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960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960A
KR20140058960A KR1020120125469A KR20120125469A KR20140058960A KR 20140058960 A KR20140058960 A KR 20140058960A KR 1020120125469 A KR1020120125469 A KR 1020120125469A KR 20120125469 A KR20120125469 A KR 20120125469A KR 20140058960 A KR20140058960 A KR 2014005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otation
lifting plate
display unit
hin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강성운
김영웅
이규석
이종인
차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960A/ko
Publication of KR2014005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인더, 바인더에 플렉서블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바인더에 제공되고,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시켜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리프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일컫는다. 특히, 최근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슬림화와 더불어 소형화를 위해 유연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구부리거나 휠 수 있으며, 유연성에 따라 접거나 말 수도 있어, 형태 변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전자 기기에 채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거나 말아 전자 장치에 수납하였다가 펼쳐 사용할 수도 있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는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리프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10)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와, 내측으로 내부회로기판 등이 제공되는 바인더(11)를 포함한다.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의 일면은 하드한 바인더(11)의 일면에 체결되는 커넥터부(21)가 형성되어 내부회로기판등과 연결된다. 이에, 하드한 바인더(11)에 의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는 지지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에 의한 접힘이나 구부림에 따른 다양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2)가, 예를 들어 종이와 같이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는 바인더(11)에 체결된 일면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져 쳐지게된다(도 2의 (a)참조). 따라서, 사용자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인더(11)를 쥐고, 바인더와 접철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부(12)의 모서리 측에 힘을 가하여 쥐게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가 쳐지지 않도록 한다(도 2의 (b)참조.).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게 되거나, 디스플레이부(12)를 쥐고 있는 힘의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는 바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를 사용함에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힘으로 디스플레이부(12)의 일측 모서리를 계속 쥐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의 일측 모서리에 계속 가해지는 잦은 접힘이나 구부림은 디스플레이부(12)의 파손을 야기한다. 특히,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에는 화면 표시를 위한 다양한 구성,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소재나 이미징(imaging) 소자 등이 탑재되는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2)의 쳐짐 방지를 위한 잦은 접힘이나 구부려 줌으로써, 변형 및 파손은 물론 기기의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쳐짐을 방지함은 물론 일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를 일정하게 지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부림이나 접힘 등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플렉서블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인더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리프트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바인더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하는 리프팅 플레이트; 및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기 바인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인더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리프팅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힌지암; 및 상기 바인더에 제공되고, 상기 제1힌지암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상기 리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힌지암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기 바인더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상기 바인더의 일측 모서리에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바인더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상승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부를 리프팅되게 리프팅 공간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측으로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제공되고, 상기 바인더의 단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회전부가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을 상측방향으로 리프팅시켜 지지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바인더는 제1바인더와, 상기 제1바인더에 이웃하게 제공되는 제2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팅시킨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바인더의 하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하면으로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부를 포함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바인더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암; 및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1힌지암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바인더를 제1바인더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힌지암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1바인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홀부; 상기 제1홀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바인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홀부; 및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어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가변부재의 가변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부재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를 일정하게 지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인더 측만 손으로 쥐고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쳐짐이 방지됨은 물론,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리프팅 시킴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플렉서블한 디스플이부의 지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바인더와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리프트 모듈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바인더에서 회전되어 리프트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리프트 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에서 리프트 모듈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에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리프트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바인더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리프트 모듈을 구비한 플렉서블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리프트 모듈을 구비한 바인더를 나타낸 도면.
도 14은 도 12에서 리프트 모듈이 제공되는 바인더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디스플레이부의 쳐짐이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2에서 분리되는 바인더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 특히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시, 하측으로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대해,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9는 리프트 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며, 도 10 및 도 11은 리프트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8은 리프트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낸다. 우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바인더와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100)는 바인더(110)와, 디스플레이부(20) 및 리프트 모듈(2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20)에 비해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하드한 바인더(110)에 넓은 폭을 갖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폭'은 X축 방향이며, '길이'는 Y 축 방향이다(도 3 참조). 바인더(110)의 내측에는 내부회로기판이나, 통신용 모뎀, 센서부, 안테나, 배터리 등의 다양한 내부모듈들(미도시, 이하 '내부모듈'이라 함.)이 제공된다. 이러한 바인더(1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20)의 일면을 결합하는 홈(101)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의 일면, 구체적으로 커넥터부(21)는 홈(10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내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ㄷ'자 형상의 바인더(110) 중 홈(101)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인더(110),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홈(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1)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인더(110)를 '상측부(111)'라고 한다. 또한, 홈(101)의 하측에 제공되는 바인더(110),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1)의 하측에 제공되는 바인더(110)를 '하측부(112)'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트 모듈(200)은 하측부(112)의 모서리 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리프트 모듈(200)은 바인더(11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 모서리 부분을 상측으로 리프트시켜, 마치 손으로 연성의 종이를 팽팽하게 쥐고 있는 것과 같이 소정 각도로 구부림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 전체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연성의 재질로서, 종이처럼 잘 휘어지는 구성물이다. 디스플레이부(20)의 일면에는 바인더(110)의 홈(101)에 결합되어 바인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부(21)가 구비된다.
바인더(110)는 하드하고, 디스플레이부(20)는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이러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쪽 손으로 바인더(110)를 쥐고, 다른 쪽 손으로는 디스플레이부(20)의 타면(바인더(110)가 장착된 면에 대향하는 면)을 쥐어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의 하측 쳐짐을 방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적어도 한 쪽 손은 자유로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나, 후술하는2실시예와 같이 리프트 모듈(200)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거나, 후술하는 제3실시예와 같은 분리된 바인더(110)를 회전시키는 리프트 모듈(200)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리프트 모듈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바인더에서 회전되어 리프트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 모듈(200)은 리프팅 플레이트(210) 및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트 모듈(200)은 바인더(110)의 일측 모서리, 구체적으로 하측부(112)의 하부 모서리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리프트 모듈(2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측부의 상부 모서리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의 타측 모서리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지지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110), 특히 이미지 등의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측부(112) 상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으로 리프트되는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상승시키며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리프트 모듈(200)의 설치되는 위치나 구성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리프트 모듈(200)은 바인더(110)의 일측 모서리, 구체적으로 하측부(112)의 하부 모서리 측에 제공된다. 리프팅 플레이트(210)는 하측부(112)의 모서리 측에 결합 시 하측부(112)의 상, 하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함은 물론 하측부(112)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기존 바인더(110)와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의 쳐짐을 방지하면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바인더(110)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상측부(111) 측으로 회전시킨다. 리프팅 플레이트(210)는 회전하면서 대면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을 밀어 올린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 모서리가 구부러지면서, 디스플레이부(20) 의 일측 모서리에서 대각선에 제공되는 모서리까지 지지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치 사용자가 종이의 일측 모서리를 쥐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리프팅 플레이트(210)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되는 리프팅 플레이트(210)가 상측부(111)의 하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부(111)의 하면에는 리프팅 공간부(S)가 포함된다. 이러한 리프팅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상측부(111)의 하면, 구체적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와 대향한 상측부(111)의 내측 모서리를 경사지게 하는 경사면(230)으로 형성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0)가 바인더(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면(230)과 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 사이는 소정 이격되어 리프팅 공간부(S)를 형성하는 것이다.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 특히 리프팅 플레이트(210)와 상측부(111) 사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부(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질 때, 리프팅 공간부(S)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의 상측면은 리프팅 공간부(S)만큼 상측으로 리프팅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리프트 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인더(110)에서 하측으로 쳐지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를 사용하기 위해, 하측부(112)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밀어올린다. 이에, 리프팅 플레이트(210)는 하측부(112)에서 회전되면서, 예를 들면 종이의 일측 모서리를 손으로 쥔 상태로 힘을 가하여 종이의 대각선 방향에 지지력이 제공됨으로써, 종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같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의해 힘을 받음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대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디스플레이부(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는 리프팅 공간부(S)를 통해 경사면(230)과 밀착되는 위치까지 리프팅이 가능해지며, 리프팅 공간부(S)에 의해 상측부(111)와 간섭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20)의 리프팅에 대한 파손 가능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바인더(110)에서 회전시키는 회전부(220)가 제공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에서 회전부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회전부(220)는 바인더(110)에서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회전부(220)는 제1힌지암(221)과, 제2힌지암(222)을 포함한다. 제1힌지암(221)은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회전축(O)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되고, 후술하는 바인더(110)의 제2힌지암(222)에 맞물려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제1힌지암(221)은 회전축(O) 방향,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부(112)의 모서리 측으로, 바인더(110)와 리프팅 플레이트(210)가 대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 2힌지암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2힌지암(222)은 바인더(110), 구체적으로 하측부(112) 모서리에서 제1힌지암(221)과 맞물리게 구성된다. 제2힌지암(222)은 제1힌지암(221)과 맞물려 회전축(O)을 중심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힌지암(221)과 제2힌지암(222)의 구성이나 형상은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여 회전부(220)의 일 실시예를 보면, 제1힌지암(221)이 회전축(O) 방향으로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 힌지암(221a)으로 이루어지고, 제2힌지암(222)은 회전축(O) 방향으로 중앙측에 제공되어 사이드 힌지암(221a) 사이로 실장되는 센터 힌지암(222a)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사이드 힌지암(221a)은 리프팅 플레이트(210)의 일단, 구체적으로 하측부(112)와 대면되는 리프팅 플레이트(210) 일단의 양측면에 제공된다. 사이드 힌지암(221a)에는 센터 힌지암(222a)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회전축(O)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돌기(P) 또는 회전축(O) 방향으로 인입되는 회전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센터 힌지암(222a)은 하측부의 일단, 구체적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와 대면되는 하측부(112) 일단의 중앙부분에 제공된다. 이에, 두 개의 사이드 힌지암(221a) 사이에 센터 힌지암(222a)이 놓여, 사이드 힌지암(221a)이 센터 힌지암(222a)에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센터 힌지암(222a)에는 사이드 힌지암(221a)의 회전돌기(P) 또는 회전홈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회전축(O)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회전홈(G) 또는 회전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회전부(220)에서,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제공되는 사이드 힌지암(221a)에는 회전돌기(P)가 돌출되며, 바인더(110)의 센터 힌지암(222a)에는 회전돌기(P)를 회전 가능하게 안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홈(G)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회전부(2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돌기가 센터 힌지암(222a)에 제공되고, 회전홈은 사이드 힌지암(221a)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사이드 힌지암(221a)과 센터 힌지암(222a)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회전 축 부재가 구비되는 등의 회전부의 구성이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여 회전부(220)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본 실시예의 회전부(220b)는 상기의 도 8a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회전부(220a)와는 반대로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암(221)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중앙의 위치에 제공되는 센터 힌지암(221b)으로 이루어지고, 제2힌지암(222)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센터 힌지암(221b)의 양측으로 제공되는 사이드 힌지암(222b)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돌출된 센터 힌지암(221b)은 하측 바인더(110)의 모서리에서 돌출된 사이드 힌지암(222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이드 힌지암(222b)은 센터 힌지암(221b)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측부(112)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또한, 센터 힌지암(221b)의 양측에는 센터 힌지암(221b)이 안착되는 사이드 힌지암(222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회전돌기(P) 또는 회전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사이드 힌지암(222b)에는 센터 힌지암(221b)의 회전돌기(P) 또는 회전홈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회전축(O)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돌출되는 회전홈(G) 또는 회전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부(220B)의 경우,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제공되는 센터 힌지암(221b)의 양측에는 회전돌기(P)가 돌출되며, 바인더(110)의 사이드 힌지암(222b)에는 회전돌기(P)를 안착하는 회전홈(G)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회전부(220b)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부(220b)의 구성은 8b와 같이 회전돌기(P)를 구비한 센터 힌지암(221b)이나, 회전홈(G)을 구비한 사이드 힌지암(222b)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돌기(P)가 사이드 힌지암(222b)에 제공되고, 회전홈(G)은 센터 힌지암(221b)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센터 힌지암(221b)과 사이드 힌지암(222b)을 관통하여 체결하여 센터 힌지암(221b)이 사이드 힌지암(222b)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축 부재가 구비되는 등의 회전부의 구성이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c를 참조하여 회전부(2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암(221)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공되는 제1사이드 힌지암(221c)으로 이루어지고, 제2힌지암(222)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타측에 제공되는 제2사이드 힌지암(222c)으로 이루어진다. 제1사이드 힌지암(221c)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공되도록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제공된다. 제2사이드 힌지암(222c)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타측에 제공되며 제1사이드 힌지암(221c)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측부(112)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1사이드 힌지암(221c)과 제2사이드 힌지암(222c)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면에는 각각 회전돌기(P)와 회전홈(G)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사이드 힌지암(221c)에는 회전돌기(P)가 형성되고, 제2사이드 힌지암(222c)에는 회전돌기(P)를 안착시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홈(G)이 형성된다.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부(220c)의 경우, 리프팅 플레이트(210)에 제공되는 제1사이드 힌지암(221c)에는 회전돌기(P)가 돌출되며, 하측부(112)의 제2사이드 힌지암(222c)에는 회전돌기(P)를 안착하는 회전홈(G)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회전부(220c)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돌기(P)가 제2사이드 힌지암(222c)에 제공되고, 회전홈(G)은 제1사이드 힌지암(221c)에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제1사이드 힌지암(221c)과 제2사이드 힌지암(222c)을 관통하여, 제1사이드 힌지암(221c)이 제2사이드 힌지암(222c)에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회전 축 부재가 구비되는 등의 회전부의 구성이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4에서 회전부에 제공되는 스토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220)에는 리프팅 플레이트(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240)가 더 포함된다. 즉, 스토퍼부(240)는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하측부(112)에서 일정각도, 구체적으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가 지지될 수 있는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부(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부(240)는 포고핀 모듈을 이용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스토퍼부(240)는 포고핀(241)과, 개구(242), 탄성체(24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244)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포고핀(241)은 개구(242)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개구(242) 내측에 구비되는 포고핀(241)의 단부가 탄성체(243)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포고핀(241)은 눌림에 따라 개구(242)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인입, 인출되는 구성이다. 눌려져 있던 포고핀(241)이 스토퍼 홈(244)에 인입되면 포고핀(241)은 개구(242)에서 스토퍼 홈(244) 측으로 돌출되면서 포고핀(241)이 스토퍼 홈(244)에 걸리게 된다. 도 9에서는 포고핀(241) 및 탄성체(243)를 구비한 개구(242)는 제1힌지암(221)에 제공되고, 스토퍼 홈(244)은 제2힌지암(222)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제1힌지암(221)에는 개구(242)가 형성되고, 개구(242)에 탄성체(243) 및 포고핀(241)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힌지암(2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244)이 구비된다. 제1힌지암(221)과 제2힌지암(2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 포고핀(241)은 스토퍼 홈(244)에 안착되어,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고정함은 물론 리프팅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리프팅 플레이트(210)가 회전되면, 제1힌지암(221)은 제2힌지암(222)에서 회전된다. 이에, 포고핀(241)은 스토퍼 홈(244)에서 이탈되어 제2힌지암(222)의 내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홈(244)과 스토퍼 홈(244) 사이에 제공되는 가이드 홈(245))을 따라 가이드 이동된다. 가이드 홈(245)을 따라 이동되는 포고핀(241)은 스토퍼 홈(244)에 이웃한 스토퍼 홈(244)에 안착된다. 이에, 탄성체(243)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핀(241)은 스토퍼 홈(244)의 내측에 인입되어 제1힌지암(221)이 제2힌지암(222)에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며, 리프팅 플레이트(210)는 하측부(112)에서 소정각도로 리프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부(220)의 회전축(O)을 중심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를 회전시키면, 리프팅 플레이트(210)는 회전부(220)에 의해 상측부(111) 측으로 회전된다. 즉, 리프팅 플레이트(210)의 회전에 따라 제1힌지암(221)은 하측부(112)의 제2힌지암(222)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에 리프팅 플레이트(210)의 이동에 따라 리프팅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부(20)는 리프팅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 모서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 전체가 바인더(110)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리프트 모듈(200)은 하측부(112)의 모서리 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리프트 모듈(2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리프트 모듈(200)이 하측부(112)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바인더(110)와 접철되는 디스플레이부(20)의 소정 위치를 리프트 시키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리프트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을 준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리프트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바인더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100)도 제1실시예와 같이 바인더(110)와 디스플레이부(20) 및 리프트 모듈(25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와 상기의 제1실시예와 차이점은 리프트 모듈(250), 구체적으로 리프트 모듈의 설치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모듈(250)은 리프팅 플레이트(251)와 회전부(25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리프트 모듈(250)은 바인더(110), 구체적으로 하측부(112)의 일단부 상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하측부(112)의 하면에는 리프팅 플레이트(251)가 안착되는 안착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하측부(112), 구체적으로 안착부(150)의 양측 단부와 리프팅 플레이트(251) 사이에는 리프팅 플레이트(25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부(25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252)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회전부(220)의 구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252)는 회전 축 부재(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회전 축 부재(252)에 의해 리프팅 플레이트(251)가 안착부(150)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프팅 플레이트(251)의 단부 측에는 회전 축 부재(252)가 관통되는 관통홀(251a)이 형성되며, 안착부(150)의 양측으로 관통홀(251a)과 연결되는 홀부(151a)가 구비된다. 이에, 회전 축 부재(252)는 관통홀(251a)을 관통하여 회전 축 부재(252)의 양 단부가 홀부(151a)에 결합된다. 이에, 리프팅 플레이트(251)는 회전 축 부재(252)를 회전축(O)으로 하여, 안착부(150)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부(252)에는 제1실시예의 회전부와 마찬가지로 리프팅 플레이트(251)의 회전을 정지시킴은 물론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게 리프팅 플레이트(251)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24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부(240)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든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스토퍼부(240)는 리프팅 플레이트(251)를 안착부(150)에서의 회전을 제한하며, 리프팅 플레이트(251)를 하측부(112)에서 소정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팅 플레이트(251)가 안착부(150)에서 이탈되어 회전 축 부재(25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리프팅 플레이트(251)는 회전 축 부재(252)를 중심으로 하측부(112)의 하면, 구체적으로 안착부(1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리프팅 플레이트(251)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 하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소정 각도까지 밀어 올린다. 이에 리프팅 플레이트(251)가 스토퍼부(240)에 회전이 정지됨은 물론 고정되면,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은 리프팅 플레이트(251)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면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리프트 모듈(200)과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모듈(250)은 바인더(110, 제1,2실시예에서는 '하측 바인더'를 일컬음.)에서 회전되어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의 하면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가 지지되어 쳐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모듈을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0)는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인더(110)와 디스플레이부(20) 및 디스플레이부(20)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리프트 모듈(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은, 제1, 2실시예의 리프트 모듈(200, 250), 구체적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10, 251)가 하측부(112)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두 개로 분할된 바인더(113, 114)를 분할된 면을 회전축(O)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이 분할된 면으로 회전되는 바인더와 함께 접혀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리프트 모듈을 구비한 플렉서블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리프트 모듈을 구비한 바인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100)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20)와, 바인더(110) 및 리프트 모듈(300)을 포함한다. 바인더(110)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으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를 포함하도록 분할된다. 리프트 모듈(300)은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 사이에 제공되고,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ㄷ'자 형상을 갖는다. 다만,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의 길이는 같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가 결합되면,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는 폭 방향으로'ㄷ'자 형상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은 디스플레이부(20)의 커넥터부(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20)의 커넥터부(21)를 안착시키는 바인더(110)가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되어,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바인더(110)가 회전부(3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분할된 바인더(110)에 대한 다양한 형상은 도 16에 개시되어 있으며, 후술한다.). 또한,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가 분할된 상태 및 회전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1)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인더(110)는 상측부(111)라고 하며, 특히 제1바인더(113)의 상측부(111)는 '제1상측부(111a)'라고 하며, 제2바인더(114)의 상측부(111)는 '제2 상측부(111b)'라고 한다. 또한, 커넥터부(21)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인더(110)는 하측부(112)라고 하며, 특히 제1바인더(113)의 하측부(112)는 '제1하측부(112a)'라고 하며, 제2바인더(114)의 하측부(112)는 '제2하측부(112b)'라고 한다.
도 14는 도 12에서 리프트 모듈이 제공되는 바인더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프터 모듈(300)은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 사이에 분할된 바인더(110)에 제공되고, 분할된 부분의 회전축(O)을 중심으로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를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리프트 모듈(300)은 회전부(330)와 가변부(340)를 포함한다. 회전부(330)는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 사이에 제공되고,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가 회전부(33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는 분할면을 중심으로 휘어진다. 회전부(330)는 제1힌지암(310)과 제2힌지암(320)을 포함한다. 제1힌지암(310)은 회전축(O)을 따라 제1상측부(111a)에 제공된다. 제2힌지암(320)은 제1힌지암(310)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며, 회전축(O)을 따라 제2상측부(111b)에 회전축(O)을 따라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암(310)은 회전축(O) 방향으로 제1상측부(111a)의 양측에 제공되는 사이드 힌지암(310)으로 이루어지고, 제2힌지암(320)은 사이드 힌지암(310)에 끼워져 사이드 힌지암(310)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센터 힌지암(3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이드 힌지암(310)에는 장착홈(311)이 각각 형성되고, 센터 힌지암(320)의 양측에는 장착홈(311)에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돌기(321)가 형성된다. 센터 힌지암(320)이 사이드 힌지암(310) 사이에 안착되면, 회전돌기(321)는 장착홈(311)에 체결된다. 이에, 제2바인더(114)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제1바인더(113)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부(330)는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20)가 하부로 쳐짐발생을 방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회전부(3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실시예에서 도 8a, 8b,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부(330)에는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240)가 구비된다. 스토퍼부(240, 도 9 참조)의 형상이나 구성 또는 형태 등은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형상이나 구성 또는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외에도 제1힌지암(310)과 제2힌지암(3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그 구성이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가변부(340)는 회전부(330)에 의해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가 회전하는 경우, 제1하측부(112a)와 제2하측부(112b)의 길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가변부(340)는 제1홀부(341)와, 제2홀부(342) 및 가변부재(343)를 포함한다. 제1홀부(341)는 제1바인더(113)의 단부, 구체적으로 제2하측부(112b)에 대향하는 제1하측부(112a)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홀부(341)에는 후술하는 가변부재(343)의 일측이 인입되어 결합된다. 제2홀부(342)는 제2바인더(114)의 단부, 구체적으로 제1홀부(341)에 대향하는 제2하측부(112b)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2홀부(342)에는 후술하는 가변부재(343)의 타측이 인입되어 결합된다. 가변부재(343)는 제1홀부(341)와 제2홀부(342)에 각각 삽입되어, 제1하측부(112a)와 제2하측부(112b)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제1바인더(113)와 제2바인더(114)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는 회전부(330)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고, 제1바인더(113)의 단부 및 제2바인더(114)의 단부는 서로 대면된다. 이에, 제2바인더(114)가 제1바인더(113)에서 회전되면,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는 회전부(330)에 결합된 상태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제1하측부(112a)와 제2하측부(112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대면된 상태의 제1하측부(112a)의 단부와 제2하측부(112b)의 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제1홀부(341)와 제2홀부(342)에 구비된 가변부재(343)는 외부로 노출되며, 제1하측부(112a)와 제2하측부(112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부재(343)는 탄성을 갖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바인더에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바인더와 제2바인더가 소정 각도를 이뤄 디스플레이부의 쳐짐이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바인더(114)가 제1바인더(113)에서 회전되면, 회전부(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상측부(111a)와 제2상측부(111b)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가변부재(343)는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하측부(112a)와 제2하측부(112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바인더(110)의 회전에 따라 바인더(110)의 홈에 결합된 커넥터부(21)가 함께 꺽이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0)가 하측 방향으로 쳐짐의 발생이 방지되는 지지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분리되는 바인더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을 결합하는 바인더(110)는 (a) 내지 (f)와 같은 다양한 형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바인더(110)가 회전축(O)을 중심으로 분할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회전축(O)을 중심으로 바인더(110)가 회전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이 소정각도로 휘어져 하측으로 쳐짐의 발생이 방지되는 지지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100: 휴대용 전자 기기 110: 바인더
111: 상측부 112: 하측부
20: 디스플레이부 200: 리프트 모듈
210: 리프팅 플레이트 220: 회전부

Claims (18)

  1.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플렉서블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인더에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리프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바인더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하는 리프팅 플레이트; 및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기 바인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바인더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리프팅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힌지암; 및
    상기 바인더에 제공되고, 상기 제1힌지암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상기 리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힌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기 바인더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상기 바인더의 일측 모서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바인더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상승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부를 리프팅되게 리프팅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측으로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트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제공되고,
    상기 바인더의 단부에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회전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을 상측방향으로 리프팅시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제1바인더와, 상기 제1바인더에 이웃하게 제공되는 제2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리프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모듈은,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바인더의 하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하면으로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바인더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암; 및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1힌지암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바인더를 제1바인더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힌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 사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1바인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홀부;
    상기 제1홀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바인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홀부; 및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바인더와 상기 제2바인더를 가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어 상기 제1바인더의 상면과 상기 제2바인더의 상면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가변부재의 가변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제2홀부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0120125469A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40058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469A KR20140058960A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469A KR20140058960A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60A true KR20140058960A (ko) 2014-05-15

Family

ID=5088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469A KR20140058960A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9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0558A (zh) * 2014-11-11 2016-05-18 三星显示有限公司 用于支撑显示面板的装置
CN106601129A (zh) * 2016-12-02 2017-04-2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滑动式柔性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0558A (zh) * 2014-11-11 2016-05-18 三星显示有限公司 用于支撑显示面板的装置
CN106601129A (zh) * 2016-12-02 2017-04-2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滑动式柔性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228B2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CN107632662B (zh) 便携式信息设备
US86931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067532B2 (en) Electronic device
US8899534B2 (en) Electronic device and linkage mechanism thereof
TWM538308U (zh) 薄型絞鏈
US9083106B2 (en) Receptacle connector
TWI528147B (zh) 具有可旋轉夾持座的機構裝置及顯示裝置
BR122021018938A2 (pt) Módulo de articulação incluindo estrutura de retenção e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o módulo de articulação
US8848359B1 (en) Fixing structure for interface card connector
US20140301026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201400857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5896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CN107450664B (zh) 盖体组件
CN206350038U (zh) 一种支撑机构及移动终端
CN111866235A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TWM525043U (zh) 保護套及電子裝置組合
US834632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7689498B (zh) 连接器装置及移动终端
TWI386581B (zh) 支架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US8760885B2 (en) Electronic device
CN202406420U (zh) 电子装置
JP2008021413A (ja) カードコネクタ
CN209570262U (zh) 称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