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65B1 -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65B1
KR101925065B1 KR1020170031119A KR20170031119A KR101925065B1 KR 101925065 B1 KR101925065 B1 KR 101925065B1 KR 1020170031119 A KR1020170031119 A KR 1020170031119A KR 20170031119 A KR20170031119 A KR 20170031119A KR 101925065 B1 KR101925065 B1 KR 10192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function
smart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08A (ko
Inventor
장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보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to KR102017003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는, 쿼티(Qwerty) 배열방식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와 각종 기호키 및 기능키의 일부에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되고, 상기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된 상기 문자키에서 숫자 및 기호의 입력이 'num lk' 키 누름, 혹은 키보드 상단의 근접센서를 가려 전환되는 것으로서,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1' 내지 '9'의 숫자키가 'U', 'I', 'O', 'J', 'K', 'L', 'N', 'M', ',' 키에 각각 배치되고, 또는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1' 내지 '9'의 숫자키가,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 키에 각각 배치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Keyboard for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연결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키나 기호키 및 기능키의 일부에 다른 기호키와 기능키와 숫자키를 배열하여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성능이 더욱 좋아지고 기능이 풍부해짐에 따라 이러한 스마트 기기에서도 PC에서 수행되던 인터넷 검색, 문서 작성 등과 같은 기능이 무리 없이 수행되고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문자 입력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기능이 있으나, 한 글자를 입력하는데 여러 번 키를 눌러야 하는 단점(천지인 방식)과 불편함이 있고, 이를 보완하여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인 쿼티(Qwerty) 자판을 작게 구현한 스마트 기기의 키보드도 많이 나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 입력장치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에서는 화면에 키보드가 그려지고 해당 버튼의 그림을 누르면 글자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의 문자 입력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에 비해 문자 입력 속도가 많이 떨어지고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그 불편함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를 가지면서 크기를 줄이거나 접이식의 형태로 만들어 필요시에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키보드도 많이 나오고 있으나, 이러한 키보드 장치들은 외부에서 스마트 기기를 사용 시 무릎 위에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사용 환경의 제약이 따르고 스마트 기기 본 기능이 퇴색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151호(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778호(컴퓨터용 숫자키 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631호(스마트폰용 무선 자판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키의 숫자를 줄이는 경우, 숫자나 각종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숫자키나 문자키를 각각 구성하는 경우 키보드의 크기가 커져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4151호(2012. 11. 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778호(2015. 04. 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2631호(2015. 05. 26.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키보드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나 보관이 용이하고,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장시간 동안 피로감 없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는, 쿼티(Qwerty) 배열방식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와 각종 기호 및 기능키의 일부에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되고, 상기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된 상기 문자키와 각종 기호의 입력이 'num lk'키의 입력 및 키보드 상단의 근접세서를 손으로 가려 전환되는 것으로서, 상기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상기 '1' 내지 '9'의 숫자키가, 'U', 'I', 'O', 'J', 'K', 'L', 'N', 'M', ',' 기호키 및 기능키에 각각 배치되고, 또는 상기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상기 '1' 내지 '9'의 숫자키가,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 기호키 및 기능키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의 상단에 근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손에 의해 가려지면, 'esc' 내지 'pgdn' 키가 '화면 끄기', '화면 캡처', '검색', '배터리량 확인', '가상키보드', '이전 트랙', '재생', '다음 트랙', '음 소거', '음량 줄임', '음량 높임'으로 전환되어 작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의 상단에 근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상기 근접센서가 손에 의해 가려지면, 'U' 내지 ' ,'의 키가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의 상단에 근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상기 근접센서가 손에 의해 가려지면, 'ㅕ' 내지 ' ,'의 키가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fn 키를 누른 채 'U'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fn 키를 누른 채 'ㅕ'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num lk 키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U'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num lk 키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ㅕ'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 'num lk'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 후에 자음버튼 및 'ㅛ', 'ㅗ', 'ㅠ', 'enter'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숫자/기호 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이전처럼 모음입력 및 기호입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 'num lk'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 후에 'Q', 'W', 'E', 'R', 'T', 'Y', 'A', 'S', 'D', 'F', 'G', 'H', 'Z', 'X', 'C', 'V', 'B', 'enter'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숫자/기호 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이전처럼 모든 문자 입력 및 기호입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상기 키보드의 상단에 전원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버튼을 클릭하여 전원 온/오프 기능이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스마트 기기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기능이 구비된다. 여기서, 키보드(1)는, 다수의 스마트 기기와의 블루투스 멀티페어링 기능이 구비되고, 키보드에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스마트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B1', 'B2', 'B3' 키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서, num lk 입력 모드, 전원 온/오프 등 하나의 키에 이중 배치된 문자나 각종 기호 및 기능키의 고정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는, 문자 키 및 각종 기호나 기능키의 일부에 숫자키와 기호키를 중복 배열시켜 전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보드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나 보관이 용이하고,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장시간 동안 피로감 없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용 한글/영문 키보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용 영문 키보드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용 한글/영문 키보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용 영문 키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영문 또는 한글키가 쿼티(Qwerty) 배열방식으로 배치되는 영문 또는 한글키와 각종 기호 및 기능키와 함께 숫자키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문자키와 각종 기호 및 기능키의 일부에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되고, 숫자키와 기호키가 중복되게 배치된 상기 문자키와 각종 기호의 입력이 'num lk' 키 입력 및 키보드 상단의 근접센서를 손으로 가림으로써 전환돼 입력된다.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에는 '1' 내지 '9'의 숫자키가, 'U', 'I', 'O', 'J', 'K', 'L', 'N', 'M', ',' 키에 각각 배치되고,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에는 '1' 내지 '9'의 숫자키가,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 키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의 상단에 근접센서(3)가 구비되고, 근접센서(3)가 손과 같은 물체에 의해 가려지면, 'esc' 내지 'pgdn' 키가 '화면 끄기', '화면 캡처', '검색', '배터리량 확인', '가상키보드', '이전 트랙', '재생', '다음 트랙', '음소거', '음량 줄임', '음량 높임'으로 전환되어 작동한다.
다시 말해,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의 상단에 근접센서(3)가 구비되고, 키보드(1)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에는 근접센서(3)가 손과 같은 물체에 의해 가려지면, 'U' 내지 ' ,'의 키가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의 상단에 근접센서(3)가 구비되고, 키보드(1)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에는 근접센서(3)가 손과 같은 물체에 의해 가려지면, 'ㅕ' 내지 ' ,'의 키가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에는 fn 키를 누른 채 'U' 내지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에는 fn 키를 누른 채 'ㅕ'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에는 num lk 키를 누르면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U'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에는 num lk 키를 누르면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ㅕ' 내지 ' ,'의 키를 클릭하면 '1', '2', '3', '+', '*', '%', '₩', '4', '5', '6', ',', '=', '7', '8', '9' 의 키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영문 키보드인 경우에는 'num lk'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 후에 'Q', 'W', 'E', 'R', 'T', 'Y', 'A', 'S', 'D', 'F', 'G', 'H', 'Z', 'X', 'C', 'V', 'B', 'enter'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숫자/기호 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이전처럼 모든 문자 입력 및 기호 입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가 한글 키보드인 경우에는 'num lk'를 눌러 숫자와 기호가 입력되는 숫자/기호 입력모드 후에 자음버튼 및 'ㅛ', 'ㅗ', 'ㅠ', 'enter'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숫자/기호 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이전처럼 모음입력 및 기호입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스마트 기기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기능이 구비된다. 여기서, 키보드(1)는, 다수의 스마트 기기와의 블루투스 멀티페어링 기능이 구비되고, 키보드에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스마트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B1', 'B2', 'B3' 키가 구비된다.
또한, 위의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num lk 입력 모드, 전원 온/오프 등 하나의 키에 이중 배치된 문자나 각종 기호 및 기능키의 고정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된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1
위와 같은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전원버튼(4)은 클릭 시 키보드의 전원이 On이 되고, 버튼을 재클릭시 키보드의 전원이 Off 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근접센서(3)는 키보드에 연결된 단말기에 탑재된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손과 같은 물체로 가렸을 때 키보드 상단에 표시된 ◀◀, ▶|등과 같은 단축키들과 2열∼4열 내 주황색 숫자와 기호들이 표시대로 입력된다. 이때 방향버튼의 주황색 기능키는 작동에서 제외된다.
또한, 실시 예의 키보드(1) 상단에 위치한 2개의 LED(2) 중 1번째 LED는 num lk 키 클릭시 빨간색으로 점등되고, 블루투스 페어링시에는 파란색으로 점등된다. 또한 2번째 LED는 전원버튼을 ON했을 때에 빨간색으로 점등되며, 배터리의 잔량이 5% 이하로 남았을 때에는 빨간색으로 계속 깜박거리게 된다.
esc 버튼은 android, iOS, windows 등과 같은 운영체계에 따라 일반모드에서는 각각 이전 뒤로 이동, 홈 이동, esc 기능을 수행하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키값이 입력되며,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화면 꺼짐/켜짐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키 값을,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키 값을,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화면 캡처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B1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블루투스 멀티페어링 1 연결기능을 실행하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며,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android 및 iOS 운영체계에서는 구글 등과 같은 검색창이 나타나지만, windows와 같은 운영체계에서는 시작화면에서 검색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난다.
또한, B2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블루투스 멀티페어링 2 연결기능을 실행하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며,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배터리(건전지)의 잔량을 표시한다. 즉, 배터리의 잔량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두 번째 LED(2)가 세 번 깜박이고, 배터리의 잔량이 40% 이상인 경우에는 두 번째 LED(2)가 두 번 깜박이며, 배터리의 잔량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두 번째 LED(2)가 한 번 깜박인다.
또한, B3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블루투스 멀티페어링 3 연결기능을 실행하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며,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가상 키보드 기능을 실행한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2
또한,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며,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이전 트랙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num lk 버튼은 shift 버튼과 함께 조작되는 경우 _ 키 값을,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재생/일시정지 기능을 실행하며, num lk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1', '2', '3', '+', '*', '%', '₩', '4', '5', '6', ',', '=', '7', '8', '9' 키가 고정 입력되는데, 이때 첫 번째 LED가 커진다. 이러한 num lk 버튼의 조작에 의한 lock의 해제는 num lk 버튼의 재클릭 시 이루어지거나, 한글자음 및 ㅛ, ㅗ, ㅠ 버튼(같은 자리 영어 포함), enter 누름 시에도 자동 해제된다.
또한, home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home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음영 드래그 잡힘 기능을 실행하고,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다음 트랙으로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end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end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음영 드래그 잡힘 기능을 실행하고,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음 소거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pgup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pgup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음영 드래그 잡힘 기능을 실행하고,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음량 줄임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pgdn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pgdn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음영 드래그 잡힘 기능을 실행하고,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음량 높임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고, del 버튼 역시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delele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키 값을 가지며, back space 버튼은 운영체계나 shift 버튼이나 fn 버튼이 조작되거나 근접 센서(3)가 가려지는 것과 관계없이 back space 기능만을 실행한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3
또한,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tab 버튼은 각기 다른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 tab 값을 가지고, fn 버튼이 조작되었을 시 caps lock의 키 값을 가지며, 각각의 q/ㅂ, w/ㅈ, e/ㄷ, r/ㄱ, t/ㅅ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자음, 즉 Q/ㅃ, W/ㅉ, E/ㄸ, R/ㄲ, T/ㅆ 키 값과 상호 전환된다.
또한, 각각의 y/ㅛ, u/ㅕ, i/ㅑ, o/ㅐ, p/ㅔ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1회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모음, 즉 Y/ㅛ, U/ㅕ, I/ㅑ, O/ㅒ, P/ㅖ 키 값과 상호 전환된다.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운영체계에서 fn 버튼이 조작되거나 근접센서(3)가 가려진 경우 u/ㅕ, i/ㅑ, o/ㅐ, p/ㅔ 버튼의 키 값은 각각 1, 2, 3, +의 키 값으로 입력된다.
또한, 각각의 [, ]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 ] 키 값을 가지고, shift 버튼이 조작된 상태에서는 {, } 키 값을 가지며, fn 버튼이 조작되거나 근접센서(3)가 가려진 경우 *, % 의 키 값으로 입력된다.
또한, 한자 버튼은 android 및 iOS 운영체제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고, 한글용 키보드 windows에서는 한자(특수문자) 기능을 실행하고 영문 키보드 windows에서는 insert 키 값을 가지며, shift 버튼과 함께 조작되는 경우 | 키 값을, 그리고 fn 버튼과 함께 조작 및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 키 값을 가진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4
또한,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fn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일반모드에서는 누름 상태에서 모든 주황색 버튼들(숫자, 기호, 백라이트 기능 등)의 키 값으로 전환시켜 입력되고, 각각의 a/ㅁ, s/ㄴ, d/ㅇ, f/ㄹ, g/ㅎ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자음, 즉 A/ㅁ, S/ㄴ, D/ㅇ, F/ㄹ, G/ㅎ 키 값과 상호 전환된다.
또한, 각각의 h/ㅗ, j/ㅓ, k/ㅏ, l/|, ;, '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1회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모음, 즉 H/ㅗ, J/ㅕ, K/ㅑ, L/ㅣ, :, " 키 값과 상호 전환되고, 특히 ;, ' 버튼은 shift 버튼과 함께 조작되었을 시 각각 :, " 의 키 값을 가지고, fn 버튼과 함께 조작 및 근접센서(3)가 가려졌을 때에는 ,, = 키 값을 가진다.
또한, enter 버튼은 각기 다른 운영체계에서 fn 버튼이 조작되거나 근접센서(3)가 가려지는 것과 관계없이 enter 키 값을 가진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5
또한,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왼쪽 shift 버튼은 다른 운영체계와 관계없이 일반 키보드와 같은 shift 기능을 실행하며, 또한 각각의 z/ㅋ, x/ㅌ, c/ㅊ, v/ㅍ, b/ㅠ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자음, 즉 Z/ㅋ, X/ㅌ, C/ㅊ, V/ㅍ, B/ㅠ 키 값과 상호 전환된다.
또한, 각각의 n/ㅜ, m/ㅡ,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1회 조작됨에 따라 대문자/쌍모음, 즉 N/ㅜ, M/ㅡ 키 값과 상호 전환되고, ,, ., / 버튼의 키 값은 shift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 >, ? 키 값과 상호 전환된다.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운영체계에서 fn 버튼이 조작되거나 근접센서(3)가 가려진 경우 n/ㅜ, m/ㅡ, ,, 버튼의 키 값은 7, 8, 9의 키 값을 가진다.
또한, 오른쪽 shift 버튼은 왼쪽 shift 버튼과 동일하다.
Figure 112017024631941-pat00006
또한, 실시 예의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1)는, 표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ctrl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모두다 ctrl 키 값을 가지고, fn f1 버튼은 android와 iOS 운영체계에서는 상단 fn 키와 같이 주황색 버튼들을 입력하는 키 값을 가지지만,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숫자 입력 대신에 f1∼f10의 기능을 실행하는 키 값을 가지며, alt 버튼은 android, iOS 및 windows 운영체계에서 각각 alt, option 및 alt 키 값을 가진다.
또한, cmd 버튼은 android, iOS 및 windows 운영체계에서 각각 구글 검색, command 및 윈도우 홈 시작을 위한 키 값을 가지고, space는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모두다 space 기능을 실행하며, 0 키는 모든 운영체계에서 일반모드나 혹은 fn 버튼과 조작하거나 근접센서(3)가 가려지거나 상관없이 항상 0 키 값을 가진다.
또한, 한/영 버튼은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한/영 전환기능을 실행하는 키 값을 가지고, ◀, ▲, ▼, ▶ 버튼은 각각 ←, ↑, ↓, → 키 값을 가지는데, 이는 fn 버튼과 함께 사용시 ◀는 백라이트 켜기/끄기, ▲는 백라이트 밝기 높임, ▼는 백라이트 밝기 줄임, ▶는 백라이트 종류 변경을 위한 키 값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의 몇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 : 키보드 2 : LED
3 : 근접센서 4 : 전원버튼

Claims (8)

  1.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는 복수의 문자키;
    하나 이상의 기호가 할당되는 복수의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는 복수의 기능키;
    하나 이상의 문자에 하나의 숫자 또는 하나의 기호가 중복 할당되는 복수의 제1 중복키;
    하나 이상의 기호에 하나의 기능이 중복 할당되는 복수의 제2 중복키;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하나의 기호가 중복 할당되는 복수의 제3 중복키; 및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3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기호를 입력하도록 입력모드를 전환시키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복키, 상기 제2 중복키 및 상기 제3 중복키는 상기 근접센서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환된 입력모드가 전환되기 이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또는 상기 제3 중복키는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키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기능키는 상기 제1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3 중복키가 상기 중복 할당되는 기호를 입력하도록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키에 의해 전환된 입력모드는 상기 문자키 또는 상기 기능키가 선택되면 전환되기 이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8. 삭제
KR1020170031119A 2017-03-13 2017-03-13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KR10192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19A KR101925065B1 (ko) 2017-03-13 2017-03-13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19A KR101925065B1 (ko) 2017-03-13 2017-03-13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08A KR20180104408A (ko) 2018-09-21
KR101925065B1 true KR101925065B1 (ko) 2018-12-05

Family

ID=6372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19A KR101925065B1 (ko) 2017-03-13 2017-03-13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675A (ko) 2022-05-11 2023-11-21 장재완 스마트폰 거치 키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675A (ko) 2022-05-11 2023-11-21 장재완 스마트폰 거치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08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2037B2 (en) Software keyboard input method for realizing composite key on electronic device screen with precise and ambiguous input
CN102169391A (zh) 触摸设备输入装置和输入方法
CN102629184A (zh) 一种手持终端及其操作方法
KR101925065B1 (ko)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US11847268B2 (en) Reprogramable multi-host, multi-character set keyboard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CN102841752A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CN106774991A (zh) 输入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键盘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JP2010518530A (ja) 文字入力装置
KR101173537B1 (ko) 쾌속 터치 자판
KR101432529B1 (ko) 키보드 기능을 갖는 마우스
KR20100033879A (ko) 문자입력장치
KR20100023548A (ko)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
KR20090104781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60108162A (ko) 광센서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KR20120029562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101511778B1 (ko) 컴퓨터용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4642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804069B1 (ko) 범아랍어용 문자입력장치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