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619A -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 Google Patents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619A
KR20140055619A KR1020120122718A KR20120122718A KR20140055619A KR 20140055619 A KR20140055619 A KR 20140055619A KR 1020120122718 A KR1020120122718 A KR 1020120122718A KR 20120122718 A KR20120122718 A KR 20120122718A KR 20140055619 A KR20140055619 A KR 2014005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corative frame
fence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947B1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부재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 따라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설치브래킷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설치브래킷에 결합되는 보부재와, 상기 보부재 사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보부재 사이를 커버하는 세로부재와, 상기 보부재의 중앙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보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호 마주하는 내면에 제1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부재 및 상기 제1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식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FENCE HAVING DECORATION FRAME}
본 발명은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로부재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 따라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펜스는 벽돌담 대신에 건물이나 집, 정원 주위, 도로변이나 공원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단지의 계단 및 베란다 및 정원 등에 경계 표시 또는 출입 통제표시를 하기 위해 설치하여 안전 울타리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통상의 안전 펜스는 파이프로 된 틀의 내경에 철사를 그물망으로 엮은 그물 철망을 연결한 방책을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연결 설치하게 된 것과, 지면에 콘크리트로 만든 받침 위에 파이프로 된 세로대를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하여 상기 세로대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대를 연결하여 만든 것이 알려져 있다.
더하여, 최근에는 아파트, 빌라, 연립 등을 비롯하여 다세대 주택, 단독 주택 등의 건물 외관이나 전망을 보다 미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펜스의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공동주택용 펜스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50020호의 "공동주택의 개폐형 펜스"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차도용 방호울타리는 보부재나 세로부재 사이에 별도의 장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용접이나 볼트, 리벳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조립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의 보차도용 방호울타리는 장식이 용접이나 볼트를 통해 보부재나 세로부재에 완전하게 결합되므로 교체가 전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부재와 세로부재를 설치 장소나 지역에 따라 그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로부재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 따라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설치브래킷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설치브래킷에 결합되는 보부재와, 상기 보부재 사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보부재 사이를 커버하는 세로부재와, 상기 보부재의 중앙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보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호 마주하는 내면에 제1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부재 및 상기 제1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식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부재가 상기 장식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2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식 프레임이 상기 제1 결합홈부 및 상기 제2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사각 틀 부재와, 상기 사각 틀 부재의 내면에 접합되는 문양부재를 포함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결합홈부가 상기 장식 프레임이 삽입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 프레임의 테두리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 상기 보부재 및 상기 지지 패널부재는 중공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체 형태의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 상기 보부재 및 상기 지지 패널부재에 상기 보강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지주, 상기 보부재 및 상기 지지 패널부재의 내면에 지지돌기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보강부재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결합중공이 형성되는 메인 세로부재와, 상기 메인 세로부재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결합중공에 삽입되는 결합로드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길이 조절 가능한 세로부재를 포함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브래킷가 슬라이딩 결합홈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에 지면의 앵커볼트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앵커볼트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지주가 관통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상기 커버부재가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에 의하면, 세로부재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 따라 폭과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부재, 지지 패널부재와 장식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보부재, 지지 패널부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설치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설치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널부재, 장식 프레임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로부재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100)는 지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는 지주(110)와, 이 지주(110) 사이에 설치되는 보부재(120)와, 이 보부재(120)에 세로로 설치되는 세로부재(130)와, 장식을 위한 지지 패널부재(140) 및 장식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지주(110)는 보부재(12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브래킷(111)이 볼트나 나사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지주(110)는 세로부재(130)의 길이 변경에 따라 설치브래킷(11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결합홈부(119)가 형성된다.
설치브래킷(111)은 슬라이딩 결합홈부(1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그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결합홈부(119)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플레이트(111a)와, 이 플레이트(111a)에서 돌출 형성되어 보부재(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관부재(111b)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치브래킷(111)은 플레이트(111a)가 볼트를 통해 지주(110)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지주(110)는 지면의 앵커볼트(B)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13)가 형성되며, 이 베이스플레이트(113)의 상측으로 노출하는 상기 앵커볼트를 커버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115)를 더 구비한다. 이때, 지주(110)는 커버부재(115)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면에 커버부재(115)가 걸려서 지지되도록 걸림돌기(117)가 돌출 형성된다.
커버부재(115)는 지주(110)가 관통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구멍(115a)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3) 및 앵커볼트(B)를 수용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15)는 베이스플레이트(113) 및 앵커볼트를 커버하게 되면 상면이 걸림돌기(117)에 걸리면서 지주(110)의 상측으로 쉽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지주(110)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60)가 삽입된다. 보강부재(160)는 금속에 의해 제작되며, 특히 각형 강관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110)는 보강부재(1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그 유동을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보강부재(16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10a)가 돌출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110a)가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보부재(120)는 양단부가 설치브래킷(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세로부재(130)와 패널부재(140) 및 장식 프레임(15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보부재(120)는 장식 프레임(150)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2 결합홈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부재(120) 또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60)가 삽입된다.
더하여, 보부재(120)는 보강부재(160)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보강부재(16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20a)가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이 지지돌기(120a)에 의해 그 강도가 보다 향상된다.
세로부재(130)는 보부재(120) 사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보부재(120) 사이를 커버한다.
이러한, 세로부재(13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보부재(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보부재(120)의 형태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접, 볼트, 리벳 등의 결합방식으로도 보부재(1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로부재(1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울타리(100)의 설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세로부재(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결합중공이 형성되는 메인 세로부재(131)와, 이 메인 세로부재(131)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중공(131a)에 삽입되는 결합로드(133a)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 세로부재(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 세로부재(131)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된다.
보조 세로부재(133)는 메인 세로부재(131)와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에 메인 세로부재(131)가 삽입되는 안착홈부(133b)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방호 울타리(100)는 지지 패널부재(140)와 장식 프레임(150)에 의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 패널부재(140)는 보부재(120)의 중앙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보부재(12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호 마주하는 내면에 장시 프레임(15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홈부(141)가 형성된다. 여기서, 보부재(120)는 패널부재(14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삽입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 패널부재(140)는 장식 프레임(150)이 보다 안정되게 결합됨은 물론 그 이탈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제1 결합홈부(141)가 장식 프레임(150)이 삽입되는 안내홈(141a)과, 이 안내홈(141a)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141b)로 이루어진다.
이때, 장식 프레임(150)은 안내홈(141a)에 지지됨은 물론 결합홈(141b)에 삽입 고정되므로, 지지 패널부재(140)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용접이나,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방식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장식 프레임(150)은 제1 결합홈부(141) 및 제2 결합홈부(121)에 삽입되는 사각 틀 부재(151)와, 이 사각 틀 부재(151)의 내면에 접합되는 문양부재(153)로 이루어진다. 이때, 문양부재(153)는 대나무, 난, 국화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각 틀 부재(151)에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더하여, 장식 프레임(150)은 사각 틀 부재(151)를 사용하지 않고 문양부재(153)가 지지 패널부재(14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널부재(140)는 제1 결합홈부(141)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패널(170)을 더 포함한다.
마감패널(170)은 안내홈(141a)을 커버함과 동시에 결합홈(141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마감패널(170)은 안내홈(141a)을 커버하며, 결합홈(141b)의 삽입을 위한 탄성리브(173)와, 이 탄성리브(173)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합홈(141b)에 걸리는 걸림돌기(173a)가 형성된다. 더하여, 마감패널(170)은 문양부재(153)가 삽입되는 삽입홈(171)이 더 형성된다.
한편, 지지 패널부재(140)는 그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삼각형 형태의 지지돌기(140a)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울타리 110 : 지주
120 : 보부재 130 : 세로부재
140 : 지지 패널부재 150 : 장식 프레임

Claims (10)

  1. 지면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설치브래킷(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주(110);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설치브래킷에 결합되는 보부재(120);
    상기 보부재 사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보부재 사이를 커버하는 세로부재(130);
    상기 보부재의 중앙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보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호 마주하는 내면에 제1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부재(140); 및
    상기 제1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식 프레임(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부재는 상기 장식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2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식 프레임은 상기 제1 결합홈부 및 상기 제2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사각 틀 부재와, 상기 사각 틀 부재의 내면에 접합되는 문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3. 제 2 항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부는 상기 장식 프레임이 삽입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 프레임의 테두리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및 상기 보부재는 중공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체 형태의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보부재 및 상기 지지 패널부재는 내면에 지지돌기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주와 상기 보부재는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보강부재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결합중공이 형성되는 메인 세로부재와, 상기 메인 세로부재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결합중공에 삽입되는 결합로드이 돌출 형성되는 보조 세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브래킷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홈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지면의 앵커볼트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앵커볼트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지주가 관통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하단부에 상기 커버부재가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20120122718A 2012-10-31 2012-10-31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141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18A KR101415947B1 (ko) 2012-10-31 2012-10-31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18A KR101415947B1 (ko) 2012-10-31 2012-10-31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19A true KR20140055619A (ko) 2014-05-09
KR101415947B1 KR101415947B1 (ko) 2014-07-04

Family

ID=5088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18A KR101415947B1 (ko) 2012-10-31 2012-10-31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29B1 (ko) * 2015-08-09 2016-04-27 주식회사 웰콘 조립식 난간
KR101917584B1 (ko) * 2017-10-13 2019-01-29 주식회사 천경비스타 난간
KR20190041960A (ko) * 2018-10-25 2019-04-23 주식회사 천경비스타 난간
CN113982297A (zh) * 2021-12-02 2022-01-2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预警用智能防护装置及防护网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81A (ko) 2018-04-03 2019-10-14 윤여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GB202102020D0 (en) * 2021-02-12 2021-03-31 Tremblay Jonathan Integrated and versatile system for building grardrails and fen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27Y1 (ko) * 2001-06-26 2001-10-19 주식회사 창신건업 프라이버시 펜스
KR100865371B1 (ko) * 2007-02-20 2008-10-31 (주)이원캐스팅 휀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29B1 (ko) * 2015-08-09 2016-04-27 주식회사 웰콘 조립식 난간
KR101917584B1 (ko) * 2017-10-13 2019-01-29 주식회사 천경비스타 난간
KR20190041960A (ko) * 2018-10-25 2019-04-23 주식회사 천경비스타 난간
CN113982297A (zh) * 2021-12-02 2022-01-2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预警用智能防护装置及防护网安装方法
CN113982297B (zh) * 2021-12-02 2023-03-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预警用智能防护装置及防护网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947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47B1 (ko)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2339094B1 (ko)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20100008344U (ko) 천정 마감용 스크린 타입 루바 조립 구조
KR101323380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200486995Y1 (ko) 가림막 휀스 조립 구조
US2327311A (en) Fence structure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20114512A (ko)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20090064921A (ko) 울타리 연결장치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40102500A (ko) 복합 소재 건축재
KR200429832Y1 (ko) 조립식 벽
KR200438011Y1 (ko) 울타리
KR101117083B1 (ko) 조립식 메쉬 펜스
KR101134494B1 (ko) 경사면의 계단블럭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의 계단 시공방법
KR100814729B1 (ko) 차선 규제블럭
KR102339088B1 (ko) 횡간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