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337A -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337A
KR20140059337A KR1020120125251A KR20120125251A KR20140059337A KR 20140059337 A KR20140059337 A KR 20140059337A KR 1020120125251 A KR1020120125251 A KR 1020120125251A KR 20120125251 A KR20120125251 A KR 20120125251A KR 20140059337 A KR20140059337 A KR 2014005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ole
hinge
flange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957B1 (ko
Inventor
강준혁
이용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9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moveable by a linkage system to open/clos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 후방에 장착되며,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어퍼힌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힌지(100)와; 상기 로어힌지(100)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200)로 구성되어,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차량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테일게이트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Hinge device of tail gat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게이트는 해치백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도어로, 측면에 장착된 도어와 달리 디자인 자유도가 높으므로 차량에 따라 개방각도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는 공용화를 위해 일정 개방각도에서 더 이상 오픈되는 것을 막아주는 스토퍼가 없는 구조이다.
한편, 테일게이트 생산단계 중, 테일게이트에 가스리프터를 장착하기 전 공정에서는 테일게이트 개방각도에 대한 규제가 없으므로 생산 공정 중에 테일게이트를 열고 닫을 때 테일게이트가 과도하게 오픈되어 루프 패널과 간섭이 발생하여 테일게이트와 루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는 개방각도를 설정할 때, 신장이 큰 사용자를 위해서는 머리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높이 설정해야 하지만 신장이 작은 사용자를 위해서는 테일게이트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지상고로 낮게 설정해야 하는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체 후방에 장착되며,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어퍼힌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힌지와; 상기 로어힌지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로어힌지 저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관통홀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관통홀이 형성된 캠과;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와 캠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 전면에는 반구 형상의 음각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캠 후면에는 반구 형상의 양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은 모서리가 라운딩된 사각 너트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의 제2관통홀에서 상기 캠의 각 변까지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단면이 각각 원형과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사각기둥형상의 캠결합부와; 상기 캠결합부 외측에 형성되는 육각기둥형상의 조절부와; 상기 힌지결합부 외측에 형성되는 리벳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차량 사용자의 신장과 관계없이 테일게이트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서 로어힌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의 플랜지와 캠에 형성된 음각과 양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의 체결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에서 캠의 제2관통홀부터 각 변까지의 길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 측의 어퍼힌지에 장착되는 차체 후방의 로어힌지(100)와, 로어힌지(100)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00)를 포함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힌지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양측면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부(111)가 형성되어 결합부(111)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힌지(100)도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은 차체 후방과 연결되고, 양측면 상부는 테일게이트의 어퍼힌지 하부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로어힌지(100) 하부면에는 체결홀(101)이 형성되어 로어힌지(100)가 차체 후방에 고정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00)는 로어힌지(100) 후방에 구비되어 로어힌지(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어퍼힌지가 회동하게 될 때 간섭을 발생시켜 어퍼힌지가 장착된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제어한다.
걸림부재(200)는 로어힌지(100)로부터 연장된 플랜지(210)와, 플랜지(210) 전면에 구비되는 캠(220)과, 플랜지(210)와 캠(2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230)로 이루어진다.
플랜지(210)는 로어힌지(100) 저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캠(220)은 플랜지(210)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제2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이때, 캠(220)은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사각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캠(220)은 제2관통홀(221)에서 각 변까지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게 하여 캠(220) 회전에 따라 플랜지(2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어퍼힌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홀(221)에서부터 캠(220)의 하부면까지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하여 1단으로 하여 어퍼힌지의 회동 각도 제한을 최소화한다. 이때의 개방각도는 100도 정도가 된다. 또한, 캠(220)의 측면까지의 길이는 1단보다 조금 길게 하여 어퍼힌지의 회동 각도를 1단보다 조금 제한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 각도가 95도 정도가 되게 하고, 캠(220)의 상부면까지의 길이는 2단보다 조금 더 길게 하여 어퍼힌지의 회동 각도를 2단보다 더 제한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 각도가 90도 정도가 되게 한다. 여기서, 기재한 테일게이트의 개방 각도는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30)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21)에 삽입되어 플랜지(210)와 캠(220)을 결합시킨다.
여기서, 제1관통홀(21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2관통홀(221)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부(230)는 플랜지(210)의 제1관통홀(211)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힌지결합부(231)와, 캠(220)의 제2관통홀(221)에 삽입되는 캠결합부(232)와, 캠결합부(232) 외측에 형성되는 육각기둥의 조절부(233)와, 힌지결합부(231) 외측에 형성되는 리벳부(234)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조절부(233)를 회전시키면 캠결합부(232)와 맞물려 있는 캠(220)이 회전하게 되고, 캠(220) 회전에 의해 어퍼힌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힌지결합부(23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캠(220)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리벳부(234)는 힌지결합부(231) 외측에 형성되어 플랜지(210)과 캠(220)과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리벳부(234)는 조립을 위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게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10) 전면에는 반구 형상의 음각(212)이 복수 개, 보다 자세하게는 90도 단위로 총 4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플랜지(210) 전면에 대응하는 캠(220) 후면에는 반구 형상의 양각(222)이 한 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캠(220) 회전각도를 90도로 설정하는 동시에 캠(220) 회전 후에는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캠(220)의 회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로어힌지 101 : 체결홀
110 : 어퍼힌지 111 : 결합부
200 : 걸림부재 210 : 플랜지
211 : 제1관통홀 212 : 음각
220 : 캠 221 : 제2관통홀
222 : 양각 230 : 체결부
231 : 힌지결합부 232 : 캠결합부
233 : 조절부 234 : 리벳부

Claims (6)

  1. 차체 후방에 장착되며,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어퍼힌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힌지와;
    상기 로어힌지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로어힌지 저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관통홀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관통홀이 형성된 캠과;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와 캠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전면에는 반구 형상의 음각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캠 후면에는 반구 형상의 양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은 모서리가 라운딩된 사각 너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의 제2관통홀에서 상기 캠의 각 변까지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단면이 각각 원형과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힌지결합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사각기둥형상의 캠결합부와;
    상기 캠결합부 외측에 형성되는 육각기둥형상의 조절부와;
    상기 힌지결합부 외측에 형성되는 리벳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KR1020120125251A 2012-11-07 2012-11-07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KR10186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251A KR101865957B1 (ko) 2012-11-07 2012-11-07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251A KR101865957B1 (ko) 2012-11-07 2012-11-07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337A true KR20140059337A (ko) 2014-05-16
KR101865957B1 KR101865957B1 (ko) 2018-06-08

Family

ID=5088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251A KR101865957B1 (ko) 2012-11-07 2012-11-07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53A (ko) * 2014-07-10 2016-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열림각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95U (ko) * 1998-07-16 2000-02-15 정몽규 차량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20040029796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34B1 (ko) * 2003-09-30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사진 노면에서 열림각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개폐 장치
KR100705128B1 (ko) * 2005-09-14 2007-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각도 조절장치
KR100803443B1 (ko) * 2006-09-26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처짐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95U (ko) * 1998-07-16 2000-02-15 정몽규 차량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20040029796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53A (ko) * 2014-07-10 2016-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열림각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957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6696S1 (en) Laptop computer
USD823210S1 (en) Tailgate for a vehicle
USD914669S1 (en) Laptop computer
USD699227S1 (en) Decorative microphone
USD678154S1 (en) Vehicle door
USD562503S1 (en) Treat dispensing animal training device
NO20014197D0 (no) Anordning ved hengsel
USD883163S1 (en) Pair of front doors
USD690621S1 (en) Trailer
US7469445B2 (en) Adjustable bumper for door
USD718721S1 (en) Control panel
US20070214556A1 (en) Slow closure mechanism for toilet covers
KR101715301B1 (ko) 다단링크 힌지장치
EP2189325A4 (en) VEHICLE SEAT INCLINATION DEVICE
KR101865957B1 (ko) 테일게이트의 힌지 장치
USD817214S1 (en) Bracelet
USD947735S1 (en) Rear door panel for an automobile
KR20120055017A (ko) 호차구조
US7229142B2 (en) Structure of pull adjustable catch for drawer slide
USD516302S1 (en) Pill case
USD897797S1 (en) Corkscrew
CA129129S (en) Automobile
CA112130S (en) Door for utility vehicle
USD569306S1 (en) Harness buckle
USD935078S1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