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638A -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638A
KR20140059638A KR1020120126294A KR20120126294A KR20140059638A KR 20140059638 A KR20140059638 A KR 20140059638A KR 1020120126294 A KR1020120126294 A KR 1020120126294A KR 20120126294 A KR20120126294 A KR 20120126294A KR 20140059638 A KR20140059638 A KR 2014005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emperature
thermal energy
heat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641B1 (ko
Inventor
임용훈
박병식
정대헌
강새별
이재용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641B1/ko
Priority to US14/440,614 priority patent/US10344989B2/en
Priority to EP12888175.2A priority patent/EP2918920A4/en
Priority to PCT/KR2012/009750 priority patent/WO2014073726A1/ko
Publication of KR2014005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3Pre-ins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19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20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4District level solutions, i.e. local energy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열에너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은 운전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어,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에 있어서,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배관; 및 상기 내부 배관들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관 각각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SUPPLY PIPE AND PIPE SYSTEM FOR THERMAL ENERGY NETWORK BASED BI-LATERAL HEAT TRADE}
본 발명은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에너지 네트워크란 열원 및 수용가가 열매체를 수송하는 배관으로 연계되어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기존의 지역난방 방식이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종이다.
종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업자가 수요자에게 일방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형태인 국한된 범위의 열 공급 방식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방향적 열에너지 네트워크 방식에서 더 나아가 사업자가 수요자에게 열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측에서 잉여열이 발생하는 경우, 수요자로부터의 열에너지를 활용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의 배관망은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잉여열을 회수하는 회수 배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 배관은 설계된 단일 온도의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수요자측에서는 필요한 온도대와 무관하게 사업자가 제공하는 단일 온도의 열에너지만을 공급받게 되므로, 에너지 수요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경우 비교적 고온인 반면, 신재생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저온이기 때문에, 단일 온도 공급 방식의 기존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는 이러한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동시에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열에너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운전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어,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에 있어서,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배관; 및 상기 내부 배관들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관 각각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 배관 각각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서로 다른 운전 압력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운전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어,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에 있어서,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고, 제1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배관; 상기 외부 내관 내에 배치되고,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배관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는 서로 다른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내부 배관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제1 운전 압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내부 배관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제2 운전 압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1 운전 압력 및 상기 제2 운전 압력은 서로 다른 압력이다.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온도이고, 상기 제1 운전 압력은 상기 제2 운전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다.
상기 충진재는 단열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 상기 수용가 또는 상기 열원으로부터의 잉여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회수 배관; 및 상기 공급 배관 및 상기 회수 배관을 구동하는 운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배관은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고, 제1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배관; 상기 외부 내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와 서로 다른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배관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회수 배관의 잉여 열에너지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보다 낮다.
상기 운전 시스템은 상기 제1 내부 배관을 제1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내부 배관을 상기 제1 운전 압력과 서로 다른 제2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며, 상기 회수 배관을 상기 제1 및 제2 운전 압력보다 낮은 제3 운전 압력으로 구동한다.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온도이고, 상기 제1 운전 압력은 상기 제2 운전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다.
상기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은 상기 운전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온도의 열에너지 또는 상기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상기 수용가에 공급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온도의 열에너지, 상기 제2 온도의 열에너지, 상기 잉여 열에너지 중 적어도 두 열에너지간 열 교환을 실시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된 에너지를 상기 제1 내부 배관, 상기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회수 배관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 배관의 외부 배관 내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내부 배관을 배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동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측에서는 다양한 온도의 열에너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수용가에서는 필요한 온도의 열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각 내부 배관을 서로 다른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간 혼합이 매우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공급 온도로 운영되는 배관 시스템을 통해 고온의 열매체를 열교환하고 남은 열매체의 온도가 여전히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경우, 회수관으로 바로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온도대별 다단계 열 활용이 가능함으로써 열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 내지 도 5는 열 교환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시스템은 운전 시스템(110), 공급 배관(120), 회수 배관(130), 및 열 교환기(14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급 배관(120)은 수용가(150)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거나 구매 등을 통해 수용가(150)측으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게 되는 배관으로서, 외부 배관(121), 복수의 내부 배관(122, 123), 및 충진재(124)로 구성된다.
내부 배관(122, 123)은 외부 배관(121) 내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함과 아울러, 열원측으로부터 수용가(150)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수용가(150)측으로부터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내부 배관(122, 123)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내부 배관(122, 123)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내부 배관(122, 123)은 단일 배관일수도 있고, 복수의 단위 배관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소정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하나의 내부 배관은 동일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위 배관 묶음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충진재(124)는 외부 배관(121) 내에서 내부 배관들(122, 123)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단열재로 구성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내부 배관들(122, 123)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열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진재(12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 배관(130)은 수용가(150) 또는 열원으로부터 잉여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재활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수 배관(130)의 잉여 열에너지는 내부 배관(122, 123)의 열에너지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진다.
운전 시스템(110)은 공급 배관(120) 및 회수 배관(130)을 구동하여, 소정의 운전 압력으로 각 배관 내 열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한다. 아울러, 운전 시스템(110)은 열 교환기(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등 전반적인 배관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운전 시스템(110)이 공급 배관(120), 회수 배관(130), 열 교환기(140) 등을 함께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별개의 운전 시스템이 각각의 배관들을 구동할 수도 있다.
열 교환기(140)는 기본적으로 열원측 각 내부 배관(122, 123) 내의 열에너지들과 수용가(150)측 열매체 간의 열 교환을 통해 수용가(150)에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아울러, 열 교환기(140)는 열원측 각 내부 배관(122, 123) 내의 열에너지들, 회수 배관(130) 내의 잉여 열에너지, 수용가(150)측에서 발생하는 잉여 열에너지간 에너지 교환을 통해 수용가(150)측으로의 열 공급 또는 수용가(150)측으로부터의 열 수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각 내부 배관(122, 123)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기 때문에, 운전 조건에 따라 고온의 내부 배관으로부터 공급되어 열 교환기(140)를 거쳐 사용된 열매체의 온도가 저온 내부 배관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기(140)를 이미 거친 열매체라 하더라도 회수 배관(130)으로 회수하지 않고, 저온의 내부 배관으로 재공급함으로써 저온 열에너지의 온도를 상승시켜 기사용된 열에너지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잉여 열에너지의 재활용을 위하여, 운전 시스템(110)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가 수용되는 공급 배관(120) 내 내부 배관들(122, 123)과 회수 배관(130)을 각각 서로 다른 운전 압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성질의 에너지를 혼합하는 경우 동일한 압력 환경에서는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압력 환경에 있어서 에너지간에 차이를 둠으로써 상호 질량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열에너지가 수용된 내부 배관의 운전 압력이 저온의 열에너지가 수용된 내부 배관의 운전 압력보다 높도록 설정함으로써, 고온의 열에너지가 저온의 열에너지로 용이하게 주입되어 활용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부 배관(122)이 75℃의 열에너지를 수용하고, 제2 내부 배관(123)이 55℃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경우, 운전 시스템(110)은 제1 내부 배관(122)을 제2 내부 배관(123)보다 높은 운전 압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운전 시스템(110)은 열에너지의 온도가 내부 배관들(122, 123)에 비해 낮은 회수 배관(130)의 경우, 내부 배관들(122, 123)보다 낮은 운전 압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열 교환기(140)를 통해 이루어지는 열 교환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열 교환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부 배관(122)에 수용되는 열에너지의 온도(T)와 그 운전 압력(P)이 제2 내부 배관(123) 내 열에너지의 온도(T-α) 및 그 운전 압력(P-β)보다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회수 배관(130)에 수용되는 열에너지의 온도(T-α-α') 및 운전 압력(P-β-β')은 제2 내부 배관(123) 내 열에너지의 온도 및 운전 압력보다 낮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열원측으로부터 수용가(150)측으로의 열 판매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 내부 배관(122)의 열에너지를 수용가(150)측으로 공급하는 열 판매 모드이다.
본 모드는 제1 내부 배관(122)으로부터 열 교환기(140)를 통해 수용가(150)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한 후 회수되는 열매체의 온도가 제2 내부 배관(123) 내 열매체의 온도보다 높은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즉, 사용 후 회수되는 열매체의 온도가 제2 내부 배관(123)에 비해 높기 때문에, 운전 시스템(110)은 회수되는 열매체를 상대적으로 저온인 제2 내부 배관(122)으로 유입시켜 혼합함으로써 제2 내부 배관(122)으로 열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한다.
회수되는 열매체에 의해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제2 내부 배관(122)은 다시 열 교환기(140)를 통해 수용가(150)측으로 열 판매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열원측으로부터 수용가(150)측으로의 열 판매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제2 내부 배관(123)의 열에너지를 수용가(150)측으로 공급하는 열 판매 모드이다.
제2 내부 배관(123)의 열에너지는 제1 내부 배관(122)의 열에너지보다 저온의 에너지이나, 수용가(150)에서 저온의 열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저온인 제2 내부 배관(123)의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운전 시스템(110)의 제어에 따라 제2 내부 배관(122)으로부터 열 교환기(140)로 열매체가 공급되고, 공급된 열매체의 열 교환을 통해 수용가(150)측으로 열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운전 시스템(110)은 열 교환에 사용된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회수를 제어한다.
즉, 열 교환기(140)를 거쳐 온도가 하강된 열매체는 회수 배관(130)으로 유입되어 회수된다. 회수 배관(130) 내 열에너지의 온도(T-α-α') 및 그 운전 압력(P-β-β')이 제2 내부 배관(123)보다 낮기 때문에, 제2 내부 배관(123)의 열에너지가 회수 배관(130)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수용가(150)측으로부터 열원측으로의 열 구매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용가(150)측의 열에너지가 제1 내부 배관(122)으로 공급되는 열 구매 모드이다.
즉, 본 모드는 수용가(150)측의 열원으로부터 고온의 잉여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열원측에서 수용가(150)로부터 잉여 열에너지를 구매하는 경우이다.
수용가(150)측 열원에서 발생한 고온의 잉여 열에너지는 열 교환기(140)를 통해 열원측 회수 배관(130)의 열매체와 열 교환을 실시하며, 승온된 열매체는 열원측의 공급 배관(120)으로 이송된다.
운전 시스템(110)은 승온된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가 제1 내부 배관(122)의 운전 온도 내외의 범위일 경우에는 제1 내부 배관(122)으로 열매체를 유입시킨다. 제1 내부 배관(122)으로 유입 가능한 열매체의 온도 범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내부 배관(122)의 운전 온도 범위 내에 속해야지만 열매체를 유입시킬 수도 있고,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열매체를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1 내부 배관(122)이 회수 배관(130)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므로, 운전 시스템(110)은 회수 배관(130)의 압력을 상승시켜, 회수 배관(130)의 열매체가 제1 내부 배관(122)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운전 시스템(110)은 별도의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제1 내부 배관(122)과 회수 배관(130) 간 압력차를 상쇄할 수 있다.
도 5는 수용가(150)측으로부터 열원측으로의 열 구매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용가(150)측의 열에너지가 제2 내부 배관(122)으로 공급되는 열 구매 모드이다.
즉, 본 모드는 수용가(150)측의 열원으로부터 잉여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열원측에서 수용가(150)로부터 잉여 열에너지를 구매하는 경우이다.
수용가(150)측 열원에서 발생한 잉여 열에너지는 열 교환기(140)를 통해 열원측 회수 배관(130)의 열매체와 열 교환을 실시하며, 승온된 열매체는 열원측의 공급 배관(120)으로 이송된다.
운전 시스템(110)은 승온된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가 제2 내부 배관(123)의 운전 온도 내외의 범위일 경우에는 제2 내부 배관(123)으로 열매체를 유입시킨다. 제2 내부 배관(123)으로 유입 가능한 열매체의 온도 범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2 내부 배관(123)의 운전 온도 범위 내에 속해야지만 열매체를 유입시킬 수도 있고,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열매체를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2 내부 배관(123)이 회수 배관(130)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므로, 운전 시스템(110)은 회수 배관(130)의 압력을 상승시켜, 회수 배관(130)의 열매체가 제2 내부 배관(123)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운전 시스템(110)은 별도의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제2 내부 배관(123)과 회수 배관(130) 간 압력차를 상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 예에서 운전 시스템(110)은 각 배관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배관 내 열에너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배관 간 열매체의 이송은 배관을 연결하는 밸브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운전 시스템 120 : 공급 배관
121 : 외부 배관 122, 123 : 내부 배관
124 : 충진재 130 : 회수 배관
140 : 열 교환기 150 : 수용가

Claims (13)

  1. 운전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어,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에 있어서,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배관; 및
    상기 내부 배관들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배관 각각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관 각각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서로 다른 운전 압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3. 운전 시스템을 통해 구동되어,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에 있어서,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고, 제1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배관;
    상기 외부 내관 내에 배치되고,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배관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는 서로 다른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배관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제1 운전 압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내부 배관은 상기 운전 시스템을 통해 제2 운전 압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1 운전 압력 및 상기 제2 운전 압력은 서로 다른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온도이고,
    상기 제1 운전 압력은 상기 제2 운전 압력보다 높은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7. 수용가측 또는 열원측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
    상기 수용가 또는 상기 열원으로부터의 잉여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회수 배관; 및
    상기 공급 배관 및 상기 회수 배관을 구동하는 운전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배관은 외부 배관; 상기 외부 배관 내에 배치되고, 제1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배관; 상기 외부 내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와 서로 다른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수용하는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배관이 배치된 상기 외부 배관을 충진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배관의 잉여 열에너지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시스템은,
    상기 제1 내부 배관을 제1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 내부 배관을 상기 제1 운전 압력과 서로 다른 제2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며,
    상기 회수 배관을 상기 제1 및 제2 운전 압력보다 낮은 제3 운전 압력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온도이고,
    상기 제1 운전 압력은 상기 제2 운전 압력보다 높은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온도의 열에너지 또는 상기 제2 온도의 열에너지를 상기 수용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제1 온도의 열에너지, 상기 제2 온도의 열에너지, 상기 잉여 열에너지 중 적어도 두 열에너지간 열 교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된 에너지를 상기 제1 내부 배관, 상기 제2 내부 배관, 및 상기 회수 배관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KR1020120126294A 2012-11-08 2012-11-08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KR10140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94A KR101407641B1 (ko) 2012-11-08 2012-11-08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US14/440,614 US10344989B2 (en) 2012-11-08 2012-11-16 Supply pipe and pipe system for thermal energy network based on bilateral heat trade
EP12888175.2A EP2918920A4 (en) 2012-11-08 2012-11-16 SUPPLY LINE ASSEMBLY FOR A HEAT ENERGY NETWORK BASED ON BIDIRECTIONAL HEAT EXCHANGE AND SYSTEM THEREFOR
PCT/KR2012/009750 WO2014073726A1 (ko) 2012-11-08 2012-11-16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공급 배관 및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94A KR101407641B1 (ko) 2012-11-08 2012-11-08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38A true KR20140059638A (ko) 2014-05-16
KR101407641B1 KR101407641B1 (ko) 2014-06-13

Family

ID=5068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94A KR101407641B1 (ko) 2012-11-08 2012-11-08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4989B2 (ko)
EP (1) EP2918920A4 (ko)
KR (1) KR101407641B1 (ko)
WO (1) WO2014073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07A (ko) * 2020-02-10 2021-08-19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2열 배관 방식의 지역 냉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0125U (de) 1969-10-15 1970-11-05 Kabel Metallwerke Ghh Waermeisoliertes leitungsrohr fuer den transport fluessiger oder gasfoermigen erwaermter oder gekuehlter medien
DK160648B (da) * 1988-08-05 1991-04-02 Frese Armatur Fremgangsmaade til regulering af et central- eller fjernvarmeanlaeg med en differenstrykventil og anlaeg til brug hertil
US5284204A (en) * 1991-05-10 1994-02-08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Hydronic thermal distribution system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ATE156579T1 (de) 1994-03-03 1997-08-15 Anton Steindl Mehrrohranordnung
JPH09178081A (ja) * 1995-12-25 1997-07-11 Togawa Gomme:Kk 断熱複合管
DE19632991C1 (de) 1996-08-15 1998-01-08 Bernd Brandes Rohrleitungssystem, insbesondere für die Übertragung von Fernwärme
DE60135582D1 (de) * 2001-05-03 2008-10-09 Matts Lindgren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der temperatur des abgehenden stroms von einem wärmetauscher und messung von erzeugter hitze
KR200280129Y1 (ko) * 2002-01-25 2002-06-29 하보덕 단열 xl파이프
KR20060106014A (ko) * 2005-04-04 2006-10-12 신아산업주식회사 하나의 외관에 복수의 내관을 갖는 보온수단을 갖는 이중관
FI119201B (fi) 2006-03-16 2008-08-29 Mateve Oy Järjestelmä ja jakokaivo matalaenergiaverkostoa varten
US8141623B2 (en) * 2007-05-01 2012-03-27 Blecker Joseph G Automatic switching two pipe hydronic system
DE102008062600A1 (de) 2007-12-21 2009-07-02 Traugott Albert Niedertemperatur-Wärmenetz
KR100937446B1 (ko) * 2009-06-22 2010-01-19 한상철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배관 장치
CH703167A2 (de) 2010-05-17 2011-11-30 Thomas Uehlinger Verbundroh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4989B2 (en) 2019-07-09
US20150300656A1 (en) 2015-10-22
KR101407641B1 (ko) 2014-06-13
EP2918920A4 (en) 2016-07-20
EP2918920A1 (en) 2015-09-16
WO2014073726A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6500A1 (en) Cogeneration power pla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generation power plant
CN108930995B (zh) 一种太阳能和低品位工业余热联合供暖的集中供热系统
CN112325493A (zh) 一种提高光热电站熔盐化盐效率的控制设备及方法
US11133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heat and electric power generation
KR101549657B1 (ko) 지역난방 네트워크 간의 열교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7641B1 (ko)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US98288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heating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N103003636A (zh) 用于运行太阳能设备的方法
KR101541098B1 (ko) 열전용기기로 구축된 개별 열에너지 및 중앙 열에너지 공급 연계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413006B1 (ko)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KR101202281B1 (ko) 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컴팩트한 열공급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KR101753290B1 (ko) 열 네트워크 시스템
US20110203618A1 (en) Production line system
KR102004859B1 (ko) 계간 축열을 이용한 분산형 태양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간 축열 방법
KR20130041429A (ko) 밀폐 및 개방회로 복합형 태양열 시스템
JP5891038B2 (ja) 給湯暖房装置
KR102145060B1 (ko) 연료전지기반 양방향 거래 열이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열공급 제어시스템
KR101619441B1 (ko) 상압형 축열조를 활용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
CN103411316A (zh) 一种具备蓝牙通信功能的热泵控制器的通信方法
CN111121136A (zh) 一种基于多模式供热的采暖系统
JP4382513B2 (ja) 熱電併給装置及びその出力の熱電比制御方法
CN214949887U (zh) 一种提高光热电站熔盐化盐效率的控制设备
KR102280601B1 (ko)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난방 부하 제어장치 및 이의 방법
CN210206885U (zh) 一种小试车间反应釜集散温控系统
CN220472405U (zh) 一种带化盐功能的模块化分布式双罐高温熔盐热储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