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217A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217A
KR20140058217A KR1020120124962A KR20120124962A KR20140058217A KR 20140058217 A KR20140058217 A KR 20140058217A KR 1020120124962 A KR1020120124962 A KR 1020120124962A KR 20120124962 A KR20120124962 A KR 20120124962A KR 20140058217 A KR20140058217 A KR 2014005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tank
ball
pu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코넷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넷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넷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217A/ko
Publication of KR2014005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or brackis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오염된 물의 정수성능을 최대화하고, 오염된 물의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가능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정수장치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 상기 2차 필터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병원체가 제거된 물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3차 필터; 및 상기 1차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1차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상기 2차 필터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구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펌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장치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오염된 물의 정수성능을 최대화하고, 오염된 물의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가능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器具)를 말한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직결여과식·이온교환수지식·증류식·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여과식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세라믹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된다. 세라믹 필터의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바이러스·중금속·발암물질·화학오염물질 등 미세한 오염물질 제거에 한계가 있으며, 청소와 필터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직결여과식은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물이 수압에 의하여 마이크로필터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자연여과식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가 힘들며,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온교환수지식은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을 분리·제거하는 방식인데, 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증류식은 물이 끓을 때 생기는 수증기를 식혀서 정수하는 방법인데, 용존산소나 미네랄까지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역삼투압식은 압력으로 물이 반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정수된 물을 얻기 위해서는 삼투압을 능가하는 고압을 가해야 한다. 고정된 장소에서 대용량으로 처리시에는 고압의 적용이 용이하나, 휴대용 정수장치와 같이 별도의 전력을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이러한 고압의 발생이 어렵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8-8709 호는 원통형의 휴대용 역삼투식 정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바로 역삼투막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역삼투막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8-8709 호 (2008.1.24) 홍채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염된 물의 정수기능을 최대화하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물 내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을 공급하는 펌프가 마련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정수장치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 상기 2차 필터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병원체가 제거된 물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3차 필터; 및 상기 1차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1차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상기 2차 필터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구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펌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오염된 물의 정수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입경이 큰 오염물질부터 순차적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이고 필터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펌프부는, 상기 펌프부(16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부(160)가 작동하여 상기 1차 필터(1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일시적으로 거치하는 수조(161); 상기 수조(161) 상에 마련되어 상기 수조(161)로 압력을 가하여 물의 경로를 제어하는 레버(166); 상기 펌프부(160) 내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166)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조(161)로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볼(165); 상기 수조(16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볼(165)을 수납하되 상기 레버(16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볼(165)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상기 수조(161)로의 물 유입을 제어하는 볼가이드(164); 및 상기 수조(161)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펌프부에 의하여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물을 이후의 필터로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정확하게 1차 필터로 정수된 물을 2차 또는 3차 필터로 이송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성에 의하여 오염된 물 내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을 공급하는 펌프부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는 상기 볼이 장착되는 볼장착홀이 형성되어 펌프부의 운동에 따라 볼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부는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펌프로 구성된 펌프부가 마련됨에 따라 수조에서 2차 또는 3차 필터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물의 정수률이 향상된다.
상기 3차 필터는 역삼투막 (Reverse Osmosis Membrane) 필터로 마련되어 외부의 물이 염분을 포함하더라도 정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3차 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3차 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배출구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정수장치로부터 정수된 물을 용이하게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도와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상기 1차 필터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는 1차 수로; 상기 수조와 상기 2차 필터를 연결하는 2차 수로; 상기 2차 필터와 상기 3차 필터를 연결하는 3차 수로; 및 상기 3차 필터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4차 수로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휴대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군인이나 등산객 등이 상하수도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에서 정수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된 물을 3차에 걸쳐 정수하기 때문에 정수기능이 최대화되어 정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입경이 큰 오염물질은 역삼투막필터에 적용하기 전에 이물을 제거하는 1차 필터 및 정밀여과필터나 한외여과필터의 2차 필터로 제거함으로써 역삼투막필터의 공극폐색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역삼투막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시켜 본 발명 정수장치의 사용수명 연장 및 유지비용 절감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펌프가 2개 마련됨으로써, 역삼투막필터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염분 성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정수장치의 펌프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병원체'는 음용시 인간 또는 그 밖의 동물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를 가리키며, 예컨대 기생충,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여과 장치의 펌프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10)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고, 유입구(120)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130), 1차 필터(130)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140), 2차 필터(140)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병원체가 제거된 물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3차 필터(150) 및 1차 필터(130)와 연결되고, 유입구(120)로 유입되어 1차 필터(1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2차 필터(140)로 이동시키며, 유입구(120)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펌프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외부의 오염된 물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120)에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군시설, 캠핑 등의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공간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유입구(120) 이외에도 배출구(17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170)는 하우징(110) 내에서 정수된 물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70)에는 식수, 생활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튜브(미도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70)는 3차 필터(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출구(170)가 3차 필터(150)와 연결됨에 따라 1차 필터(130), 2차 필터(140) 및 3차 필터(150)로 이동하면서 이물질 및 오염요소가 제거된 맑은 물이 배출구(170)로 배출된다.
상기 1차 필터(130)는 유입구(120)로 유입된 외부의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이러한 1차 필터(130)의 공극 크기는 유입구(120)로 유입된 물 안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차 필터(130)는 유입구(120)로 유입된 외부의 물의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유입구(120)와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1차 필터(130)는 유입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구(120)로 유입된 외부의 물이 즉시 정수되어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필터(1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펌프부(160)를 통해 2차 필터(140)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펌프부(160)는 수조(161)와, 레버(166)와, 볼(165)과, 볼가이드(164)와 배출밸브(168)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161)는 1차 필터(1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일시적으로 거치되어 펌프로 이송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수조(161)와 1차 필터(130) 사이에는 1차 필터(130)에서 정수된 물이 수조(161)로 이동할 수 있도록 1차 수로(2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166)는 수조(161) 상에 마련되어 수조(161)로 압력을 가하여 물의 경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레버(166)는 수조(161)에 장착되거나 수조(161)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의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레버(166)를 상부로 당기면, 수조(161) 내부로 향하는 압력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레버(166)에 의해 발생한 압력이 1차 필터(130)를 거친 물을 수조(161)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166)를 하부로 누르면 수조(161) 외부로 향하는 압력이 발생하면서 수조(161)에서 2차 필터(140)로의 물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임의대로 물의 이동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물의 정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레버(166)는 압력이 발생할 수 있는 피스톤(169)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피스톤(169) 이외에 압력을 발생하는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볼(165)은 펌프부(160) 내에 마련되어 레버(166) 조작에 따라 이동하며 수조(161)로의 물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볼(165)은 수조(161)와 1차 필터(130) 사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수조(161)에는 볼(165)이 장착되는 볼장착홀(167)이 형성되며, 상기 볼(165)은 압력에 따라 볼장착홀(167)에 분리 및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스톤(169)이 위로 올라가면, 볼장착홀(167)에서 볼(165)이 분리되어 1차 필터(130)와 수조(161) 사이가 연통되고, 그 결과 1차 필터(130)를 거친 물이 수조(16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169)이 아래로 내려가면, 볼(165)이 볼장착홀(167)에 재 장착되어 1차 필터(130)와 수조(161) 사이를 막으며, 그 결과 수조(161) 내의 물이 2차 및 3차 필터(140, 1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볼(165)이 정확한 위치에서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볼가이드(164)가 마련되어 볼(165)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가이드(164)는 수조(161) 내부와 연통되고, 볼(165)을 수납하되 레버(166)의 조작에 따라 볼(165)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볼가이드(164)는 볼(165)이 수조(161)로 빠지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케이지(cage)와 같이 형성되어 볼(165)의 동선을 최대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부(160)에는 2차 필터(140)나 3차 필터(150)의 폐색에 의해 수조(161)에 걸리는 고압을 해소하기 위해 배출밸브(16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극 크기가 작은 2차 필터(140)나 3차 필터(150)는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공극의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핑을 계속하면 수조(161)에 고압이 걸리고, 심하면 수조(161) 및 하우징(110)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걸리면 상기 배출밸브(168)를 통해 공기와 물이 배출됨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배출밸브의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140)는 1차 필터(1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의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오염된 물 속에는 이물질 이외에도 바이러스, 병원균, 기생충 등과 같은 병원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물을 생활수 이외에 식수로 사용할 경우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차 필터(140)에서 병원체를 정수함으로써, 정수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더라도 병원체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병원체의 제거를 위해 2차 필터(140)는 정밀여과필터 또는 한외여과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필터(140)는 수조(161)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2차 필터(140)와 수조(161) 사이에는 수조(161)에 거치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2차 수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140)에서 병원체가 제거되면 물은 3차 필터(150)로 이동하면서 염분이 제거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정수하고자 하는 물이 염분을 포함하는 경우, 1차 필터(130)와 2차 필터(140)에서 이물질과 병원체는 제거되지만 염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식수로 사용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염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외부의 어떠한 물이라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3차 필터(150)는 역삼투막 (Reverse Osmosis Membrane)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삼투막필터는 마이크론 사이즈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 속에 포함된 염분이 통과되지 못하므로 순수한 물만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물의 염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삼투압을 능가하는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수조(161) 내의 물을 2차 및 3차 필터(140, 150)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펌프부(160)는 제1 펌프(162)와 제2 펌프(163), 2개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의 펌프를 마련함으로써, 1차 필터(130)에서 정수된 물이 2차 필터(140) 및 3차 필터(150)로 이동하여 정수되는 과정에서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166)를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면 볼장착홀(167)에 볼(165)이 재 장착되면서 수조(161) 내의 물은 볼(165)로 막힌 1차 수로(210) 대신 2차 및 3차 필터(140, 150)로 이동하고, 3차 필터(150)를 통과하면서 물의 염분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물이 3차 필터(150)를 통과하기 위한 압력은 4 kgf/cm2 ~ 8 kgf/cm2 가량의 압력이고, 이러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펌프, 즉 제1 펌프(162) 및 제2 펌프(163)를 마련함으로써, 물이 3차 필터(150)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조(161)는 제1 펌프(162)와 제2 펌프(163) 하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레버(166)을 조작하면 동시에 제1 펌프(162)와 제2 펌프(163)가 모두 작동되어 수조(161) 내로 압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펌프(162)와 제2 펌프(163)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166)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도와 준다.
한편, 상기 2차 필터(140)와 3차 필터(150) 사이에는 3차 수로(230)가 형성되어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1차 수로(210), 2차 수로(220) 및 3차 수로(230)는 오염된 물이 이동하여도 변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로(210, 220, 230, 240)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분리 및 별도 장착되어 파손이나 변질에 교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필터(150)에 의하여 염분까지 제거된 물은 배출구(170)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3차 필터(150)와 배출구(170) 사이에는 정수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4차 수로(2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4차 수로(240)는 앞선 1차 내지 3차 수로(210, 220, 230)와 다르게 순수한 물이 이동하는 수로로써, 추가적인 화학처리 과정 등을 수행하지 않은 수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수장치(10)는 상기와 같이 외부의 오염된 물을 3차에 걸쳐 정수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의 정수기능이 최대화되어 정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2개의 펌프가 마련되어 역삼투막필터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염분 성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정수장치 110: 하우징
120: 유입구 130: 1차 필터
140: 2차 필터 150: 3차 필터
160: 펌프부 161: 수조
162: 제1 펌프 163: 제2 펌프
164: 볼가이드 165: 볼
166: 레버 167: 볼장착홀
168: 배출밸브 169: 피스톤
170: 배출구 210: 1차 수로
220: 2차 수로 230: 3차 수로
240: 4차 수로

Claims (9)

  1.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120)로 유입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 필터(130);
    상기 1차 필터(130)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필터(140);
    상기 2차 필터(140)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병원체가 제거된 물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3차 필터(150); 및
    상기 1차 필터(130)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120)로 유입되어 상기 1차 필터(1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상기 2차 필터(140)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구(120)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펌프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160)는,
    상기 펌프부(16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부(160)가 작동하여 상기 1차 필터(1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일시적으로 거치하는 수조(161);
    상기 수조(161) 상에 마련되어 상기 수조(161)로 압력을 가하여 물의 경로를 제어하는 레버(166);
    상기 펌프부(160) 내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166)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조(161)로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볼(165);
    상기 수조(16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볼(165)을 수납하되 상기 레버(16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볼(165)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상기 수조(161)로의 물 유입을 제어하는 볼가이드(164); 및
    상기 수조(161)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출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조(161)는 상기 볼(165)이 장착되는 볼장착홀(16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160)는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1 펌프(162) 및 제2 펌프(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 필터(150)는 역삼투막 (Reverse Osmosis Membrane)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3차 필터(150)와 연결되며, 상기 3차 필터(15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166)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130)와 상기 수조(161)를 연결하는 1차 수로(210);
    상기 수조(161)와 상기 2차 필터(140)를 연결하는 2차 수로(220);
    상기 2차 필터(140)와 상기 3차 필터(150)를 연결하는 3차 수로(230); 및
    상기 3차 필터(150)와 상기 배출구(170)를 연결하는 4차 수로(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는, 휴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KR1020120124962A 2012-11-06 2012-11-06 정수장치 KR20140058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62A KR20140058217A (ko) 2012-11-06 2012-11-06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62A KR20140058217A (ko) 2012-11-06 2012-11-06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217A true KR20140058217A (ko) 2014-05-14

Family

ID=5088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962A KR20140058217A (ko) 2012-11-06 2012-11-06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2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28A (ko) 2015-12-16 2017-06-2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28A (ko) 2015-12-16 2017-06-2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5657A1 (en) Tee-connector for use in a filtration system
JP2013056334A (ja) 浄水装置
WO20180696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ltrapure water
WO2012086479A1 (ja) 逆浸透処理装置
CN102099302B (zh) 液体净化设备、清洗中空纤维过滤器的方法和清洗中空纤维过滤器的方法的使用
JP6016305B2 (ja) 浄水装置
KR20240049839A (ko) 물로부터의 난분해성 유기 화합물들의 제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200848373A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drinking water
JP2012110815A (ja) 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排水の処理装置
KR20140058217A (ko) 정수장치
WO2011082389A1 (en) Disposable filter for removing particulate metals from dental waste water
KR101334651B1 (ko)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KR20130131964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101645182B1 (ko) 정수기
KR102006397B1 (ko) 유입튜브를 이용하여 전처리 침전 필터의 오염물질 배출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WO2012157668A1 (ja) 濾過処理装置及び濾過処理装置の洗浄方法
KR20150003140A (ko) 수처리설비
TWI752864B (zh) 污水海水過濾淨化裝置
KR20130131965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101131175B1 (ko) 연속 흐름, 순차 세정식 복합 수처리 장치
KR101777236B1 (ko) 순환식 미생물 제거 정수기
RU90351U1 (ru) Мембран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102122007B1 (ko) 무 필터방식의 정수장치
KR20110037210A (ko)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KR101215567B1 (ko) 버블효과 및 원수유도관을 채용한 복합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