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835A -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 Google Patents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835A
KR20100002835A KR1020080062876A KR20080062876A KR20100002835A KR 20100002835 A KR20100002835 A KR 20100002835A KR 1020080062876 A KR1020080062876 A KR 1020080062876A KR 20080062876 A KR20080062876 A KR 20080062876A KR 20100002835 A KR20100002835 A KR 2010000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ans
electrical connecting
electrical
character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835A/ko
Publication of KR2010000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하나의 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문자를 서로 식별하는 문자입력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들과, 오른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왼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상기 문자입력버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3 전기 접속수단을 구비하며,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두 개의 전기적 신호 중 보다 큰값 또는 보다 작은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문자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문자입력키패드는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이들은 접촉 손가락(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에 의해 식별된다. 상기 문자입력방식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가 일치한다. 또한, 모든 문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식별된다. 또한, 문자입력버튼의 누름 횟수를 감소시키며, 균등한 양손사용, 대기시간의 단축이 야기된다. 또한 키보드 자판배열과 유사한 자판배열이 도입될 수 있고, 이것은 자판배열에 대한 친숙도와 능숙도를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CHARACTER INPUT PAD TO DISTINGUISH CHARACTERS BY CONTACT FINGERS AND ELECTRONIC TERMINALS COMPR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 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하나의 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문자를 서로 식별하는 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와 달리 PDA, UMPC 또는 핸드폰과 같은 매체는 통상 한정된 문자입력키를 갖는다. 그 이유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에 의해 컴퓨터와 같은 키보드를 그대로 원용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정된 문자입력키를 이용하여, 영어의 알파벳 26개 또는 한글의 기본자모 29개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입력방식이 요구되며 현재 다양한 입력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문자입력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문자입력키에 2개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한된 문자입력키를 갖는 전자단말은 하나의 문 자입력키에 할당된 2개 이상의 문자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 필연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도 1는 "썸스트립트(thumbscript)" 방식이라 불리는 종래의 자판 배열의 한 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 방식에서는 9개의 문자입력버튼(100)에 각각의 문자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의 모양을 따라 버튼을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모든 문자에 대하여 통상 2회 이상 입력하여야 하므로, 긴 문장을 작성할 경우 버튼을 누르는 횟수가 지나치게 증가한다. 또한 입력할 문장을 머릿속에서 생각하면서 동시에 입력할 개별 글자들의 모양을 머릿속에 그려보아야 하므로 사용자가 문장을 생각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의 또 다른 하나는 하나의 키에 2개 이상(통상, 3개 또는 4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키패드의 버튼수를 줄이고, 버튼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구별하는 것이다. 도 2는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에 따른 대표적인 자판 배열의 예이다. 상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숫자 "2" 버튼(102)에는 "A, B, C" 세 개의 문자(또는 문자)가 할당되고, 숫자 "3" 버튼(103)에는 "D, E, F", 숫자 "4" 버튼(104)에는 "G, H, I", 숫자 "5" 버튼(105)에는 "J, K, L", 숫자 "6" 버튼(106)에는 "M, N, O", 숫자 "7" 버튼(107)에는 "P, Q, R, S", 숫자 "8" 버튼(108)에는 "T, U, V", 숫자 "9" 버튼(109)에는 "W, X, Y, Z"가 각각 할당된다. 상기한 배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숫자 "3" 버튼(103)을 1회 누르게 되면, 문자 "D"가 입력되고, 숫자 "3" 버튼(103)을 2회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문자 "E"가 입력되고, 숫자 "3" 버튼(103)을 3회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문자 "F"가 입력된다. 한편, 서로 이웃한 2개의 문자가 동일한 버튼에 할당된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단어 "CAR"를 입력할 때, 문자 "C"와 문자 "A"는 모두 숫자 "2" 버튼(102)에 할당되어 있어 상기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숫자 "2" 버튼(102)을 3회 연속하여 눌러 문자 "C"를 입력하고, 잠시 대기한 후, 다시 숫자 "2" 버튼 (102)을 눌러 문자 "A"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입력방식은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어 내에서 서로 이웃한 2개의 문자가 동일한 버튼에 할당된 경우, 대기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대기 시간 대신에 위치이동버튼 중 "→"를 누르는 것도 가능하나 문자입력버튼과 위치이동버튼은 서로 떨어져 있어 빠른 문장입력이 되지 않음). 단어 "CAR"를 입력하기 위해, 계속하여 숫자 "2" 버튼(102)을 4회 연속하여 누를 경우 "CA"가 입력되지 않고 단지 문자 "A"만 입력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입력방식은 오자가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높아진다. 예를 들면, 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2" 버튼(102)을 연속하여 3회 눌러야 하며, 2회 누름과 3회 누름 사이에 어느 정도의 시간차(약 1초 이상)가 있다면, 문자 "C"가 입력되지 않고 "BA"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은, 누르는 횟수 및 대기 시간의 존재에 의해, 오자가 발생할 우려가 상당히 높아진다.
또한 상기한 입력방식은 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2" 버튼(102)을 3회 연속하여 누르는 동안, "A → B → C"의 순서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글자 가 바뀌게 되어 사용자에게 혼동을 야기한다. 즉, 입력중인 글자가 화면상에서 계속 바뀌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혼동을 가져오게 될 우려가 현저히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PDA 또는 UMPC 등의 전자단말에서, 화면에 보여지는 문자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동일하게 입력되고, 하나의 접촉에 의해 오직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를 효과적이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PDA 또는 UMPC 같은 소형기기에서 하나의 키에 2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문자입력버튼의 수를 줄이고, 버튼에 접촉하는 손가락(구체적으로 오른팔 손가락/왼팔 손가락)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구별하여 한번 클릭당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새로운 문자입력키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들과,
오른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왼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상기 문자입력버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3 전기 접속수단을 구비하며,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두 개의 전기적 신호 중 보다 큰값 또는 보다 작은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문자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오른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오른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왼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왼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인,
문자입력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가 모두 저항값인,
문자입력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은 모두 전극이고,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은 문자입력버튼에 형성된 전도체인,
문자입력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의 문자입력키패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자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식은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한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은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다. 그리고 두 개의 문자는 접촉 손가락(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에 의해 식별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문자 중 하나는 오른팔 손가락이 키패드에 접촉할 때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왼팔 손가락이 키패드에 접촉할 때 입력된다.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즉, 화면에 다른 글자가 입력된 후 다른 글자로 전환하는 방식과 달리, 바로 전에 입력한 글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글자가 순차 변함에 따라 야기되는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와 다른 글자를 우선 입력한 후 이것을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로 변환시킬 경우, 사용자는 문자의 변환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생각한 바에 따라 문장을 곧바로 입력하지 못해 사용자의 생각을 현저히 방해하게 된다(이것을 흔히 "잔상" 현상이라 함).
둘째, 상기한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은 모든 문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식별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식은 제한된 문자입력버튼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문자는 한번의 클릭에 의해서 서로 식별된다.
셋째, 상기한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은 사용자의 머릿속에서 자판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손이 저절로 글자를 찾아가서 글자를 입력함으로써 문자의 입력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키게 된다. 컴퓨터의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Q"라는 문자가 어느 자판에 배치되어 있는 지는 잘 알지 못하더라도, "Q"라는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손이 저절로 알아서 입력하는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즉, 문자의 입력속도가 빨라지기 위해서는, 머릿속에서 자판 배열을 생각하는 것이 아 니라 손이 저절로 자판배열을 암기해야 되는 것이다(이것을 흔히 "근육 기억(muscle memory)"라 부름). 본원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한 "근육 기억(muscle memory)"을 가능케 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은 문자입력버튼의 누름 횟수를 감소시키며, 균등한 양손사용, 그리고 대기시간의 불필요 등에 의해 빠른 문장입력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는 종래의 터치스크린 형태의 문자입력버튼의 방식을 채용함과 아울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를 할당하고,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는 접촉 손가락(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에 의해 식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는,
a)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들과,
b) 오른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접속수단과,
c) 왼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속수단과,
d) 상기 문자입력버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3 전기 접속수단을 구비하며,
e)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f) 상기 두 개의 전기적 신호 중 보다 큰값 또는 보다 작은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문자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자입력키패드 상에서,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과 동일하게 식별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두 개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버튼은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서로 식별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용하되,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에 사용되는 자판배열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는 2개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종래의 키보드 자판배열에서, 이웃한 2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한 예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키보드 자판 배열(통상 "QWERTY" 자판배열이라 불리움)에서, 문자 "Q" 및 "W"를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이웃한 2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키보드 자판 배열(통상 "QWERTY" 자판배열이라 불리움)에서, 가운데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오른쪽에 위치한 문자를 왼쪽으로 평행이동시킨 후, 서로 오버랩되는 2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한 형태이다. 후술하겠지만, 도 6의 자판배열은 종래의 오른쪽 손가락으로 입력되는 문자를 오른팔 손가락(바람직하게는 오른팔 엄지손가락)으로, 왼쪽 손가락으로 입력되는 문자를 왼팔 손가락(바람직하게는, 왼팔 엄지손가락)으로 입 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를 식별하는 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의 구체적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하는 문자를 식별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는 오른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왼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속수단(102)이 문자입력키패드의 좌우 양쪽에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101)은 오른판 손바닥과, 상기 제2 전기 접속수단(102)은 왼팔 손바닥과 각각 접속되어 있음을 예시한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제1 전기 접속수단(101)은, 전선 등에 의해 연장된 채, 오른팔의 손등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전기 접속수단(102)도 동일하게 전선 등에 의해 연장된 채, 왼팔의 손등 등에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제2 전기 접속수단(102)은 모두 전극이고,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은 문자입력버튼에 형성된 전도체일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에는,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특정 문자입력버튼에 접촉할 때,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2 전기 접속수단(102)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에도,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특정 문자입력버튼에 접촉할 때,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팔 손가락이 문자입력버튼의 특정키에 접속되면,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는 인체를 경유한 긴 전기적 회로가 완성된다(붉은색으로 표시함). 이에 반해, 상기 제2 전기 접속수단(102)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는 왼팔 손가락을 경유한 짧은 전기적 회로가 완성된다(초록색으로 표시함). 따라서, 하여 인체를 경유한 전기적 회로가 완성된다(붉은색으로 표시함).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의 저항은 매우 크게 되고, 제2 전기 접속수단(102)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현저히 작은 저항을 갖는다.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발생되는 두개의 전기적 신호는 통상의 감지 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상기 두 개의 전기적 신호는 제어수단에 전달되고, 이곳에서, 전기적 신호 중 보다 큰값 또는 보다 작은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식별되고, 식별된 문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제2 전기 접속수단(102)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의 전기적 신호(예를 들면, 저항)가 제1 전기 접속수단(101)과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103)의 사이의 전기적 신호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가지며, 이 때 상기 제어수단은 낮은 전기적 신호(저항)에 기초하여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에서 왼편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저항값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저항값을 전압 등으로 변환할 수 있음은 전기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이런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문자가 식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식별원리를 정리하면, 오른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오른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다. 또한, 상기 왼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왼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다. 따라서, 오른팔이 접촉할 때와 왼팔이 접촉할 때, 두 개의 전기적 신호값은 차별화될 수 있고, 두 개의 전기적 신호값 중 적은 값에 기초하여, 또는 두 개의 전기적 신호값 중 큰값에 기초하여,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손가락"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통상 터치스크린은 손톱등에 의해 입력이 수행된다. 손톱은 전기적 부도체이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될 수 없다. 따라서, 손가락에 도전성 골무 등을 착용한 채,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손가락"이라 함 은 손가락 또는 이에 준하는 것(도전성 골무를 착용한 손가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3은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오른팔 손바닥이 직접 접속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 등에 의해 오른팔 손등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고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는 "썸스트립트(thumbscript)" 방식이라 불리는 종래의 자판 배열의 한 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에 따른 대표적인 자판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의 구체적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를 이용하는 문자를 식별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에 사용되는 자판배열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키패드에 사용되는 자판배열의 다른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5)

  1.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하나의 문자입력버튼에 2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들과,
    오른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왼팔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상기 문자입력버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3 전기 접속수단을 구비하며,
    오른팔 손가락 또는 왼팔 손가락이 접촉할 때,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두 개의 전기적 신호 중 보다 큰값 또는 보다 작은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2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고, 식별된 문자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른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오른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상기 왼팔 손가락이 접속할 때,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인체를 매개하여 연결된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이고,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는 왼팔을 매개하여 연결된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인, 문자입력키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접속 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 접속수단과 제3 전기 접속수단과의 전기적 신호가 모두 저항값인, 문자입력키패드.
  4. 상기 제1 전기 접속수단과 제2 전기 접속수단은 모두 전극이고, 상기 제3 전기 접속수단은 문자입력버튼에 형성된 전도체인, 문자입력키패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문자입력키패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자단말.
KR1020080062876A 2008-06-30 2008-06-30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KR20100002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76A KR20100002835A (ko) 2008-06-30 2008-06-30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76A KR20100002835A (ko) 2008-06-30 2008-06-30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35A true KR20100002835A (ko) 2010-01-07

Family

ID=4181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76A KR20100002835A (ko) 2008-06-30 2008-06-30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969A3 (ko) * 2012-11-05 2014-10-02 Yang Giho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WO2015006964A1 (en) * 2013-07-19 2015-01-22 Intel Corporation Category-based key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969A3 (ko) * 2012-11-05 2014-10-02 Yang Giho 세미콤팩트 키보드 및 방법
WO2015006964A1 (en) * 2013-07-19 2015-01-22 Intel Corporation Category-based keyboard
US9703478B2 (en) 2013-07-19 2017-07-11 Intel Corporation Category-based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CN104182163A (zh) 一种显示虚拟键盘的方法及装置
KR100666846B1 (ko) 입력 키 및 입력장치
WO2010087657A2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2004206206A (ja) 入力装置及び電子装置
US9740302B2 (en) Ambidextrous chord keying device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
KR20100002835A (ko) 접촉 손가락의 구별에 의해 문자를 식별하는문자입력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단말
CN106774991A (zh) 输入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键盘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3042910A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551162B2 (en) Method for keypad optimization
US10877574B2 (en) Computer mouse, touchpad, input suite, and mobile device
US20150113398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100652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와 문자 인식 방법
US10871899B2 (en) Input accepting device
CN100492261C (zh) 一种感应开关式用户界面装置及其便携式终端
US20070028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ext entry in cell phones and other small keypad devices
KR101925065B1 (ko)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30039648A (ko) 착용하는 장잡형 문자입력장치
JPH11143608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777968B1 (ko) 다기능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15172799A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