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714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714A
KR20140059714A KR1020130125139A KR20130125139A KR20140059714A KR 20140059714 A KR20140059714 A KR 20140059714A KR 1020130125139 A KR1020130125139 A KR 1020130125139A KR 20130125139 A KR20130125139 A KR 20130125139A KR 20140059714 A KR20140059714 A KR 2014005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axi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381B1 (ko
Inventor
?이치 스와
마사시 미야카와
치카시 코바야시
요지 나가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7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having structures locally influencing the alignment, e.g. unevenne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having a particular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통하여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액정층에서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액정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대향면에 배향막을 갖는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액정층이 밀봉(封止)된 액정 표시 소자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표시 모니터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기판 사이에 끼어지지된 액정층 중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의 분자 배열(배향)에 의해 다양한 표시 모드(방식)로 분류된다. 표시 모드로서, 예를 들면, 전압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가 비틀어져서 배향하고 있는 TN(Twisted Nematic) 모드가 잘 알려지고 있다. TN 모드에서는, 액정 분자는, 정의 유전율 이방성, 즉,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의 유전율이 단축 방향에 비하여 큰 성질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 분자는, 기판면에 대해 평행한 면 내에서, 액정 분자의 배향 방위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반면에, 전압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가 기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는 VA(Vertical Alig㎚ent) 모드에 대한 주목이 높아지고 있다. VA 모드에서는, 액정 분자는, 부의 유전율 이방성, 즉,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의 유전율이 단축 방향에 비하여 작은 성질을 갖고 있고, TN 모드와 비교하여 광시야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VA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전압이 인가되면,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던 액정 분자가, 부의 유전율 이방성에 의해, 기판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응답함에 의해, 광을 투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향한 액정 분자의 쓰러지는 방향은 임의이기 때문에, 전압 인가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향이 흐트러지고, 따라서, 전압에 대한 응답 특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 전압 인가시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규제하는 수법으로서, 지금까지도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MVA(Multi-domain Vertical Alig㎚ent) 방식이나 PVA(Patterned Vertical Alig㎚ent) 방식, 또는, 광(光) 배향막을 사용하는 수법(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5-232473호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MVA 방식에서는, 슬릿이나 리브(돌기)를 이용함에 의해, 배향 제어를 행하면서, 고(高)시야각을 실현한다. 최근에는, 이 밖에도, 한쪽의 기판에 형성된 전극(구체적으로는, 화소 전극)에 복수의 미세한 슬릿을 마련하고, 다른쪽의 기판에 형성된 전극(구체적으로는, 대향 전극)을 슬릿이 없는, 이른바 베타 전극으로 한 구조(파인 슬릿 구조라고도 불린다)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357830호 참조). 그러나, 파인 슬릿 구조에서는, 미소한 라인·앤드·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슬릿에서 전계가 가하여지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고, 또한, 라인의 에지 부근에서, 전압 인가시,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트위스트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광투과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기술이, 즉, 화소 전극에, 복수의 미세한 슬릿을 마련하는 대신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일본 특개2011-2327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화소에서,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幹凸部),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枝凸部)로 구성되어 있고,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의 연장되는 방향은, X축과 평행이고, 또한, Y축과 평행이다.
일본 특개평5-232473호 일본 특개2002-357830호 일본 특개2011-232736호
일본 특개2011-232736호에 개시된 기술은, 파인 슬릿 구조에서의 상술한 문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간철부의 부분에 암선(暗線)이 생기기 쉬워, 한층 더, 암선의 발생을 적게 하여야 할 요망, 즉,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하는 데 대한 강한 요망이 있다. 또한, 전압 인가시에 있어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규제하기 위해,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액정층 내의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한다. 여기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는데, 소망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49A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기 시작한 때의 3개의 화소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또한, 도 49B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한 후의 3개의 화소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굵은 선은, 화소와 화소의 사이에 마련된 블랙 매트릭스이다. 도 4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기 시작한 때, 후술하는 4개의 상한(象限)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의 경계 부분의 중앙 부분은, 화소의 중심에 없다. 한편, 도 4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한 후에는, 4개의 상한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의 경계 부분의 중앙 부분은, 화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도 48에 도시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상세는 후술한다)에서는, 도 49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49B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기까지, 약 5분 내지 10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된 제1의 목적은,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개시된 제2의 목적은,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전극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枝凸電極部, convex branch electrode portion)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枝凹電極部, concave branch electrode portion)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통하여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액정층에서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액정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화소의 중심 부근에서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화소의 중심 부근에서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는데, 소망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2는,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3A는,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도 2의 화살표 IIIA-IIIA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B는, 도 3B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실시례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실시례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6은, 실시례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7은, 실시례 4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실시례 4 등에서, 볼록부에서의 액정 분자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에서, 볼록부, 오목부, 중심 영역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 전극에 마련된 슬릿부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요철부와 슬릿부를 맞겹친 도면.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변형례에서, 볼록부, 오목부, 중심 영역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 전극에 마련된 슬릿부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요철부와 슬릿부를 맞겹친 도면.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다른 변형례에서, 볼록부, 오목부, 중심 영역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 전극에 마련된 슬릿부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요철부와 슬릿부를 맞겹친 도면.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또 다른 변형례에서, 볼록부, 오목부, 중심 영역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 전극에 마련된 슬릿부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요철부와 슬릿부를 맞겹친 도면.
도 13A는, 도 9C의 화살표 XIIIA-XIIIA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 도 13B는, 도 10C의 화살표 XIIIB-XIIIB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 도 13C는, 도 11C의 화살표 XIIIC-XIIIC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 도 13D는, 도 12C의 화살표 XIIID-XIIID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또 다른 변형례에서, 볼록부, 오목부, 슬릿부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4A의 화살표 B-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또 다른 변형례에서, 볼록부, 오목부, 슬릿부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5A의 화살표 B-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16은,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7A는,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7B 및 도 17C는,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9는, 실시례 7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0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도 20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에서 원형의 영역으로 둘러싼 제1 전극의 일부분을 확대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22는, 도 20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에서 원형의 영역으로 둘러싼 제1 전극의 일부분을 확대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23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실시례 4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4는,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실시례 5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5는,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실시례 5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6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실시례 5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7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변형례(실시례 6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8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실시례 7 참조)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9는, 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0은, 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1은,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32A, 도 32B 및 도 32C는,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도 31의 화살표 XXXIIA-XXXIIA, 화살표 XXXIIB-XXXIIB, 화살표 XXXIIC-XXXIIC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2D는, 도 31C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3A 및 도 33B는, 각각,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분자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4는, 실시례 11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35는,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36A 및 도 36B는, 실시례 1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도 34의 화살표 XXXVIA-XXXVIA 및 화살표 XXXVIB-XXXVI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6C는,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도 35의 화살표 XXXVIC-XXXVIC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6D는, 도 36C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37은,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변형례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38은,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다른 변형례의 모식적인 사시도.
도 39는,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0A는, 액정 분자의 프리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0B 및 도 40C는, 실시례 2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분자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1은,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2A 및 도 42B는, TFT 등이 형성되고, 제1 전극에 요철부가 형성되기 전의 제1 기판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43은, 볼록부의 형성 피치, 볼록부의 폭, 볼록부의 선단부의 폭 등을 설명하기 위한, 볼록부의 일부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4는, 볼록부의 형성 피치, 볼록부의 폭, 볼록부의 선단부의 폭 등을 설명하기 위한, 볼록부의 일부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5A, 도 45B 및 도 45C는, 각각, 실시례 8-1, 실시례 8-2 및 비교례 8에서의 광투과율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화상.
도 46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7A 및 도 47B는, 도 46의 화살표 XLVIIA-XLVIIA 및 화살표 XLVIIB-XLVII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47C는, 도 47B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48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9A는,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기 시작한 때의 3개의 화소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현미경 사진, 도 49B는,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한 후의 3개의 화소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현미경 사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례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례에서의 여러 가지의 수치나 재료는 예시이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본 개시된 제1의 양태 내지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전반에 관한 설명
2. 실시례 1(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3. 실시례 2(실시례 1의 변형}
4. 실시례 3(실시례 1의 다른 변형)
5. 실시례 4(실시례 1의 또 다른 변형)
6. 실시례 5(실시례 1의 또 다른 변형,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및,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7. 실시례 6(실시례 1의 또 다른 변형,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및,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8. 실시례 7(실시례 1의 또 다른 변형, 본 개시된 제1-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및,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9. 실시례 8(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2-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2-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및,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10. 실시례 9(실시례 8의 변형)
11. 실시례 10(실시례 8의 다른 변형)
12. 실시례 11(실시례 10의 변형)
13. 실시례 12(실시례 10의 다른 변형)
14. 실시례 13(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기타
본 개시된 제1의 양태 내지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전반에 관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은, 볼록부 또는 지철부(이들을 총칭하여, 이하, "지철부 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의 배치 상태는 멀티 도메인 전극 구조라고 불리고 있고, 하나의 화소 내에 지철부 등의 연장되는 방향이 다른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시야각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 등은, 그 축선이 X축과 4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 등은, 그 축선이 X축과 13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 등은, 그 축선이 X축과 22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 등은, 그 축선이 X축과 315도를 이루고 연장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값(각도)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고, 화소 주변부에 평행한 직선의 각각을 X축, Y축으로 한 (X, Y)좌표계를 상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외하고, 지철부 등은, X축에 대해 선대칭이고, Y축에 대해서도 선대칭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 개시된 제1의 양태 내지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지철부 등은,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간철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볼록부는, 실질적으로,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지철부에 상당하고,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에는, 화소의 주변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는, 복수의 선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1개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복수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선분과 곡선과의 조합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돌출부의 선단은, 화소의 주변부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와 접하고 있어도 좋다. 단, 접하는 부분이 긴 상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실질적으로,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은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볼록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여기서,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슬릿부를 오목부 영역에 형성하여도 좋지만,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슬릿부는, 화소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슬릿부의 폭으로서,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를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의 슬릿부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부(頂部)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오목부의 저부(底部)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경우, 볼록부의 전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볼록부의 일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볼록부의 일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경우, 화소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 및 그 부근의 볼록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의 전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부의 일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오목부의 일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경우, 화소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 및 그 부근의 오목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볼록부의 전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볼록부의 일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의 전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부의 일부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면의 슬릿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저부의 슬릿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볼록부로부터 고립된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오목로부터 고립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슬릿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하나 화소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이 독립하여 구동되는, 이른바 멀티 화소 구동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는, 각 영역 내에서, 슬릿부에 의해 다른 볼록부로부터 고립된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오목로부터 고립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슬릿부를 형성하면 좋다. 볼록부의 정상면에 슬릿부를 마련하는 경우, 볼록부의 폭과 슬릿부의 폭으로서, 0.2≤(슬릿부의 폭/볼록부의 폭)≤0.8을 예시할 수 있고, 오목부의 저면에 슬릿부를 마련하는 경우, 오목부의 폭과 슬릿부의 폭으로서, 0.2≤(슬릿부의 폭/오목부의 폭)≤0.8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의 슬릿부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여기서,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패임부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패임부는, 이른바, 순(順)테이퍼의 사면(斜面)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수직면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패임부가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구성에서는, 패임부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들의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패임부의 외연(外緣)의 형상을, 원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이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부가 교차한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라도 좋고, 예각이라도 좋다. 또한,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액정 분자를 화소의 중심을 향하여 쓰러뜨릴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규정은, 후술하는 본 개시된 제2-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1-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또한, X축에 따른 볼록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볼록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본 개시된 제2-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은, 직선형상 및/또는 곡선형상인 형태, 즉, 직선형상인 형태, 또한, 곡선형상인 형태, 또한, 직선형상과 곡선형상의 조합인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부분의 폭은, 간철부의 선단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들의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지철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여기서,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슬릿부를 오목부 영역에 형성하여도 좋지만,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슬릿부는, 화소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철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볼록부로부터 고립된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오목로부터 고립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슬릿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전술한 멀티 화소 구동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는, 슬릿부의 형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면 좋다.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2-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 본 개시된 제2-B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2-A의 양태, 본 개시된 제2-B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2-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슬릿부를 오목부 영역에 형성하여도 좋지만,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태에서, 슬릿부는, 화소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볼록부로부터 고립된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에 의해 다른 오목로부터 고립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슬릿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전술한 멀티 화소 구동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는, 슬릿부의 형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면 좋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볼록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각종의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규정을,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술한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고, 관한 액정 표시 장치를, 편의상, "본 개시된 제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형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된 제1의 양태 내지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단지,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서, 지철부 등의 폭을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게 하는 구성에서는, 지철부 등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좁아져 있는 형태(지철부 등을 구성하는 각 측변이 1개의 선분으로 구성되고, 폭의 변화율이 일정한 형태)로 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곡선형상으로 좁아져 있는 형태(지철부 등을 구성하는 각 측변이 1개의 매끈한 곡선으로 구성되고, 폭의 변화율이 변화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고, 지철부 등을 구성하는 각 측변이 2개 이상의 선분 또는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고, 계단형상으로 좁아져 있는 형태(지철부 등을 구성하는 각 측변이 계단형상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X축 및 Y축에 대향하는 제2 전극의 부분에는, 배향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철부와 대응하는 제2 전극의 부분에 배향 규제부를 형성하면, 제2 전극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이 배향 규제부 부근에서 비틀리고, 또한, 배향 규제부 부근에서 액정 분자의 쓰러지는 방향이 규정된다. 그 결과, 배향 규제부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배향 규제부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표시시, X축 및 Y축에 대응하는 화상의 부분에 암선이 발생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전압 응답 특성을 유지하면서,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의 비용 저감,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TFT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배향 규제부는, 제2 전극에 마련된 제2 전극 슬릿부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제2 전극에 마련된 제2 전극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할 수 있고, 또한, 돌기형상이 된 제2 전극의 부분에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전극 돌기부는, 예를 들면, 레지스트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는 제2 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돌기형상이 된 제2 전극의 부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제2 전극의 하측에 볼록부을 형성하면 좋고, 또한, 제1 전극에서의 요철부의 볼록부 형성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돌기형상이 된 제2 전극의 부분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전극에 마련된 볼록부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 수직 평면으로 볼록부을 절단한 때의 볼록부의 단면 형상은, 볼록부의 단면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볼록부의 단면 형상의 언저리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 평면으로 볼록부을 절단한 때의 볼록부의 단면 형상은, 볼록부의 단면 형상의 중앙부로부터 볼록부의 단면 형상의 단부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에 복수의 단차부(고저차)를 형성하면, 볼록부에서 전기장의 강약이 생기고, 또한, 횡전계가 생긴다. 그 결과, 볼록부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볼록부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표시시, 예를 들면, 볼록부에 대응하는 화상의 부분에 암선이 발생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전압 응답 특성을 유지하면서,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의 비용 저감,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TFT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이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는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분자는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소자는, 제1 기판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상, 및, 제1 전극상에, 제1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2 기판에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상, 및, 제2 전극상에, 제2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제1 배향막과 제2 배향막이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1 배향막과 제2 배향막의 사이에 액정층을 밀봉하는 공정과,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액정 분자를 한 쌍의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기판의 표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배열시키도록, 전기장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프리틸트가 부여될 때의 액정 분자의 방위각(편각)은, 전기장의 강도와 방향에 의해 규정되고, 극각(천정각)은, 전기장의 강도에 의해 규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리틸트가 부여될 때의 액정 분자의 방위각(편각), 극각(천정각)은, 또한, 배향막 재료의 분자 구조에 의해서도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공정은, 액정 분자와 배향 제어 재료를 포함하는 액정층에 대해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서, 배향 제어 재료를 반응시킴으로써, 액정 분자를 배향시켜서,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식은, PSA 방식(Polymer Stabilized Alig㎚ent 방식)이라고 불린다. 또한,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공정은, 적어도 한쪽의 기판의 대향면 및 전극상에 배향 제어 재료를 포함하는 배향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액정층에 대해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서, 배향 제어 재료를 반응시킴으로써, 액정 분자를 배향시켜서,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식은, FPA 방식(Field-induced Photo-reactive Alig㎚ent 방식)이라고 불린다.
한 쌍의 기판은,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 및, 대향 전극을 갖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기판을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으로 하고, 제2 기판을 대향 전극을 갖는 기판으로 하면 좋다. 대향 전극을 갖는 기판(제2 기판)측에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제1 기판)측에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제1 기판)에는, TFT 등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TFT 등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층을, "TFT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대향 전극을 갖는 기판(제2 기판)측에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TFT층의 위에는 평탄화층이 형성되어 있고, 평탄화층상에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제1 기판)측에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TFT층의 위에는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컬러 필터층상에, 또한, 컬러 필터층의 위의 형성된 오버코트 층의 위에, 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막의 위에,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가 복수의 부화소로 구성된 경우, 화소를 부화소라고 바꾸어 읽으면 좋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예를 들면, ITO(인듐주석산화물)나 IZO, ZnO, SnO 등의 투명성을 갖는 투명 도전 재료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제2 전극은, 이른바 베타 전극(패터닝되지 않은 전극)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의 외면에 제1의 편광판을 부착하고, 제2 기판의 외면에 제2의 편광판을 부착한다. 제1의 편광판과 제2의 편광판은, 각각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배치한다. 제1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X축 또는 Y축과 평행이고, 제2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Y축 또는 X축과 평행인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철부 등의 폭은, X축 또는 그 부근, Y축 또는 그 부근의 지철부 등의 부분(편의상, "지철부 등의 근원부"라고 부른다)가 가장 넓고,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즉, 지철부 등의 선단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철부 등의 형성 피치를 "P", 지철부 등의 근원부의 폭을 "W1", 지철부 등의 선단부의 폭을 "W2"로 한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또는 Y축과, 지철부 등의 한쪽의 에지부(측변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를 α1, X축 또는 Y축과,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를 α2로 하였을 때, X축 또는 Y축과 지철부 등의 축선(L0)과 이루는 각도(α0)는, α0={α1+(180-α2)}/2로 나타낼 수 있다. 단, 0<α1≤90도, 90≤α2<180도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X축 또는 Y축과 지철부 등의 한쪽의 측변 에지부의 교점을 W11로 하여, X축 또는 Y축과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의 교점을 w'11로 하고, 교점(W11)를 통과하고, 지철부 등의 축선(L0)과 직교하는 직선(L1)이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와 교차하는 점을 W12로 하였을 때, 교점(W11)부터 교점(W12)까지의 거리를, 지철부 등의 근원부의 폭(W1)으로 정의한다. 또한, 지철부 등의 축선(L0)과 직교하는 직선으로서, 지철부 등의 선단부와 접하는 직선(L2)과, 지철부 등의 한쪽의 측변 에지부와의 교점(또는 지철부 등의 한쪽의 측변 에지부 연장선과의 교점)을 W21, 직선(L2)과,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와의 교점(또는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 연장선과의 교점)을 W22로 하였을 때, 교점(W21)부터 교점(W22)까지의 거리를, 지철부 등의 선단부의 폭을 W2로 정의하다. 또한, 도 44에서, 측변 에지부 연장선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나아가서는, 인접하는 지철부 등의 축선(L0) 사이의 거리를, 지철부 등의 형성 피치(P)로 정의한다. 또한, 교점(w'11)을 통과하고, 직선(L1)과 평행한 직선(L3)이, 지철부 등의 다른쪽의 측변 에지부와 대향하는(인접하는) 지철부 등의 한쪽의 측변 에지부와 교차하는 점을 W31로 할 때, 교점(w'11)부터 교점(W31)까지의 거리를, 지철부 등의 사이의 거리(W3)로 정의한다. 지철부 등의 전(全)테이퍼 폭(TP)은, TP=W1-W2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지철부 등의 평균 폭(Wave1), 오목부의 평균 폭(Wave2)은, Wave1=(W1+W2)/2 및 Wave2=P-Wave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3의 값으로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를 들 수 있고, W2의 값으로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를 들 수 있고, P의 값으로서,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를 들 수 있다. 또한, TP의 값으로서, W3의 0.1배 내지 10배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값은, 길이가 가장 긴 지철부 등에 대해 적용하면 좋다.
지철부 등 및 오목부의 평균 최소폭 및 평균 최대폭으로서, 1㎛ 및 25㎛, 바람직하게는 2㎛ 및 20㎛를 예시할 수 있다. 지철부 등 및 오목부의 평균 최소폭이 1㎛ 미만에서는, 지철부 등 및 오목부의 형성이 곤란해지고, 충분한 제조 수율을 확보할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지철부 등 및 오목부의 평균 최대폭이 25㎛를 넘으면, 구동 전압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인가한 때,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양호한 경사 전계가 생기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간철부의 폭으로서, 2×10-6m 내지 2×10-5m, 바람직하게는 4×10-6m 내지 1.5×10-5m를 예시할 수 있다. 오목부부터, 오목부에 가장 가까운 볼록부까지의 높이로서, 5×10-8m 내지 1×10-6m, 바람직하게는 1×10-7m 내지 1×10-6m,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7m 내지 6×10-7m를 예시할 수 있다. 볼록부에서의 각 단차부의 높이(단차부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인접하는 정상면 사이의 고저차)로서, 5×10-8m 내지 1×10-6m, 바람직하게는 1×10-7m 내지 5×10-7m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양호한 배향 제어가 가능해지고, 충분한 제조 수율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광투과율의 저하, 프로세스 시간의 연장을 막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주지의 면형상 조명 장치(백라이트)에 의해 조명된다. 면형상 조명 장치는, 직하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로 하여도 좋고, 에지 라이트 형(사이드 라이트 형라고도 불린다)의 면형상 광원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직하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는, 예를 들면, 몸체 내에 배치된 광원과, 광원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체의 부분에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방에 반사하는 반사부재와, 광원의 상방에 위치하는 몸체 개구부에 부착되고,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 및 반사부재로부터의 반사광을 확산시키면서 통과시키는 확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에지 라이트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는, 예를 들면,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의 하방에는 반사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도광판의 상방에는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광원은, 예를 들면 냉음극선형의 형광 램프로 이루어지고, 백색광을 출사한다. 또한, 예를 들면, LED나 반도체 레이저 소자라는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다. 면형상 조명 장치(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의 통과를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례 1]
실시례 1은, 본 개시된 제1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에,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A에, 도 2의 화살표 IIIA-IIIA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B에, 도 3A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시례 1 또는 후술하는 실시례 2 내지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 제2 기판(50)과 대향하는 제1 기판(20)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화소 전극)(140, 240, 340, 440, 540), 제1 전극(140, 240, 340, 440, 540) 및 제1 기판(20)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21), 제1 기판(20)과 대향하는 제2 기판(50)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대향 전극)(160, 260), 제2 전극(160, 260) 및 제2 기판(50)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51), 및, 제1 배향막(21) 및 제2 배향막(51)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71A, 71B, 71C)를 포함하는 액정층(70)을 갖는 화소(10)(10A, 10B, 10C)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140, 240, 340, 440, 540)에는 복수의 요철부(141, 241, 341, 441, 54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제1 배향막(21)의 측의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액정 분자는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다.
액정 분자(71)는, 제1 배향막(21)과의 계면 부근에서 제1 배향막(21)에 유지된 액정 분자(71A)와, 제2 배향막(51)과의 계면 부근에서 제2 배향막(51)에 유지된 액정 분자(71B)와, 그들 이외의 액정 분자(71C)로 분류할 수 있다. 액정 분자(71C)는, 액정층(70)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고, 구동 전압이 오프인 상태에서 액정 분자(71C)의 장축 방향(다이렉터)이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에 대해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전압이 온이 되면, 액정 분자(71C)의 다이렉터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기울어져서 배향한다. 이와 같은 거동은, 액정 분자(71C)에서, 장축 방향의 유전율이 단축 방향보다도 작다는 성질을 갖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액정 분자(71A, 71B)도 같은 성질을 갖는 것으로, 구동 전압의 온·오프의 상태 변화에 응하여, 기본적으로는, 액정 분자(71C)와 같은 거동을 나타낸다. 단, 구동 전압이 오프인 상태에서, 액정 분자(71A)는 제1 배향막(21)에 의해 프리틸트(θ1)가 부여되고, 또한, 액정중에 미리 혼입된 모노머에 의해 프리틸트(θ1)가 부여되고, 그 다이렉터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법선 방향부터 경사한 자세가 된다. 마찬가지로, 액정 분자(71B)는, 제2 배향막(51)에 의해 프리틸트(θ2)가 부여되고, 또한, 액정중에 미리 혼입된 모노머에 의해 프리틸트(θ2)가 부여되고, 그 다이렉터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법선 방향부터 경사한 자세가 된다. 또한, 여기서, "유지된다"란, 배향막(21, 51)과 액정 분자(71A, 71B)가 고착되지 않고서, 액정 분자(71)의 배향을 규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프리틸트(θ)(θ1, θ2)"란, 도 4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법선 방향)을 Z로 한 경우에, 구동 전압이 오프인 상태에서, Z방향에 대한 액정 분자(71)(71A, 71B)의 다이렉터(D)의 경사각도를 가리킨다.
액정층(70)에서는, 프리틸트(θ1, θ2)의 쌍방이 0도보다도 큰 값을 갖고 있다. 액정층(70)에서는, 프리틸트(θ1, θ2)는, 같은 각도(θ12)라도 좋고, 다른 각도(θ1≠θ2)라도 좋지만, 그 중에서도, 프리틸트(θ1, θ2)는, 다른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리틸트(θ1, θ2)의 쌍방이 0도인 경우보다도 구동 전압의 인가에 대한 응답 속도가 향상함과 함께, 프리틸트(θ1, θ2)의 쌍방이 0도인 경우와 거의 동등한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응답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흑표시일 때의 광의 투과량을 저감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리틸트(θ1, θ2)를 다른 각도로 하는 경우, 프리틸트(θ1, θ2) 중이 큰 쪽의 프리틸트(θ)는, 1도 이상, 4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큰 쪽의 프리틸트(θ)를 상기한 범위 내로 함에 의해, 특히,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기판(20)의 위에는, TFT층(30)(상세는 후술한다)이 형성되어 있고, TFT층(30)상에, 감광성의 폴리이미드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의 유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탄화층(22)이 형성되어 있고, 평탄화층(22)상에 제1 전극(140, 240, 340, 440, 540)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 번호 146, 246, 346, 446, 546은, 화소와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기판의 부분을 나타낸다. 평탄화층(22)은, SiO2나 SiN, SiON 등의 무기 절연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10)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구체적으로는, 화소(10)의 중심을 통과하고, 화소 주변부에 평행한 직선의 각각을 X축, Y축으로 한 (X, Y)좌표계를 상정한 때,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1)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2)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3)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4)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다. 또한,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1)는, 그 축선이 X축과 4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2)는, 그 축선이 X축과 13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3)는, 그 축선이 X축과 22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4)는, 그 축선이 X축과 315도를 이루고 연장되다. 또한, 볼록부(144A)는, X축에 대해 선대칭이고, Y축에 대해서도 선대칭이고, 또한,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간철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볼록부(144A)는,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지철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11)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41)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12)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22)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21)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31)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32)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A42)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다. 즉, 볼록부(144A)의 평면 형상은 "V"자 형상이다. 또한, 볼록부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에서의 아래 첨자 "11", "12" 등과, 후술하는 각종 실시례에서의 볼록부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에서의 아래 첨자는, 같은 볼록부의 부분을 가리킨다.
볼록부, 또는, 후술하는 간철부이나 지철부의 측면(측벽)은, 수직면이라도 좋고, 순테이퍼가 붙여져 있어도 좋고, 역테이퍼가 붙여져 있어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 오목부(145, 245, 345, 445, 545)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있다.
제1 기판(20)의 외면에는 제1의 편광판(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고, 제2 기판(50)의 외면에는 제2의 편광판(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제1의 편광판과 제2의 편광판은, 각각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배치한다. 제1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X축 또는 Y축과 평행이고, 제2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Y축 또는 X축과 평행이다.
도 41은,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후술하는 실시례 2 내지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80) 내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10)를 갖는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영역(80)의 주위에는, 소스 드라이버(81) 및 게이트 드라이버(82)와, 소스 드라이버(81) 및 게이트 드라이버(82)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83)와, 소스 드라이버(81) 및 게이트 드라이버(8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84)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 영역(8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복수의 화소(10)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됨에 의해 영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 영역이다. 또한, 도 41에서는, 복수의 화소(10)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80)을 나타내고 있는 외에, 4개의 화소(10)에 대응하는 영역을 별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표시 영역(80)에서는, 행방향으로 복수의 소스선(91)이 배열되어 있음과 함께, 열방향으로 복수의 게이트선(92)이 배열되어 있고, 소스선(91) 및 게이트선(92)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화소(1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화소(10)는, 제1 전극(140) 및 액정층(70)과 함께, TFT(93) 및 커패시터(9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TFT(93)에서는, 소스 전극이 소스선(91)에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이 게이트선(92)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이 커패시터(94) 및 제1 전극(140)에 접속되어 있다. 각 소스선(91)은, 소스 드라이버(81)에 접속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81)로부터 화상 신호가 공급된다. 각 게이트선(92)은, 게이트 드라이버(82)에 접속되어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82)로부터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소스 드라이버(81) 및 게이트 드라이버(82)는, 복수의 화소(10)의 중에서 특정한 화소(10)를 선택한다.
타이밍 컨트롤러(83)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예를 들면, 적, 녹, 청에 대응하는 RGB의 각 영상 신호)와, 소스 드라이버(8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 제어 신호를, 소스 드라이버(81)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83)는, 예를 들면, 게이트 드라이버(8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82)에 출력한다. 소스 드라이버 제어 신호로서, 예를 들면, 수평 동기 신호, 스타트 펄스 신호 또는 소스 드라이버용의 클록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 신호로서,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나, 게이트 드라이버용의 클록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에서는, 우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거하여 TFT를 형성하고, 또한, 평탄화층(22)이 형성된 제1 기판(20)의 대향면상에 ITO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 재료층을 형성하다. 또한, 제1 기판(20)은, 두께 0.7mm의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4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판(20)상에 형성된 절연막(20')의 위에 게이트 전극(31)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31) 및 절연막(20')의 위에 게이트 절연층(32)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층(32)은, 예를 들면, SiO2나 SiN, SiON,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다. 뒤이어, 게이트 절연층(32)상에 채널 형성 영역이 되는 반도체층(33)을 형성한 후, 반도체층(33)상에 소스/드레인 전극(34)을 형성한다. 반도체층(33)은,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이나 어모퍼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소스/드레인 전극(34)은, 예를 들면, 티탄, 크롬, 알루미늄, 몰리브덴, 탄탈, 텅스텐, 구리 등의 금속막이나, 이들의 합금막 또는 적층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TFT층(30)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TFT층(30)의 형성은, 주지의 방법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TFT는, 이와 같은 이른바 보텀 게이트/톱 콘택트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텀 게이트/보텀 콘택트형으로 할 수도 있고, 톱 게이트/톱 콘택트형으로 할 수도 있고, 톱 게이트/보텀 콘택트형으로 할 수도 있다. 뒤이어, 전면에, 두께 2.5㎛의 평탄화층(22)을 형성한 후, 한쪽의 소스/드레인 전극(34)의 상방의 평탄화층(22)에 접속구멍(35)을 형성한다.
뒤이어, 평탄화층(22)상에 레지스트 재료층을 형성한 후, 노광·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 재료층에 요철부(오목부의 깊이 0.28㎛)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 재료층 및 평탄화층(22)의 에치백을 행함으로써, 평탄화층(22)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전면에, 두께 0.1㎛의 ITO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 재료층(24)을 형성함으로써, 요철부(141)(볼록부(144A), 오목부(145))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지의 방법에 의거하여 투명 도전 재료층(24)을 패터닝함으로써, 제1 전극(140)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볼록부(144A), 오목부(145)의 사양을 이하의 표 1과 같이 하였다.
한편, 제2 기판(50)에서는, 두께 0.7mm의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판(50)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컬러 필터상에, 이른바 베타 전극의 제2 전극(160)을 형성한다.
[표 1]
볼록부의 평균 높이 : 0.2㎛
볼록부의 형성 피치 : 5.0㎛
볼록부의 폭 : 2.5㎛
오목부의 폭 : 2.5㎛
그 후, 제1 전극(140)상에 제1 배향막(21)을 형성하고, 제2 전극(160)의 위에 제2 배향막(5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배향막 재료를,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의 각각의 위에 도포 또는 인쇄한 후, 가열 처리를 한다. 가열 처리의 온도는 8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처리는, 가열 온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도포 또는 인쇄된 배향막 재료에 포함되는 용제가 증발하고,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향막(21, 51)이 형성된다. 그 후, 필요에 응하여, 러빙 등의 처리를 시행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배향막(21) 및 제2 배향막(51)으로서, 수직 배향막 재료를 스핀 코트법에 의거하여,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의 위에 도포한다. 그리고, 핫 플레이트상에서 80℃, 80초의 건조 공정을 행한 후, 질소 분위기의 클린 오븐 내에서, 200℃, 60분간의 베이킹을 행하고, 제1 배향막(21) 및 제2 배향막(51)을 얻었다.
다음에, 제1 기판(20)과 제2 기판(50)을 배향막(21)과 배향막(51)이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배향막(21)과 배향막(51)의 사이에, 액정 분자(71)를 포함하는 액정층(70)을 밀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20) 또는 제2 기판(50)의 어느 한쪽의, 배향막(21, 51)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해, 셀 갭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 돌기물, 예를 들면, 직경 3.0㎛의 플라스틱 비즈 등을 살포하는 한편,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제2 기판(50)상의 외연에, 입경 3.5㎛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함에 의해 실 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실 부에 둘러싸여진 부분에, 네거티브 액정에 중합성 모노머(구체적으로는, 아크릴 모노머)를 0.3질량% 혼입된 액정 재료를 적하 주입한다. 또한,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식은, PSA 방식이라고 불린다. 그 후, 제1 기판(20)과 제2 기판(50)을 접합하고, 실 부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액정층(70)이 밀봉된다. 뒤이어,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60)의 사이에, 전압 인가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은, 예를 들면, 3볼트 내지 30볼트,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효치 전압 7볼트의 구형파의 교류 전계(60Hz)이다. 동시에, 중합성 모노머를 반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중합성 모노머에 의하지만, 가열 처리를 시행하고, 또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의 전기장(전계)이 생기고, 액정 분자(71)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수직 방향부터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배향한다. 즉, 이 때의 액정 분자(71)의 방위각(편각)은, 전기장의 강도와 방향, 및, 액정중에 혼입된 중합성 모노머에 의해 규정되고, 극각(천정각)은, 전기장의 강도, 및, 액정중에 혼입된 중합성 모노머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전압의 값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액정 분자(71A, 71B)의 프리틸트(θ1, θ2)의 값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전극(140)에 형성된 요철부(141)에 의해, 제1 기판(20)과 제2 기판(50)의 사이에 경사 전계가 가하여진다. 또한, 액정중에 혼입된 중합성 모노머의 반응에 의해, 기판의 대향면 부근에 고분자의 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고분자의 층에 의해 액정 분자(71)의 응답하여야 할 방향이 규정되고,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부근의 액정 분자(71)의 프리틸트 상태가, 중합성 모노머의 반응 생성물에 의해 고정된다. 이상에 의해, 액정 셀을 완성시킬 수 있다.
한편, 프리틸트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 배향막을 적어도 한쪽의 전극상에 도포, 형성한 후, 네거티브 액정을 주입 밀봉하는 FPA 방식에서는, 실 부를 형성한 후, 실 부에 둘러싸여진 부분에, 네거티브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재료를 적하 주입한다. 그리고, 제1 기판(20)과 제2 기판(50)을 접합하고, 파장 410㎚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실 부를 경화시킨다. 뒤이어,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60)의 사이에, 전압 인가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은, 예를 들면, 3볼트 내지 30볼트,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효치 전압 7볼트의 구형파의 교류 전계(60Hz)이다. 이에 의해,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의 전기장(전계)이 생기고, 액정 분자(71)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수직 방향부터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배향한다. 즉, 이때의 액정 분자(71)의 방위각(편각)은, 전기장의 강도와 방향, 및, 배향막 재료의 분자 구조에 의해 규정되고, 극각(천정각)은, 전기장의 강도, 및, 배향막 재료의 분자 구조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전압의 값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액정 분자(71A, 71B)의 프리틸트(θ1, θ2)의 값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압을 인가한 상태 그대로, 에너지선(구체적으로는 자외선(UV)), 예를 들면, 10J(파장 360㎚로의 측정)의 균일한 자외선을, 예를 들면, 제1 기판(20)의 외측부터 배향막(21, 51)에 대해 조사한다. 즉, 액정 분자(71)를 한 쌍의 기판(20, 50)의 표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배열시키도록, 전기장 또는 자장을 인가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배향막(21, 51) 중의 고분자 화합물이 갖는 가교성 관능기 또는 중합성 관능기를 반응시켜, 가교시킨다. 또한, 제1 전극(140)에 형성된 요철부(141)에 의해, 제1 기판(20)과 제2 기판(50)의 사이에 경사 전계가 가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고분자 화합물에 의해 액정 분자(71)의 응답하여야 할 방향이 기억되고, 배향막(21, 51) 부근의 액정 분자(71)에 프리틸트가 부여된다. 그리고, 이 결과, 비구동 상태에서, 액정층(70)에서의 배향막(21, 51)과의 계면 부근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71A, 71B)에 프리틸트(θ1, θ2)가 부여된다. 자외선(UV)으로서, 파장 295㎚부터 파장 365㎚ 정도의 광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보다도 단파장역의 광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자외선을 이용하면, 액정 분자(71)가 광분해하고, 열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는, 자외선(UV)을 제1 기판(20)의 외측부터 조사하였지만, 제2 기판(50)의 외측부터 조사히여도 좋고,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의 쌍방의 기판의 외측부터 조사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광투과율이 높은 쪽의 기판측으로부터 자외선(UV)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기판(50)의 외측부터 자외선(UV)을 조사한 경우, 자외선(UV)의 파장역에 따라서는, 컬러 필터에 흡수되어 가교 반응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기판(20)의 외측(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측)으로부터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측의 액정 분자(71A)가 프리틸트를 이루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액정 표시 소자)를 완성시킬 수 있다. 최후로, 액정 표시 장치의 외측에,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한 쌍의 편광판(도시 생략)을 부착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 2 내지 실시례 13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도, 대강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액정 표시 소자)의 동작에서는, 선택된 화소(10)에서는,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층(70)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71)의 배향 상태가,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60)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응하여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층(7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전압의 인가 전의 상태로부터, 구동 전압이 인가됨에 의해, 배향막(21, 51)의 부근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71A, 71B)가 스스로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쓰러지고, 또한, 그 동작이 그 밖의 액정 분자(71C)에 전파된다. 그 결과, 액정 분자(71)는,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에 대해 거의 수평(평행)하게 된 자세를 취하도록 응답한다. 이에 의해, 액정층(70)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하고, 액정 표시 소자에의 입사광이 변조된 출사광이 되고, 이 출사광에 의거하여 계조 표현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이하의 요령으로 제1 전극(화소 전극)(140)과 제2 전극(대향 전극)(160)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영상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81)가, 타이밍 컨트롤러(83)로부터의 소스 드라이버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마찬가지로 타이밍 컨트롤러(83)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소스선(91)에 개별의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이와 함께, 게이트 드라이버(82)가, 타이밍 컨트롤러(83)로부터의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게이트선(92)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화상 신호가 공급된 소스선(91)과 주사 신호가 공급된 게이트선(92)과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화소(10)가 선택되고, 화소(10)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화상의 표시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층 전체에서, 액정 분자는, 다이렉터가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50)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변화한다. 일본 특개2011-232736호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고,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의 연장되는 방향은, X축과 평행이고, 또한, Y축과 평행이다(도 48 참조). 따라서 간철부의 부분에 암선이 생기기 쉽다.
한편, 실시례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1)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2)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3)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144A4)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 또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이, 볼록부(144A)의 선단부를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144A)의 선단부를, 볼록부(144A)의 축선과 직교하는 선분으로 구성하고, 또한, 볼록부(144A)의 선단부를,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 또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X축 또는 Y축과 평행이고, 제2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Y축 또는 X축과 평행이다. 따라서, 암선의 발생을 한층 적게 할 수 있다. 즉,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고, 한층 양호한 전압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초기 배향이 개선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오 같이, 액정 셀에 대해 구형파의 교류 전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균일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할 때,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한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배향 결함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이 향상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생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광투과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저소비 전력, TFT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20)에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20)에 TFT층(30)을 형성한 후, 주지의 방법에 의거하여, 평탄화층(22) 대신에 컬러 필터층(23)을 TFT층(30)의 위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COA(Color Filter On Array) 구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한쪽의 소스/드레인 전극(34)의 상방의 컬러 필터층(23)에 접속구멍(35)을 형성한 후, 접속구멍(35)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23)상에, 제1 전극(140)을 마련하기 위한 투명 도전 재료층(24)을 형성하면 좋다(도 42B 참조).
[실시례 2]
실시례 2는, 실시례 1의 변형이다.실시례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일부분을 확대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4A, 도 4B, 도 5A, 도 5B에 도시한다. 또한, 도 4A, 도 4B, 도 5A, 도 5B는, 도 2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에서 원형의 영역으로 둘러싼 제1 전극의 부분을 확대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실시례 2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2개의 볼록부(144B)의 접합부(144B')에는, 화소(10)의 주변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5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선분(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선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곡선(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선분과 곡선과의 조합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돌출부(151)의 선단은, 화소의 주변부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와 접하고 있지 않다. 한편, 도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돌출부(151)의 선단은, 화소의 주변부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와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서도,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 또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여도 극히 약간의 길이이다. 게다가, 볼록부의 V자 형상의 저부의 내측의 부분에는, 돌출부(15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의 V자 형상의 저부의 부분에 돌출부(15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볼록부의 V자 형상의 저부의 내측의 부근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를, 한층, 소망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실시례 3]
실시례 3도, 실시례 1의 변형이다.실시례 1에서는, 볼록부(144A)는 X축상 또는 Y축상에서 접합되고, 볼록부(144A)의 평면 형상은 "V"자 형상이였다. 한편, 실시례 3에서는, 볼록부(144C)는 X축상 또는 Y축상에서 접합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실시례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11)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41)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12)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22)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21)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31)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32)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C42)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144C)의 각각은, 접합하지 않지만, 접한 상태라도 좋다. 여기서, "접합"하고 있다는 것은, 볼록부의 각각이 어떤 길이로 교차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접"하고 있다는 것은 볼록부의 각각이 매우 짧은 길이로(일종, 점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서도,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 또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부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존재하였다고 하여도, 길이는 짧다. 따라서, 실시례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례 4]
실시례 4는,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3의 변형이다.실시례 4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44D)의 폭은 화소(10)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44D)의 폭은, X축, Y축 또는 그 부근의 부분이 가장 넓고, 화소(10)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선형상으로 좁아져 있다).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한다. 이때,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의 선단 에지부(a) 또는 그 부근(편의상, "선단 영역"이라고 부른다)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A)는, 그 장축 방향(다이렉터)이, 볼록부(144D)의 축선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그리고, 액정층에서, 이 액정 분자(A)를 포함하는 두께 방향의 영역을 상정한 경우, 액정 분자(A)의 움직임이, 구조에 기인한 국소 전기장의 영향을 받는 볼록부의 에지부를 제외한 1화소 전체의 액정 분자(편의상, "액정 분자(A')"라고 부른다)에 전해지고, 액정 분자(A')의 다이렉터가 볼록부의 축선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간다. 여기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에 테이퍼가 붙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44D)에 테이퍼가 붙여져 있는 실시례 4보다도, 액정 분자(A)의 움직임이 액정 분자(A')에 약간 전해지기 어렵고, 또한, 액정 분자(A)의 움직임이 액정 분자(A')에 전해지는데 약간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실시례 4보다도, 액정 분자에의 프리틸트 부여에 약간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화상의 표시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층 전체에서, 액정 분자는, 다이렉터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변화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 볼록부의 측변 에지부에서의 전기장의 방향을 속이 하얀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볼록부의 측변 에지부 "b" 또는 그 부근(편의상, "측변 영역"이라고 부른다)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B)를 포함하는 액정층에서, 두께 방향으로 주상(柱狀) 영역을 상정한 경우, 이 주상 영역 중의 두께 방향으로 나열한 액정 분자에는 회전이 생긴다. 즉, 측변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B)의 다이렉터의 방향과, 액정 분자(B)를 포함하는 주상 영역 중의 두께 방향으로 나열한 액정 분자(편의상, "액정 분자(B')"라고 부른다)의 다이렉터의 방향과는 다른 상태가 된다. 또한, 이들 액정 분자(B)의 다이렉터와 액정 분자(B')의 다이렉터의 이루는 각도를 β로 한다. 여기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에 테이퍼가 붙여져 있지 않은 경우, 액정 분자의 회전 각도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즉, 각도(β)가 크기 때문에),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부터 45도의 방위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액정 분자의 비율이 적다. 그러므로, 볼록부에서의 광투과율에 약간의 불균일화를 초래한다. 한편, 볼록부(144D)에 테이퍼가 붙여져 있는 실시례 4에서는, 액정 분자의 회전 각도 범위가 좁기 때문에(즉, 각도(β)가 작기 때문에),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부터 45도의 방위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액정 분자의 비율이 많다. 그러므로, 볼록부(144D)에서의 광투과율의 더한층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례 5]
실시례 5는,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4의 변형이고, 본 개시된 제1-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나아가서는,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140)에는, 요철부(141)에 더하여, 슬릿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152)에는, 제1 전극(140)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 재료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3A는, 도 9C의 화살표 XIIIA-XIIIA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10C의 화살표 XIIIB-XIIIB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3C는, 도 11C의 화살표 XIIIC-XIIIC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2C의 화살표 XIIID-XIIID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실시례 5에서는, 슬릿부(152)가 볼록부 영역(144E')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부(152)는, 화소(10)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152A)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44E), 볼록부 영역(144E'), 오목부(145), 중심 영역(152A)의 배치 상태를 도 9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제1 전극(140)에 마련된 슬릿부(152)의 배치 상태를 도 9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요철부(141)와 슬릿부(152)를 맞겹친 도면을 도 9C에 도시한다. 또한, 도 10A, 도 10B,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부(152)는, 각 상한에 있어서, 화소(10)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의 볼록부 영역(144E')(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볼록부(144)상(上))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44E), 볼록부 영역(144E'), 오목부(145)의 배치 상태를 도 10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제1 전극(140)에 마련된 슬릿부(152)의 배치 상태를 도 10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요철부(141)와 슬릿부(152)를 맞겹친 도면을 도 10C에 도시한다. 또한, 도 11A, 도 11B,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부(152)는, 각 상한에서, 화소(10)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152A)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144E')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44E), 볼록부 영역(144E'), 오목부(145), 중심 영역(152A)의 배치 상태를 도 11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제1 전극(140)에 마련된 슬릿부(152)의 배치 상태를 도 11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요철부(141)와 슬릿부(152)를 맞겹친 도면을 도 11C에 도시한다. 또한,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부(152)는, 화소(10)의 중심 영역(중앙 부분)(152A)를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144E')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44E), 볼록부 영역(144E'), 오목부(145), 중심 영역(152A)의 배치 상태를 도 12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제1 전극(140)에 마련된 슬릿부(152)의 배치 상태를 도 12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요철부(141)와 슬릿부(152)를 맞겹친 도면을 도 12C에 도시한다. 여기서,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도 12B, 도 12C에서는, 오목부(145)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있다. 또한, 도 9B, 도 9C, 도 10B, 도 10C, 도 11B, 도 11C, 도 12B, 도 12C, 도 24, 도 25, 도 26에서는, 슬릿부(152, 252)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있다. 참조 번호 152'로 나타내는 영역에는, 슬릿부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1 전극(140)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 재료층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152)에서는, 평탄화층(22)이 노출하고 있다.
또한,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또 다른 변형례에서의, 볼록부, 오목부, 슬릿부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 14A에 도시하고, 도 14A의 화살표 XIVB-XIV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44E)의 정상부에는, 볼록부(144E)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15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례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또 다른 변형례에서의, 볼록부, 오목부, 슬릿부 등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 15A에 도시하고, 도 15A의 화살표 B-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45)의 저면에는, 오목부(145)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15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4A 및 도 15A에서, 또한, 후술하는 도 25 및 도 26에서, 슬릿부(152, 252)를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예에서는, (볼록부의 폭, 오목부의 폭, 슬릿부의 폭)=(7.0㎛, 3.0㎛, 3.0㎛)이고,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 예에서는, (볼록부의 폭, 오목부의 폭, 슬릿부의 폭)=(3.0㎛, 7.0㎛, 3.0㎛)이다. 여기서, 슬릿부(152)에 의해 다른 볼록부(144E)로부터 고립된 볼록부(144E)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152)에 의해 다른 오목부(145)로부터 고립된 오목부(145)가 형성되지 않도록, 즉, 모든 요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도록, 슬릿부(152)를 형성한다. 도 14A, 도 15A에 도시한 예에서는, X축 및 Y축상에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는 슬릿부(15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X축 및 Y축상에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서, 슬릿부(152)에는 노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화소(10)의 주변부에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슬릿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실시례 5에서, 제1 전극(140)에는, 요철부(141) 외에, 슬릿부(1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극(140)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이 슬릿부(152)의 부근에서 비틀어져서, 액정 분자의 쓰러지는 방향이 강하게 규정된다. 즉, 슬릿부(152)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슬릿부(152)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는데, 소망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슬릿부뿐만 아니라, 요철부도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파인 슬릿 구조에서의 문제점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볼록부(144E)의 폭 및 오목부(145)의 폭을, 각각, 2.5㎛로 하고, 슬릿부(152)의 폭을 2.5㎛,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C에 도시한 슬릿부(152)의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또한, 도 14A, 도 15A에 도시한 슬릿부(152)의 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프리틸트 처리시의 전압 인가로부터, 액정 분자의 배향 완료까지의 시간은 10초 이내였다. 한편, 도 48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프리틸트 처리시의 전압 인가로부터, 액정 분자의 배향 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5분 내지 10분을 필요로 하였다.
[실시례 6]
실시례 6은,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5의 변형이고,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1-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16에 도시하고,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의 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17A, 도 18A, 도 18B에 도시하고,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10)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140)에는 패임부(15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임부(153)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다. 즉, 패임부(153)는, 이른바, 순테이퍼의 사면을 갖는다. 패임부(153)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각은, 평탄화층(22)에 경사가 붙도록, 예를 들면, 에치백법에 의거하여 평탄화층(22)을 에칭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패임부(153)의 외연(外緣)(153A)의 형상을,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할 수 있고(직경은, 예를 들면, 15㎛ 또는 7㎛), 또한, 도 18A,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예를 들면, 한 변의 길이가 12㎛의 정방형)으로 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153)의 외연(153A)과 볼록부(144F)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사각형 형상의 패임부(153)의 외연(153A)과, 이 외연(153A)과 볼록부(144F)의 연장부가 교차하는 볼록부(144F)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라도 좋고(도 18A 참조), 예각, 예를 들면, 60도라도 좋다(도 18B 참조).
이와 같이, 실시례 6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140)에는 패임부(15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패임부(153)와 접하는 액정 분자, 또는, 패임부(153)의 부근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는, 화소의 중심을 향하여 쓰러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는데, 소망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볼록부(144F)의 폭 및 오목부(145)의 폭을, 각각, 2.5㎛로 하고, 패임부(153)의 경사각을 30도, 패임부(153)의 외연(153A)의 형상을,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프리틸트 처리시의 전압 인가로부터, 액정 분자의 배향 완료까지의 시간은 10초 이내였다.
또한,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임부(153)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접속구멍(35))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례 7]
실시례 7은,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6의 변형이고,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1-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례 7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19에 도시한다.
즉, 실시례 7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X축에 따른 볼록부(144G)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볼록부(144G)의 형성 피치를 PY(=PX)로 하였을 때, 볼록부(144G)의 폭을 (PY/2=PX/2)로 하고, 오목부(145)의 폭을 (PY/2=PX/2)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례 7에서는,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11)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41)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12)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22)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21)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32)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31)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144G41)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44G)는, X축 및 Y축에 대해 선대칭이 아니라,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이와 같이, 볼록부(144G)와 볼록부(144G)를, 상호 반피치씩, 어긋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화소의 중심에서의 제1 전극(140)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이 화소의 중심의 부근에서 비틀리고, 액정 분자의 쓰러지는 방향이 규정된다. 그 결과, 화소의 중심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화소의 중심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기 위해 액정층을 소망하는 전기장에 소정의 시간, 노출하는데, 소망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볼록부(144G)의 폭 및 오목부(145)의 폭을, 각각, 2.5㎛로 하고, 볼록부(144G)와 볼록부(144G)를, 상호 반피치씩, 어긋난 상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프리틸트 처리시의 전압 인가로부터, 액정 분자의 배향 완료까지의 시간은 10초 이내였다.
[실시례 8]
실시례 8은, 본 개시된 제2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0에,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1A, 도 21B 및 도 22에, 도 20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에서 원형의 영역으로 둘러싼 제1 전극의 부분을 확대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10)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구체적으로는, 화소(10)의 중심을 통과하고, 화소 주변부에 평행한 직선의 각각을 X축, Y축으로 한 (X, Y)좌표계를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241)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243), 및, 간철부(243)의 측변으로부터 화소(10)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244A)로 구성되어 있고, 지철부(244A)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243)의 측변 부분(243')의 연장되는 방향은, X축과 평행이 아니고, 또한, Y축과 평행이 아니다. 즉, 지철부(244A)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243)의 측변 부분(243')의 연장되는 방향은, X축과 다른 방향이고, 또한, X축과 다른 방향이다. 또한, 간철부(243), 지철부(244A)는, X축에 대해 선대칭이고, Y축에 대해서도 선대칭이고, 또한,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철부(244A)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243)의 측변 부분(243')은, 도 20 및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형상이고, 또한, 도 21B,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선형상이다. 그리고, 도 20, 도 21A, 도 21B,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철부(244A)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243)의 부분(243A)의 폭은, 간철부(243)의 선단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다.
여기서,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244A1)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244A2)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244A3)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244A4)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간철부(243) 및 지철부(244A)는, X축에 대해 선대칭이고, Y축에 대해서도 선대칭이고, 또한,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는, 실시례 1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구성,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간철부의 부분, 또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간철부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한층 균일한 높은 광투과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단시간에 액정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간철부(243), 지철부(244A), 오목부(245)의 사양을 이하의 표 2와 같이 하였다.
[표 2]
간철부의 평균 높이 : 0.2㎛
간철부의 폭 : 최소 1.0㎛, 최대 2.0㎛(실시례 8-1)
최소 1.0㎛, 최대 3.5㎛(실시례 8-2)
지철부의 평균 높이 : 0.2㎛
지철부의 형성 피치 : 5.0㎛
지철부의 폭 : 2.5㎛
오목부의 폭 : 2.5㎛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도 20 참조) 및 비교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특성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비교례 8에서는, 간철부의 폭을 8.0㎛, 일정으로 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광투과율을, 3차원 액정 다이렉터·전기장·광학 계산 소프트웨어(신텍주식회사(SHINTECH CO., LTD.)제, LCD Master 3D FEM Version 7.31)에 의한 시뮬레이션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비교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이에 대해,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광투과율의 개선을 행한 설계 부분에 관한 패러미터만을 변경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를 7.5볼트로 상정하였다. 그 때의, 간철부 주변의 광투과율 개선률의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또한, 실시례 8-1, 실시례 8-2 및 비교례 8에서의 광투과율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을, 도 45A, 도 45B 및 도 45C에 도시한다. 또한, 도 45A, 도 45B 및 도 45C에서는, 하나의 화소의 제3 상한 및 제4 상한을 나타내고 있고, X축은, Y축의 값이 86㎛의 곳에 위치하고, Y축은, X축의 값이 52㎛의 곳에 위치한다. 도 45C에 도시하는 비교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암선(국소적으로 광투과량이 적은 부분)의 영역과 비교하여,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암선의 영역은 작아지고 있다.
[표 3]
광투과율 개선률
실시례 8-1 5.35%
실시례 8-2 4.56%
또한,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실시례 4와 마찬가지로, 지철부(244D)의 폭은 화소(10)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할 수 있다(도 23 참조). 또한, 실시례 5와 마찬가지로,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252)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본 개시된 제2-A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본 개시된 제3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도 24, 도 25, 도 26 참조). 또한, 도 24는,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 구조의 슬릿부(25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5, 도 26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 구조의 슬릿부(25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부(252)에 의해 다른 지철부(244D)로부터 고립된 지철부(244D)가 형성되지 않도록, 또한, 슬릿부(252)에 의해 다른 오목부(245)로부터 고립된 오목부(245)가 형성되지 않도록, 즉, 모든 요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도록, 슬릿부(252)를 형성한다. 도 25A, 도 26A에 도시한 예에서는, 간철부(243)에는 슬릿부(25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간철부에서, 슬릿부(252)에는 노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화소(10)의 주변부에 지철부 또는 오목부에 슬릿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례 6과 마찬가지로, 화소(10)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는 패임부(253)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본 개시된 제2-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B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본 개시된 제4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도 27 참조).
또한,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인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본 개시된 제2-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3-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본 개시된 제4-C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즉, 간철부 및 지철부는, X축 및 Y축에 대해 선대칭이 아니라,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실시례 9]
실시례 9는, 실시례 8의 변형이다.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29 또는 도 30에 도시한다. 또한, 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 분자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념도를 도 40B 및 도 40C에 도시한다. 여기서, 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간철부(243)와 대응하는 제2 전극(260)의 부분에는, 배향 규제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향 규제부(262)는, 구체적으로는, 제2 전극(260)에 마련된 4.0㎛의 제2 전극 슬릿부(262)로 이루어지고(도 29 및 도 40B 참조), 또한, 제2 전극(260)에 마련된 제2 전극 돌기부(리브)(263)로 이루어진다(도 30 및 도 40C 참조). 제2 전극 돌기부(263)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거티브 감광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폭 1.4㎛, 높이 1.2㎛이다. 제2 전극 슬릿부(262) 또는 제2 전극 돌기부(리브)(263)의 평면 형상은 열십자형상(十文字狀)이고, 제2 전극 돌기부(263)의 단면 형상은 2등변삼각형이다. 제2 전극 슬릿부(262) 또는 제2 전극 돌기부(263)의 위에는 제2 전극(26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실시례 9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간철부(243)와 대응하는 제2 전극(260)의 부분에는 제2 전극 슬릿부(262)로 이루어지는 배향 규제부(2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전극(260)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이, 배향 규제부(262)의 부근에서 비틀어진다. 또한, 제2 전극 돌기부(리브)(263)로 이루어지는 배향 규제부(2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전극 돌기부(263) 부근에서 액정 분자의 쓰러지는 방향이 규정된다. 그 결과, 배향 규제부(262)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배향 규제부(262)의 부근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표시시, 간철부에 대응하는 화상의 부분에 암선이 발생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전압 응답 특성을 유지하면서, 한층 균일한 고광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의 비용 저감,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TFT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향 규제부(262)를, 돌기형상이 된 제2 전극(260)의 부분에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례 9의 제2 전극의 구성, 구조는,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7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례 10]
실시례 10도, 실시례 8의 변형이다. 도 31에,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2A, 도 32B, 도 32C에, 도 31의 화살표 XXXIA-XXXIA, 화살표 XXXIB-XXXIB, 화살표 XXXIC-XXXIC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2D에, 도 32C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는, 실질적으로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1, 도 34, 도 35, 도 37, 도 38에서는, 지철부의 폭을 일정하게 하여 그리고 있지만, 실시례 4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지철부에 테이퍼를 붙여도 좋다. 즉, 지철부의 폭은, 간철부와 접합하는 지철부의 부분이 가장 넓고, 간철부와 접합하는 부분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는 형태로 하여도 좋다.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전극(340)에는 복수의 요철부(341)(간철부(343), 지철부(344) 및 오목부(345))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전극(340)에 마련된 간철부(343)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341)는,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고, 열십자로 연장되는 간철부(주철부(主凸部))(343), 및, 간철부(343)로부터 화소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부철부(副凸部))(34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간철부(343)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 수직 평면으로 간철부(343)를 절단한 때의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은,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의 언저리(연(緣)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간철부(343)의 정상면은, 간철부(343)의 중앙부의 정상면(343B), 및, 정상면(343B)의 양측에 위치하는 정상면(34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철부(343)에는 2개의 단차부가 존재하고, 오목부(34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정상면(343A), 정상면(343B)의 순서로 높아지고 있다. 지철부(344)의 정상면을 참조 번호 344A로 나타내는데, 간철부(343)의 정상면(343A)과 지철부(344)의 정상면(344A)은 같은 레벨에 있다. 도면에서, 간철부(343)의 정상면(343B)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오목부(345)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있다.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a) 하지인 평탄화층(또는 컬러 필터층)의 위에서의 레지스트 재료층의 형성(평탄화층 및 컬러 필터층을 총칭하여, "평탄화층 등"이라고 부른다), (b) 노광·현상에 의한 레지스트 재료층에서의 요철부의 형성, (c) 레지스트 재료층 및 평탄화층 등의 에치백에 의한, 평탄화층 등에서의 요철부의 형성, (d) 평탄화층 등의 위에서의 투명 도전 재료층의 형성 및 패터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a) 평탄화층 등의 위에 형성된 하지층의 위에서의 레지스트 재료층의 형성, (b) 노광·현상에 의한 레지스트 재료층에서의 요철부의 형성, (c) 레지스트 재료층 및 평탄화층 등의 에치백에 의한, 하지층에서의 요철부의 형성, (d) 하지층의 위에서의 투명 도전 재료층의 형성 및 패터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a) 하지인 평탄화층 등의 위에서의 패터닝 된 절연 재료층의 형성, (b) 평탄화층 등 및 절연 재료층상에서의 투명 도전 재료층의 형성 및 패터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a) 하지인 평탄화층 등에서의 투명 도전 재료층의 형성, (b) 투명 도전 재료층상에서의 레지스트 재료층의 형성, (c) 노광·현상에 의한 레지스트 재료층에서의 요철부의 형성, (d) 레지스트 재료층 및 투명 도전 재료층의 에치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a) 하지인 평탄화층 등에서의 제1 투명 도전 재료층(도 32A, 도 32B의 참조 번호 340A를 참조)의 형성 및 패터닝, (b) 제1 투명 도전 재료층상에서의, 제1 투명 도전 재료층과 에칭 선택비를 갖는 제2 투명 도전 재료층(도 32A, 도 32B의 참조 번호 340B를 참조)의 형성 및 패터닝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간철부 또는 후술하는 지철부에서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평탄화층의 두께의 최적화를 도모함으로써, 제1 기판의 위, 또는, 제1 기판의 상방에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 구성 요소(예를 들면, 각종 신호선이나 보조 용량 전극,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 각종 배선)의 두께의 영향으로 평탄화층에 볼록부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가 있다.
이상의 간철부 또는 지철부에 관한 설명은, 실시례 8 내지 실시례 9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는, 실시례 1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간철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액정 분자의 거동을 도 33A의 개념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철부의 중앙부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이 약하고, 간철부의 중앙부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가 정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실시례 10에서는, 이와 같이 간철부(343)에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간철부(343)에는 복수의 정상면(343A, 343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철부(343)의 중앙부에서의 전기장이 가장 높고, 간철부(343)의 연부를 향하여 전기장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액정 분자의 거동을 도 33B의 개념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철부(343)의 중앙부에서의 액정 분자에 대한 배향 규제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간철부(343)의 중앙부에서의 액정 분자의 틸트 상태를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표시시, 간철부(343)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화상의 부분에 암선이 발생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전압 응답 특성을 유지하면서, 한층 균일한 고광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의 비용 저감,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TFT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실시례 11]
실시례 11은, 실시례 10의 변형이다. 도 34에, 실시례 11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6A, 도 36B에, 도 34의 화살표 XXXVIA-XXXVIA, 화살표 XXXVIB-XXXVI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시례 11에서, 간철부(343)의 정상면은, 간철부(343)의 중앙부의 정상면(343C), 정상면(343C)의 양측에 위치하는 정상면(343B), 및, 정상면(343B)의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면(34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철부(343)에는 3개의 단차부가 존재하고, 오목부(34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정상면(343A), 정상면(343B), 정상면(343C)의 순서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간철부(343의가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 평면으로 간철부(343)를 절단한 때의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은,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의 중앙부(정상면(343C))로부터 간철부(343)의 단면 형상의 단부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정상면(343B) 및 정상면(343A)). 또한, 도면에서, 정상면(343C)에는, 크로스 해칭을 붙이고 있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례 11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는,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례 12]
실시례 12도, 실시례 10의 변형이다. 도 35에,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6C에, 도 35의 화살표 XXXVIC-XXXVIC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6C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36D에 도시한다.
실시례 12에서는, 지철부(344)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 수직 평면으로 지철부(344)를 절단한 때의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은,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의 언저리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지철부(344)의 정상면은, 간철부(343)로부터 연장되는 정상면(344B), 및, 정상면(344B)의 양측에 위치하는 정상면(34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철부(344)에는 2개의 단차부가 존재하고, 오목부(34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정상면(344A), 정상면(344B)의 순서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정상면(344B)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칭을 붙이고 있다. 또한, 도 35, 도 37에서는, 간철부와 지철부의 경계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지철부(344)의 정상면(343B)과 정상면(343A) 사이의 고저차를 평균 0.20㎛로 하였다. 간철부(343)의 정상면(343B)과 지철부(344)의 정상면(344B)은 같은 레벨에 있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례 12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는, 실시례 10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구조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철부(344)의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가상 수직 평면으로 지철부(344)를 절단한 때의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은,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의 간철부측부터 지철부(344)의 단면 형상의 단부를 향하여 단차부가 하강하여 가는 단면 형상을 갖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사시도를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례 11에서 설명한 간철부(343)와 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지철부의 구성, 구조를,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7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볼록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례 13]
실시례 13은, 본 개시된 제5의 양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39에 도시한다.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구체적으로는, 화소(10)의 중심을 통과하고, 화소 주변부에 평행한 직선의 각각을 X축, Y축으로 한 (X, Y)좌표계를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443), 및, 간철부(443)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444G)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444G1)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444G2)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444G3)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444G4)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X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11)와, X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41)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12)와, Y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22)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21)와, X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31)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바람직하게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32)와, Y축상의 간철부(443)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444G42)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바람직하게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PX는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이고, PY은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이다. 즉, 간철부(443) 및 지철부(444G)는, X축 및 Y축에 대해 선대칭이 아니라, 화소의 중심에 대해 180도의 회전 대칭(점대칭)이다.
또한,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X축에 따른 지철부(444G)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444G)의 형성 피치를 PY(=PX)로 하였을 때, 지철부(444G)의 폭을 (PY/2=PX/2)로 하고, 오목부(445)의 폭을 (PY/2=PX/2)로 하였다.
이상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례 13의 액정 표시 장치는, 실시례 1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구성,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개시를 바람직한 실시례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들의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볼록부나 지철부의 평면 형상은, 실시례에서 설명한 V자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상이나 사닥다리모양 등, 볼록부나 지철부가 복수의 방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양한 패턴을 채용할 수 있다. 볼록부나 지철부를 전체로서 본 경우, 볼록부나 지철부의 단부의 평면 형상은, 직선형상이라도 좋고, 계단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각 볼록부나 지철부의 단부의 평면 형상은, 직선형상라도 좋고, 선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원호 등의 곡선을 그리고 있어도 좋다.
실시례에서는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액정 표시 소자)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ECB 모드(수평 배향이고 포지 액정의 모드 ; 트위스트 없음),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등의, 다른 표시 모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본 개시에서는, 프리틸트 처리가 시행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VA 모드에서, IPS 모드나 FFS 모드보다도, 특히 높은 응답 특성의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실시례에서는, 오로지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액정 표시 소자)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투과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사형으로 하여도 좋다. 반사형으로 한 경우에는, 화소 전극이 알루미늄 등의 광반사성을 갖는 전극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례 8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46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6은, 실시례 8의 액정 표시 장치의 변형례를 구성하는 1화소분의 제1 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6의 화살표 A-A 및 화살표 B-B에 따른 제1 전극 등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47A 및 도 47B에 도시하고, 도 47B의 일부를 확대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를 도 47C에 도시한다.
여기서, 요철부(541)는, 화소 주변부에 액자형상으로 형성된 간철부(주철부)(543), 및, 간철부(543)로부터 화소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부철부)(5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철부(544)가, 제1 전극에 마련된 볼록부의 일부에 해당하고, 지철부(544)의 폭은, 간철부(543)와 접합하는 지철부의 부분(544a)이 가장 넓고, 간철부(543)와 접합하는 부분(544a)으로부터 선단부(544b)를 향하여 좁아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철부(544)의 폭은, 간철부(543)와 접합한 부분(544a)으로부터 선단부(544b)를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좁아져 있다. 또한, 지철부(544)의 폭은 일정이라도 좋다. 참조 번호 545는 오목부을 나타낸다.
그리고,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고, 화소 주변부에 평행한 직선의 각각을 X축, Y축으로 한 (X, Y)좌표계를 상정한 때,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1)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2)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3)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4)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1)는, 그 축선이 X축과 4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2)는, 그 축선이 X축과 13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3)는, 그 축선이 X축과 225도를 이루고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5444)는, 그 축선이 X축과 315도를 이루고 연장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액정 표시 장치 : 제1의 양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및 제1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 제2 전극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 및,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갖는 화소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볼록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
[2]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고,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고 있는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에는, 화소의 주변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 돌출부는 복수의 선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 돌출부는 1개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 돌출부는 복수의 곡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의 각각과 접합하지 않은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8] 볼록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9]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0]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1] 슬릿부는, 화소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2]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3]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4]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5]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6]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는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액정 표시 장치.
[17] 패임부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16]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8] 패임부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인 [1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19]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원형인 [16] 내지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0]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사각형인 [16] 내지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1]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2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2]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2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3]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16] 내지 [2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4]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2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5] X축에 따른 볼록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볼록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X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와, Y축 또는 그 부근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볼록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2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6] ≪액정 표시 장치 : 제2의 상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및 제1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 제2 전극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 및,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갖는 화소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고,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의 연장되는 방향은, X축과 평행이 아니고, 또한, Y축과 평행이 아닌 액정 표시 장치.
[27] 복수의 요철부를 구성하는 간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에 형성되어 있는 대신에, 화소 주변부에 액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26]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8]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은, 직선형상인 [26] 또는 [2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29]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측변 부분은, 곡선형상인 [26] 내지 [2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0] 지철부와 접합하지 않은 간철부의 부분의 폭은, 간철부의 선단부를 향하여 좁아져 있는 [26] 내지 [2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1] 지철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26] 내지 [3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2]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26] 내지 [3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3]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3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4] 슬릿부는, 화소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3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5]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3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6]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철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3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7]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3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8]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3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39]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는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26] 내지 [3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0] 패임부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3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1] 패임부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인 [4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2]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원형인 [39] 내지 [4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3]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사각형인 [39] 내지 [4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4]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4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5]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4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6]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39] 내지 [4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7]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6] 내지 [4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8]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26] 내지 [4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49]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48]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0] ≪액정 표시 장치 : 제3의 상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및 제1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 제2 전극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 및,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갖는 화소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또한,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51] 슬릿부는 볼록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5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2] 슬릿부는, 화소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볼록부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5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3]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5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4] 화소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Y축에 의해 끼여진 영역에 마련된 볼록부 영역에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5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5] 볼록부의 정상부에는, 볼록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5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6] 오목부의 저부에는, 오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5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7] 볼록부의 폭은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50] 내지 [5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58]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는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50] 내지 [57]의 어느 한 항에 액정 표시 장치.
[59] 패임부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58]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0] 패임부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인 [5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1]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원형인 [58] 내지 [6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2]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사각형인 [58] 내지 [6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3]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6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4]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6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5]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58] 내지 [6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6]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는 [50] 내지 [6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7]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66]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8]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6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69]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68]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0] ≪액정 표시 장치 : 제4의 양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및 제1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 제2 전극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 및,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갖는 화소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의 중심 영역에서의 제1 전극에는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71] 패임부는 제1 기판을 향하여 오므라져 있는 [7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2] 패임부의 경사각은 5도 내지 60도인 [7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3]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원형인 [70] 내지 [7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4] 패임부의 외연의 형상은 사각형인 [70] 내지 [7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5]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7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6] 사각형 형상의 패임부의 외연과 볼록부의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7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7] 패임부의 중심부는 콘택트 홀의 일부를 구성하는 [70] 내지 [7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8]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는 [70] 내지 [7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79]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78]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80]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79]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81]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8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82] ≪액정 표시 장치 : 제5의 양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제1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및 제1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1 배향막,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제2 전극, 제2 전극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을 덮는 제2 배향막, 및,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의 사이에 마련되고,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갖는 화소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분자에는 프리틸트가 부여되어 있고, 제1 전극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의 중심을 통과하는 X축 및 Y축을 상정한 때, 복수의 요철부는, X축상 및 Y축상을 연장되는 간철부, 및, 간철부의 측변으로부터 화소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부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감소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복수의 지철부는, X좌표의 값이 증가한 때 Y좌표의 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83] X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X로 하고, Y축에 따른 지철부의 형성 피치를 PY로 하였을 때,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X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X/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3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와, Y축상의 간철부로부터 연장되고, 제4 상한을 점하는 지철부는, 상호 (PY/2)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8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전극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枝凸電極部, convex branch electrode portion)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枝凹電極部, concave branch electrode portion)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는 연속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는 연속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영역은 제 1 영역이고,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3 측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적어도 한번 겹쳐진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은 복수의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 1 구역 내에 상기 지철 전극부는 대략 서로 평행하고, 제 1 각으로 향하여 있으며,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 2 구역 내에 상기 지철 전극부는 대략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각과 다른 제 2 각으로 향하여 있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은 회전 대칭으로 나타나 있다.
실시례에서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의 일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짝의 교차점의 넓이는 상기 지요 전극부의 넓이와 다르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요 전극부의 짝의 교차점의 넓이는 상기 지요 전극부의 넓이보다 크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의 주변부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보다 크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요 전극부 및/또는 지철 전극부 내에서 슬릿을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중심 영역에 패임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전극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은 복수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전극의 상기 복수의 단부의 어느 것에도 평행하지 않은 측변을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중심 영역 내에 상기 전극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중심철 전극부(中心凸電極部, central convex electrode portion)를 더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중심철 전극부는 제 1 중심철 전극부이며, 상기 중심 영역 내에 상기 전극의 제 3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단부로 연장되는 제 2 중심철 전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중심철 전극부는 적어도 한번 겹쳐진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영역을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영역은 제 1 영역이고,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3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단부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더 구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적어도 한번 겹쳐진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상기 측변은 곡선을 이룬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의 주변부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보다 크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요 전극부 및/또는 지철 전극부 내에서 슬릿을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요 전극부 및/또는 지철 전극부 내에서 슬릿을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고 상기 일부의 지요 전극부는 연속된 오목 전극부를 형성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중심 영역에 패임부를 더 구비한다.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은 제 1 전극이고, 배향 규제부를 구비하는 제 2 전극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통하여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액정층에서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는 연속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는 연속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액정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개된 일본 특허청에 2012년 11월 8일에 출원되어 우선권 주장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2-246598과 관계된 주제를 포함하며, 이는 참조로서 전체 내용에 포함된다.
다양한 수정, 조합, 하위 조합 및 변경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의 설계의 요구 및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0, 10A, 10B, 10C : 화소
20 : 제1 기판
20' : 절연막
21 : 제1 배향막
22 : 평탄화층
23 : 컬러 필터층
24 : 투명 도전 재료층
30 : TFT층
31 : 게이트 전극
32 : 게이트 절연층
33 : 반도체층(채널 형성 영역)
34 : 소스/드레인 전극
35 : 접속구멍(콘택트 홀)
50 : 제2 기판
51 : 제2 배향막
70 : 액정층
71A, 71B, 71C : 액정 분자
80 : 표시 영역
81 : 소스 드라이버
82 : 게이트 드라이버
83 : 타이밍 컨트롤러
84 : 전원 회로
91 : 소스선
92 : 게이트선
93 : TFT, 94 : 커패시터
140, 240, 340, 440, 540 : 제1 전극
141, 241, 341, 441, 541 : 요철부
243, 343, 443, 543 : 간철부(주철부)
144A, 144A1, 144A11, 144A12, 144A2, 144A21, 144A22, 144A3, 144A31, 144A32, 144A4, 144A41, 144A42, 144B, 144C, 144C1, 144C11, 144C12, 144C2, 144C21, 144C22, 144C3, 144C31, 144C32, 144C4, 144C41, 144C42, 144D, 144D1, 144D11, 144D12, 144D2, 144D21, 144D22, 144D3, 144D31, 144D32, 144D4, 144D41, 144D42 : 볼록부
244A, 244A1, 244A11, 244A12, 244A2, 244A21, 244A22, 244A3, 244A31, 244A32, 244A4, 244A41, 244A42, 344, 444A, 444A1, 444A11, 444A12, 444A2, 444A21, 444A22, 444A3, 444A31, 444A32, 444A4, 444A41, 444A42, 5441, 5442, 5443, 5444 : 지철부(부철부)
243' : 간철부의 측변 부분
145, 245, 345, 445, 545 : 오목부
146, 246, 346, 446, 546 : 화소와 화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기판의 부분
144B' : 2개의 볼록부의 접합부
144E' : 볼록부 영역
151 : 돌출부
152, 252 : 슬릿부
152A : 중심 영역
153, 253 : 패임부
153A : 패임부의 외연
160, 260 : 제2 전극
261 : 배향 규제부
262 : 제2 전극 슬릿부
263 : 제2 전극 돌기부(리브)
340A : 제1 투명 도전 재료층
340B : 제2 투명 도전 재료층
343A, 343B, 343C : 간철부의 정상면
344A, 344B : 지철부의 정상면
544a : 간철부와 접합하는 지철부의 부분
544b : 지철부의 선단부

Claims (24)

  1.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의 짝은 연속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은 연속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1 측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제 1 영역이고,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3 측으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적어도 한번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복수의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 1 구역 내에 상기 지철 전극부는 대략 서로 평행하고, 제 1 각으로 향하여 있으며,
    상기 복수의 구역의 제 2 구역 내에 상기 지철 전극부는 대략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각과 다른 제 2 각으로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회전 대칭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의 일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짝의 교차점의 넓이는 상기 지요 전극부의 넓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짝의 교차점의 넓이는 상기 지요 전극부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주변부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요 전극부 및/또는 지철 전극부 내에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패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2.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은 복수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전극의 상기 복수의 단부의 어느 것에도 평행하지 않은 측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 내에 상기 전극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중심철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철 전극부는 제 1 중심철 전극부이며, 상기 중심 영역 내에 상기 전극의 제 3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단부로 연장되는 제 2 중심철 전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중심철 전극부는 적어도 한번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2 단부로 연장되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제 1 영역이고,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극의 제 3 단부로부터 상기 전극의 제 4 단부로 연장되는 제 2 영역을 더 구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적어도 한번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상기 측변은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주변부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는 상기 전극의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지요 전극부 및/또는 지철 전극부 내에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일부의 지요 전극부는 연속된 오목 전극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패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제 1 전극이고, 배향 규제부를 구비하는 제 2 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24.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통하여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표시 패널의 액정층에서 분자에 프리틸트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평면에 수직인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고, 상기 전극의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전극의 주변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철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부터 상기 주변부로 연장되고, 상기 지철 전극부에 인접한 복수의 지요 전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철 전극부는 연속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의 짝은 상기 중심 영역에서 만나서 상기 복수의 지요 전극부는 연속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방법.
KR1020130125139A 2012-11-08 2013-10-21 액정 표시 장치 KR102139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6598A JP2014095783A (ja) 2012-11-08 2012-11-08 液晶表示装置
JPJP-P-2012-246598 2012-11-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90A Division KR102236479B1 (ko) 2012-11-08 2020-07-15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14A true KR20140059714A (ko) 2014-05-16
KR102139381B1 KR102139381B1 (ko) 2020-07-29

Family

ID=506220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139A KR102139381B1 (ko) 2012-11-08 2013-10-21 액정 표시 장치
KR1020200087490A KR102236479B1 (ko) 2012-11-08 2020-07-15 액정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90A KR102236479B1 (ko) 2012-11-08 2020-07-1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753330B2 (ko)
JP (1) JP2014095783A (ko)
KR (2) KR102139381B1 (ko)
CN (1) CN103809334B (ko)
TW (1) TWI6602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702B2 (en) 2014-09-26 2018-09-25 Sony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giving a pretilt to liquid-crystal molecu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215A (ja) * 2013-03-18 2014-09-29 Japan Display Inc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9613765B (zh) * 2014-09-12 2021-09-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JP2016173544A (ja) * 2015-03-18 2016-09-29 Jsr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配向剤
TWI525373B (zh) * 2015-03-30 2016-03-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以及顯示面板
TWI574075B (zh) * 2015-07-30 2017-03-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CN106444170A (zh) * 2015-08-13 2017-02-2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KR102502218B1 (ko) 2016-04-08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제조방법
CN109917592B (zh) * 2019-03-11 2021-04-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电极及液晶显示面板
CN112083605B (zh) * 2020-08-26 2022-11-29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液晶面板、显示装置及液晶面板的配向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2473A (ja) 1991-07-26 1993-09-10 F Hoffmann La Roche Ag 液晶ディスプレーセル
JP2002357830A (ja) 2001-03-30 2002-12-13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KR20040105491A (ko) * 2003-06-09 2004-12-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멀티도메인 구조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85518A (ko) * 2009-01-21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표시기판의 제조 방법
JP2011149968A (ja) * 2008-05-12 2011-08-0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10111227A (ko) *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소전극 표시판, 액정표시판 조립체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들
KR20110112219A (ko) * 2010-04-06 2011-10-12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232736A (ja) 2010-04-06 2011-11-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4721A (en) * 1995-06-06 1999-11-30 Ois Optical Imaging Systems, Inc. High aperture LCD with insulating color filters overlapping bus lines on active substrate
JP3264364B2 (ja) * 1997-01-21 2002-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0390621C (zh) * 2002-04-15 2008-05-28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用基板的制造方法
JP2004077697A (ja) * 2002-08-14 2004-03-1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4364542B2 (ja) * 2003-03-31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56849B2 (en) * 2003-06-11 2007-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42256A (ja) 2005-11-21 2007-06-07 Sharp Corp Led基板、led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808213B1 (ko) * 2010-04-21 2018-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8804084B2 (en) * 2010-12-22 2014-08-12 Japan Display West Inc.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9046713B2 (en) * 2012-01-26 2015-06-02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6003192B2 (ja) * 2012-04-27 2016-10-0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4081559A (ja) * 2012-10-18 2014-05-0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TWI514055B (zh) * 2013-05-16 2015-12-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與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2473A (ja) 1991-07-26 1993-09-10 F Hoffmann La Roche Ag 液晶ディスプレーセル
JP2002357830A (ja) 2001-03-30 2002-12-13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KR20040105491A (ko) * 2003-06-09 2004-12-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멀티도메인 구조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1149968A (ja) * 2008-05-12 2011-08-0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00085518A (ko) * 2009-01-21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표시기판의 제조 방법
KR20110111227A (ko) *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소전극 표시판, 액정표시판 조립체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들
KR20110112219A (ko) * 2010-04-06 2011-10-12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232736A (ja) 2010-04-06 2011-11-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702B2 (en) 2014-09-26 2018-09-25 Sony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giving a pretilt to liquid-crystal molec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3389A1 (en) 2021-12-02
US10754200B2 (en) 2020-08-25
US20200333667A1 (en) 2020-10-22
US20170343861A1 (en) 2017-11-30
TWI660223B (zh) 2019-05-21
US20140125896A1 (en) 2014-05-08
US11726366B2 (en) 2023-08-15
CN103809334B (zh) 2018-05-11
US20230418109A1 (en) 2023-12-28
JP2014095783A (ja) 2014-05-22
KR20200090665A (ko) 2020-07-29
KR102236479B1 (ko) 2021-04-06
US11119360B2 (en) 2021-09-14
TW201418851A (zh) 2014-05-16
KR102139381B1 (ko) 2020-07-29
CN103809334A (zh) 2014-05-21
US9753330B2 (en)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47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73993B1 (ko) 액정 표시 장치
JP600319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18335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069212B2 (en) Exposure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7606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52330A1 (ja) 液晶表示装置
TWI672549B (zh) 液晶顯示裝置及對液晶分子之預傾賦予方法
CN104520761A (zh) 液晶显示装置
WO2015151691A1 (ja) 液晶表示装置
JP4541815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8455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803566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91547A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902312B2 (ja) 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