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792A -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792A
KR20140060792A KR1020120127557A KR20120127557A KR20140060792A KR 20140060792 A KR20140060792 A KR 20140060792A KR 1020120127557 A KR1020120127557 A KR 1020120127557A KR 20120127557 A KR20120127557 A KR 20120127557A KR 20140060792 A KR20140060792 A KR 2014006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histamine
flushing
receptor antagonis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 정연 이
신순용
Original Assignee
크리스 정연 이
신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 정연 이, 신순용 filed Critical 크리스 정연 이
Priority to KR102012012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0792A/ko
Publication of KR2014006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5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안면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혹은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A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 for use of supressing flushing conditions induced by alcohol uptake}
본 발명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홍조 증상, 특히 안면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의약, 식품 혹은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탄올은 중추 신경 시스템 상에서 어떤 에탄올의 영향들을 경험하고자 하는 특별한 의향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소비되는 알코올성 음료들 내에서 주요한 정신활성의 성분이다. 이러한 알코올의 영향들은 에탄올이 신체에 의해 통상의 대사적 생성물 및 에너지 원료인 아세틸 CoA로 점차 대사되어 감에 따라 수시간의 과정에 걸쳐 감소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반응식 1에서 ALDH(Aldehyde dehydrogenase) 촉매화된 아데트알데히드의 아세트산으로의 반응 속도가, ADH(alchol dehydrogenase) 촉매화된 에탄올의 아세트알데히드로의 반응 속도보다 충분히 높지 않으면 체내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된다. 체내에서 아세트알데히드의 갑작스런 고농도는 안면 홍조 증상을 포함하여 어지러움증, 구역질, 구통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들을 야기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알코올 섭취로 안면 홍조 증상이 나타나는 비율은 세계적으로는 약 8%이고, 동양인의 50% 정도, 한국인의 경우 이보다 낮아서 15~16% 정도이다.
정상인들도 알코올 섭취시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나 즉시 ALDH에 의해 무해한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므로 안면 홍조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약하게 나타나는 반면, 안면 홍조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ALDH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의 아세트산으로의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아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고 이로 인해 안면 홍조가 나타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인의 ALDH 효소의 아미노산 487 위치에 글루타메이트가 존재하는 반면(ALDH Glu 487),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안면 홍조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은 상기 글루타메이트 대신에 리신이 존재하는 변질된 효소(ADHL Lys 487)을 지닌다. 이로 인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산으로 전환되는 양이 매우 적어져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안면 홍조 증상이 나타난다(참조: S. Harada, D.P. Agarwal, H.W. Goedde, Lancet. 1981, 2:982.).
에탄올 섭취가 안면 홍조를 야기하는 또 다른 경로는 에탄올이 과도하게 빨리 대사되는 것이다. 몇몇의 연구들은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과도한 활성 형태를 인코딩하는 ADH 대립 형질의 존재가 알코올 안면 홍조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참조: A. Shibuya 외., Hum. Genet. 1989, 82: 14-16; T. Takeshita 외., Hum. Genet. 1996, 97: 409-413).
위와 같이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 비정상성을 갖는 사람의 경우 알코올 섭취시 그의 전신 내에서 ALDH의 결핍 및/또는 ADH의 과활성으로 인해 그의 전신 내에서 아세트알데히드의 급속한 누적이 발생하고, 이러한 누적은 그 사람의 얼굴, 목 및 어깨의 홍조(모세혈관 확장에 의한 붉어짐)을 유발한다. 이러한 홍조 증상들은 그 영향을 개인들이 자주 음주를 완전히 삼가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불쾌감을 유발한다.
따라서, 알코올에 의한 얼굴, 목 및/또는 어깨의 홍조 증상을 억제하여 음주시 홍조로 인한 불쾌감을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의 제공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83770호에서는 시메티딘 또는 파모티딘을 포함한 H2 수용체 길항제의 위산 분비 억제제로서의 의약 용도를 제공한다. 위와 같이 H2 수용체 길항제는 위산 분비 억제제 및 이로 인한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궤양 등의 치료제로서만 알려져 있을 뿐 알코올에 의한 홍조 증상을 억제할 수 있음은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83770호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에 의한 얼굴, 사지, 목 및/또는 어깨의 홍조 증상을 억제하여 음주시 홍조로 인한 불쾌감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이르러 히스타민 H2-수용체 길항제가 알코올에 의한 얼굴, 사지, 목 및/또는 어깨 등의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임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알코올에 의한 얼굴, 목, 손 및/또는 어깨 등의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험자의 11번의 약물 투여 전과 후에 촬영된 안면 사진 중 이마 부위를 확대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험자의 11번의 약물 투여 전과 후에 촬영된 안면 사진 중 우측 볼 부위를 확대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험자의 11번의 약물 투여 전과 후에 촬영된 사진 중 목 부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히스타민은 통상 여러 종류의 자극에 의해서 유선세포(mast cell)로부터 분비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이며, 세 개의 특이한 수용체(H1, H2, 및 H3)를 가지고 있다. H1 수용체는 주로 즉시형 아나필락틱 반응(알레르기 반응)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H2 수용체는 위산 분비와 관계있으며, H3 수용체는 유선세포에서의 히스타민의 유리나 합성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는 위에 있는 H2 수용체에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므로 위·십이지장궤양, 문합부궤양, 상부소화관출혈(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궤양, 출혈성궤양에 의한), 역류성식도염 등의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산 분비 억제제로 알려진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홍조 증상, 특히 안면 홍조 억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홍조 억제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안면 홍조 증상이 아세트알데히드의 급속한 누적으로 발생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누적으로 사람의 얼굴, 목 및 어깨의 홍조(모세혈관 확장에 의한 붉어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면, 특정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히스타민 분비가 차단되고 이로 인해 모세혈관 확장이 억제되어 홍조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는 예를 들어, 시메티딘, 파모티딘, 라니티딘, 티오티딘, 졸란티딘, 메티아미드, 니자티딘, 니페로티딘, 록사티딘 등을 포함하고, 이의 무기산염, 혹은 이의 유기산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메티딘, 파모티딘 또는 라니티딘, 이의 무기산염 혹은 이의 유기산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는 하나의 종류일 수도 있고, 2 이상의 종류가 적당히 선택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의 홍조 증상 억제를 위한 투여량은 각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에 대해 공지된 용도, 예를 들어, 위·십이지장궤양, 문합부궤양, 상부소화관출혈 등에 사용되는 투여 용량에 준한다.
예를 들어, 파모티딘의 경우, 성인 1인당 10mg, 20mg, 30mg, 40mg, 50mg을 알코올 섭취 전에 투여할 수 있고, 시메티딘의 경우, 성인 1인당 활성 성분 100mg, 200mg, 300mg, 40Omg, 500mg, 600mg 등을 알코올 섭취 전에 투여할 수 있다. 라니티딘의 경우, 성인 1인당 활성 성분 100mg, 150mg, 200mg, 250mg, 300mg, 350mg, 400mg, 450mg, 500mg을 알코올 섭취 전에 투여할 수 있다. 니자티딘의 경우 성인 1인당 활성 성분 100mg, 150mg, 200mg, 250mg, 300mg, 350mg, 400mg, 450mg, 500mg을 알코올 섭취 전에 투여할 수 있다. 록사티딘의 경우, 성인 1인당 활성 성분 37.5mg, 75mg, 112.5mg 또는 150mg을 알코올 섭취 전에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은 알코올 섭취 전에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이 의심되는 대상체에 투여 혹은 섭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섭취 1시간 전 내지 2분 전에 투여 혹은 섭취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섭취 약 20분 내지 약 40분 전에 투여 혹은 섭취될 수 있다.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섭취 약 30분 전에 투여 혹은 섭취될 수 있다. 시판되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의 정제를 이용하는 경우, 물과 함께 알코올 섭취 1시간 전 내지 2분 전에 시판되는 최소 단위 투여 용량의 1정 내지 3정, 바람직하게는 1정 내지 2정을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목적을 위해 다양한 제형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조성물로서 통상 전신 투여 약물로 사용되는 모든 조성물을 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활성 성분으로서 유효량의 특정 화합물을 임의로 부가 염 형태로서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밀접한 혼합물로 배합시킨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특히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적 주사에 적절한 단위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성물을 경구투여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현탁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유제 및 액제와 같은 경구용 액체 제제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 또는 산제, 환제, 캡슐제 및 정제인 경우에는 전분, 당, 카올린,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고체 담체와 같은 유용한 약제학적 매질이 사용될 수 있다. 투여가 용이하기 때문에, 정제 및 캡슐제가 가장 유리한 경구 단위 제형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는 고형의 약제학적 담체가 명백히 사용된다. 비경구용 조성물의 경우에 담체는 예를 들어 용해를 돕는 성분과 같은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 있지만, 보통 대부분은 멸균수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용액은 담체가 식염수 용액, 글루코오스 용액 또는 식염수 및 글루코오스 용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현탁제인 경우에는 또한 적절한 액체 담체, 현탁화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기 전 즉시 액제 형태의 제제로 전환을 의도하는 고체 형태 제제를 포함한다.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복용 단위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복용 단위 형태는 단위 복용량으로 적절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언급하고, 각 단위는 필요한 약제학적 담체와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를 내도록 계산된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그러한 투여단위 형태의 예로는 정제(스코어(scored) 또는 피복된 정제 포함), 캡슐제, 환제, 분말, 패킷, 웨이퍼, 좌제, 주사용 용액제 또는 현탁액 등 및 이들의 분할된 배합물(segregated multiples)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속한 투여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언급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액제 또는 현탁제로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은 환자의 나이, 체중 및 상태 및 특정 제형, 투여 경로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고 달라진다. 통상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제형에 포함되는 1일 투여량은 비독성 투여 수준에 기초하여,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활성성분 1mg 내지 약 1000mg, 바람직하게 약 5mg 내지 약 700mg, 더욱 바람직하게 약 10mg 내지 약 500mg이다. 물론, 투여량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의 경우, 상기보다 적은 양이 충분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는 상기보다 많은 양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자체로서 경구 투여될 수 있거나, 알코올 음료 또는 차 음료와 같이 선택된 식품 또는 음료에 가하여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는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음료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음료 또는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는 액상, 페이스트, 분말상, 플레이크 또는 과립상과 같은 어느 형태일 수 있다. 취급의 용이함 또는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과 관련하여 건조되거나 분말상, 플레이크 또는 과립상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건조는 통상의 건조방법, 예를 들면, 스프레이 건조, 드럼 건조, 트레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건조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은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 작용을 갖는 물질을 함유한다. 상기 물질을 함유하고, 희석시켜 제조되고/거나 가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 중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 활성을 갖는 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0.0005 내지 50%(w/w)의 농도로 물질을 함유하는 음료 또는 식품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은 숙취 해소를 위해 알려진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로 헛개나무 추출물, 자리 추출물, 황기 추출물, 로터스 추출물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의 제조 방법을 특정한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생산되는 음료 또는 식품이 유효 성분으로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함유하고, 그를 첨가하여 제조되고/거나, 그를 희석시켜 제조되는 한, 조리, 가공 및 음료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가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은 농축될 수 있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가 음료 또는 식품의 생리기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필요한 양으로 함유되는 한, 음료 또는 식품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정제, 과립제 및 캡슐제와 같이 섭취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농축물로 제공되고 섭취 전 적절하게 희석된 후 사용되는 농축 음료 또는 식품이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에 의한 홍조 억제용 음료 혹은 식품 조성물은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정제수,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감미료, 방부제, 산미료, 향료, 교미제, 증점제 또는 pH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감미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자당, 글루코스 시럽 등의 당류,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등의 당알코올, 시클라메이트나트륨,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스테비아 등의 합성 감미료, 글리시리진 및 그의 염류 및 벌꿀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알킬파라벤류, 벤조산나트륨 등의 벤조산류를 들 수 있다. 산미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 멘솔, 캄포 및 박하유, 민트유, 계피유 등의 정제유 및 오렌지향, 드링크향 등을 들 수 있다. 교미제로서 아미노아세트산, 레몬유, 오렌지유 등의 정제유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아가 분말, 젤라틴, 구아검, 크산탄검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등의 산성 물질 및 그의 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은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이외의 유효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산제, 위점막 방어 인자 강화제, 소화관 활성제, 비타민제, 생약, 건위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산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란소프라졸, 라베프라졸나트륨, 오메프라졸, 스코폴리아 엑기스, 벨라돈나 엑기스, 요오드화 이소프로파미드, 브롬화수소산 스코폴라민, 염산옥시펜사이클리민, 염산디사이클로민 등을 들 수 있다. 위점막 방어 인자 강화제로서는 수크랄페이트, 에카벳나트륨, 염산세트락세이트, 염산베넥세이트 베타덱스, 플라프레진크, 말레산이르소글라딘을 들 수 있으며, 소화관 활성제로서는 말레산트리메부틴, 시트르산모사프리드, 시사프리드, 염산이토프리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B1, B2, C 및 그의 유도체 및 이의 염류, 비타민 E, 비타민 D 등이 있고, 생약으로서는 적아백, 연호삭, 감초, 알로에, 회향, 연명초, 용담, 계피, 자소자, 등피, 인삼, 홉, 호미카 등을 들 수 있다. 건위제로서는 염화카르니틴, 염화베타네콜, 염산베타인, 글루타민산 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안면 홍조 정도 측정
1. 효과 확인 대상자의 선정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안면 홍조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건강한 실험 자원자를 모집하였다.
모집 기준은 1) 알코올 섭취로 인해 안면 홍조 증상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2) 최근 3년간 간질환의 병력이 없는 자, 3) 20세 이상 55세 이하, 4) 약물 투여로 인한 과민 반응 경력이 없는 자, 5) 위염 또는 위, 십이지장 궤양의 병력이 없는 자이었다.
자원자는 모두 14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5세이고, 남자 8명이고 여자 6명이었다.
상기 자원자들을 무작위로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제1군(대조군)은 총 4명(여자 2명 및 남자 2명), 제2군은 시메티딘 투여군으로 총 5명(여자 2명 및 남자 3명) 및 제3군은 파모티딘 투여군으로 총 5명(여자 2명 및 남자 3명)으로 구성되었다.
2. 안면 홍조에 걸리는 시간 및 술의 양 확인
상기 자원자들에게 일정 시간 동안 술을 제공하여 안면의 홍조 여부를 체크하였다. 각 자원자가 첫 잔을 마신 시간부터 안면 홍조에 이른 시간까지의 마신 술의 잔수와 안면 홍조에 걸리는 시간을 체크하고 자원자의 정면 얼굴 사진, 좌측면 얼굴 사진, 우측면 얼굴 사진을 촬영하였다.
상기 각 사진에 대해 패널 10명으로부터 안면 홍조 정도를 5단계로 평가하게 하였다. 1단계: 전혀 빨개지지 않음, 2단계: 아주 조금 빨개짐, 3단계: 약간 빨개짐, 4단계: 보통 빨개짐, 및 5단계: 매우 빨개짐. 상기 패널들의 평가 결과는 종합하여 평균을 내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피험자 번호 사진 촬영 시간 술의 양(잔수) 빨개지는 정도(단계)
제1군(대조군)


1 42분 5잔 4.0
2 39분 3잔 3.2
3 55분 5잔 3.4
4 47분 4잔 4.1
제2군(시메티딘 투여군)
5 38분 6잔 4.0
6 83분 8잔 3.2
7 67분 6잔 3.0
8 61분 4잔 4.5
9 17분 4잔 5.1
제3군(파모티딘 투여군)

10 42분 5잔 4.2
11 31분 4잔 5.0
12 50분 3잔 4.2
13 39분 3잔 3.4
14 42분 4잔 3.3
<실시예 2> H2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의 알코올에 의한 안면 홍조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험을 진행한 지 3일 후에 동일한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에 의한 안면 홍조 증상에 대한 H2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술을 섭취하기 30분 전에 제1군에게는 위약을 투여하고, 제2군에게는 영풍 시메티딘 200mg 정제 2정을 투여(총 400mg)하고, 제3군에게는 크라운 파모티딘 20mg 정제 2정(총 40mg)을 각각 물과 함께 복용토록 하였다.
약물을 복용한 30분 후, 상기 표 1에 기재된 시간 동안 상기 표 1에 기재된 술의 양만큼을 섭취하도록 한 후 자원자의 정면 얼굴 사진, 좌측면 얼굴 사진, 우측면 얼굴 사진 및 목 사진을 촬영하였다.
상기 각 사진에 대해 동일한 패널 10명으로부터 안면 홍조 정도를 5단계로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방법은 상기와 같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피험자 번호 약물 복용 전 안면 홍조 정도 약물 복용에 따른 안면 홍조 정도
제1군(대조군)


1 4.0 4.1
2 3.2 2.8
3 3.4 4.0
4 4.1 4.0
제2군(시메티딘 투여군)

5 4.0 2.0
6 3.2 1.2
7 3.0 1.1
8 4.5 2.2
9 5.1 2.4
제3군(파모티딘 투여군)

10 4.2 1.0
11 5.0 2.1
12 4.2 2.1
13 3.4 2.0
14 3.3 1.1
상기 결과로부터 H2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또는 음료 또는 식품 조성물이 알코올에 의한 얼굴, 목, 손 및/또는 어깨 등의 홍조 증상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알코올에 의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음료 조성물
정제수 200ml를 40℃로 가온하여 파모티딘 200mg, 에테트산 2나트륨칼슘 200mg, 아스파라긴산 200mg을 용해시키고, 냉각 후 적당량의 1% 시트르산 용액, 글루코스 시럽 100ml, 오렌지향 향료 20ml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홍조 증상 억제용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8)

  1.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홍조 억제용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가 시메티딘, 라니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졸란티딘, 메티아미드, 록사티딘, 니페로티딘, 티오티딘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의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가 시메티딘, 라니티딘, 파모티딘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가 안면 홍조인 의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이 알코올 섭취 1시간 전 내지 2분 전에 미리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6.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홍조 억제용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알코올 섭취 1시간 전 내지 2분 전에 미리 투여되는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이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이외의 유효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120127557A 2012-11-12 2012-11-12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40060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57A KR20140060792A (ko) 2012-11-12 2012-11-12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57A KR20140060792A (ko) 2012-11-12 2012-11-12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75A Division KR101268021B1 (ko) 2012-11-20 2012-11-20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92A true KR20140060792A (ko) 2014-05-21

Family

ID=5088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57A KR20140060792A (ko) 2012-11-12 2012-11-12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0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9555B2 (en) Effervescent vit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7160565B2 (en) Hydration beverage and method of delivering nutrients
US5629013A (en) Chewable calcium carbonate antacid tablet compositions
US20160166543A1 (en) Stable combination oral liquid formulation of melatonin and an antihistaminic agent
RU2423988C2 (ru) Смесь солей железа и меди, маскирующая металлический вкус
EP2073821B1 (en) Mixture of iron and copper salts masking metallic taste
WO200611903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lucose uptake
WO2015144255A1 (en) Oral solution comprising atomoxetine hydrochloride
RU2757379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veisalgia
KR101326413B1 (ko)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1356330B1 (ko) 간기능 개선제
JPH06506682A (ja) 上部胃腸管症状を治療するための内服医薬組成物
WO2014010658A1 (ja) ヒハツ配合製剤
US2008027509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octurnal acid breakthrough and other related disorders
CN100584330C (zh) 一种取代苯并咪唑质子泵抑制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78500A (ko) 야간 다뇨의 치료 또는 예방제
JP4373649B2 (ja) 経口用液剤
KR101268021B1 (ko)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WO2019059246A1 (ja) 手足症候群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JP5917078B2 (ja) 固形状組成物
KR20140060792A (ko) 알코올로 인한 홍조 증상 억제용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US2009000426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roton Pump Inhibitor and a Protein Component
JP3793239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毒性の抑制剤
JP4514398B2 (ja) 内服用医薬組成物
JPS61134313A (ja) アルデヒドの毒性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