끄러뜨려 떼는 것이다. 오래누르기 방식에 비해 사용자가 더 다이내믹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식 또한 많은 적용사례가 있는 만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프리딕션(prediction)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 해당하는 방법으로써, 후순위 문자 또한 단 1회만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즉, 사전데이터를 갖추고 입력할 때마다 가장 확률이 높은 단어로 추천해 주는 프리딕션 기능을 본 실시예에 적용하고, 입력은 모든 문자를 단 1회씩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 배열과 프리딕션을 갖춘 이러한 구성은 후순위 문자 또한 한 번씩만 누르게 해도 충분히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열들은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들이 모든 키에 고루 배열이 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 번씩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완전한 단어가 이루어지는 확률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발명의 원리 - 자동고침 적용 방법>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고침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자동고침의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미콤팩트키보드에게 있어서 자동고침 기능으로 바로잡아주고 싶은 오류는, 더블클릭으로 선택하는 후순위 문자를 실수로 싱글클릭한 경우 한 가지이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콤팩트키보드는 누를 키의 면적을 넓게 하여 애초에 다른 키를 누를 확률을 낮추었고, 또한 선순위 문자가 중첩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의도치 않게 더블클릭이 되어 후순위 문자가 입력되는 오류)는 애초에 문자를 배열할 때 중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문자는 더블키의 선순위 문자로는 배열하지 않음으로써 피하고 있고, 같은 키 상의 두 문자가 연이어 입력되는 경우는 누를 때 사용자 스스로 알아차리게 되어 오류가 많지 않을 수 있으나, 오직 후순위 문자를 더블클릭하지 않고 싱글클릭하는 오류는 문자의 배열만으로는 해소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고침이 적용된 실시예이다.
도면에 보이는 실시예는 영문 8-8-6형의 한 예이다. 각 키에 크고 진하게 표기된 문자들은 해당 키에서 선순위 문자들이고, 각 키의 구석에 작게 표기된 문자들은 후순위 문자들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우측의 노란색으로 표시된 키는 자동고침 취소키이다. 이는 자동고침을 수행한 후에 삭제키를 임시적으로 자동고침 취소키로 사용하는 예로써, 자동고침을 취소할 필요가 사라지면 다시 삭제키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가 자동고침을 수행한 결과가 자신이 원치 않는 입력값일 경우에 상기 자동고침 취소키를 눌러 원래의 입력값으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이다. 자동고침 취소키는 사용자로 하여금 방금 입력한 문자가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더블키 상의 다른 문자로 교체되어 입력되는 그 기능을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삭제키와는 다른 모양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고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의 단어들을 모아놓은 사전데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이 데이터는 각 단어들의 사용빈도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더블키를 한 번 이상 사용하여 입력을 완성한 단어가, 구비되어 있는 사전데이터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클릭방법 오류에 의한 오타로 보고 클릭방법 오류 가능성에 따라 조합 가능한 모든 스트링을 사전데이터에서 조회하여 만약 하나 이상의 단어가 나오면 그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단어로 자동고침을 해주는 것이다. 만약 모든 후보 스트링이 사전데이터 상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대로 진행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고침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더블키에서의 싱글터치가 감지되면, 그때까지 입력된 현재 형성중인 단어가 사전데이터 상에 존재하는 단어의 최종 또는 중간 형태인지 조회한다. 이때 존재하는 형태이면 계속 진행하고, 만약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면 사용된 더블키 상의 후순위 문자가 의도한 입력으로 보고 형성중인 단어를 재조합하여 역시 그것이 사전데이터 상에 존재하는 단어의 최종 또는 중간 형태인지 조회한다. 이때, 역시 존재하지 않는 형태라면 원래의 입력값이 사용자의 의도한 입력으로 보고 계속 진행한다. 만약 사전데이터에 존재하는 형태가 단 하나로 나오면 그 형태로 자동고침을 해주고, 만약 두 개 이상의 형태가 모두 사전데이터에 존재하는 형태가 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사용빈도 등)에 의해 자동고침을 해주고, 알림음 또는 진동 등의 신호를 출력하고 삭제키를 자동고침 취소키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가 취소키를 누르면 자동고침한 단어를 원래의 단어로 되돌리고, 취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 진행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이후에 만약 사용자가 자동고침 취소키를 누르지 않고 입력중인 단어에 문자를 계속 붙여나가는 경우에는 취소키를 다시 삭제키로 환원시켜 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본원리에 대해 설명을 하였고, 이제 그것들이 적용된 실시예들로써 가장 먼저 영문 키보드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7-7-5형을 만들려면 현재 10개로 되어 있는 첫째 행의 키의 수를 3개 줄여야 한다. 도 2의 도표를 참조해 보면, 쿼티 키보드의 첫째 행에서 e, r, t, u, i, o 등은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데에 반하여, q, w, y, u, p는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므로, 이 5개 중에서 3개를 골라 각각 그 원래 있던 자리에서 그 좌측이나 우측으로 인접한 다른 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재배열하여 더블키를 3개 만들면 된다. 당연히 가장 적게 사용되는 3개를 골라 후순위 문자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지만, 같은 키에 배열된 두 문자가 단어를 입력할 때 연속누르기 규칙상 서로 충돌하는 일이 잦은 조합도 있고, 원래의 풀키보드 상에서 그 문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와 최대한 유사한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그렇게 되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 (a)에서 보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는 오직 하나뿐인 인접키인 w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함께 배열되어 있고, p는 역시 유일한 인접키인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함께 배열되어 있으며, y는 t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함께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원칙은 입력타수면에서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자리가 옮겨진 문자들도 원래의 풀키보드의 자리와 거의 같게 만들어 주어 사용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행을 보면 도표상으로는 j와 k가 그 사용빈도가 가장 떨어지는데, 실시예에서는 f와 j가 그 인접키로 자리를 옮겼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키보드가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그 키의 수를 줄이면 사용자가 평상시 누르던 키들의 위치와 너무 상이해져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좌우에서 각각 하나씩 줄인 결과이다.
셋째 행에서도 인접한 두 키인 z와 x가 가장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키이지만 그 두 개를 각각 c와 v에 옮기면 c키와 v키가 풀키보드 상에서의 위치와 너무 상이해져 사용자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어, z와 v를 후순위 문자로 만들었다.
위에 설명한 도 3의 실시예는 입력타수면에서의 효율 못지 않게 문자의 배열이 원래의 풀키보드 상에서의 위치와 유사성을 중요시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실제 사용자에게 상당한 입력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영어 단어에서 -tt-, -ty-, -yt-, -oo-, -op-, -po-, -pp-와 같은 어울림을 갖는 단어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키보드로 연속누르기 방식으로 입력하려 한다면 그 입력값이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해질 수 있어 각 문자 간의 사이사이에 입력문자를 확정해주는 별도의 시간이나 확정키 등의 기능키를 사용해야 하고, 그것을 사용하지 못했을 경우 원치않는 오타가 발생하므로 그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효율보다는 디자인 상의 이득을 더 우선해야 하는 제품에서는 이 실시예가 더 유용할 것이다.
실시예 (b)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가 동일한 문자의 중첩이 많은 영문 자체의 특성상 연속누르기 충돌을 피하기가 거의 어려운데, 그 충돌가능성을 최소화한 실시예로써,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키재배열의 두번째 원칙인,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문자를 사용빈도가 높은, 좌측이나 우측으로 인접한 키에 후순위 문자로써 옮겨 더블키를 만들 때, 함께 배열된 두 문자가 연속누르기에 의해서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확률이 더 적은 쪽에 배열하는 것"이 적용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키에서 사용자가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확률이 가장 큰 것은 선순위 문자를 연이어 2번 입력하고자 할 때이다. 즉, 실시예 (a)에서 "tt"나 "oo"를 입력하고자 별생각 없이 해당 키를 연이어 두 번 입력하게 되는데, 그 입력은 본인의 의도와는 달리 각각 "y"와 "p"로 입력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에 비해, "ty", "yt", "op", "po", "yy", "pp" 등은 상대적으로 오류를 줄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ty", "yt", "op", "po" 등의 그 두 자를 입력하려고 하는 순간 입력하고자 하는 두 문자가 모두 하나의 키에 배열되어 있음을 알고 입력규칙에 맞게 조심조심 입력하게 되기 때문이며, 또한 "yy"나 "pp"는 각각 더블클릭을 2회 연속하게 되므로 오류가 적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 (b)는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선순위 문자끼리 연이어 입력되는 조합을 회피한 실시예이다.
영단어에는 "tt"나 "oo"를 포함하는 단어는 상당히 존재하지만 "uu"나 "gg", "hh"를 포함하는 단어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예 (b)에서는 y를 u키에, 그리고 p는 둘째 행의 k키 자리에 싱글키로 재배열하였으며, 이에 따라, j와 k는 각각 g키와 h키 그 후순위 문자로써 배열되었다. 2행의 d, 그리고 3행의 x와 b도 연속된 철자로 이루는 단어를 많이 갖지 않은 것들이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서의 키이미지의 표시에 관한 설명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순위 문자를 선순위 문자와는 다른 공간에 다른 색으로 표기했을 뿐만이 아니라 그 크기도 선순위 문자에 비해 훨씬 작게 표기하였는데, 이러한 표기의 효과는 키보드 자체가 덜 복잡해 보이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언뜻 보면 하나의 키에 하나의 문자만 배열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또한 아주 작게 표기됨으로써 후순위 문자를 누를 때 사용자가 현재 누르고자 하는 문자가 후순위 문자라는 힌트를 얻기가 더 용이해지므로 그만큼 입력오류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기는 선순위 문자와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자로 보이게끔 하는 효과가 있어, 오래누르기라든가, 미끄러뜨려서 입력하기라든가, 알트키를 사용해서 누르도록 하는 방식에 특히 잘 어울린다. 연속누르기를 하지 않으므로 당연하지만, 그러한 방식들은 연속누르기 오류로부터 자유롭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에 대한 설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실시예들이다.
본 실시예들은, 좀 더 화면의 여유가 있는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이다. (a)는 각 문자들의 원래 위치를 유지하는 데에 좀 더 중점을 둔 실시예이며, (b)는 효율을 더 중시한 실시예이다. (a)는 (b)에 비하여 사용자를 처음 끌어들이기에 더 유리하다 할 수 있고 (b)는 (a)에 비하여 익숙해진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 높다 할 수 있다.
먼저 실시예 (a)에 대한 설명이다. 앞서의 7-7-5형에 비해 첫행에서 p가, 2행에서 f가, 그리고 3행에서 v가 각각 제자리를 찾은 형태이다. 첫행에서 y보다는 p가 더 파격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었고, 또한 더 많은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에 y보다는 p의 제자리를 찾아주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b)는 앞서 자동고침 기능을 설명하면서 한번 소개되었던 바로 그 배열이다. 실시예 (a)와 비교하여 그 배열의 원리를 설명하면, 아무래도 더 자주 사용되는 y를 싱글키로 제자리를 찾아주고, 상대적으로 좀 덜 사용되는 p를 둘째 행에 있는 k키의 자리에 배열하였다. 이에 따라 j와 k는 각각 g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되었다. 여기서 p는 pp의 형태로 자주 쓰이는 문자이기 때문에 후순위 문자를 두지 않았다. 이 실시예는 p가 역시 파격적인 위치에 배열되었지만 (a)에 비해 좀 더 효율이 좋고 연속누르기 충돌은 거의 일어날 확률이 없는 배열이어서 충돌에 대한 염려는 거의 하지 않으면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까지 본 발명에 따른 키배열 원리에 대해서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였다. 이하부터는 다양한 언어들에 맞추어진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소개될 실시예 중에서는, 영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에서는 해당사항이 없어 소개할 수 없었던 파생문자를 재배열하는 방법이 설명되는 실시예도 있다.
도 6은 중문 입력용 로마자(병음부호, pinyin)의 사용빈도그래프이다.
도면은 총 17,834 단어에 해당하는 핀인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성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국어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는 v를 제외하고, q, r, t, p, f, k, c 등이 특히 사용빈도가 낮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x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의 예이다.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r, p를 각각 인접키인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으며, 둘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f와 k를 각각 그 인접키인 d키, j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으며, 셋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c와 v를 각각 그 인접키인 x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여기서, p가 o와 함께 배열되어 있는데, 중국어 단어에서 이 두 글자 간에 서로 연속누르기 충돌을 일으키는 예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b)는 7-7-6형의 예이다.
중국어 키보드에서 중국 전통 문자인 한자를 입력하는 키보드라면 영문 알파벳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실제 결과물이 아니라, 실제 결과물은 한자이고 알파벳은 그 한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꺼내기 위한 수단일 뿐으로써 대소문자의 구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쉬프트키 역시 불필요해진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쉬프트키를 없애고 그 자리에 z를 배열한 예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c가 싱글키로 독립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x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8-8-6형의 예이다.
본 실시예는 7-7-5형에 비해 각 행에 키 하나씩이 더 늘었으므로, 도 7 (a)의 실시예에서 각 행에서 각각 q, f, c를 각각 싱글키에 배열한 것이다.
(b)는 8-8-7형의 예이다.
이 역시 쉬프트키를 없애고 문자키를 하나 더 배열한 실시예인데, v는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문자이므로 v보다는 훨씬 자주 사용되는 첫째 행의 q를 이 자리에 배열한 예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r이 싱글키로 독립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q는 전화기 키패드에서 흔히 z과 함께 같이 배열되는 문자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연상하여 암기하기 어렵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7-7-6형이나 8-8-7형은 한자변환을 하지 않고 핀인자체를 입력하는 키보드로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왜냐하면 핀인으로 문장을 입력하려면 대문자 구분을 위해서 쉬프트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굳이 이 형태를 적용하고자 한다면 스페이스바가 있는 행에 쉬프트바를 마련하거나, 문자키를 누르자마자 위로 올려 미끄러뜨리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대문자 처리를 해주는 등의 방법을 더 제공하면 된다.
또한, 7-7-6형이나 8-8-7형은 영문모드를 제공할 때에는 각각 7-7-5형, 8-8-6형의 배열과 같은 영문모드를 제공해야 한다. 이 역시 쉬프트키를 부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는, 바로 위에 설명한 것처럼 스페이스바가 있는 행에 쉬프트바를 마련하거나, 문자키를 누르자마자 위로 올려 미끄러뜨리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대문자 처리를 해주는 등의 방법을 더 제공하면 된다.
다음은 인도네시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에 관한 설명이다.
도 9는 인도네시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인도네시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도네시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먼저 (a)는, 첫째 행에서 그 사용빈도와 키간의 위치를 고려하여 q, y, o를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함께 배열하였으며, 둘째 행에서는 역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f, j를 각각 d키,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함께 배열하였으며, 셋째 행에서는 역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z, x, v를 그 위치까지 고려하여 z가 선순위 문자이고 x가 후순위 문자가 되도록 더블키를 구성하고, 그리고 v는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하였다.
(b)는 (a)의 배열의 각 행에서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y, j, v를 각각 그 행에서 싱글키로 독립시킨 것이다.
도 11은 터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터키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각 행에 파생문자가 2개씩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터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터키어용 키보드를 구현함에 있어서, Q, W, X는 공식적인 터키어 문자는 아니어서 아무래도 사용률이 많이 떨어지므로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터키어 문자에는 원문자(u, o, s, g, c)에 발음구별기호(¨, ˘)를 붙여서 만든 파생문자가 더 포함되어 있고(본 발명에서는 점 없는 i와 점이 있는 i도 같은 관계로 취급한다.), 이러한 파생문자들이 현재 영문 쿼티자판 기준으로 각 행에 2개씩 더 배열되어 있고, 그런 이유로 모바일기기에서 더욱 더 좁은 키면적이 될 수밖에 없다. 본 실시예는 터키어용 키보드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재배열하였다.
우선 쿼티배열보다 각행의 우측에 추가로 더 포함된 파생문자들을 그 원문자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배열하여 새로 익혀야 하는 사용자가 새로운 위치를 찾기 위해 특별한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게 하고, 나머지 배열들로 7-7-5형을 만들었다.
첫행에서는 q, w, p가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데, u, i, o는 파생문자들과 함께 배열되어져야 하므로, q와 w는 각각 e와 r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p는 둘째 행의 l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둘째 행에서는 f와 j가 가장 사용빈도가 낮으므로,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또한 첫째 행에서 내려온 p가 l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행에서는 x와 c가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데, x는 z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하고, c는 c보다는 더 자주 사용되는 그 파생문자인 c세디야(c with cedilla)를 선순위 문자로 하고 c를 후순위 문자로 하여 함께 배열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터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먼저 도면의 실시예 (a)를 보면, 원래 키보드의 각 행의 우측에 있던 파생문자들을 각각 자주 사용되는 문자를 선순위 문자로 하고 덜 사용되는 문자를 후순위 문자로 하여 각각 더블키를 만들어 배열한 것을 알 수 있다.
7-7-5형에 비해 또 하나의 특징은 셋째 행에서 c를 그보다는 더 자주 사용되는 v를 선순위 문자로 하여 vc 더블키를 만들어 배열된 것이다.
실시예 (b)는 스페이스바의 우측에 파생문자변환키를 마련하여 파생문자는 그 원문자를 누른 후에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이어서 누름으로써 입력토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처럼 원문자들을 각각 선순위 문자로 더 배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들은 너무 많은 문자들을 더블클릭으로 누르게 되는 혼란스러움을 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파생문자변환키는 파생문자를 만들 수 있는 문자가 눌린 직후에 해당 문자에게 붙일 수 있는 발음구별부호만 하나씩 표시되고, 그것을 누르면 엽력되었던 원문자가 그 표시된 발음구별부호가 그 원문자에 붙은 문자로 변환된다.
도 14는 프랑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랑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프랑스어는 모음 a, e, i, o, u 모두가 다양한 파생문자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어파스트로피(')도 많이 사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프랑스어 키보드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도 넓은 키면적과 빠르고 편리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징 있는 모음 입력 방식을 제시한다. 그것은 각 원문자의 파생문자라도 자주 사용되는 것은 연속누르기(또는 더블클릭)로 빠르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파생문자이기는 하나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형태는 파생문자변환키로 입력토록 한 것이다.
첫 행에서 가장 안 쓰이는 z, y, p 중에 y는 u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는데 이는 프랑스어 단어 중에 "tt"라는 철자가 많아 연속누르기나 더블클릭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며, u의 파생문자인 그레이브(`) 붙은 u는 그리 자주 쓰이는 문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것은 파생문자변환키로 입력토록 한 것이다. 첫 행에서 다른 모음들은 그 파생 문자들로 그 후순위 문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z와 p는 각각 둘째 행의 제일 첫째 키와 마지막 키에 배열이 되어 있다. z는 q키의 후순위 문자로, 그리고 p는 싱글키로 배열되었다.
둘째 행에서는 f, g, h, k가 모두 사용빈도가 낮아 도면과 같이 <df>, <gh>, <jk>의 조합으로 3개의 더블키로 배열하였다.
셋째 행에서는 w를 x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b를 v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세디야가 붙은 c는 c키를 파생문자변환키로 변환시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의 스페이스바 우측에 보이는 어파스트로피가 표기된 키가 바로 파생문자변환키이다.
첫행의 a, e, i, o키들은 각각 후순위 문자로 입력되는 파생문자를 암시하는 표시가 더 표시되어 있다. 이는 파생문자변환키를 이용하지 않고 곧바로 연속누르기(또는 더블클릭)으로 입력되는 문자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6은 프랑스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a를 입력하면 파생문자변환키는 도면과 같이 써컴플렉스를 표시한다. 즉, 이제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써콤플렉스키가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이 키를 연이어 누르게 되면 이전에 입력되어 있던 a가 써컴플렉스가 붙은 a로 변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보면 o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o와 e가 붙어있는 문자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표시하게 되고, i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움라우트가 붙는 문자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와 u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세 가지 파생문자로의 변환이 가능한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래이브와 써컴플렉스, 그리고 움라우트로 변환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이때의 파생문자변환키는 이 세 가지 기능을 연속누르기 방식에 의해 계속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e를 누른 후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누르면 입력되어 있던 e가 그래이브가 붙은 e로 변환되고, 연이어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더 누르면 그래이브가 붙은 e를 써컴플렉스가 붙은 e로 바꿔주고, 다시 연이어 한 번 더 누르면 이제 그것을 움라우트가 붙은 e로 바꿔주게 된다. 물론 한 번 더 누르면 다시 그래이브 변환을 하게 된다. c가 입력된 경우에는 c의 뒤에 어파스트로피를 붙이거나 세디야를 붙이는 두 가지의 경우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은 두 가지 기능을 연속누르기에 의해 구별하여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c를 누르고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누르면 c 뒤에 어파스트로피를 붙이게 되고, 두 번 연이어 누르면 세디야가 붙은 c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a, e, i, o, u, c가 아닌 그밖의 경우에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어파스트로피키로 작동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랑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앞의 7-7-5형에 비해서 둘째 행에 있던 p를 제자리에 올려놓고 <df>, <gh>도 각각 4개의 싱글키로 돌려놓았으며, 셋째 행의 b 또한 싱글키로 제공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8-8-6형은 좀 더 화면이 넉넉한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8은 스페인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스페인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스페인어도 모음인 a, e, i, o, u가 모두 발음구별기호가 붙은 파생문자를 많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파생문자를 각 원문자와 함께 연속누르기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a, e, i, o는 각각 원문자와 애큐트가 붙은 파생문자 사이에서 연속누르기(또는 더블클릭) 방식으로 변환이 되며 u키에서는 거기에 움라우트가 하나 더 포함되어 세 가지 문자 사이에서 연속누르기 방식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첫째 행에서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w와 y가 각각 q키와 t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되고, o키에는 그 파생문자가 이미 배열되어 있어 함께 배열하지 못하는 p는 둘째 행의 틸드가 붙은 p와 함께 배열되어 그 키에서 선순위 문자로 배열되었다.
둘째 행에서는 f, g, h, j, k가 모두 사용빈도가 낮으므로 각각 두 개씩 묶어 더블키 3개로 배열하면 된다. <gh>, <jk> 보다 <gj>, <hk>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영문모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gh"를 좀 더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셋째 행에서는 x와 v가 각각 z키와 b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되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이 실시예들은 하나의 모드에서 스페인어와 영문을 모두 입력하기 편리하도록 만든 예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모음들이 연속누르기에 의해 파생문자가 입력되기 때문에 영문을 입력하고자 할 때 "ee"나 "oo"를 누를 때 오류를 일으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생문자들은 스페이스바 우측에 제공되어 있는 파생문자변환키를 이용하여 변환시켜 입력하기 때문에 영문 "ee"나 "oo"를 입력할 때에도 아무런 충돌 없이 입력할 수 있다.
(a)는 도 19의 실시예와 그 배열이 동일하고, (b)는 8-8-6형의 실시예이다. 7-7-5형에 비해 각 행에서 y, j, v가 각각 싱글키로서 배열되어 있다.
도 21은 스페인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입력된 문자가 a, e, i, o일 때에는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도면과 같이 애큐트 표시를 하게 되어 이를 누를 경우 먼저 입력된 문자에 애큐트를 더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연이어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누를 경우 입력된 a, e, i, o를 각각 애큐트가 붙은 a, e, i, o로 변환시켜준다.
먼저 입력된 문자가 u일 때에는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도면과 같이 애큐트 표시와 움라우트 표시를 같이 하게 되어 이를 한 번 누를 경우 먼저 입력된 u에 애큐트를 더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하고, 연이어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누를 경우 입력된 u를 애큐트가 붙은 u로 변환시켜 주고, 두 번 연달아 누를 경우에는 첫번째 누를 때에 맞추어 애큐트가 붙은 u로 변환시켰다가 두 번째 누를 때에 맞추어 다시 움라우트가 붙은 u로 변환시켜준다.
먼저 입력된 문자가 n일 때에는 이 파생문자변환키는 도면과 같이 틸드 표시를 하게 되어 이를 누를 경우 먼저 입력된 n에 틸드를 더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연이어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누를 경우 입력된 n을 틸드가 붙은 n으로 변환시켜 준다.
그밖의 경우에는 이 키가 파생문자변환키임을 알 수 있는 표시를 하고 있으면 된다.
도 22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러시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러시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러시아어용 풀키보드는 12-11-9형인 것이 특징이다. 그만큼 많은 문자가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첫째 행의 Ц를 Й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Ё를 К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Ш를 Г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Щ를 З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Ъ를 Х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첫째 행에서는 자주 쓰이는 문자가 드물어 어떻게 조합해도 큰 차이를 내지 않지만,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조합을 찾아 더블키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행에서는 Ф를 Ы키에, П를 А키에, Э를 Ж키에 각각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셋째 행에서는 Ч를 Я키에, Ь를 Т키에, Ю를 Б키에 배열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연속누르기의 경우 약간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지만 그래도 그런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열이며, 또한, 12-11-9형의 키보드를 8-8-6형으로 줄여서 입력할 수 있다는 점이 그 효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4는 아랍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아랍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랍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7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아랍어 모드에서는 쉬프트키가 불필요하므로 그 자리에 문자키를 하나 더 배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아랍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써가는 문자이기 때문에 각 더블키에서 우측에 있는 문자가 선순위 문자인 점도 특징이다.
도 24의 사용빈도표를 근거로 하여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열하였다. 둘째 행의 맨 우측에 배열되어져야 할
Figure pat00001
를 셋째 행에 내려 배열한 것이 약간 파격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배열을 암기하기에 큰 무리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순위 문자로 배열된 문자들은 거의 그 선순위 문자의 파생문자로 되어 있어 이 역시 사용자가 후순위 문자인 점을 기억하기에 매우 쉽도록 되어 있다.
도 26은 독일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독일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독일어 키보드는 a, o, u에 각각 움라우트가 붙은 파생문자키 3개가 더 있는 11-11-7형이 쓰인다. 그러나 더 윗 행에 에스체트까지 있어 사실상 12-11-9형 키보드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빈도가 그리 높지는 않은 이 파생문자들을 모두 원문자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에스체트는 베타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s와 함께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첫째 행에 q, z은 각각 w키와 t키에 후순위 문자로 배열되었으나, o키에 이미 o움라우트가 배열되어 있어 p는 둘째 행에 내려서 배열하였다.
둘째 행에는 사용빈도가 낮은 f, j, k를 각각 d키, g키,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하였다.
셋째 행에는 x, v를 각각 y키와 c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위의 실시예가 늘어나는 타수가 다소 많다고 느낄 수 있고, "tz" 등의 충돌이 일어나는 수도 다소 있어, 본 실시예인 8-8-6형을 더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7-7-5형과의 차이점은 <tz>, <df>, <cv> 이 세 개의 더블키들을 각각의 자리에 다시 싱글키들로 배열한 점이다. 그만큼 늘어나는 타수가 줄어들고, 충돌하는 경우도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독일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는 움라우트가 붙는 파생문자들을 파생문자변환키를 이용하여 입력토록 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의 파생문자변환키(도면에서 스페이스바의 우측에 있는 키)는 a, o, u가 입력되는 즉시 움라우트를 붙이는 키로 된다. 즉, 그 키의 모양에 움라우트를 표시하게 되고, 그것을 누르면 직전에 입력이 되어 있던 a, o, u에 움라우트를 붙여주는 것이다. 에스체트도 s의 뒤에서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눌러서 s를 에스체트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즉, s가 입력되면 이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은 에스체트의 모양이나 또는 그것을 암시하는 모양으로 바뀌게 되고, 그것을 누르면 입력되어 있던 s는 에스체트로 변환된다.
도 30은 포르투갈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포르투갈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르투갈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포르투갈어는 모음의 파생 형태가 많아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파생문자변환키를 따로 제공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스페이스바의 좌우로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원문자들은 그 사용빈도에 따라 첫째 행에서는 w, y를 각각 q키와 t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p는 둘째 행에 내려서 싱글키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f, j, k를 각각 d키, g키, h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x, b를 각각 z키와 v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32는 포르투갈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파생문자변환키는 각각 a, e, i, o, u, 그리고 c가 입력되는 즉시 이 두 개의 파생문자변환키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뀌게 된다. 도면에서 각 행의 왼쪽에 있는 키가 왼쪽 파생문자변환키이고 오른쪽에 있는 키가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이다.
본 실시예의 파생문자변환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도면에 있는 키의 모습을 보고 설명하면, a가 입력될 경우 왼쪽 파생문자변환키는 애큐트와 그래이브를 표시하고,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는 틸드와 써콤플렉스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연이어 이 왼쪽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누르면 a에 애큐트를 붙여주고, 한 번 더 누르면 그 문자를 다시 a에 그래이브가 붙은 a로 변환시켜준다. 만약에 a를 누르고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누르게 되면 a에 틸드를 붙여주고, 한 번 더 누르면 그 문자를 다시 a에 써콤플렉스가 붙은 a로 변환시켜준다.
이 양쪽의 파생문자변환키는 문자키로 a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언제든지 자신의 기능에 맞춰진 문자로 변환시키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를 누르고 왼쪽 파생문자변환키를 한 번 눌러 애큐트가 붙은 a로 변환시킨 다음에 곧바로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를 누르면 그 문자를 다시 틸드가 붙은 a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
나머지 e, i, o, u, c의 경우에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도면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파생문자변환키는 a, e, i, o, u, c가 입력된 상태가 아닌 때에는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왼쪽 파생문자변환키는 애큐트와 그래이브, 그리고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는 틸드, 써콤플렉스, 움라우트와 세디야를 모두 표시하고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것을 눌러야 되는 순간이 되기 전부터 각각의 키에 어떤 기호가 배열되어 있는지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파생문자변환키는 당업자가 추구하는 바에 따라 그 배열을 조금씩 달리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르투갈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에 비하여 p키가 다시 첫째 행으로 옮겨오고 둘째 행의 가운데에 몰려 있던 더블키 3개도 그 수를 하나 줄여 g와 h가 각각 제자리에서 싱글키로 배열이 되어 있으며, 파생문자변환키 두 개가 각각 둘째 행과 셋째 행의 맨 우측에 배열이 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b)는 (a)에 비해, 파생문자변환키를 스페이스바의 양옆으로 배열하고, 첫째 행에서 y가 u키로 자리를 바꾼 것과, 둘째 행의 f와 셋째 행의 b를 각각 싱글키로 배열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8-8-6 배열은 7-7-5형에 비하여 좀 더 넓은 화면을 갖는 디바이스에 적합하며, 그런 디바이스에서 좀 더 빠르고 좀 더 편리한 입력이 가능하게 해준다.
도 34는 이탈리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탈리아어도 모음에 발음구별기호가 붙어 파생되는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바로 그래이브와 애큐트인데, 애큐트는 e에만 붙고 그래이브는 모든 모음에 붙는다. 본 실시예는 파생문자변환키를 둘째 행의 맨 우측에 제공하여 각각의 모음키를 누른 후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눌러 원하는 모양으로 변환시켜 입력토록 하고 있다.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은 도면에서처럼 그래이브와 애큐트를 표시하고 있으며 e를 입력한 상태에서는 그래이브와 애큐트가 그 순으로 연속누르기로 순환되어 입력되고, 나머지 모음을 입력한 상태에서는 그래이브만 표시되어 입력된 모음에 그래이브를 붙여주게 된다.
문자의 재배열을 살펴보면, 첫째 행에서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w, y를 각각 w키와 t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j, k를 각각 g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를 z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이탈리아어의 알파벳이 아닌 w, y, j, x가 모두 각 키에서 후순위 문자로 배열되어 있고, 이탈리아어의 알파벳들은 모두 각 키에서 선순위 문자로 배열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키보드는 이탈리아어를 입력할 때 풀키보드와 동일한 입력타수를 기록하게 된다.
파생문자변환키는 스페이스바 옆에 마련되어 있다.
도 37,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실시예들이다.
각각 사용빈도가 낮은 키들을 자리를 옮겨 그 인접키와 더불어 더블키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7-7-5형의 실시예는 이탈리아어에서는 약간의 충돌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나 입력타수면으로는 충분히 최적화되어 있고, 또한 더 작은 디바이스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9는 말레이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말레이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말레이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y, o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i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v를 각각 z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b)는 8-8-6형이며, 실시예 (a)에서 각 행에서 각각 y, j, v를 살려 싱글키로 배열한 점이 (a)와 다르다.
도 41은 자바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자바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y,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v를 각각 z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또한 스페이스바의 옆에 파생문자변환키를 마련하여 e가 입력되었을 때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연속누르기에 의해 각각 e에 애큐트, 그래이브, 써콤플렉스를 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b)는 8-8-6형이며, 실시예 (a)에서 첫째 행에서 각각 y와 o를 싱글키로 되살리고, 대신 p는 둘째 행에 내렸으며, 셋째 행에서는 v를 살려 싱글키로 배열한 점이 (a)와 다르다.
도 43은 필리핀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필리핀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리핀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이다. 사용빈도표 상으로는 첫째 행에서 y나 p보다 w, e가 사용빈도는 더 떨어지나 연이어 붙어 있는 q, w, e를 모두 다른 키에 붙일 경우 기존의 풀키보드와 각 키의 위치들이 너무 상이해져서 오히려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재배열은 지양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첫째 행에서 q, y,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v를 각각 z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b)는 8-8-6형이며, 실시예 (a)에서 첫째 행에서 각각 y와 o를 싱글키로 되살리고, 대신 p는 둘째 행에 내렸으며, 셋째 행에서는 v를 살려 싱글키로 배열한 점이 (a)와 다르다.
도 45는 폴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폴란드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폴란드어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파생문자를 더 사용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파생문자들은 각각의 원문자의 키에서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고, 따라서 이 키보드를 영문모드 없이 사용하기는 불편해 질 것이므로 영문모드를 따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폴란드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q, x, v를 배열하지 않았다. 물론 당업자에 따라 한꺼번에 배열하고 사용토록 해도 무방하다.
첫째 행에서,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u는 i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p는 둘째 행으로 내려 맨 우측에 싱글키로 배열하였다. 둘째 행에서는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f, g, h를 각각 d키, j키, k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셋째 행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x와 v가 생략되는 것으로 자리수가 딱 맞게 되었다.
도 47은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우크라이나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크라이나어는 사용빈도상으로 가장 낮은 문자를 다른 문자로 옮기면 지나치게 충돌이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한 충돌을 피하면서도 가급적 사용빈도가 낮은 키를 후순위 문자로 사용되도록 배열하였다.
첫째 행에서, Ц를 Й키에, Г를 Н키에, Щ를 Ш키에, Х를 З키에 각각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Ф를 I키에, П를 А키에, ∈를 Ж키에 각각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끝이 올라간 Г자를 Я키에, Ч을 С키에, Б를 Т키에, Ю를 Ь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49는 네덜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네덜란드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네덜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y,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c를 각각 z키와 v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b)는 8-8-6형이며, 실시예 (a)에서 첫째 행에서 u는 싱글키로 살리고 y는 u의 후순위 문자로 옮겼으며, 둘째 행에서는 j, 셋째 행에서는 c를 살려 싱글키로 배열한 점이 (a)와 다르다.
도 51은 루마니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루마니아어는 사용빈도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다양한 파생문자를 더 사용하는 언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파생문자를 그 원문자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배열하고, 그 원문자들끼리의 재배열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a)는 qwerty 배열이 기본이 되는 배열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y는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u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p는 사용빈도도 적지 않으므로 둘째 행에 내려 맨우측에 싱글키로 재배열하였다.
둘째 행에서는 h, j, k가 가장 사용빈도가 낮으나, 풀키보드와 키위치의 상이함을 막기 위해 f, j, k를 각각 각각 d키와 g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마찬가지로 셋째 행에서는 x, b를 각각 z키와 v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여기서 w와 q는 사용빈도면에 있어서 우열을 가리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이므로 원래의 순서인 qw가 되어도 무방하다.
(b)는 QWERTZ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실시예이며, z과 y만 서로 그 위치가 바뀌어 있다.
도 53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본 실시예들은 파생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파생문자변환키(스페이스바 우측에 도시)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QWERTY 및 QWERTZ 키보드에 적용하는 두 가지 버전이 소개되어 있다.
파생문자변환키는 a를 만났을 때는 그 키의 모양이 브리브와 써콤플렉스를 나타내는 모양으로 변하게 되고, 이때 연속누르기(또는 더블클릭) 방식에 의해 기호를 입력할 수 있고, 기호가 입력되면 각각 먼저 입력된 a가 그 a에 해당 기호가 붙여진 문자로 변환된다. 또한 i를 만났을 때는 그 키의 모양이 써콤플렉스로 변하게 되고, i의 다음에 누르면 입력된 i에 써콤플렉스를 붙여준다. 또한, s나 t를 만났을 때는 그 키의 모양이 컴마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하게 되고, 이때 이 키를 누르면 먼저 입력되어 있던 s나 t를 컴마가 붙은 문자로 변환시켜준다.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루마니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다.
7-7-5형에 비해서, 첫째 행에는 둘째 행에 있던 p를 다시 올리고, 둘째 행에서는 f와 j를 싱글키로 재배열하였으며, 셋째 행에서는 b를 싱글키로 재배열하였다. (a)는 qwerty 배열이고, (b)는 qwertz 배열이 기본이며, 각각의 위치가 바뀌면서 그 주변 문자와의 관계로 인해 약간의 변화가 있음을 도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5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그리스어는 Ε, Υ, Ι, Ο, Α, Η, Ω에 애큐트기호가 붙을 수 있고, Υ, Ι에 는 점 2개나 3개를 붙이기도 한다. 이러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파생문자변환키(도면에서 스페이스바의 바로 위 중앙에 위치한 키)를 적용하였다. 해당하는 문자를 먼저 입력한 후 이 파생문자변환키를 누르면 되는데, 한 번 누르면 애큐트기호를 붙여주고, 두 번 누르면 점 두 개를 붙여주고, 세 번 누르면 점 세 개를 붙여준다.
문자키의 재배열은,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Θ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Υ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Φ, Ξ를 각각 Δ키와 Η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Ζ, Ψ, Β를 각각 Χ키와 Ω키와 Ν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57은 세부아노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세부아노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아노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 실시예이다. 사용빈도표 상으로는 첫째 행에서 y나 p보다 w, e가 사용빈도는 더 떨어지나 연이어 붙어 있는 q, w, e를 모두 다른 키에 붙일 경우 기존의 풀키보드와 각 키의 위치들이 너무 상이해져서 오히려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재배열은 지양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첫째 행에서 q, y,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v를 각각 z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b)는 8-8-6형 실시예이며, 7-7-5형에 비해, 첫째 행에서 y를 싱글키로 되살리고, p 또한 둘째 행의 맨 우측에 싱글키로 재배열하였으며, 셋째 행에서는 v를 싱글키로 되살렸다.
도 59는 스와힐리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스와힐리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와힐리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a)는 7-7-5형 실시예이다. 첫째 행에서, 사용빈도와 그 키들의 위치, 연속누르기에 의한 충돌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q, t, p를 각각 w키, y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v를 각각 z키와 b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b)는 8-8-6형 실시예이며, 7-7-5형에 비해, 첫째 행에서 t를 싱글키로 되살리고, p 또한 둘째 행의 맨 우측에 싱글키로 재배열하였으며, 셋째 행에서는 v를 싱글키로 되살렸다.
도 61은 아제르바이젠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아제르바이젠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제르바이젠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아제르바이젠어 문자에는 원문자(u, o, s, g, c)에 발음구별기호(¨, ˘)를 붙여서 만든 파생문자가 더 포함되어 있고(본 발명에서는 점 없는 i와 점이 있는 i도 같은 관계로 취급한다.), 이러한 파생문자들을 더 배열하기 위해 현재 영문 쿼티자판 기준으로 각 행에 2개씩 더 배열되어 있고, 그런 이유로 모바일기기에서 더욱 더 좁은 키면적이 될 수밖에 없다. 본 실시예는 아제르바이젠어용 키보드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재배열하였다.
(a)는 파생문자변환키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이다. 파생문자들을 그 원문자에 그 후순위 문자로써 배열하여 새로 익혀야 하는 사용자가 새로운 위치를 찾기 위해 특별한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게 하고, 나머지 배열들로 8-8-6형을 만들었다.
첫행에서는 p를 둘째 행의 맨우측의
Figure pat00002
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와 j가 가장 사용빈도가 낮으므로,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또한 첫째 행에서 내려온 p가
Figure pat00003
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행에서는 x를 z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함께 배열하였다.
(b)는 파생문자변환키를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실시예 (a)에 비해 설명하면, 움라우트 붙은 u를 원래 키보드의 위치를 살려 q를 후순위 문자로 하는 더블키의 선순위 문자로써 첫째 행의 맨 앞에 배열되었고, p는 파생문자 배열이 빠진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한 점과, 움라우트 붙은 u를 제외한 파생문자들이 따로 배열되지 않은 점이 다르다. 또한, 스페이스바의 우측에 마련된 파생문자변환키는 파생문자를 만들 수 있는 문자가 눌린 직후에 해당 문자에게 붙일 수 있는 발음구별부호만 하나씩 표시되고, 그것을 누르면 엽력되었던 원문자가 그 표시된 발음구별부호가 그 원문자에 붙은 문자로 변환된다.
도 63은 헝가리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헝가리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헝가리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헝가리어는 모음의 발음을 구별하기 위해 움라우트나 애큐트, 이중 애큐트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a, e, i, o, u가 입력된 상태에서 연이어 눌러 그 문자에 액큐트를 붙여주는 오른쪽 파생문자변환키를 스페이스바의 우측에 제공하고, o, u가 입력된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움라우트, 두 번 누르면 이중 애큐트를 붙여주는 왼쪽 파생문자변환키를 스페이스바의 좌측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보듸 형태에 따라 다른 문자키들을 재배열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a)는 7-7-5형 실시예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u,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y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c를 각각 z키와 v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여기서 w와 q는 사용빈도면에 있어서 우열을 가리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이므로 원래의 순서인 qw가 되어도 무방하다.
(b)는 8-8-6형 실시예이며, 7-7-5형에 비해 설명을 하면, 각 행에서 각각 u, j, c가 싱글키로써 재배열되어 있다.
도 65는 체코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체코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코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 및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다.
체코어는 많은 발음구분기호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파생문자변환키(도면에서 스페이스바의 우측에 도시)를 제공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면과 함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시예에 따라 다른 문자키들을 재배열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는 7-7-5형 실시예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z, p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w키, t키, o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g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x, b를 각각 y키와 v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여기서 w와 q는 사용빈도면에 있어서 우열을 가리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이므로 원래의 순서인 qw가 되어도 무방하다.
(b)는 8-8-6형 실시예이며, 7-7-5형에 비해 설명을 하면, 첫째 행에서 z가 싱글키로 재배열되고, p는 둘째 행의 맨 우측에 싱글키로 재배열되고, 셋째 행에서는 b가 싱글키로써 재배열되어 있다.
도 67은 체코어용 파생문자변환키의 동작원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한 파생문자변환키는 a, i, o, y, 그리고 단어 입력 도중의 u가 입력된 직후에는 그 입력된 문자에 애큐트를 붙여주는 기능키로 된다. 도면의 그림은 그때의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e가 입력된 직후에는 한 번 누르면 그 입력된 문자에 애큐트를 붙여주고 두 번 누르면 그 입력된 문자에 브리브를 붙여주는 기능키로 된다. 도면의 그림은 그때의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단어의 처음에 u가 입력된 후에는 u에 링을 붙여주는 기능키로 된다. 도면의 그림은 그때의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c, d, n, r, s, t, z가 입력된 직후에는 그 입력된 문자에 브리브를 붙여주는 기능키로 된다. 도면의 그림은 그때의 파생문자변환키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8은 세르비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세르비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르비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문자들의 재배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두 문자인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는 그대로의 순으로 더블키를 만들어도 되고 도면과 같은 순서로 더블키를 만들어도 된다. 그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들인 З과 Ш는 각각 Т키와 П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둘째 행에서는 가장 낮은 사용빈도를 보이는 Ф과 Х를 각각 Д키와 Г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여기에, А키에 셋째 행에서 옮겨 온 S를 그 후순위 문자로 더 배열하였고, 맨우측에 있던
Figure pat00006
를 셋째 행의 Ж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셋째 행에서는 역시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들인
Figure pat00007
, Б,
Figure pat00008
를 각각 Ц키, Н키, М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또한, 원래 셋째 행에 있던 S는 둘째 행의 А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이러한 배열들은 모두 가능한 증가하는 입력타수를 줄이고, 같은 키 내에서 충돌을 일으킬 확률이 적게 나오도록 맞추어진 것들이다.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세르비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8-8-6형은 위에서 소개한 7-7-5형에서 원래의 행을 벗어나 재배열된 문자들이 제 위치로 돌아오고, 늘어나는 입력타수를 좀 더 줄이면서 충돌현상도 더 줄이게 되는 배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1은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불가리아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의 문자의 순서는 불가리아 스탠다드 키보드의 순이다.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Ш, Щ, Ц를 자리와 충돌현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 И키, К키, З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Ь, Ж, Г, Ч를 각각 Я키, О키, Т키, М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위치를 고려하여 Ю, Ф, Х, Б를 각각 Й키, Ъ키, П키,Л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도 역시 불가리아 스탠다드 키보드의 배열에 적용한 것이다.
도 74, 도 75, 도 76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아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의 다양한 버전들이다.
도 74와 도 75의 배열은 불가리안 키보드의 배열에 적용한 버전이며, 도 76의 배열은 불가리안 포네틱 키보드의 배열에 적용한 것이다.
도 77은 스웨덴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스웨덴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웨덴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스웨덴어의 알파벳에는 a에 링이 붙은 것과 움라우트가 붙은 것, 그리고 o에 움라우트가 붙은 것이 더 포함되어 있고, 이 문자들은 키보드에도 별도의 키로 배열이 되어 있다. 그 위치는 모두 키보드의 맨우측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것들을 각각의 원문자가 있는 방향으로 재배열하였다. 즉, a의 파생문자는 a가 있는 왼쪽으로 배열되고, o의 파생문자는 o가 있는 오른쪽에 배열이 된다. 여기에 기존 문자들에 대한 재배열은 다음과 같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 w, y를 각각 a링키, e키, u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둘째 행에서는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z, x를 각각 a움라우트키와 c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79는 핀란드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핀란드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핀란드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핀란드어의 알파벳에는 a에 움라우트가 붙은 것, 그리고 o에 움라우트가 붙은 것이 더 포함되어 있고, 이 문자들은 키보드에도 별도의 키로 배열이 되어 있다. 그 위치는 모두 키보드의 셋째 행의 맨우측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그중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o움라우트는 왼쪽으로 옮겼다. 이는 같은 행의 z, x, c가 모두 낮은 사용빈도를 보여 키들의 위치가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 기존 문자들에 대한 재배열은 다음과 같다. 사용빈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첫째 행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q와 w는 그 둘을 합하여 더블키를 만들고(도면에는 w가 선순위 문자이나 차이가 미미하므로 q가 선순위 문자가 되어도 무방하다), 나머지 문자들은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단어들이 많아 더블키를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p를 둘째 행으로 옮기는 것으로 하였다. 둘째 행에서는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f, j를 각각 d키와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셋째 행에서는 z, x, b를 각각 o움라우트키, c키, v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81은 일본어 입력용 로마자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인터넷사이트에서 검색한 자료(http://www7.plala.or.jp/dvorakjp/hinshutu.htm)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이다.
현재 일본에서 가장 선호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은 로마자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인데, 일본어는 모든 로마자를 이용하여 일본어 입력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이는 중복된 표기원칙에 따른 것이며 q, j, c, l, x와 같은 글자는 사용하지 않고서도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위의 문자는 그 사용빈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l은 아예 배열이 되지 않았는데, 이는 일본어 입력에서 l은 소문자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고 이는 x가 하는 일과 정확히 동일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본어에서는 t, s, k, p를 각각 tt, ss, kk, pp와 같이 중첩하여 입력하여 촉음(っ)을 입력하므로 이 네 개의 키에는 다른 문자를 함께 배열하지 않음으로써 연속누르기 충돌을 방지하였다. 또한 원래 첫째 행에 있었던 p를 둘째 행으로 재배열한 것은, 첫째 행에 있는 문자들은 그 어떤 문자도 다른 문자와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는데, p는 사용빈도도 가장 낮고 또한 가장 끝에 위치해 있어 밑으로 내려도 사용자의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y의 배열 문제는, y를 그 인접키들인 t나 u에 배열해야 하는데, 일본어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y가 t와 함께 배열되는 것보다 u와 함께 배열되는 것이 그 연속누르기 충돌수가 더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u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일본어를 입력하는 데에 y만 그 입력타수를 증가시키고 있는 배열이므로 효율면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도 83은 도 82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영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외되었던 l을 되살려야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과 같이, k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이는 p보다 k와 결합하는 것이 연속누르기 충돌이 더 적기 때문이다.
도 8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는 도 82의 실시예에서의 y 배열 문제를 y를 수직방향으로 내려 둘째 행에 배열함으로써 해결한 실시예이다. 이에 따라, p는 k에 자리는 내주고 h키의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되었다. 본 실시예는 y와 p의 위치가 다소 파격적이기는 하나, 일단 사용하기 시작하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는 위치이고, 효과면에서는 입력타수의 증가현상을 거의 느끼지 못할 만큼 최적화 되어 있고, 또한 연속누르기 충돌현상도 전혀 없어 사용자가 매우 만족할 수 있는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도 85는 도 84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영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외되었던 l을 되살려야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과 같이, k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도 8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8-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는 7-7-5형에서 후순위 문자로 사용되던 y를 싱글키로 되살리는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선순위 문자만으로 모든 일본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해진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g키의 후순위 문자로 가타카나 입력용의 장음부호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지만, 이는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의해 v키의 선순위 문자로 해도 무방하다.
도 87은 도 86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장음부호만 빼면 영문모드의 배열이 되는 것이 특징으로써, 이는 사용자들의 혼란스러움을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8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7-6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자주 사용되지 않는 j도 8-8-6형에서는 싱글키로 배열이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처럼 j를 h키에 그 후순위 문자로 배열함으로써 둘째 행에서 하나를 더 줄여서 8-7-6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각 키들 간의 위치도 좋고 미관상으로도 훨씬 여유로워 보이는 장점이 있다.
도 89는 도 88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영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외되었던 l을 되살려야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과 같이, k키의 후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이는 p보다 k와 결합하는 것이 연속누르기 충돌이 더 적기 때문이다.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8-7-6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1는 도 90 실시예의 영문모드의 예시이다.
본 실시예는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문자만으로 배열한 실시예이며, 모든 키에 문자가 하나씩만 배열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인 더블키를 하나도 갖지 않은 실시예가 되었으나, 이는 생략에 의한 것이며, 영문모드에서는 도면과 같이, 생략되어 있던 문자들이 다시 모두 나타나서 더블키들을 구성하게 된다.
도 92는 우르두어 풀키보드의 배열이다.
우르두어의 알파벳은 아랍문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아랍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문자를 더 파생시켜 사용하고 있어, 그 자음이 더 많다. 그리하여 그림과 같이, 풀키보드에서 쉬프트키와 함께 입력해야 하는 문자도 상당수에 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또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만든 것이다.
도 93은 우르두어 알파벳의 사용빈도표이다.
본 그래프는 소설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영문번역판의 1장부터 10장을 우르두어로 번역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르두어용 세미콤팩트키보드 7-7-5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사용빈도표를 참조하면 우르두어용 알파벳은 풀키보드상에서 둘째 행에 있는 문자들은 모두가 골고루 많이 쓰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세미콤팩트키보드를 만들려면 적어도 2개의 키를 줄여야 하는데 쉽게 다른 키의 후순위 문자로 재배열할 후보가 없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둘째 행의 맨 좌측에 있던 밈(
Figure pat00009
)을 첫째 행의 맨 좌측 키의 선순위 문자로 배열하였고, 또한 둘째 행의 맨 우측에 있던 초티이(
Figure pat00010
)도 셋째 행의 맨 우측 키에 그 선순위 문자로 배열하였다.
또한, 상기 밈(
Figure pat00011
)과 초티이(
Figure pat00012
)는 원래 있던 그 자리에도 그 키의 후순위 문자로서 남겨 두어 실수로 잘못 입력한 사용자가 후순위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의해 입력을 계속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물론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도면을 살펴보면 각가의 쉬프트키의 자리에 있던 문자들이 모두 그대로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새로운 배열에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른 키들에서 후순위 문자로 배열된 문자들은 모두 상대적으로 그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들이다. 또한 역시 그 쉬프트키의 자리에 있던 문자들까지 함께 이동시킨 것을 도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키보드에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로써 첫째 행의 맨 우측의 키를 들어 설명하면, 키에 총 4개의 문자가 배열되어 있는데 아래에 있는 2개의 문자는 쉬프트키 없이 바로 입력하는 문자들이고, 위에 있는 2개의 문자는 쉬프트키와 함께 누르는 문자들이다. 물론, 쉬프트키는 먼저 누르도록 하거나 나중에 누르도록 하거나 모두 가능하다. 또한, 우측에 있는 문자가 선순위 문자이고 좌측에 있는 문자가 후순위 문자이다. 이는 우르두어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쓰는 문자이기 때문에 그렇게 배열한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밈(
Figure pat00013
)을 입력하려면 이 키를 한 번 누르면 되고, 밈(
Figure pat00014
)의 위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려면 쉬프트키를 누른 후 누르면 되고, 밈(
Figure pat00015
)의 좌측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려면 이 키를 두 번 연속 빠르게 누르면 되고, 밈(
Figure pat00016
)과 대각선 방향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려면 쉬프트키를 누르고 이 키를 두 번 연속 빠르게 누르면 된다. 물론 쉬프트키가 나중에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쉬프트키는 나중에 누르면 된다.

Claims (18)

  1. 자국어의 풀키보드의 배열을 기본으로 따르는 세미콤팩트키보드에 있어서,
    첫째 행에 7개 또는 8개의 키가 배열되고,
    둘째 행과 셋째 행에는 각각 첫째 행의 키의 수보다 적거나 같게 배열되고,
    각 행에, 두 개의 문자가 함께 배열된 더블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키에 함께 배열된 두 문자는 풀키보드에서 서로 좌우로 이웃해 있었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키에 함께 배열된 두 문자 중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가 선순위 문자이고 그렇지 않은 문자가 후순위 문자이고, 후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선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그와 동일한 행에 있는 문자들의 평균 이상인 그룹에 속한 문자들은 모두 싱글키를 이루거나 또는 더블키에서의 선순위 문자가 되고, 상기 더블키의 후순위 문자는 사용빈도가 동일한 행에 있는 문자들의 평균 이하인 그룹에 속한 문자 중에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순위 문자가 될 문자는, 그와 좌측에 인접한 키에 배열되면 연속누르기 충돌이 현격히 더 일어날 경우에는 우측에 인접한 키에, 그렇지 않을 경우 좌측에 인접한 키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순위 문자는 상기 선순위 문자에 비하여 더블키 이미지상에서 더 구석진 공간에 더 작게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7. 제 1항에 있어서,
    각 행의 맨 끝자리의 문자를 그 위나 아래의 행의 맨 끝자리로 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자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문자를 생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국어에 사용되는 파생문자는 그 원문자와 함께 누름으로써 그 원문자의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파생문자변환키를 별도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10. 제 9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문자에 복수의 파생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파생 형태는 연속누르기(또는 더블클릭)로, 나머지 형태는 파생문자변환키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11.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싱글클릭(싱글터치)이고, 상기 후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더블클릭(더블터치)이고, 후순위 문자를 싱글클릭한 오류를 자동고침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자동고침을 수행한 직후 삭제키를 자동고침 취소키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고침 취소키는 양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이미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국어 모드와 동일한 배열의 영문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 모드는 자국어 모드에서 생략되었던 문자를 더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도록 구현된 세미콤팩트키보드.
  16. 자국어의 풀키보드의 배열을 기본으로 따르는 세미콤팩트키보드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첫째 행에 7개 또는 8개의 키가 배열되고,
    둘째 행과 셋째 행에는 각각 첫째 행의 키의 수보다 적거나 같게 배열되고,
    각 행에, 두 개의 문자가 함께 배열된 더블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구현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키에 함께 배열된 두 문자 중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가 선순위 문자이고 그렇지 않은 문자가 후순위 문자이고, 후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선순위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구현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그와 동일한 행에 있는 문자들의 평균 이상인 그룹에 속한 문자들은 모두 싱글키를 이루거나 또는 더블키에서의 선순위 문자가 되고, 상기 더블키의 후순위 문자는 사용빈도가 동일한 행에 있는 문자들의 평균 이하인 그룹에 속한 문자 중에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콤팩트키보드 구현 방법.
KR1020130132760A 2012-11-05 2013-11-04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KR20140061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940 WO2014069969A2 (ko) 2012-11-05 2013-11-05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EP13851909.5A EP2916200A4 (en) 2012-11-05 2013-11-05 SEMICOMPAKTE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PH12015501295A PH12015501295A1 (en) 2012-11-05 2015-06-05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358 2012-11-05
KR20120124358 2012-11-05
KR1020120125361 2012-11-07
KR20120125361 2012-11-07
KR1020120127801 2012-11-13
KR20120127801 2012-11-13
KR1020120143105 2012-12-10
KR1020120143105 2012-12-10
KR20120149465 2012-12-20
KR1020120149465 2012-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44A true KR20140061244A (ko) 2014-05-21

Family

ID=508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760A KR20140061244A (ko) 2012-11-05 2013-11-04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16200A4 (ko)
KR (1) KR20140061244A (ko)
PH (1) PH12015501295A1 (ko)
WO (1) WO20140699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558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키보플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103B2 (en) * 2006-09-14 2013-04-09 Howard Andrew Gutowitz Keypads row similar to a telephone keypad
KR20100002835A (ko) * 2008-06-30 2010-01-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US20110055697A1 (en) * 2009-08-26 2011-03-03 Wayne Davidson Alphanumeric keypad for touch-screen devices
KR101166676B1 (ko) * 2010-06-29 2012-07-19 문성용 영문자 키패드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US20120081297A1 (en) * 2010-10-01 2012-04-05 Google Inc. Touch keyboard with phonetic character shortc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5501295A1 (en) 2015-08-24
EP2916200A2 (en) 2015-09-09
EP2916200A4 (en) 2016-09-28
WO2014069969A2 (ko) 2014-05-08
WO2014069969A3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334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667049B2 (ja) 多言語文字入力装置
EP0898222A1 (en) Keypad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39;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WO2022083751A1 (zh) 具有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其应用于电子设备的输入方法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JP5404657B2 (ja) タッチ式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Niu et al. Stroke++: A new Chines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s
KR20140061244A (ko)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JP4410916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US8878704B2 (en) Character and function key input device using dictionary order and use frequency
US20160132235A1 (en) Keyboard
US20100201629A1 (en) System for inputting different language characters based on virtual keyboard and method thereof
JP2012003705A (ja)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CN106095126A (zh) 虚拟键盘的生成方法和输入梵语的方法及系统
CN100447717C (zh) 一种窄幅式新型字母键盘
KR20150102635A (ko) 단어 자동 추천 시스템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CN11759095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双拼输入法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WO2017086396A1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