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170A -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170A
KR20140057170A KR1020130130641A KR20130130641A KR20140057170A KR 20140057170 A KR20140057170 A KR 20140057170A KR 1020130130641 A KR1020130130641 A KR 1020130130641A KR 20130130641 A KR20130130641 A KR 20130130641A KR 20140057170 A KR20140057170 A KR 2014005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um extract
cell
plum
blood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재호
박헌용
이혜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향토유전자원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4005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매실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상기 매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고 세포응고 억제활성, 산화질소 생산 억제 효과, 산화질소 세포응고 증진 효능을 평가한 결과 혈행개선에 효과가 있으므로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 소재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ntaining Korea Plum extract}
본 발명은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기능성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매실나무(Prunus mume)는 장미과 과수로 원산지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었다. 매실은 나관중의삼국지연의에 나올 정도로 옛날부터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최초로 언급된 기록은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국내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매화나무가 심어졌으며 한의학이 도입되고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각종 한의서에 매실은 만성기침 ,위염, 만성설사, 혈뇨, 구토, 치질 등 치료한 기록이 전해진다(Addis, P. B. and Hassel, C. A. 1992. Safety issues with antioxidants in foods. ACS Publications 30, 346-376).
매실은 또한 유기산과 무기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미성숙과에는 malic acid가 풍부하고 성숙하면서 citric acid가 증가한다. 그리고 ox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의 유기산들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유기산들은 식욕촉진 및 위액분비를 증가하여 소화 활동과 피로회복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Cha, H., Hwang, J., Park, J., Park, Y. and Jo, J. 1999.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혈관 내 지혈 작용과 억제 작용이 균형을 이루며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을 유지한다. 그러나 혈액 응고 인자가 지나치게 활성화되거나 혈소판 응집이 촉진되면 혈류의 항상성이 깨지면서 혈행 이상이 발생되고, 그 결과 혈전증(thrombosis) 및 색전증(embolism)이 초래된다(Yun, E. J. 2003). 혈액 응고 과정에서 과다 생성된 혈전은 혈관 벽에 부착되어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혈액 순환을 저해하며, 혈액 내 산소나 영양소가 조직으로 유입되는 데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혈행 장애에 따른 혈전증 및 색전증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각한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며, 잘못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혈행장애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Noh 등 2009).
따라서 예방 및 치료적 차원에서 식이요법이 고지혈증과 혈행 장애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조정의 하나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것임을 간접적으로 시사해 주기 때문에 선행 연구들은 지질강하와 혈행 개선의 효과가 기대되는 식품 및 영양소에 관심을 두고,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둥의 섭취를 통해 지질강하와 혈행 장애 개선을 시도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기능성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매실을 건조하고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매실추출물의 세포독성을 검정하는 단계와; 상기 매실추출물을 THP-1 세포에 처리하고 세포응고 억제활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매실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산 억제 효과를 검정하는 단계와: 상기 매실추출물의 산화질소 세포응고 증진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세포응고에 대한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매의 농도에 따른 세포응고에 대한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 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산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실의 추출물의 산화질소의 세포응고 증진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실 추출물은 물, 에탄올과 같은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이다. 또, 상기 추출물은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수득되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 혈행개선용 조성물은 매실 추출물을 그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희석액 또는 다른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본 발명 매실 추출물의 제조
자연건조한 매실(천매) 100 g을 10배(W/V)의 80% 에탄올에 침지하고 하루(24 시간)동안 냉침 추출하여 그 추출액을 여과를 통하여 회수하고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DMSO (dimethyl sulfoxide)에 10 mg/mL로 용해시켜 본 발명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세포배양
Human monocyte cell line인 THP-1 세포주 (KCNB40202)는 한국 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았다. 세포배양에 사용된 RPMI1640 medium과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 및 streptomycin은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THP-1 세포주는 10 % FBS, 100 unit/mL의 penicillin 및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배지에 분주하여 포화습도 공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수거한 세포를 tryphan blue (Sigma, St. Louis, MO, USA)로 염색하고 세포계수기 (Hematocytometry, German)를 이용하여 세포 (viable cell)를 계수하여 세포밀도 2×106 cell/mL 이 되게 하여 6 well plate에 배양하였다.
< 실험예 2> 본 발명 매실 추출물의 세포독성 검정
THP-1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 당 1×105 cells 밀도로 분주한 후 매실추출물을 농도별 (0, 0.1, 1, 10 μg/mL)로 처리하여 37℃, 5% CO2, 습도 100% 배양기에서 16 ~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여 4시간 배양한 후, PBS에 용해한 WST (EZ-3000 (주)대일랩서비스)용액을 50 ul/mL씩 각 well에 넣고 3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실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과 매실 추출물을 첨가한 군을 비교시 실험군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본 발명 매실 추출물의 세포응고 억제활성 검정
THP-1세포를 6 well plate에 well 당 5×105 cells 밀도로 분주한 다음, LPS 0.1 ug/mL과 매실추출물을 농도별 (0, 0.1, 1, 10 ug/mL)로 각각 처리하여 37℃, 5% CO2, 습도 100% 배양기에서 16 ~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매실 추출물의 세포응고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미경을 통해 촬영한 세포 사진에서 세포 응고의 정량화를 위하여, 응고가 일어난 세포와 응고가 일어나지 않은 세포의 수를 세어 계량화하였다
실험결과,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매 추출물이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응고에 대한 억제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응고에 대한 억제효과가 천매추출액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억제효과는 10 μg/mL의 천매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본 발명 매실 추출물의 산화질소 ( nitric oxide ) 생산 억제 효과 검정
THP-1 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 당 1×105 cells 밀도로 분주한 후,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기아 배지에서 3시간 전처리하였다. HEPES 완충용액(5 mmol/L HEPES, 140 mmol/L NaCl, 5 mmol/L KCl, 2 mmol/L CaCl2, 1 mmol/L MgCl2, 5 mmol/L Glucose, pH 7.4)으로 세포를 2번 세척한 후, HEPES 완충용액에 세포를 다시 현탁한 다음 LPS(1 μg/ml)를 0분, 30분, 1시간, 2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에 DAF-2 DA(10 μM, Calbiochem)를 세포 용액에 첨가한 후 30분 추가로 더 반응시켰다. 세포를 Sonication으로 분해한 후, 원심분리(13000rpm, 4℃, 15min)하여 상등액을 취했다. 상등액의 단백질을 정량한 다음, 상등액을 20배 희석한 후, 형광측정법으로 산화질소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THP-1 세포를 LPS로 처리하였을 경우에 LPS(1 mg/ml)를 2시간 처리하였을 때 산화질소 생산이 가장 높았다.
또, 매실 추출물이 LPS에 의하여 촉발되는 산화질소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THP-1 세포를 LPS로 처리(1 mg/ml, 2시간)할 때,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DMSO 단독처리(용매 대조군), 매실 추출물 단독처리, 그리고 LPS와 DMSO 처리군, LPS와 DMSO에 용해되어 있는 매실 추출물의 동시 처리군에서 생산되는 산화질소의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실 추출물은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산화질소의 생산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본 발명 매실 추출물의 산화질소( nitric oxide ) 세포응고 증진 효과 검정
산화질소가 세포응고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3 에서 시행하였던 THP-1 세포응고 처리 방법을 수행하였다. 실험예3의 처리 방법과의 차이점은 LPS를 처리할 때, 산화질소 제공자인 SNAP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200 uM를 같이 처리하고 16 ~ 24시간 후에 응고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다음 사진을 촬영하여 실험 예 3과 같이 응고된 세포를 계량화 하였다.
실험결과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화질소 제공자가 들어간 실험군에서 THP-1 세포응고가 상승함을 관찰하였다.
또, 매실 추출물에 의한 산화질소 생산의 억제가 THP-1 세포응고를 감소시키는 것인지 검정하기 위하여, THP-1 세포응고 효과를 LPS 단독처리, LPS와 매실 추출액 동시처리, LPS와 매실 추출액과 SNAP 동시처리 조건으로 관찰한 결과,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실 추출물에 의하여 관찰되었던 LPS에 의하여 유도된 THP-1 세포응고에 대한 억제효과가 SNAP에 의하여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매실의 신규한 용도의 소재를 제공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 및 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매실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추출물.
  2. 제 1항의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1항의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류장애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30130641A 2012-10-31 2013-10-30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20140057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1831 2012-10-31
KR1020120121831 2012-10-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88A Division KR20180094506A (ko) 2018-08-13 2018-08-13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70A true KR20140057170A (ko) 2014-05-12

Family

ID=5088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41A KR20140057170A (ko) 2012-10-31 2013-10-30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17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30068967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매실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30068967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매실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0820C2 (ru) Противора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линию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ую из камбия и прокамбия стебля тисса (taxus)
Li et al. Protective mechanism of quercetin 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rats
Cho et al. Effects of Korean ginseng berry extract (GB0710) on penile erection: Evidence from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KR20160072802A (ko) 인삼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Mehdi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amebic studies of Tamarindus indica of leaves extract
Chollom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viral potential of aqueous leaf extract of Psidium guajava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in ovo
Rababa'h et al. The effect of hawthorn flower and leaf extract (Crataegus Spp.) on cardiac hemostasis and oxidative parameters in Sprague Dawley rats
Nam et al. The flavonoid quercetin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migration through a MAPK-dependent mechanism in osteoblasts
Naz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f in vivo and in vitro grown Vinca rosea L.(Catharanthus roseus) against pathogens
Lin et al. Suppression of TLR-4-related inflammatory pathway and anti-fibrosis effects of probiotic-fermented purple sweet potato yogurt in heart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R101959731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1771B1 (ko) 흰점박이꽃무지 현탁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80094506A (ko)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20140057170A (ko) 한국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101897629B1 (ko) 생물전환된 오매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또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101847267B1 (ko) 신경세포의 과산화수소 산화성 손상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발효황금 천마복합 추출분말의 제조방법
CN108261348A (zh) 一种抗衰老修护面膜
KR102122742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 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7421B1 (ko) 진토닌을 포함하는 뇌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hyati et al. The potential of red dragon fruit peel yogurt to improve platelet levels in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in Wistar rats.
KR101514791B1 (ko)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5874A (ko) 일렉스 라티폴리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기억손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Vassallo et al. Phytotherapeutic strategy as a powerful approach for the prevention and therapy of Alzheimer's Disease
KR102668703B1 (ko) 오미자와 발아녹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40076618A1 (en) Placental preparation having antitumor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