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021A -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021A
KR20140058021A KR1020120124477A KR20120124477A KR20140058021A KR 20140058021 A KR20140058021 A KR 20140058021A KR 1020120124477 A KR1020120124477 A KR 1020120124477A KR 20120124477 A KR20120124477 A KR 20120124477A KR 20140058021 A KR20140058021 A KR 2014005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concrete block
vegeta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우
김은태
Original Assignee
김은태
주식회사 메카
이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태, 주식회사 메카, 이행우 filed Critical 김은태
Priority to KR102012012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021A/ko
Publication of KR2014005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28B7/183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0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undercut recesses, e.g.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05Grab supports, e.g. articulations; Oscillation dampers; Ori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2Grabs actuated by two or more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방 및 하천 등의 주변에 시공 설치되는 식생매트를 시간과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시공설치 하면서도, 식생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식물이 지지 되는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110) 내부 하면에 배치하는 매트준비공정(S100); 상기 식생매트(120)가 배치된 상기 거푸집(110)에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타설공정(S200); 및 상기 식생매트(120)가 상기 레미콘(140)과 연결된 채로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도록 하는 양생공정(S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TIVE BLOCK, VEGETATIVE BLOCK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OF VEGETATIVE BLOCK AND DEVICE MOVING OF THE VEGETATIVE BLOCK}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방 및 하천 등의 주변에 시공 설치되는 식생매트를 시간과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시공설치 하면서도, 식생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절개지 등은 토양안정과 경사면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전면이 단순한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구축한 토목구조물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구조의 토목구조물은 도회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없어 결국 생태계의 파괴가 일어난다.
즉, 하천 제방을 기존 단순 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제품으로 시공한 경우 식물의 정착 공간이 없고 물고기나 수서곤충 등의 생육공간이 없어 동 · 식물의 삶터 환경이 조성되기 어려워짐은 물론이고 하천의 물이 자연정화 작용을 거치지 못하므로 수질오염이 가속화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었는데, 자연재료와 식생을 위주로 한 유럽식의 하천공법이 90년대 중반에 도입되었으나 여름에 장마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의 기후에서는 하천 제방의 보호에 문제점이 많아 홍수에 대한 문제가 없는 지역에 제한적으로밖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에 도시화, 산업화 및 레저산업 등의 급격한 발전으로 막대한 면적의 토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이와 같은 부지난을 덜기 위해 야산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하천의 호안정비 및 우천시 하천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방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면 및 제방은 토사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학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주변경관을 해치게 될 뿐 아니라 우천시 토사붕괴의 위험이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호안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호안구조물은, 구조적인 안정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무미건조한 경관을 형성하여 미관을 해치게 되고,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여 자연생태적인 단절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된 하천 제방의 경우 수생식물이 생육할 수 없으므로 사면이 건조해지고, 자연정화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될 수 있으며, 물고기와 수생식물의 생육 공간 확보가 어려워 하천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주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경관을 고려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현재의 실정에 따라 식생의 도입에 필요한 요구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 하천 제방이나 도로 사면의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환경친화적인 도회경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 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사면 보호기능을 수행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여 환경 친화적인 하천 호안과 도로 사면을 조성할 수 있는 식생블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식생블록의 한 유형으로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을 내고 그 안에 토사를 채워 시공함으로써 구멍으로 노출되는 토사를 통해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는 것이 있다.
또한, 종래 콘크리트 호안블록에서는 블록에 단순한 홈이나 구멍형태의 공간을 만들어 식물이 식재되도록 한 콘크리트 호안블록이 출시되고 있으나, 개구 된 부분에 일정량의 흙을 채워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들이 생육가능 하도록 구성한 블록들이다.
그러나, 식생블록에 배치되는 식물들이 식생블록의 개구 된 부위에 배치되어 양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식물들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식생매트를 설치시공하고, 그 위에 식생블록을 배치한 후, 그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이 고정되도록 하는 추가 작업을 진행해 왔었다.
이러한 작업공정은 설치시간과 설치인력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작업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비용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우천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이 분리될 경우, 식생블록 내부에 배치된 토사와 식물이 물에 휩쓸려 모두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나란하게 정렬하여 배치되는 식생블록이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 사면의 토사가 물에 휩쓸리는 과정에서 그 배치위치를 쉽게 이탈하여, 훼손되거나 소실되기 때문에 식생블록을 다시 정비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성된 식생블록을 하천 제방 등의 사면에 설치 시공시, 식생블록을 각각 별도로 하나씩 운반 및 설치했었다.
이러한 작업은, 설치 시공에 소모되는 시간이 많을 뿐만 아니라, 식생블록을 나란하게 정렬하는 작업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496740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설치시간과 설치인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을 일체로 형성하여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나란하게 정렬 배치되는 식생블록이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그 배치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식생블록을 설치 시공시에 다수 개의 식생블록을 동시에 인양 및 이송하여 설치 시공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식물이 지지 되는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110) 내부 하면에 배치하는 매트준비공정(S100); 상기 식생매트(120)가 배치된 상기 거푸집(110)에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타설공정(S200); 및 상기 식생매트(120)가 상기 레미콘(140)과 연결된 채로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도록 하는 양생공정(S300);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관통봉(160)을 배치하는 연결홈형성공정(S110)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인양고리(170)가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상기 인양고리(170)를 배치하는 고리형성공정(S120)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에서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내부로 레미콘(140)이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110)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식물이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식생매트(120);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 및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식생매트(120)와 연결된 채로 양생 된 콘크리트블록(150);을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1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구비되는 관통봉(160)을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1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변에서 외 측으로 양각형성되는 양각돌기(152)와,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돌기(152)가 형성된 변과 마주보는 변에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음각홈(154)을 포함한다.
상호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연결된 상태에서 동시에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30), 상기 크레인(3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32)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32)에 연결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에 직접 결합 또는 분리되는 인양기구(190)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는 음각홈(154)과, 상기 음각홈(154)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외측으로 양각 형성되는 양각돌기(152)를 형성하고, 상기 음각홈(154)과 상기 양각돌기(152)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홈(15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홈(155)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에 형성되는 연결홈(155')에 동시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봉(192)과, 상기 결합봉(192)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호 'X' 형태로 교차 되는 교차봉(194)과, 상기 교차봉(194)이 교차 되는 교차점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축인 교차핀(196)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차봉(194) 상부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봉(192)이 상기 연결홈(155, 155')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조절봉(198)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와 상기 조절봉(198)의 하부를 동시에 결합 되는 축인 조절핀(191)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기 조절봉(198)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 결합 되는 축인 유동핀(193)을 포함된다.
레미콘(140)이 양생 되어 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연결홈(155)에 체결유닛(180)을 이용하여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을 상호 연결하는 블록체결공정(S400);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을 통해 다수 개가 동시에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들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70)를 이용하여 크레인(30)을 통해 인양 및 이송하는 배치공정(S500); 및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에서 연결된 체결유닛(180)을 분리하는 분리공정(60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18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 각각의 연결홈(155, 155')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볼트(182)와, 상기 관통볼트(18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너트(18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홈(155)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변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식생블록의 제작시간 및 설치시간과 설치인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 인해,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식물의 서식공간이 50%이상이어서 CO2흡수원인 식생공간을 만들어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질정화 등 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식생블록의 신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정렬 배치된 식생블록들이 배치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식생블록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는, 다수 개의 식생블록을 동시에 인양 및 이송하여 설치 시공하여 시공 설치 시간과 인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이용한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제방 및 하천 등의 주변에 시공 설치되는 식생매트를 시간과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시공설치 하면서도, 식생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특히, 매트준비공정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블록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식물이 지지 되는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110) 내부 하면에 배치하는 매트준비공정(S100)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매트(120)가 배치된 상기 거푸집(110)에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타설공정(S200)이 진행된다.
이어서, 상기 식생매트(120)가 상기 레미콘(140)과 연결된 채로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도록 하는 양생공정(S300)이 진행된다.
매트준비공정(S100)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150)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시멘트와 제강슬래그, 석탄재, 규소, 물, 시멘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 을 혼합한 레미콘(140)이 사용된다.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레미콘(140)이 내부에 주입되는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식물이 지지 되는 식생매트(120)를 상기 거푸집(110) 내부의 하면에 배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식생매트(120)는, 상기 거푸집(110)에 배치하기 이전에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이 관통하여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130)은, 강철 또는 합금 등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관통봉(160)을 배치하는 연결홈형성공정(S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홈형성공정(S110)은,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타설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공정이다.
상기 연결홈형성공정(S110)은,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타설된 후 양생 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완성될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에 상기 연결홈(15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관통봉(160)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이때, 상기 거푸집(110)에 설치되는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상기 연결홈(15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에 타설되기 전에,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거푸집(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거푸집(110)의 중단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11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형성볼트(162)와, 상기 홈형성볼트(162)의 양 말단에서 상기 홈형성통볼트(162)를 고정하는 홈형성너트(16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상기 연결홈(155)을 형성할 수 있고,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인양고리(170)가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상기 인양고리(170)를 배치하는 고리형성공정(S12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고리형성공정(S120)은,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타설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공정이다.
상기 고리형성공정(S120)은,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타설된 후 양생 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완성될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기 인양고리(17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인양고리(170)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이때, 상기 거푸집(110)에 설치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형상에 따라,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부양고정 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거푸집(110) 각 모서리 부위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상기 거푸집(110)에 의해 부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부양고정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상기 인양고리(170)를 부양하는 별도의 지지대(미도시) 또는 지지끈(미도시) 등에 의해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부가 끼워진 채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기 전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부가 끼워진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체로 고정형성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거푸집(110)에서 분리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형성 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되어, 차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크레인(30)을 통해 간편하게 견인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양고리(170)가 상기 크레인(30)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견인된 후, 상기 크레인(30)에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크레인(30)을 통해 원활하게 견인 가능하다면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상기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상기 타설공정(S200)이 수행된다.
타설공정(S200)
상기 타설공정(S200)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관통봉(160)과 상기 인양고리(17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식생매트(120)에 상기 연결유닛(130)을 연결하고, 그 식생매트(120)를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 하면에 배치한 후,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로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상기 타설공정(S200)에서는, 상기 레미콘(140)을 상기 거푸집(110)에 타설하여, 상기 레미콘(140)이 양생 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형태를 갖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타설공정(S200)에서, 상기 레미콘(140)을 상기 거푸집(110)에 타설하게 되면, 상기 인양고리(170)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연결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상기 연결홈(155)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식생매트(120)는,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으로 굳어짐에 따라, 상기 연결유닛(130)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하부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타설공정(S200)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서 형태가 만들어지도록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양생하는 상기 양생공정(S300)이 수행된다.
양생공정(S300)
상기 양생공정(S300)은, 상기 식생매트(120)가 상기 레미콘(140)과 연결된 채로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콘크리트블록(150)은, 건식으로 양생시킬 수 있고, 습식으로 양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생공정(S300)에서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인양고리(170)를 부양하는 지지대 또는 지지끈을 제거하고, 상기 관통봉(160)을 해체하며, 상기 거푸집(110)을 탈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상기 인양고리(170)가 일부 연결될 채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관통봉(16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홈형성볼트(162)의 양 말단에 연결된 상기 홈형성너트(164)를 해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형성볼트(162)를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는 상기 연결홈(155)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거푸집(110)을 탈형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상기 거푸집(110)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양생 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거푸집(110)을 탈형 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양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건식 양생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거푸집(110)을 탈형한 후, 건식양생실(미도시)에 진입되도록 하여 양생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상기 건식양생실에 진입한 후, 상온에서 1 내지 3시간 보관한 후 상대습도가 90 내지 100%가 되도록 증기를 투입한다.
이어서, 증기를 투입한 후에는, 열을 가하여 약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8 내지 20 시간 동안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습식 양생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서 상기 거푸집(110)을 탈형한 후, 15 내지 25℃의 온도인 상온에서 20 내지 30일 동안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안과 하천의 범람을 차단하고 하천의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해안과 하천의 주변에 식생블록을 설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3a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내부로 레미콘(140)이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식물이 지지 될 수 있도록 하고 법면을 안정화하는 식생매트(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식생매트(120)와 연결된 채로 양생 되어 된 콘크리트블록(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매트(12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내부에 배치되는 흙과 식물이 하천 등의 범람에 의해 경사면의 침식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하부로 토출 되는 것을 방지하고 법면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식생매트(12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내의 토사가 외부로 토출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내에서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토사를 지지하는 기능이 수반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110)에는,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하는 관통봉(160)이 설치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상기 연결홈(15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에 타설되기 전에,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거푸집(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거푸집(110)의 중단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11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형성볼트(162)와, 상기 홈형성볼트(162)의 양 말단에서 상기 홈형성볼트(162)를 고정하는 홈형성너트(16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형성볼트(162)의 외형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홈(155)의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관통봉(160)은, 상기 연결홈(152)이 완성되면 상기 홈형성볼트(162)에 체결된 상기 홈형성너트(164)를 분리한 후, 상기 연결홈(155)에서 제거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된 후, 상기 연결홈(155)에서 별도의 유압장치 등의 기구 사용 없이 간편하게 상기 관통봉(160)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연결홈(155)이 원활하게 완성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유압장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상기 관통봉(160), 상기 홈형성볼트(162) 및 상기 홈형성너트(164)의 체결 및 분리만으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상기 연결홈(155)을 완성함으로 인해, 설치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에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1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타설된 후 양생 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완성될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기 인양고리(17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인양고리(170)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상기 거푸집(110)에 설치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형상에 따라,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부양고정 되게 된다.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부양고정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상기 인양고리(170)를 부양하는 별도의 지지대(미도시) 또는 지지끈(미도시) 등에 의해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부가 끼워진 채로 연결고정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기 전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부가 끼워진 상기 인양고리(17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모서리 부위에 일체로 고정형성 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유닛(130)을 통해, 상기 거푸집(110)에서 상기 레미콘(140)이 양생 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되면, 상기 식생매트(120)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인양장치를 이용한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상호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연결된 상태에서 동시에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3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3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32)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32)에 연결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에 직접 결합 또는 분리되는 인양기구(19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변에서 외 측으로 양각형성되는 양각돌기(152)와,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돌기(152)가 형성된 변과 마주보는 변에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음각홈(154)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매트(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다수 개가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되지만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 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는 음각홈(154)과, 상기 음각홈(154)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외측으로 양각 형성되는 양각돌기(15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음각홈(154)과 상기 양각돌기(152)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홈(15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홈(155)을 갖는다.
그리고,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에 형성되는 연결홈(155')에 동시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봉(192)과, 상기 결합봉(192)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호 'X' 형태로 교차 되는 교차봉(194)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교차봉(194)이 교차 되는 교차점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축인 교차핀(196)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차봉(194) 상부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봉(192)이 상기 연결홈(155, 155')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조절봉(19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와 상기 조절봉(198)의 하부를 동시에 결합 되는 축인 조절핀(191)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기 조절봉(198)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 결합 되는 축인 유동핀(19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양기구(190)는,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두 개 또는 4개 또는 8개 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인양기구(190)를 통해 동시에 인양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다수 개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인양기구(190)가 사용될 경우, 상기 인양기구(190) 또한 다수 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양각돌기(152)가 왼쪽에 형성되고, 상기 음각홈(154)이 오른쪽에 형성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배치되게 되면,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상기 양각돌기(152')가 상기 음각홈(154)에 진입된 채로 배치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에 형성되는 음각홈(154')에는 또 또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양각돌기(152')가 진입배치되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 상에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어도, 상호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에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상호 연결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인양하여 차례로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호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연결된 상태에서 동시에 인양하기 위해 인양기구(19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홈(155)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에 형성되는 연결홈(155')에 동시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봉(19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결합봉(192)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호 'X' 형태로 교차 되는 교차봉(194)을 갖고, 상기 교차봉(194)이 교차 되는 교차점에 동시에 결합 되는 축인 교차핀(196)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교차봉(194)은, 상기 교차핀(196)을 축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차봉(194) 상부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봉(192)이 상기 연결홈(155, 155')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조절봉(19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와 상기 조절봉(198)의 하부를 동시에 결합 되는 축인 조절핀(191)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기 조절봉(198)이 상호 연결되는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 결합 되는 축인 유동핀(19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인양하는 와이어(32)가 연결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동시에 인양하여 이송 배치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인양기구(190)가 사용되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형성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변에서 외 측으로 양각형성되는 양각돌기(152)와,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돌기(152)가 형성된 변과 마주보는 변에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음각홈(154)을 포함한다.
여기서,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되되 상기 식생매트(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다수 개가 나란하게 정렬되어 형성되지만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 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상기 양각돌기(152)가 왼쪽에 형성되고, 상기 음각홈(154)이 오른쪽에 형성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배치되게 되면,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상기 양각돌기(152')가 상기 음각홈(154)에 진입된 채로 배치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에 형성되는 음각홈(154')에는 또 또다른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양각돌기(152')이 진입배치되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양기구(190)와 상기 크레인(30)을 통해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들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인양한 후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상호 연결되고, 또한,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 상에서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어도, 상호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천에 의해 강이나 하천에 불어난 물로 인하여 유속이 증가하거나 물의 동선이 변경됨에 따라, 물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으로 범람하여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 상호 견고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호 안정적으로 그 배치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물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으로 범람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양성부력(Positive Buoyancy)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물에 떠오르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간에 상호 이탈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내부에 배치되는 흙과 식물의 형성 면적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 인해, 양성부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간에 상호 이탈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레미콘(140)이 양생 되어 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연결홈(155)에 체결유닛(180)을 이용하여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을 상호 연결하는 블록체결공정(S400)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을 통해 다수 개가 동시에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들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70)를 이용하여 크레인(30)을 통해 인양 및 이송하는 배치공정(S500)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에서 연결된 체결유닛(180)을 분리하는 분리공정(600)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18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 각각의 연결홈(155, 155')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볼트(182)와, 상기 관통볼트(18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너트(184)로 구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홈(155)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사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체결공정(S400)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에서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상기 연결홈(155)을 통해 상기 체결유닛(180)이 관통되면서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연결홈(160')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볼트(182)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각각의 연결홈(155, 155')을 관통함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볼트(182)의 양단에 각각 상기 고정너트(184)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고정너트(184)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연결홈(155, 155')의 외부 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가 상호 밀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은, 각각의 변 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다른 변 면과 연결홈(155, 155')을 통해 또 다른 콘크리트블록(150) 들이 추가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을 통해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나란하게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3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상기 인양고리(170)에 연결되어 인양 및 이송하는 배치공정(S500)이 수행된다.
배치공정(S500)
상기 배치공정(S500)은, 상기 체결유닛(180)에 의해 상호 체결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상기 크레인(30)을 통해 한번에 인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배치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상기 크레인(30)에는, 와이어(32)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2)에는 갈고리 형태의 스냅후크(34)가 구비된다.
상기 스냅후크(34)는, 상기 인양고리(170)에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체결유닛(180)에 의해 다수 개가 상호 나란하게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들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상기 인양고리(170)에 상기 스냅후크(34)를 연결하여 인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시공설치될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들을 내려놓은 후, 상기 인양고리(170)에서 상기 스냅후크(34)를 분리함으로써 인양작업이 마무리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시공설치될 위치에 내려지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들을 정렬하고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이 시공설치될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에서 연결된 상기 체결유닛(180)을 분리하는 분리공정(600)이 수행된다.
분리공정(600)
상기 분리공정(600)은, 시공설치될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들이 배치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연결홈(155, 155')에서 상기 체결유닛(180) 들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우선, 상기 체결유닛(180)의 상기 고정너트(184)를 상기 관통볼트(182)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관통볼트(182)의 양단에 체결된 상기 고정너트(184)를 모두 풀어 상기 관통볼트(182)에서 분리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연결홈(155, 155')에 연결된 상기 관통볼트(182)를 상기 연결홈(155, 155')에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연결홈(155, 155')에 체결되었던 상기 관통볼트(182)가 제거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은 상호 이격 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연결형성된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에 의해, 나란히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은 상호 연결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분리공정(600)은 마무리되고,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에 나란하게 정렬 배치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 블록들은 강이나 하천 제방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통해, 식생블록의 제작시간 및 설치시간과 설치인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 인해,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생매트와 식생블록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식생블록의 신뢰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정렬 배치된 식생블록들이 배치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식생블록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 개의 식생블록을 동시에 인양 및 이송하여 설치 시공하여 시공 설치 시간과 인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 : 크레인 32 : 와이어
34 : 스냅후크
110 : 거푸집 120 : 식생매트
130 : 연결유닛 132 : 밀착판
134 : 연결편
140 : 레미콘
150, 150' : 콘크리트블록 152, 152' : 양각돌기
154, 154' : 음각홈 155, 155' : 연결홈
160 : 관통봉 162 : 홈형성볼트
164 : 홈형성너트 170 : 인양고리
180 : 체결유닛 182 : 관통볼트
184 : 고정너트
190 : 인양기구 191 : 조절핀
192 : 결합봉 193 : 유동핀
194 : 교차봉 196 : 교차핀
198 : 조절봉
S100 : 매트준비공정 S110 : 연결홈형성공정
S120 : 고리형성공정
S200 : 타설공정 S300 : 양생공정
S400 : 블록체결공정 S500 : 배치공정
S600 : 분리공정

Claims (14)

  1.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식물이 지지 되는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110) 내부 하면에 배치하는 매트준비공정(S100);
    상기 식생매트(120)가 배치된 상기 거푸집(110)에 레미콘(140)을 타설하는 타설공정(S200); 및
    상기 식생매트(120)가 상기 레미콘(140)과 연결된 채로 콘크리트블록(150)으로 양생 되도록 하는 양생공정(S30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관통봉(160)을 배치하는 연결홈형성공정(S11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인양고리(170)가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에 상기 인양고리(170)를 배치하는 고리형성공정(S12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준비공정(S100)에서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제조방법.
  5. 내부로 레미콘(140)이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110)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식물이 지지 될 수 있는 식생매트(120);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연결유닛(130); 및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서 상기 레미콘(140)이 상기 식생매트(120)와 연결된 채로 양생 되어 된 콘크리트블록(15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홈(155)을 형성하도록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구비되는 관통봉(16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이 양생 되면서 그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인양고리(170)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130)은,
    상기 식생매트(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32)과, 상기 밀착판(132)의 양 말단에서 상기 식생매트(120)를 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에 연결되는 연결편(1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변에서 외 측으로 양각형성되는 양각돌기(152)와,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돌기(152)가 형성된 변과 마주보는 변에 내측으로 음각형성되는 음각홈(154)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10. 상호 연결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을 연결된 상태에서 동시에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30);
    상기 크레인(3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32)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32)에 연결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에 직접 결합 또는 분리되는 인양기구(190)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인양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는 음각홈(154)과, 상기 음각홈(154)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외측으로 양각 형성되는 양각돌기(152)를 형성하고,
    상기 음각홈(154)과 상기 양각돌기(152)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홈(15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인양기구(19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음각홈(154)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홈(155)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의 양각돌기(152')에 형성되는 연결홈(155')에 동시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봉(192)과,
    상기 결합봉(192)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호 'X' 형태로 교차 되는 교차봉(194)과,
    상기 교차봉(194)이 교차 되는 교차점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축인 교차핀(196)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차봉(194) 상부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봉(192)이 상기 연결홈(155, 155')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조절봉(198)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와 상기 조절봉(198)의 하부를 동시에 결합 되는 축인 조절핀(191)과,
    상기 교차봉(194)의 상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상기 조절봉(198)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조절봉(198)의 상부에 결합 되는 축인 유동핀(193)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인양장치.
  12. 레미콘(140)이 양생 되어 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블록(150)의 각 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연결홈(155)에 체결유닛(180)을 이용하여 다른 콘크리트블록(150')을 상호 연결하는 블록체결공정(S400);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을 통해 다수 개가 동시에 연결된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들을 상기 콘크리트블록(150, 15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70)를 이용하여 크레인(30)을 통해 인양 및 이송하는 배치공정(S500); 및
    상기 블록체결공정(S400)에서 연결된 체결유닛(180)을 분리하는 분리공정(600);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18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과 다른 콘크리트블록(150') 각각의 연결홈(155, 155')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볼트(182)와,
    상기 관통볼트(18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너트(1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시공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155)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50)의 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시공방법.
KR1020120124477A 2012-11-05 2012-11-05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KR20140058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77A KR20140058021A (ko) 2012-11-05 2012-11-05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77A KR20140058021A (ko) 2012-11-05 2012-11-05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021A true KR20140058021A (ko) 2014-05-14

Family

ID=5088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77A KR20140058021A (ko) 2012-11-05 2012-11-05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0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1907A (zh) * 2015-06-29 2015-12-23 中民筑友有限公司 一种预制件抽芯管及预制件的制作方法
US11759973B2 (en) 2020-04-09 2023-09-19 Rod Johnson Pallet forming concrete mold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1907A (zh) * 2015-06-29 2015-12-23 中民筑友有限公司 一种预制件抽芯管及预制件的制作方法
US11759973B2 (en) 2020-04-09 2023-09-19 Rod Johnson Pallet forming concrete mol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9711A1 (zh) 浇筑混凝土时用到的生态护坡模板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CN104727273B (zh) 一种采用自嵌式砌块进行直立堤岸生态修复的方法
KR20140058021A (ko) 식생블록 제조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식생블록, 식생블록 시공방법 및 식생블록 인양장치
US83669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watercourse blocks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spot
KR20050118110A (ko)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CN108708383A (zh) 一种植生型生态混凝土护坡及其施工方法
KR200403455Y1 (ko) 식생블럭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CN205012366U (zh) 一种挡土墙及其砌砖
JPH0611980B2 (ja) 自然石を用いた護岸の施工方法
CN208933976U (zh) 一种植生型生态混凝土护坡
CN116290078B (zh) 一种预制装配式挡墙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02317425A (ja) 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カブル集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1214B1 (ko) 강널말뚝 및 강형띠장으로 구성된 원형 우물통 제작장 시공방법
KR20060125643A (ko) 자연석 형상을 연출하는 자연형 식생블럭 구조체의구성방법
KR100661627B1 (ko) 현장타설형 잔디블럭 및 식생 호안블럭의 포장공법
JP3427066B2 (ja) 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212656066U (zh) 装配式可绿化路缘石路肩板
JP3434507B1 (ja) 護岸・魚礁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218667383U (zh) 一种河流堤岸水生态块护坡
KR20050032074A (ko)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KR200348425Y1 (ko) 하상 옹벽용 식생옹벽블록
KR200408198Y1 (ko) 호안용 생태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