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10A -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210A
KR20110037210A KR1020090094546A KR20090094546A KR20110037210A KR 20110037210 A KR20110037210 A KR 20110037210A KR 1020090094546 A KR1020090094546 A KR 1020090094546A KR 20090094546 A KR20090094546 A KR 20090094546A KR 20110037210 A KR20110037210 A KR 20110037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supply
filter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
김도한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210A/ko
Publication of KR2011003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은 급수단으로부터 물을 제공받는 입수구와, 출수구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구로 들어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이물질을 거르는 판 형상의 다공질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구로 나가는 물의 유로 방향을 모아주는 망상의 유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기, 코크, 밸브, 필터

Description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FILTER UNIT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FILTER UNIT AT A WATER PROVIDING PAR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정수기의 급수부 단부에 필터를 장착함으로써, 정수된 물에서 재발생 할 수 있는 미생물 및 기타 오염물질을 급수 마지막 단계에서 제거하도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다.
정수기에 적용되는 정수방식은 역삼투막을 이용하는 역삼투(reverse osmosis) 정수방식, 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강제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순수한 물분자는 반투막(membrane filter)을 통과시키고 다른 오염물질은 반투막에서 필터링하여 거르는 반투막 정수방식, 가운데가 비어있는 섬유관이 수천 다발로 묶인 중공사막 정수방식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정수방식은 보통 4단계의 원수여과 필터 시스템을 사용하며, 상기 필터 시스템을 통과한 정수는 저장하는 저장탱크에서 이동하여 정수기 코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저장탱크를 갖춘 정수기에는 저장탱크의 내부가 오염된 경우에 세균 및 기타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22123 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급수부의 코크 일측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균필터를 구비하여 급수의 마지막 단계에서 미생물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정수기는 필터를 급수부의 단부에 부착하므로 미생물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물이 필터를 통과하면서 압력 및 속도가 낮아져 수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에서는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를 도시하여, 상기한 형태의 정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였다.
종래기술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단에 부착되는 필터유닛(50)은 입수구(51)와 출수구(55)를 구비하여 입수구(51)를 통하여 입수된 정수가 출수구(5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최종 공급되도록 한다. 입수구(51)와 출수구(55) 사이에는 필터(53)가 설치된다. 필터(53)는 유입되는 물의 전체가 통과되도록 해야 좋기 때문에 판상이고 다공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물이 판상의 다공질 필터(53)를 통과하는 동안 수류는 필터(53)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입수구(51)에서 들어온 물은 수압과 유속이 빠르더라도 출수구(55)로 나가는 물은 수압과 유속이 저하되어 힘이 빠진 물이 출수구(55)로 나가게 된다. 이렇게 출수구(55)로 나간 물은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까지 공기 중에서 일정 거리 이상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데 이 때 도 6의 아래쪽 끝부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수압과 유속이 저하된 물이 출수구(55) 벽과의 마찰력이나 외부 공기의 흐름 또는 코리올리 힘에 의해 영향받아 일직선으로 나가지 못하고 퍼져 빈공간(57)이 발생하게 되거나, 때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는 주로 필터유닛(50)의 아래에 컵을 두고 정수된 물을 받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물이 일직선으로 나가지 못하면 컵 바깥으로 나가거나 물이 컵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물을 받는 사용자가 불편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부의 필터유닛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은, 급수단으로부터 물을 제공받는 입수구와, 출수구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구로 들어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이물질을 거르는 판 형상의 다공질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구로 나가는 물의 유로 방향을 모아주는 망상의 유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은, 상부에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며 물이 제공되는 급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부, 하부에 상기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가 밀착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은,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은,상기 유로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반구의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이 동되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다공질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의 유로 방향을 모아주는 망상의 유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유닛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에 착탈가능한 필터유닛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급수밸브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필터유닛을 밀착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급수밸브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급수밸브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유로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반구의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의하면, 필터유닛을 통과한 정수를 유도하는 유로유도부를 가지므로 필터유닛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는 외면을 형성하는 케이스(2)의 전면부에 급수부(3)가 마련된다. 급수부(3)에는 급수밸브(5)가 설치된다. 정수기(1)의 케이스(2) 내부에는 정수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탱크(미도시)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급수밸브(5)를 누르면 저장탱크 내의 물이 급수밸브(5) 아래쪽으로 흘러나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급수밸브(5)의 단부에는 필터유닛(10)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급수밸브(5)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밸브(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단(7)에 필터유닛(1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급수밸브(5)는 레버(4)를 포함하여 레버(4)를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밀어주면 급수단(7)과 필터유닛(10)을 통과하여 물이 하측으로 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필터유닛(10)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필터유닛(10)은 결합부(20)와 필터부(30)로 구성된다. 결합부(20)의 최상부에는 입수구(11)가 형성되고 필터부(30)의 최하부에는 출수구(15)가 형성된다. 급수밸브(5)에서 나온 물은 입수구(11)를 통과하여 필터유닛(10) 내부로 들어오고 필터유닛(10) 내부로 들어온 물은 출수구(15)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결합부(20)는 급수밸브(5)의 급수단(7)에 삽입되어 필터유닛(10)을 급수밸브(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결합부(20)의 외면에는 실링부 재(21)가 설치된다. 실링부재(21)는 형상은 원형의 링 형태이고, 재질은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결합부(20)의 외면이 급수단(7)의 내면에 삽입될 때 실링부재(21)는 탄성변형되어 결합부(20)와 급수단(7)의 내면을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21)를 이용하여 급수밸브(5)에 필터유닛(10)을 고정하였으나, 더욱 확실한 결합을 위해 나사결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결합부(20)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급수단(7)의 내면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부(20)와 급수단(7)을 나사결합 할 수 있을 것이다.
입수구(11)와 출수구(15)의 사이에는 유로(13)가 형성되어 입수구(11)를 통해 들어온 물이 유로(13)를 통하여 이동하다가 출수구(15)로 빠져나간다. 필터부(30) 안 쪽의 유로(13)에는 필터(31)와 유로유도부(4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필터유닛(10)을 보인 전개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31)는 원형 평면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31)는 어떠한 종류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정수된 물이 마지막으로 머무르는 정수탱크에서는 무엇보다도 세균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제균필터(31)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특히, 금속나노와이어를 사용한 다공질의 제균필터로서 최근 많이 사용되는 아르고나이드(Argonide)사가 개발한 상표명 나노세람(NANOCERAM)의 필터가 높은 성능을 보인다.
필터부(30)의 안 쪽면에는 필터(31)를 고정하는 고정부(33)가 형성된다. 고정부(33)는 필터(31)의 하측에 형성되므로 물이 입수구(11)에서 출수구(15)로 즉,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방향을 따라 힘이 작용하여도 필터(31)를 용이하게 고정 할 수 있는 것이다.
필터(31)의 아래쪽에는 또한, 유로유도부(40)가 설치된다. 유로유도부(40)는 망상(mesh)으로 형성된다. 유로유도부(40)는 가로세로로 촘촘하게 엮어진 망체(43)와 그 아래쪽으로 이를 지지하는 링 형의 지지부(41)를 포함한다. 망체(43)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망체(43)와 지지부(4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30)의 최하단에 출수구(15)에 인접하여 고정돌기(35)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35)에 지지부(41)가 안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의 필터유닛(10)을 보인 단면도로서, 필터유닛(10)을 지나는 물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구(11)를 통하여 필터유닛(10)에 들어온 물은 필터(31)와 유로유도부(40)를 지나게 된다.
필터(31)를 통과한 물은 수압과 유속이 감소하나, 유로유도부(40)의 형상이 반구형상이므로 물이 유로유도부(40)의 망체(43)를 통과하면서 출수구(15)의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수압과 유속이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일직선의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밸브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보인 전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보인 단면도로서, 필터유닛을 지나는 물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유닛을 보인 단면도로서, 필터유닛을 지나는 물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Claims (11)

  1. 급수단으로부터 물을 제공받는 입수구와, 출수구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구로 들어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이물질을 거르는 판 형상의 다공질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출수구로 나가는 물의 유로 방향을 모아주는 망상의 유로유도부;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며 물이 제공되는 급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부;
    하부에 상기 출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가 밀착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단과 상기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반구의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6.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서 이동되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다공질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의 유로 방향을 모아주는 망상의 유로유도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유닛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에 착탈가능한 필터유닛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급수밸브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필터와 상기 유로유도부가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필터유닛을 밀착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급수밸브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급수밸브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반구의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90094546A 2009-10-06 2009-10-06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KR20110037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546A KR20110037210A (ko) 2009-10-06 2009-10-06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546A KR20110037210A (ko) 2009-10-06 2009-10-06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10A true KR20110037210A (ko) 2011-04-13

Family

ID=4404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546A KR20110037210A (ko) 2009-10-06 2009-10-06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147A (zh) * 2012-11-13 2014-05-21 杜也兵 净水器滤腔内置滤胆的提拉方法及内置滤胆和连接器
KR20190023577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웅진 파우셋 필터,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147A (zh) * 2012-11-13 2014-05-21 杜也兵 净水器滤腔内置滤胆的提拉方法及内置滤胆和连接器
KR20190023577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웅진 파우셋 필터,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564B2 (ja) 浄水器
JP2007326065A (ja) 浄水器
RU241033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половолоконного фильт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способа промывки половолоконного фильтра
EP2719668A1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pitcher-type water purifier
CN107106985B (zh) 便携式液体过滤装置
CN113015690B (zh) 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101402528B1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101402399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KR101695774B1 (ko) 침지형 중공사막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10037210A (ko) 필터유닛 및 급수부에 그 필터유닛을 갖는 정수기
KR20090014436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110058328A (ko) 맞춤형 복합 필터 부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598166B1 (ko) 정수기용 정화필터
WO2013105595A1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20040024777A (ko) 폐수절감형 정수시스템
KR101373938B1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101313631B1 (ko) 필터관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CN202643465U (zh) 家用自来水净化装置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KR20160121292A (ko) 휴대용 수동식 정수기
JP2006272108A (ja) 浄水器
KR101425991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101439830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20130071010A (ko)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