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877A -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877A
KR20140054877A KR1020120120908A KR20120120908A KR20140054877A KR 20140054877 A KR20140054877 A KR 20140054877A KR 1020120120908 A KR1020120120908 A KR 1020120120908A KR 20120120908 A KR20120120908 A KR 20120120908A KR 20140054877 A KR20140054877 A KR 20140054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present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572B1 (ko
Inventor
양경월
김정미
이민영
고하나
김경민
박용호
강우철
조대왕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to KR102012012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9Menispermaceae (Moonseed family), e.g. hyperbaena or coralb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산딸나무 추출물, 댕댕이덩굴 추출물, 말오줌때 추출물 또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Using an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딸나무(Cornus kousa) 추출물,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추출물,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 또는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y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등 여러 상재균이 존재하며, 이들 상재균은 평상시에는 땀에서 분비되는 면역항체와 결합하여 피부 면역력을 높여준다. 건강한 피부에서는 유익균이 80%, 유해균이 20%의 비율을 유지되며 약산성(pH 5.5)을 이룬다. 약산성이 유지될 때 건강한 피부막은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며 몸의 장벽으로 작용하여 수분의 유출을 막지만, 스트레스나 세정제 등의 과다 사항 등으로 신체의 리듬이 변화하면 피부의 항상성이 깨지고 이들 피부 상재균이 과다 증식하게 된다(Ahn B.K. et al., JSBR,2002, 4:62-70; Brown,S.K.et al., Lancet, 1998, 351:1871-1876).
이들 피부 상재균은 피부 상에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유발하며, 지루성 피부염, 습진, 가려움, 여드름, 두피염 등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유재학 등, 대한피부과학회지, 1995, 33(1):67-75; 하병조, 화장품학, 1999, 수문사)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지방산 분해효소인 리파아제(lipase)를 이용하여 피지를 분해시켜서 유리지방산을 생성시킨다. 이들 유리지방산은 피부에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여드름에서 볼 수 있는 붉은 발진인 구진, 농포, 결절 등의 염증성 병변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세균들에 대한 항균성 물질로서 트리클로카반(triclocarban), 트리클로산(triclosan) 등 항균성 화합물이 사용되어 왔으나 장기간 사용시 피부 작열감, 화끈거림, 피부 발적 등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피부 부작용이 적은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예컨대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뿌리 추출물(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11, 9(2):9-16), 상백피 추출물(Morus alba L.)(한국인체예술학회지, 2010, 11(2):87-98), 녹차 카테킨, 유칼립투스 잎 오일, 레몬 껍질 오일, 조릿대 엑기스, 알로에 베라 껍질 추출물 등이 보고되어 있다(국내 공개특허 제2010-0088878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10914호, 국내 공개특허 제2010-0088296호)
본 발명은 산딸나무(Cornus kousa) 추출물 등의 피부 세균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딸나무(Cornus kousa)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산딸나무 추출물, 댕댕이덩굴 추출물, 말오줌때 추출물 및 참가시나무 추출물이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원판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산딸나무 추출물, 댕댕이덩굴 추출물, 말오줌때 추출물 또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식물의 전초, 잎, 줄기, 뿌리, 꽃잎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추출 방법은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방법과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침지를 통한 추출 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침지 또는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는 부피 백분율에 의한 농도(v/v) 표현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부피의 용액 중에 녹아 있는 일정 부피의 용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30%(v/v)는 용액 100㎖에 용질 30㎖가 용해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균성"이란 피부 미생물인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그 증식을 억제하는 성질 또는 용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산딸나무 추출물 등은 그것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한 그것이 적용될 제품이나 분야, 항균성이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한 임의의 양으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충분한 항균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 적용 양태나 항균성이 요구되는 정도를 불문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산딸나무 추출물 등은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포함되면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산딸나무 추출물 등의 항미생물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그 유효성분인 이외에도 분산제와 담체 그리고 기타의 항균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분산제로서 물,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케로센 등), 방향족 탄화수소(예: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산 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디드 등),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롤(예: 아세토니트릴 등), 계면 활성제(고급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설폰산, 알킬 알릴 설폰산, 4급 암모늄 염, 옥시 알킬 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시드 화합물, 안하이드로 소르비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담체의 경우로서는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활성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담체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항균제의 경우는 앞서 예시한 바의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뿌리 추출물 등 이외에도,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시트랄(citral) (대한민국 특허 제438209호),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대한민국 특허 제427584호), 조릿대 엑기스(WO 2003/105878), 자영지(Ganoderma sinense) 추출액(대한민국 특허 제445405호), 이소디아졸론(isothiazolone) 화합물(WO 2000/13510) 등이 추가로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항균제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액체상, 고체상 및 기체상 중 임의의 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등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방식의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액제, 식품 형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경구 방식의 제형은 주사제, 국소 투여제(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좌약, 살포제(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국소 투여 방식의 제형은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로 된 담체에 함침시킨 것, 화장품이나 비누 등에 함유시킨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인간, 동물 또는 식물에 발생하는 질병, 수질 또는 토양의 오염, 섬유의 부패 등 인간에게 유해한 현상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면, 사람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이나 가축, 양식 어류 등을 포함한 동물이나 식물에도 투여/살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간이 사용하는 화장품, 섬유 제품 등에도 그 제품의 보존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화장품, 섬유 제품의 제조 시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아래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미생물들이 모두 피부 병원균들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세정제 등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산딸나무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료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피부 보습 활성 물질, 항아토피 활성 물질, 항여드름 활성 물질, 미백 활성 물질 등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피부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고형상 또는 액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디용 비누, 핸드용 비누, 세안제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에는 그 유효성분인 부챗말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항균 활성을 저해하지 않은 한, 당업계에서 세정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아민 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분, 실리콘류, 저급 또는 고급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라놀린 유도체, 단백 유도체, 아크릴 수지 분산액, 양이온 성 폴리머, 음이온성 폴리머, 비이온 성 폴리머, 비타민 등의 약제, 살균제, 방부제,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금속 봉쇄제, 자외선 흡수제, 동식물 추출물 또는 그 유도체, 색소, 항료, 안료, 무기물 분체, 점토 광물,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수불용성 폴리머 분체,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알콜, 글리세린, 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딸나무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특히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세정제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산딸나무 추출물 등의 제조
<실시예 1> 산딸나무 추출물의 제조
산딸나무 잎 세절물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였다. 다음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댕댕이덩굴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추출 대상을 댕댕이덩굴 전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말오줌때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추출 대상을 말오줌때 열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추출 대상을 참가시나무 잎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 항균 활성 실험
<실험예 1> 원판 확산법에 의한 실험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피부에서 흔히 검출되는 균주인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를 사용하였으며, 일부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해서는 항생제 내성균을 함께 사용하였다. 아래의 실험에 사용한 균주를 그 균주 배양에 사용한 배지 등과 함께 정리하였다. S. epidermidis는 TSA(Tryptic Soy Agar; BD Difco, USA)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P. acnes는 GAM(General Anaerobic Medium; Nussui, Japan)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균주 및 배지
미생물 항생제 내성 패턴(MIC;㎍/mL) 배지
S. epidermidis CCARM 3709 Susceptible

TSA
S. epidermidis CCARM 3710 Erythromycin(>32)
Clindamycin(>16)
Chloramphnicol(64)
S. epidermidis CCARM 3711 Tetracycline(>32)
P. acnes CCARM 0081 Susceptible
GAM
P. acnes CCARM 9009 Clindamycin(64)
P. acnes CCARM 9010 Clindamycin(64)
항균력 측정은 원판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에 따랐다(Hayes, A.J. et al., Food. Chem. Toxicol., 2002, 40(4): 535-543).
각 균주는 10 mL의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8시간씩 3회 계대 배양하여 항균활성 시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0.5 McFarland으로 106 - 108 CFU/mL 되게 한 후 pour-plate 방법에 균 접종 평판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100 mg/mL 농도로 조제하여 paper disc(Whatman No.5, 8 mm)에 천천히 흡수시킨 후,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시험용 평판 배지 표면에 디스크를 밀착시키고 최적온도 37℃에서 S. epidermidis는 24시간, P. acnes는 혐기조건으로 48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 주변에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S. epidermidis P. acnes
3709 3710 3711 0081 9009 9010
산딸나무 ++ +++ ++ + + +
댕댕이덩굴 +++ + +++ ++ ++ ++
말오줌때 +++ ++ ++ + + +
참가시나무 ++ + +++ + + +
주)
- 항균력 결여
+ 항균력 약함(clear zone 직경 10mm 미만)
++ 항균력 강함(clear zone 직경 10 내지 11mm)
+++ 항균력 매우 강함(clear zone 직경 12mm 이상)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 모두 항생제 내성균을 포함하여 S. epidermidisP. acne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최소저해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 )의 측정
상기 실시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S. epidermidisP. acnes를 BHI(brain heart infusion) broth 배지에서 37℃에서 36시간 동안 초기 배양하고, 여기에 각 실시예의 추출물을 2배 연속 희석법(series dilution)으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최소저해농도는 시험균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실험물질의 최소 농도로 정하였으며,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최소저해농도(MIC, ㎍/ml)
균주 최소저해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S. epidermidis CCARM 3709 160 80 80 160
P. acnes CCARM 0081 640 160 640 64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댕댕이덩굴 추출물 및 <실시예 3>의 말오줌때 추출물이 80 ㎍/mL에서 S. epidermidis에 대해서 MIC를 나타내어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P. acnes에 대해서는 실시예 2의 댕댕이덩굴 추출물이 각각 160 ㎍/mL 에서 MIC를 나타내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Claims (6)

  1. 산딸나무 추출물, 댕댕이덩굴 추출물, 말오줌때 추출물 또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은 피부 미생물인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세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120120908A 2012-10-30 2012-10-30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147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8A KR101470572B1 (ko) 2012-10-30 2012-10-30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8A KR101470572B1 (ko) 2012-10-30 2012-10-30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57A Division KR20140099223A (ko) 2014-07-17 2014-07-17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877A true KR20140054877A (ko) 2014-05-09
KR101470572B1 KR101470572B1 (ko) 2014-12-10

Family

ID=5088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08A KR101470572B1 (ko) 2012-10-30 2012-10-30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72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333150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02678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68819B1 (ko)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392808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20061221A (ko)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KR20140099223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1899413B1 (ko) 피부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8361B1 (ko) 피부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0572B1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326164B1 (ko) 항균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20210016851A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KR101392810B1 (ko) 된장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392809B1 (ko) 오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27050B1 (ko) 와사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80666B1 (ko) 애플민트, 유자 및 꽃송이버섯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