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097A -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097A
KR20140056097A KR1020130130506A KR20130130506A KR20140056097A KR 20140056097 A KR20140056097 A KR 20140056097A KR 1020130130506 A KR1020130130506 A KR 1020130130506A KR 20130130506 A KR20130130506 A KR 20130130506A KR 20140056097 A KR20140056097 A KR 2014005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main valve
sub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904B1 (ko
Inventor
신지 사에키
유우키 카네코
마사아키 토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4005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06Multiple-way valves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제어 밸브(1)는, 메인 밸브체(30)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36); 보디(5)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엘리먼트(power element)(6); 보디(5)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3); 파워 엘리먼트(6)와 솔레노이드(3) 사이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 중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파워 엘리먼트(6)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한 작동 로드(3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 밸브{CONTROL VALVE}
본 발명은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용의 보디에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마련되고,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그 가스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액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저온 저압의 냉매로 하는 팽창 장치, 그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진행하는 증발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에 되돌려져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이 압축기로서는, 엔진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냉방 능력이 유지되도록,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압축기"로 약칭하기도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이 압축기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고,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을 조정한다. 요동판의 각도는, 밀폐된 크랭크실 내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고, 피스톤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크랭크실 내의 압력(이하, "크랭크 압력"이라 한다)(Pc)은, 압축기의 토출실과 크랭크실 사이에 마련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이하, "제어 밸브"로 약칭하기도 한다)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 밸브는, 구동부로서의 솔레노이드에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밸브 개도가 조정된다. 공조장치의 기동시 등 그 공기 조절 기능을 신속하게 발휘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최대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밸브부를 밸브 폐쇄 상태로 하고, 크랭크 압력(Pc)을 낮게 하여 요동판을 회전축에 대해 크게 기울이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최대 용량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차량 엔진 부하가 클 때에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는 것에 의해 밸브부를 전개 상태로 하고, 크랭크 압력(Pc)을 높게 하여 요동판을 회전축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최소 용량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밸브에는, 토출실과 크랭크실을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에 메인 밸브를 마련하는 한편, 크랭크실과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에 서브 밸브를 마련하고, 이들의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제어 밸브에 의하면, 공조장치의 정상(定常) 운전시에는 서브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메인 밸브의 개도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압력(Pc)을 제어하고,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조장치의 기동시에는 메인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서브 밸브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 압력(Pc)을 신속하게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기를 신속하게 최대 용량 운전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복수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제어 밸브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밸브는,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구동하는 관계상, 메인 밸브체와 서브 밸브체를 동일 축선 상에 마련하고, 그 축선을 따라 배치된 작동 로드를 통해 각 밸브체에 솔레노이드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의 보디에는 메인 밸브 구멍이 마련되고, 메인 밸브체에 서브 밸브 구멍이 마련된다. 즉, 서브 통로가 메인 밸브체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밸브 구멍의 개구단부에 마련된 메인 밸브 시트에 대해 메인 밸브체가 탈착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가 개폐되고, 서브 밸브 구멍의 개구단부에 마련된 서브 밸브 시트에 대해 서브 밸브체가 탈착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가 개폐된다. 단, 압축기의 정상 운전시에는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가압되어,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솔레노이드력을 최대로 하고, 메인 밸브체를 메인 밸브 시트에 착석시킨 상태에서 서브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더욱 부세(付勢)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0580호 공보
그러나, 인용문헌 1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제어 밸브는, 서브 밸브체에 솔레노이드력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작동 로드의 일단부와 서브 밸브체를 고정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작동 로드의 타단부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된다. 즉, 서브 밸브체와 작동 로드와 플런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의 개폐시에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착석할 때마다, 서브 밸브 시트에는 서브 밸브체뿐만 아니라, 작동 로드나 플런저의 중량이 합쳐져 충격 하중으로서 부하되게 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에 있어서의 서브 밸브 시트의 형성 부분에 마모나 변형이 생기고, 서브 밸브의 실(seal) 성능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서브 밸브 시트에 충격 하중을 주는 가동부의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타격음의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인용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제어 밸브는, 작동 유체를 도입 또는 도출하는 도입 도출 포트, 작동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 작동 유체를 도출하는 도출 포트가 마련된 보디; 보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입 포트와 도입 도출 포트 사이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를 개폐하는 한편, 도입 도출 포트와 도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 메인 밸브체; 내부 통로의 단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 보디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메인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보디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전류량에 상응하여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감압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 중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감압부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한 작동 로드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감압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작동 로드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과 밸브 폐쇄 방향의 구동력의 밸런스가 조정되어, 솔레노이드력이 메인 밸브체 및 서브 밸브체를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감압부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했을 때 서브 밸브체가 서브 밸브 시트에 착석한다고 해도, 그 착석시에 작동 로드나 솔레노이드의 중량 영향은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6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상하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어 밸브(1)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압축기"로 약칭한다)의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압축기는,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 한다. 그 가스 냉매는 응축기(외부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되고, 나아가 팽창 장치에 의해 단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안개 형태의 냉매가 된다. 이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에 의해 증발하고,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를 냉각한다.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되돌려져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압축기는, 자동차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다. 그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이 조정된다. 제어 밸브(1)는, 그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요동판의 각도, 나아가서는 그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변화시킨다.
제어 밸브(1)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Ps)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밸브(1)는,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밸브 본체(2)는, 압축기의 운전시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크랭크실에 도입하기 위한 냉매 통로를 개폐하는 메인 밸브와, 압축기의 기동시에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블리드 밸브(bleed valve)로서 기능하는 서브 밸브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3)는, 메인 밸브를 개폐 방향으로 구동하여 그 개도를 조정하고,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밸브 본체(2)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보디(5), 보디(5)의 내부에 마련된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 메인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파워 엘리먼트(power element)(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파워 엘리먼트(6)는 "감압부"로서 기능한다.
보디(5)의 측부에는, 그 상단측에서부터 포트(12, 14, 16)가 마련되어 있다. 포트(12)는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포트(14)는 토출실로 연통하는 "토출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하고, 포트(16)는 흡입실로 연통하는 "흡입실 연통 포트"로서 기능한다. 보디(5)의 상단 개구부는 단부 부재(13)에 의해 봉지되고, 보디(5)의 하단부는 솔레노이드(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보디(5) 내에는, 포트(12)와 포트(14)를 연통시키는 메인 통로와, 포트(12)와 포트(16)를 연통시키는 서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가 마련되고, 서브 통로에는 서브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통로에는 메인 밸브 구멍(18)이 마련되고, 그 하단 개구단 가장자리의 테이퍼면에 메인 밸브 시트(20)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14)는 토출실로부터 토출 압력(Pd)의 냉매를 도입한다. 포트(12)는, 압축기의 정상 동작시에 메인 밸브를 경유한 크랭크 압력(Pc)의 냉매를 크랭크실을 향해 도출하는 한편,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크랭크실로부터 배출된 크랭크 압력(Pc)의 냉매를 도입한다. 이때 도입된 냉매는 서브 밸브에 인도된다. 포트(12)와 메인 밸브 구멍(18) 사이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는 작동실(22)이 형성된다. 파워 엘리먼트(6)는 작동실(22)에 배치된다. 포트(16)는, 압축기의 정상 동작시에 흡입 압력(Ps)의 냉매를 도입하는 한편, 압축기의 기동시에는 서브 밸브를 경유한 흡입 압력(Ps)의 냉매를 흡입실을 향해 도출한다.
포트(14)와 포트(16) 사이에는, 메인 밸브 구멍(18)과 동축 형태로 가이드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과 포트(14) 사이에는 밸브실(26)이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24)과 포트(16) 사이에는 압력실(2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에는, 원통 형상의 메인 밸브체(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는, 밸브실(26)측에서 메인 밸브 시트(20)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를 개폐하고,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정한다. 한편, 메인 밸브체(30)의 내부에는 서브 밸브 구멍(32)이 마련되고, 그 서브 밸브 구멍(32)의 상단 개구부에 서브 밸브 시트(34)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의 하부는 압력실(28)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 근방에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35)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실(22)에는, 단차를 갖는 원판 형상의 서브 밸브체(36)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메인 밸브체(30)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폐한다.
또한, 보디(5)의 축선을 따라 길이가 긴 작동 로드(38)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부는 솔레노이드(3)의 후술하는 플런저(50)에 작동 연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상반부는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관통하고, 그 상단부 근방에 마련된 단차부로 서브 밸브체(36)를 하방에서 지지한다. 작동 로드(38)의 중간부에는 스프링 베어링 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와 스프링 베어링 부재(40) 사이에는,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2)("제1부세 부재", "탄성체"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파워 엘리먼트(6)와 서브 밸브체(36) 사이에는,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한편,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 가능한 스프링(44)("제2부세 부재", "탄성체"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嵌合)되면서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작동 로드(38)의 하단부는, 플런저(5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정 클리어런스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되면서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즉, 작동 로드(38)는 파워 엘리먼트(6)와 플런저(50)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단,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파워 엘리먼트(6)에 마련된 요부에 삽통되고, 작동 로드(38)의 하단부는 플런저(50)에 마련된 요부에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가 파워 엘리먼트(6) 및 플런저(50)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파워 엘리먼트(6)는, 크랭크 압력(Pc)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벨로우즈(45)를 포함하고, 그 벨로우즈(45)의 변위에 의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대항력은, 작동 로드(38) 및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도 전달된다.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차단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릴리프가 허용된다.
한편, 솔레노이드(3)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코어(46)와, 코어(46)의 하단 개구부를 봉지하도록 조립된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48)와, 슬리브(48)에 수용되어 코어(46)와 축선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원통 형상의 플런저(50)와, 코어(46) 및 슬리브(48)에 외측으로 삽입된 원통 형상의 보빈(52)과, 보빈(52)에 권취되어, 통전에 의해 자기 회로를 생성하는 전자 코일(54)과, 전자 코일(54)을 외측에서 덮도록 마련되고, 요크로서도 기능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56)와, 케이스(56)의 하단 개구부를 봉지하도록 마련된 단부 부재(58)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디(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본체(2)와 솔레노이드(3)는, 보디(5)의 하단부가 코어(46)의 상단 개구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코어(46)는, 그 상반부가 확경(擴徑)되어 있고, 보디(5)와의 사이에 흡입 압력(Ps)을 채우기 위한 압력실(28)을 형성한다. 코어(46)의 중앙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작동 로드(38)가 삽통되어 있다. 작동 로드(38)의 하단부가 플런저(50)의 상반부에 삽통되는 것에 의해, 작동 로드(38)와 플런저(50)가 동축 형태로 접속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플런저(50)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고, 메인 밸브체(30), 서브 밸브체(36) 및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코어(46)와 플런저(50)의 흡인력인 솔레노이드력을, 한쪽에서 서브 밸브체(36)에 직접 전달하고, 다른 한쪽에서 스프링(42)을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한다. 작동 로드(38)는 또한, 파워 엘리먼트(6)의 신축 동작에 의한 반력, 즉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플런저(50)에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44)의 부세력이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작동 로드(3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작동 로드(38)가 플런저(50)에 가압되기 때문에, 작동 로드(38)와 플런저(50)의 접속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코어(46)의 상단부에는 링 형상의 축지(軸支) 부재(60)가 압입되어 있고, 작동 로드(38)는, 그 축지 부재(60)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지 부재(60)의 외주면의 소정 개소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한 도시하지 않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로부터 도입 도출되는 흡입 압력(Ps)은, 그 연통홈, 작동 로드(38)와 코어(46)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로(62)를 통해 슬리브(48)의 내부에도 인도된다.
연통로(62)는, 슬리브(48) 내를 오일 댐퍼실로 하기 위한 오리피스(orifice)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압축기의 윤활용으로서 냉매에 포함되는 오일과 동종의 오일을 미리 슬리브(48) 내에 넣어 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지 부재(60)에 마련된 연통홈이, 슬리브(48)로의 오일의 출입에 대해 저항이 되는 조임 통로(throttling passage)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리브(48)를 오일 댐퍼실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그 슬리브(48)에 배치된 플런저(50)의 미소 진동 등이 억제된다. 그 결과, 그러한 미소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연통로(62)가, 슬리브(48)로의 오일의 출입에 대해 저항이 되는 조임 통로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좋다. 즉, 축지 부재(60)에 마련된 연통홈 및 연통로(62)의 적어도 한쪽이, 조임 통로로서 기능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스프링(44)이, 코어(46)와 플런저(5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오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은 스프링(42)의 스프링 하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슬리브(48)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런저(50)의 측면에는 축선에 대해 평행한 복수의 연통홈(66)이 마련되고, 플런저(50)의 하단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홈(68)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50)가 하사점에 위치해도, 흡입 압력(Ps)이 플런저(50)와 슬리브(48)의 간극을 통해 배압실(70)에 인도되도록 되어 있다.
보빈(52)으로부터는 전자 코일(54)에 연결되는 한쌍의 접속 단자(72)가 연장되어, 각각 단부 부재(58)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그 한쌍 중의 하나만 표시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케이스(56)에 내포되는 솔레노이드(3) 내의 구조물 전체를 하방으로부터 봉지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단부 부재(58)는, 내식성을 갖는 수지재의 몰드 성형(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수지재가 케이스(56)와 전자 코일(54)의 간극에도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이 수지재가 케이스(56)와 전자 코일(54)의 간극에 채워지는 것에 의해 전자 코일(54)에서 발생한 열을 케이스(56)에 전달하기 쉽게하여, 그 방열 성능을 높이고 있다. 단부 부재(58)로부터는 접속 단자(72)의 선단부가 인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다.
도 2는 도 1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메인 밸브체(30)의 가이드 구멍(24)과의 슬라이딩면에는, 냉매의 유통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링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버린스실(Labyrinth Seal)(74)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30)의 하단 개구부는 내경이 약간 축경(縮徑)되어 있고, 그 축경부의 하단면이 작동 로드(38)와 적절히 계합(係合) 연결 가능한 작동면(76)("피계합부"로서 기능한다)을 구성한다. 작동 로드(38)는, 상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축경되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작동면(76)의 근방에 마련된 제1단차에 의해 계합부(78)가 구성된다. 또한, 서브 밸브 시트(34)의 근방에 마련된 제2단차에 의해 지지부(80)("가압부"로서 기능한다)가 구성된다.
서브 밸브체(36)의 중앙에는, 축선 방향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있어,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를 관통시키고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그 하단면 중앙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지지부(80)에 당접하도록 하여 하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36)는, 그 하단면 중앙보다 외측에 상방을 향해 단면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에 의해 서브 밸브 시트(34)에 탈착한다. 작동 로드(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8)가 작동면(76)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이격하도록 각 단차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 간격(L)은 이른바 "유간"으로서 기능한다.
솔레노이드력을 크게 하면,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작동 로드(38)를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상대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리프트시켜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78)와 작동면(76)을 계합(당접)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할 수 있고, 스프링(42)의 부세력보다 큰 힘으로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었을 경우에, 그것을 해제하는 록 해제 기구(연동 기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밸브체(30)에 "피계합부"로서의 작동면(76)을 마련하고, 작동 로드(38)의 계합부(78)가 작동면(76)에 면접촉하여 이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계합부(78)와 피계합부의 당접 상태는 면접 촉감에 한정되지 않고,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어도 좋고, 양자의 계합에 의해 솔레노이드력이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되면 된다.
작동 로드(38)의 중간부에는 스냅링(82)이 감합되고, 그 스냅링(82)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스프링 베어링 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6)는, 벨로우즈(45)의 상단 개구부를 제1스토퍼(84)("베이스 부재"에 해당)에 의해 폐지하고, 하단 개구부를 제2스토퍼(86)("베이스 부재"에 해당)에 의해 폐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로우즈(45)의 내부는 밀폐된 기준 압력실(S)로 되어 있고,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 사이에, 벨로우즈(45)를 신장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기준 압력실(S)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제1스토퍼(84)는, 단부 부재(1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84)는 보디(5)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제2스토퍼(86)의 하면 중앙에는, 축선 방향을 따른 소정 깊이의 감합홈(90)이 마련되고, 작동 로드(38)의 상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감합홈(90)은, 그 평탄한 저면(92)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상단면과 당접한다. 감합홈(90)은, 저면(92)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의 상단부는 감합홈(90)에 대해 슬라이딩되지는 않는다. 작동 로드(38)는, 그 상단면이 제2스토퍼(86)에 계지(係止)된 상태에서 파워 엘리먼트(6)와 일체로 변위 가능하고, 그 상단면이 제2스토퍼(86)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파워 엘리먼트(6)와 상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88)이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기 때문에, 벨로우즈(45)는, 작동실(22)의 크랭크 압력(Pc)과 기준 압력실(S)의 기준 압력의 차압에 상응하여 축선 방향(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개폐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한다. 단, 그 차압이 커져도 벨로우즈(45)가 소정량 수축하면, 제1스토퍼(84)와 제2스토퍼(86)의 서로의 선단면이 당접하여 계지되기 때문에, 그 수축은 규제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와 메인 밸브 시트(20)에 의해 메인 밸브가 구성되고, 그 메인 밸브의 개도에 의해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되는 냉매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와 서브 밸브 시트(34)에 의해 서브 밸브가 구성되고, 그 서브 밸브의 개폐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도출이 허용 또는 차단된다. 즉, 제어 밸브(1)는,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 중의 임의의 한쪽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3방 밸브로서도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파워 엘리먼트(6)가 작동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어 밸브(1)의 안정된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이 소정의 설정 압력(Pset)이 되도록 메인 밸브가 자율적으로 동작한다. 이 설정 압력(Pset)은, 기본적으로는 스프링(42, 44, 88)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미리 조정되고, 증발기 내의 온도와 흡입 압력(Ps)의 관계로부터, 증발기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값으로 설정된다. 설정 압력(Pset)은,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설정 전류)를 바꾸는 것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1)의 조립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단부 부재(13)의 압입량을 재조정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의 설정 하중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설정 압력(Pset)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제어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된다. 이미 설명한 도 2는 제어 밸브의 최소 용량 운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어 밸브의 블리드 기능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비교적 안정된 제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기초하여, 적절히 도 2~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비통전일 때, 즉 자동차용 공조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을 때는,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흡입 압력(Ps)은 비교적 높은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45)가 축소된 상태에서 스프링(44)의 부세력이 서브 밸브체(36)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된다. 이때, 서브 밸브체(36)는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파워 엘리먼트(6)는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한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기동시 등, 솔레노이드(3)의 전자 코일(54)에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작동 로드(38)가 구동된다. 이 솔레노이드력은, 한쪽에서 스프링(42)을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전달되고, 다른 한쪽에서 작동 로드(38)에 의해 서브 밸브체(36)에 직접 전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에 착석하여 메인 밸브를 폐쇄하고, 그 메인 밸브의 폐쇄와 함께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를 개방시킨다. 단, 계합부(78)가 작동면(76)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의 리프트량(즉 서브 밸브의 개도)은, 도 2에 나타낸 소정 간격(L)에 일치한다. 한편, 기동시에는 통상,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축소 상태를 유지하고,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즉, 솔레노이드(3)에 기동 전류가 공급되면, 메인 밸브가 폐쇄되어 크랭크실로의 토출 냉매의 도입을 규제하는 한편 서브 밸브가 즉시 개방되어 크랭크실 내의 냉매를 흡입실로 신속하게 릴리프 시킨다. 그 결과, 압축기를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이 저온 환경에 놓여진 경우와 같이, 흡입 압력(Ps)이 낮고, 벨로우즈(45)가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도, 솔레노이드(3)에 큰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어, 압축기를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3)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소정값으로 설정된 제어 상태에 있을 때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압력(Ps)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신장하고,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여 서브 밸브를 폐쇄시킨다. 한편, 그와 같이 서브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메인 밸브체(30)가 동작하여 메인 밸브의 개도를 조정한다. 이때, 메인 밸브체(30)는, 스프링(44)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과, 스프링(42)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힘과, 솔레노이드(3)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솔레노이드력과, 흡입 압력(Ps)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이 균형된 밸브 리프트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냉동 부하가 커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높아지면, 벨로우즈(45)가 축소하기 때문에, 메인 밸브체(30)가 상대적으로 상방(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반대로, 냉동 부하가 작아져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보다 낮아지면, 벨로우즈(45)가 신장한다. 그 결과,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부세력이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메인 밸브체(30)로의 밸브 폐쇄 방향의 힘이 저감되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도가 커지고,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줄이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흡입 압력(Ps)이 설정 압력(Pset)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정상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엔진의 부하가 커져, 공조장치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솔레노이드(3)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다. 그렇게 되면, 코어(46)와 플런저(50)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벨로우즈(45)가 신장하고,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메인 밸브 시트(20)로부터 이격하여,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된다. 이때, 서브 밸브체(36)는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이때,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포트(14)에 도입된 토출 압력(Pd)의 냉매는, 전개 상태의 메인 밸브를 통과하여, 포트(12)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압력(Pc)이 높아지고, 압축기는 최소 용량 운전을 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3)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포트(14)로부터 냉매와 함께 침입된 이물이, 메인 밸브체(30)의 밸브 개방 동작에 맞춰서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끌어 들어오기 쉬워진다. 솔레노이드(3)의 오프 직후는 포트(14)와 포트(16) 사이의 차압(Pd-Ps)이 비교적 크고, 또한, 가이드 구멍(24)의 고압측 개구단에 퇴적된 이물을 메인 밸브체(30)가 그 슬라이딩부에 끌어 들이는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솔레노이드(3)를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했을 때에, 그 이물의 침입에 의한 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록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이를 해제 가능한 연동 기구(록 해제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서브 밸브체(36)는, 스프링(44)에 의한 밸브 폐쇄 방향의 힘과, 스프링(42)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힘과, 솔레노이드(3)에 의한 밸브 개방 방향의 솔레노이드력과, 흡입 압력(Ps)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파워 엘리먼트(6)에 의한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과의 밸런스에 의해 개폐 상태가 결정되고, 기동시 이외 등에서 소정의 흡입 압력(Ps)값보다 낮을 때는 서브 밸브를 폐쇄하도록 이들의 밸런스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가 개방될 때의 흡입 압력(Ps)의 설정값(밸브 개방 설정값)을, 솔레노이드(3)에 공급하는 전류값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연동 기구에 의하면,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설정값을 솔레노이드(3)로의 공급 전류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한편, 그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즉, 포트(14)로부터 도입되는 토출 냉매에는 금속 분말 등의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이물이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의 슬라이딩부에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메인 밸브체(30)의 작동을 록시켜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포트(14)와 포트(16) 사이에 비교적 큰 차압(Pd-Ps)이 있기 때문에, 포트(14)로부터 침입한 이물이 가이드 구멍(24)의 개구부에 끌려들기 쉽고, 압축기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메인 밸브체(30)가 전개 상태를 향해 크게 변위할 때, 그 이물이 슬라이딩부에 끌려들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메인 밸브의 전개시에 이물이 슬라이딩부에 퇴적하여 고착하면, 압축기를 다시 온으로 했을 때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 사이에 그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동작을 록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만약 스프링(42)만으로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구성에서는, 이물을 밀어내고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킬 만큼의 구동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가령 서브 밸브를 개방할 수 있어도 메인 밸브의 개도가 크기 때문에, 압축기를 기동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력을 작동 로드(38)의 계합부(78)를 통해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전달하는 것에 의해 록을 해제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상 제어일 때 공급되는 최대 전류를 상회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더 큰 하중을 부여하여 록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메인 밸브체(30)와 가이드 구멍(24) 사이에 그 이물이 침입하여, 메인 밸브체(30)의 동작을 록시킨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작동 로드(38)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때, 본래면 서브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만,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38)가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상대 변위하여, 서브 밸브체(36)를 서브 밸브 시트(34)로부터 리프트 시켜버린다. 즉, 서브 밸브는 메인 밸브가 폐쇄되기 전에 밸브 개방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여기서는 작동 로드(38)를 그대로 구동하여, 계합부(78)를 작동면(76)에 당접시켜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에 직접 부여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체(30)에는 스프링(42)의 부세력뿐만 아니라, 큰 솔레노이드력이 직접 부여된다. 또한, 이때 스프링(42)도 압축되기 때문에, 정상 제어를 위하여 설정된 설정 하중보다 큰 부세력으로 메인 밸브체(30)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에 침입한 이물에 의한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하고, 메인 밸브체(30)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그 이물을 밀어내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때 밀어내진 이물은 밸브실(26)로 부유한다. 한편, 메인 밸브체(30)의 록이 해제된 것에 의해 메인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밸브체(30)를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록이 해제되면,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의해 계합부(78)가 작동면(76)으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가 일시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메인 밸브의 폐쇄 후에 더욱 작동 로드(38)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본래와 같이 서브 밸브를 개방하여,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 냉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가 기동되고, 메인 밸브가 개방되면,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부유한 이물을 냉매와 함께 메인 밸브를 통해 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메인 밸브체(30)에 대한 이물의 고착 상황에 따라서는, 이물에 의한 록을 해제할 수는 있어도, 고착된 이물을 모두 벗길 수는 없는 경우도 상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록을 해제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어 밸브(1)의 기능을 확보할 수는 있다. 또한, 잔류한 이물에 대해서도 솔레노이드(3)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제거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워 엘리먼트(6)와 플런저(50) 사이에 작동 로드(38)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과 밸브 폐쇄 방향의 구동력의 밸런스가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작동 로드(38)가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관통하여 파워 엘리먼트(6)에 연결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력을 메인 밸브체(30) 및 서브 밸브체(36)를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파워 엘리먼트(6)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작동 로드(38)에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된 상태로 하방에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체(36)는 작동 로드(38)를 통해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의 힘은 받지만, 밸브 폐쇄 방향의 힘은 받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3)를 오프로 했을 때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해도, 그 착석시에 작동 로드(38)나 플런저(50)의 중량의 영향은 없다. 그 결과,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시에 있어서의 밸브부의 마모나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동 로드(38)가 서브 밸브체(36) 및 플런저(50)의 어느 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서브 밸브의 개폐시에는 이들이 작동 연결되지만,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체(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할 때 자율적으로 얼라인시킬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생긴다. 즉, 이들의 연결부의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령 메인 밸브의 개방시에 가이드 구멍(24)으로의 이물의 침입에 의해 메인 밸브체(30)가 록되어도, 솔레노이드력에 의한 록 해제 기구가 작동한다. 또한, 정상 제어의 최대 전류를 공급해도 록을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로의 추가 전류의 공급에 의해 더욱 큰 솔레노이드력을 부여하여 록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작동 로드(38)의 구동에 수반한 부세력이, 메인 밸브체(30)에 대해 메인 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즉 록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편, 서브 밸브체(36)에 대해 서브 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즉 서브 밸브를 기능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메인 밸브체(30)의 록을 해제하기 위한 기능과,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기능(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설정값을 전류 공급값에 의해 변화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록을 확실하게 해제하는 한편, 서브 밸브를 개방하여 압축기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구성이나 메인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어 밸브(201)는, 파워 엘리먼트(206)가 감압 부재로서 벨로우즈가 아닌,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제어 밸브(201)는, 밸브 본체(202)와 솔레노이드(2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2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2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파워 엘리먼트(206)는, 보디(205)의 상단 개구부에 고정된 중공형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를 밀폐 공간(S1)과 개방 공간(S2)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박막 형태의 다이어프램(2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방 공간(S2)은, 작동실(22)에 연통된다. 다이어프램(245)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지만, 예를 들면 베릴륨 구리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좋다.
하우징(210)은,모두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212) 및 제2하우징(214)을 구비한다. 제1하우징(212)과 제2하우징(214) 사이를 구획하도록 다이어프램(245)이 배치되어 있다. 다이어프램(245)의 밀폐 공간(S1)측의 면에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216)가 용접되고, 디스크(216)와 제1하우징(212)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45)을 하방(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45)의 개방 공간(S2)측의 면에도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디스크(218)가 용접되고, 그 하면 중앙에 마련된 감합홈(90)에 의해 작동 로드(238)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이어프램(245)은, 작동실(22)의 크랭크 압력(Pc)과 밀폐 공간(S1)(기준 압력실)의 기준 압력의 차압에 상응하여 축선 방향(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의 개폐 방향)으로 변형한다. 단, 그 차압이 커져도 다이어프램(245)이 소정량 상방으로 변위하면, 디스크(216)가 제1하우징(212)에 계지되기 때문에 그 변위는 규제된다.
또한, 스프링(42)을 작동 로드(238)에 의해 직접 지지하는 것이 아닌, 메인 밸브체(30)와 솔레노이드(3)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어(46)의 상단부에 압입된 축지 부재(260)와 메인 밸브체(30) 사이에 스프링(42)을 배치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이어프램(2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파워 엘리먼트(206)가 작동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2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제3실시형태]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수압 구조가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어 밸브(301)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지만, 파워 엘리먼트(6)가 크랭크 압력(Pc)이 아닌, 흡입 압력(Ps)을 직접 감지하고 있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제어 밸브(301)는, 밸브 본체(30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3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3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보디(305)에는, 그 상부에 마련된 구획벽(306)에 의해 작동실(322)이 구획되어 있다. 작동실(322)에는 파워 엘리먼트(6)가 수용되어 있다. 구획벽(306)의 중앙에는 삽통 구멍(308)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 로드(38)는, 그 상단부가 삽통 구멍(308)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파워 엘리먼트(6)와 작동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트(12)는 구획벽(306)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44)은 구획벽(306)과 서브 밸브체(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디(305)에는, 작동실(322)과 압력실(28)을 연통하는 연통로(310)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은, 이 연통로(310)를 통해 작동실(322)에도 도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의 영향은 캔슬된다. 파워 엘리먼트(6)가 배치되어 있는 작동실(322)이 흡입 압력(Ps)로 채워지기 때문에, 제어 밸브(3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또한,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는 크랭크 압력(Pc)과 흡입 압력(Ps)의 차압(Pc-Ps)이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토출 압력(Pd)이 낮은 경우의 메인 밸브의 개방 감도가 높아진다.
[제4실시형태]
도 7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의 구성이나 메인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3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3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2, 제3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어 밸브(401)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다이어프램을 감압 부재로 하는 파워 엘리먼트(206)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401)는, 파워 엘리먼트(206)가 흡입 압력(Ps)을 직접 감지하여 동작하는 Ps감지 밸브로서 구성된다. 제어 밸브(401)는, 밸브 본체(402)와 솔레노이드(4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405), 코어(4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4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보디(405)는, 그 상단 개구부가 파워 엘리먼트(206)에 의해 봉지되고, 그 파워 엘리먼트(206)와 구획벽(306) 사이에 작동실(322)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압력실(28)의 흡입 압력(Ps)은, 연통로(310)를 통해 작동실(322)에도 도입된다. 코어(446)의 상단부에는, 제3실시형태와 같은 축지 부재(60)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스프링(42)은 메인 밸브체(30)와 코어(44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메인 밸브체(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30)와 서브 밸브체(36)의 결합체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의 영향은 캔슬된다. 파워 엘리먼트(206)가 배치되어 있는 작동실(322)이 흡입 압력(Ps)로 채워지기 때문에, 제어 밸브(4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제5실시형태]
도 8은 제5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나 각 밸브체의 구성이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어 밸브(501)는, 밸브 본체(502)와 솔레노이드(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505), 코어(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5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포트(12)는, 보디(505)의 상단 개구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505)의 상단 개구부에는 단부 부재(513)가 고정되어 있다. 단부 부재(513)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연통홈(15)과, 단부 부재(513)의 중앙에 마련된 연통 구멍(515)을 통해 냉매가 도입 또는 도출된다.
포트(12)와 메인 밸브 구멍(18) 사이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는 작동실(522)이 형성된다. 파워 엘리먼트(506)는 작동실(522)에 배치된다. 포트(14)에는 링 형상의 스트레이너(strainer)(17)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7)는, 보디(50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한편, 포트(12)에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스트레이너(11)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1)는, 보디(50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 구멍(18)의 작동실(522)과는 반대측에는 밸브실(26)이 마련되고, 포트(14)와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26)의 메인 밸브 구멍(18)과는 반대측에는, 메인 밸브 구멍(18)과 동축 형태로 가이드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는, 가이드 구멍(24)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내외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4)의 밸브실(26)과는 반대측에는 압력실(28)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530)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는 격벽(576)이 마련되어 있다. 격벽(576)은, 그 하면에 의해 작동 로드(538)의 계합부(78)와 적절히 계합 연결 가능한 "피계합부"로서 기능한다. 작동 로드(538)는, 상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축경되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격벽(576)의 중앙에 마련된 삽통 구멍을 관통한다. 격벽(576)의 삽통 구멍의 주위에는,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연통 구멍(532)이 형성되어 있다. 포트(16)는, 이 연통 구멍(532)을 통해 메인 밸브체(530)의 내부 통로(535) 및 압력실(28)에 연통된다. 스프링(42)은 격벽(576)과 축지 부재(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536)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파워 엘리먼트(506)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파워 엘리먼트(506)는, 벨로우즈(45)의 상단 개구부를 제1스토퍼(584)에 의해 폐지하고, 하단 개구부를 제2스토퍼(586)에 의해 폐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스토퍼(584)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보디(5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경부(590)와, 벨로우즈(45) 내에서 축심을 구성하는 소경부(592)를 구비한다. 대경부(590)의 외주면에는, 냉매를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 연통홈(594)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워 엘리먼트(506)가 보디(505)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부 부재(513)와 제1스토퍼(584) 사이에는, 파워 엘리먼트(506)을 하방(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이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596)("부세 부재"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596)은, 코어(46)와 플런저(5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오프 스프링(off spring)으로서 기능한다. 스프링(596)의 스프링 하중은, 스프링(42)의 스프링 하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2스토퍼(586)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저부로 벨로우즈(45)의 하단 개구부를 폐지하고 있다. 제2스토퍼(586)에는, 내외를 연통시키는 T자 형상의 연통로(539)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536)는 제2스토퍼(586)의 하반부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밸브체(536)가 벨로우즈(45)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체(536)의 내방에는 삽통 구멍(540)이 마련되고,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가 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작동 로드(538)의 상단은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스토퍼(586)의 저부 중앙에 탈착 가능하게 당접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스토퍼(586)의 내부에는 크랭크 압력(Pc)이 채워지게 된다. 즉,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는, 크랭크 압력(Pc)을 수압하게 된다. 또한, 작동 로드(538)는, 서브 밸브체(536)가 서브 밸브 시트(34)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8)가 격벽(576)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이격하도록 계합부(78)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 간격(L)은 이른바 "유간"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5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5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530)와 파워 엘리먼트(506)가 작동 연결된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파워 엘리먼트(506)가 단부 부재(513)에 가압되어, 파워 엘리먼트(506)가 실질적으로 보디(505)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때, 메인 밸브체(5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5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제6실시형태]
도 9는 제6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는, 감압부나 밸브체의 지지 구조가 제5실시형태와 약간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5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5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601)는, 밸브 본체(602)와 솔레노이드(603)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보디(605), 코어(646), 케이스(56) 및 단부 부재(58)가 제어 밸브(601) 전체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디(605)의 상단 개구부에 단부 부재(613)가 고정되어 있고, 파워 엘리먼트(606)가 그 단부 부재(61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603)에 있어서의 플런저(50)와 코어(646) 사이에는, 플런저(50)를 코어(64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7)("부세 부재"로서 기능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엘리먼트(606)의 제1스토퍼(684)는, 단부 부재(6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메인 밸브체(630)는, 그 하단 개구부가 코어(646)의 상단면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그 내부 통로(635)와 압력실(28)의 연통 상태가 차단 또는 개방된다. 즉, 메인 밸브체(630)의 하단 개구부와 코어(646)의 상단면에 의해, 내부 통로(635)를 개폐하는 "차단 밸브부"가 구성된다.
한편, 작동 로드(538)의 상단부에 원통 형상의 계지 부재(612)가 압입되어 있고, 계합부(78)와 계지 부재(612)에 의해 격벽(576)이 상대적인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상기 도면에는, 격벽(576)이 계지 부재(612)에 당접되어, 메인 밸브체(630)가 작동 로드(638)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솔레노이드(603)가 비통전일 때는, 스프링(47)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 로드(538)가 밀어 내려지지만, 그 때, 계지 부재(612)가 격벽(576)에 당접하여 메인 밸브체(630)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부세한다. 그 결과,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밸브가 전개 상태로 되는 한편 차단 밸브부가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차단 밸브부가 확실하게 폐쇄되도록,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603)가 오프가 되어도, 플런저(50)의 하면과 슬리브(48)의 저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치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서브 밸브체(536)는 파워 엘리먼트(606)와 함께 메인 밸브체(630)로부터 이격하여 서브 밸브가 개방된다. 그 결과, 크랭크 압력(Pc)이 메인 밸브체(630)의 내부 통로(635)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체(630) 및 서브 밸브체(636)에 작용하는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캔슬된다. 이에 의해, 밸브체에는 차압(Pc-Ps)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다음에 솔레노이드(3)에 통전시켰을 때는 메인 밸브체(630)를 작은 솔레노이드력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벨로우즈(45)의 유효 수압 지름 A와, 메인 밸브체(630)의 메인 밸브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지름 B와, 메인 밸브체(630)의 슬라이딩부의 유효 수압 지름 C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체(630)에 작용하는 토출 압력(Pd) 및 크랭크 압력(Pc)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캔슬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체(630)는, 압력실(28)에서 받는 흡입 압력(Ps)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게 된다. 즉, 제어 밸브(601)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밸브로서, 흡입 압력(Ps)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s감지 밸브를 제시했지만, 크랭크 압력(Pc)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c감지 밸브로서 구성해도 좋다. 그 경우, 포트(16)를 크랭크실에 연 통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도입 도출 포트)로서, 단일 포트(12)를 마련하는 예를 제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를, 작동실(22, 322, 522)의 냉매를 크랭크실로 도출하는 제1포트(도출 포트)와, 크랭크실의 냉매를 작동실(22, 322, 522)에 도입하는 제2포트(도입 포트)로 나누어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42, 44, 47, 88) 등에 관하여, 부세 부재로서 스프링(코일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재료, 또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 기구를 채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다른 형태의 3방 밸브 등, 공용의 보디에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마련되고, 단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복합 밸브라면, 동일한 실시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1: 제어 밸브
2: 밸브 본체
3: 솔레노이드
5: 보디
6: 파워 엘리먼트
12,14,16: 포트
20: 메인 밸브 시트
22: 작동실
24: 가이드 구멍
26: 밸브실
28: 압력실
30: 메인 밸브체
34: 서브 밸브 시트
36: 서브 밸브체
38: 작동 로드
42, 44: 스프링
45: 벨로우즈
50: 플런저
76: 작동면
78: 계합부
238: 작동 로드
201: 제어 밸브
202: 밸브 본체
203: 솔레노이드
205: 보디
206: 파워 엘리먼트
222: 압력실
230: 메인 밸브체
236: 서브 밸브체
245: 다이어프램
301: 제어 밸브
302: 밸브 본체
305: 보디
322: 작동실
401: 제어 밸브
402: 밸브 본체
403: 솔레노이드
405: 보디
501: 제어 밸브
502: 밸브 본체
505: 보디
506: 파워 엘리먼트
522: 작동실
530: 메인 밸브체
535: 내부 통로
536: 서브 밸브체
538: 작동 로드
601: 제어 밸브
602: 밸브 본체
603: 솔레노이드
605: 보디
606: 파워 엘리먼트
630: 메인 밸브체
635: 내부 통로
636: 서브 밸브체

Claims (8)

  1. 작동 유체를 도입 또는 도출하는 도입 도출 포트, 작동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 포트, 작동 유체를 도출하는 도출 포트가 마련된 보디;
    상기 보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입 포트와 상기 도입 도출 포트 사이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를 개폐하는 한편, 상기 도입 도출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 메인 밸브체;
    상기 내부 통로의 단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서브 밸브 시트에 탈착하여 서브 밸브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체;
    상기 보디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피감지 압력을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압부;
    상기 보디의 타단측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전류량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 밸브체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감압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메인 밸브체 및 상기 서브 밸브체 중 어느 것도 통하지 않고 상기 감압부에 대해 직접 전달 가능한 작동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부세 부재;
    상기 서브 밸브체를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체를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서브 밸브체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체에 마련된 피계합부에 계합(係合)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메인 밸브체에 직접 전달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메인 밸브체에 마련된 피계합부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력을 상기 메인 밸브체에 직접 전달 가능한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세 부재는, 상기 서브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밸브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6.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세 부재는,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메인 밸브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와 일체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체와 상기 감압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실에 도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실로부터 토출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상기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에 도입하는 냉매, 및 상기 크랭크실로부터 상기 흡입실로 도출하는 냉매 중의 적어도 한쪽의 유량 또는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변화시키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보디는, 상기 도입 도출 포트로서 상기 크랭크실로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와, 상기 도입 포트로서 상기 토출실로 연통하는 토출실 연통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로서 상기 흡입실로 연통하는 흡입실 연통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감압부는, 상기 흡입실의 흡입 압력 또는 상기 크랭크실의 크랭크 압력을 상기 피감지 압력으로서 감지하여, 그 피감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메인 밸브체에 밸브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KR1020130130506A 2012-11-01 2013-10-30 제어 밸브 KR102034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2106A JP6064123B2 (ja) 2012-11-01 2012-11-01 制御弁
JPJP-P-2012-242106 2012-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097A true KR20140056097A (ko) 2014-05-09
KR102034904B1 KR102034904B1 (ko) 2019-10-21

Family

ID=508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506A KR102034904B1 (ko) 2012-11-01 2013-10-30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64123B2 (ko)
KR (1) KR102034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0544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08071824B (zh) * 2016-06-13 2021-08-10 株式会社Tgk 可变容量压缩机用控制阀
EP3575647B1 (en) 2017-01-26 2022-11-3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US11542930B2 (en) 2017-02-18 2023-01-0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EP3712433B1 (en) 2017-11-15 2022-07-0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apacity control valve control method
US11512786B2 (en) 2017-11-30 2022-11-29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for capacity control valve
EP3722603B1 (en) 2017-12-08 2024-02-0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726054B1 (en) 2017-12-14 2024-02-0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acity control valve
EP3734070B1 (en) 2017-12-27 2024-03-2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US11434885B2 (en) 2017-12-27 2022-09-0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744977B1 (en) 2018-01-22 2023-05-24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of capacity control valve
JP7139076B2 (ja) * 2018-01-22 2022-09-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US11635152B2 (en) 2018-11-26 2023-04-25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580A (ja) 2007-03-26 2008-10-09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262U (ko) * 1980-03-25 1981-10-27
JP5167121B2 (ja) * 2006-03-15 2013-03-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5467184B2 (ja) * 2009-04-15 2014-04-0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5499254B2 (ja) * 2009-07-09 2014-05-21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5699259B2 (ja) * 2011-01-07 2015-04-0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6064132B2 (ja) * 2012-10-09 2017-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複合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580A (ja) 2007-03-26 2008-10-09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2207A (ja) 2014-05-19
KR102034904B1 (ko) 2019-10-21
JP6064123B2 (ja)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6097A (ko) 제어 밸브
JP6064132B2 (ja) 複合弁
KR102129731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EP2474737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2818707B1 (en)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2821649B1 (en)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40049478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30119354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50101963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50006406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및 제어 밸브
KR102046664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20040708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140074843A (ko) 제어 밸브
KR20160018390A (ko) 제어 밸브
KR20140141432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2020101242A (ja) 制御弁
KR20140044750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2015161301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6064181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20160102887A (ko) 제어 밸브
JP2015161407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