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497A -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497A
KR20140054497A KR1020120120055A KR20120120055A KR20140054497A KR 20140054497 A KR20140054497 A KR 20140054497A KR 1020120120055 A KR1020120120055 A KR 1020120120055A KR 20120120055 A KR20120120055 A KR 20120120055A KR 20140054497 A KR20140054497 A KR 2014005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program
internal
memory
activ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180B1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80B1/ko
Priority to CN201380056249.8A priority patent/CN104756042B/zh
Priority to PCT/KR2013/009504 priority patent/WO2014065602A1/en
Priority to EP13848279.9A priority patent/EP2912535B1/en
Priority to US14/063,111 priority patent/US9930618B2/en
Publication of KR2014005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외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노말 모드에서 내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내부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한다.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고,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깨어나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MODE IN A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서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이 슬립 모드에서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부피, 무게 등이 제품 개발 시에 주요한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약은 무선 단말의 배터리의 용량을 무한정 증대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은 한정된 배터리의 용량을 고려하여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예컨대 무선 단말은 아이들 모드 (Idle mode)와 연결 모드 (Connected mode)를 기본 모드로 하고, 상기 기본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일련의 조건을 만족할 시에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대기모드의 대표적인 예로 ‘DRX (Discontinuous Rx) 모드’가 있다.
상기 대기모드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오퍼레이션 (operation)만을 지원하는 슬립 모드 (sleep mode)와, 노말 (normal)한 오퍼레이션을 지원하는 액티브 모드 (active mode)를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최소한의 오퍼레이션은 기지국과 약속된 특정 슬롯에서 호출 신호를 감시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에서 무선 단말은 시스템 시간을 소정 단위로 나눈 작은 슬롯들 중 특정 슬롯에서만 깨어(wakeup) 최소한의 오퍼레이션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슬롯들에서는 슬립(sleep)한다. 이로써 무선 단말은 슬립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은, 기지국에 의해 호출 메시지가 보내지는 특정 구간 (할당된 슬롯)에서만 깨어나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슬립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슬립 모드는 무선 단말 내에 존재하는 대부분 구성 요소들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해당 구성 요소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슬립 모드는 절전 모드 (Power Saving Mode)로 불리기도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wakeup)과 슬립 (sleep)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동작 시, 호출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을 감지할 시, 슬립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필요한 후속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한편 무선 단말은 수행할 동작에 상응한 대부분의 제어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에서 보관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 단말은 현재 상황에 상응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여 관련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와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에서 로딩한다. 이는 대기 모드, 예컨대 DRX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예컨대 무선 단말의 프로세서는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여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불러와 캐시 메모리에 로딩하고, 상기 로딩이 이루어진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은 슬립 모드로 인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는 있으나, 별도로 구비된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여 관련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 캐시 메모리에 로딩하기 위해서는 관련 하드웨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한 소모 전력이 증가한다.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이 목적이 다른 두 개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은 슬립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단말은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 Application Processor)와 통신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 (CP: Commun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이 다른 목적을 가지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기 모드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은 CP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AP와 CP가 메인 메모리를 공유할 경우, 상기 CP는 슬립 모드에서 메인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읽기 위해서는 AP의 일부 하드웨어 블록의 구동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거나 프로세서 별로 독립적인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할 시에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대기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가 분리된 무선 단말에서 통신 프로세서가 대기 모드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통신 프로세서가 대기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통신 프로세서가 내부 캐시 메모리에 대기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프리 로드 (pre load)하도록 하는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별도로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통신 프로세서가 아이들 모드에서 수행할 제어 프로그램을 별도로 분리하여 필요 시 내장 메모리에 기록하여 사용하는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슬롯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은, 내장 메모리에 상기 아이들 모드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아이들 모드로 깨어나 상기 내장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요구되는 오퍼레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이,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외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노말 모드에서 내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깨어나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어부 내에 제어 프로그램을 위한 전용 내장 메모리가 구비되지 않을 시에는, 노말 모드 전환 조건을 체크하여 노말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내장 메모리에 노말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상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노말 모드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슬롯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아이들 모드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하는 내장 메모리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아이들 모드로 깨어나 상기 내장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요구되는 오퍼레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외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기 내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내부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할 것을 제어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며,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깨어나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어부는 제어 프로그램을 위한 전용 내장 메모리가 구비되지 않을 시에, 노말 모드 전환 조건을 체크하여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내장 메모리에 노말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상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노말 모드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은 통신 프로세서 내부에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메인 메모리를 접근하지 않고도 아이들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아이들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 시에 하드웨어 블록의 전력 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어, 아이들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추정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대기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단말에 구비된 통신 프로세서가 DRX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내장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슬립 모드에서 깨어날 시 내장 메모리에 접근하여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내장 메모리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내장 메모리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 상기 DRX 모드에 따른 전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하지만 내장 메모리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상기 DRX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 중 일부 오퍼레이션, 일 예로 호출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호출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은 DRX 모드에 따른 특정 슬롯마다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 프로세스이다. 그 외의 프로세스는 통신 프로세서 내의 메모리 크기를 고려하여 내장 메모리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메인 메모리 중 하나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프로세서에 구비된 내장 메모리의 제어 프로그램은 기존 메인 메모리에서 존재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무관하게 새롭게 작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메인 메모리의 제어 프로그램과 내장 메모리의 DRX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 간에 공유가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시그널링 절차가 새로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에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구성할 경우에 OS (Operating System)를 사용하지 않는 마이크로 코드 형태 (micro code type)로 구현하여 그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할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지 않고 기존 메인 메모리에서 제어 프로그램의 일부 블록에 상응한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내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통신 프로세서에 구비된 내장 메모리에 프리 로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장 메모리로 메인 메모리와의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호환이 가능한 메모리로는 TCM (Tightly Coupled Memory), L1 및 L2 cache 등이 존재한다.
기존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는 제어 프로그램 중 내부 모드 동작을 위해 필요한 블록의 크기가 상기 호환이 가능한 내장 메모리 크기보다 작을 경우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모드로 동작 시에 외장 메모리에 접근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내부 모드 동작을 위해 필요한 블록의 일부만 상기 호환이 가능한 내장 메모리에 로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딩되지 않은 블록이 수행될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접근하여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술한 첫 번째 구현 예에서 내장 메모리로 기존에 통신 프로세서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하던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는 내부 모드와 노말 모드 전환 시마다 내장 메모리에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거나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부가적인 절차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내부 모드에서는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 메시지를 모니터링 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측정 (measurement), 아이들 핸드오버 (idle handover) 등의 다른 프로세스가 요구될 경우 노말 모드로 전환하여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요구되는 다른 프로세스에 따른 오퍼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첫 번째 구현 예에서 내장 메모리로 내부 모드 전용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 전부 혹은 일부를 전용 메모리에 상주시킨다. 전용 메모리의 접근 속도가 충분히 빠른 경우에는 내부 모드와 노말 모드 전환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로딩이 필요 없다. 그렇지 않은 경우 내부 모드 전환 시 TCM 등 접근 속도가 빠른 내장 메모리로 내부 모드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사용한다. 모드 전환 시의 동작은 전용 내장 메모리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동일하다. 차이점은 전용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하는 속도가 외장 메모리에서 로딩하는 속도보다 빠르다.
상술한 바에 의해 무선 단말은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시에 내부에서 최소의 하드웨어가 구동될 뿐만 아니라 외장 메모리 (메인 메모리)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슬립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무선 단말이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전환하는 모드를 ‘대기 모드’로 통칭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 모드의 대표적인 예는 ‘DRX 모드’가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대기 모드는 3G에서의 슬롯 모드, 아이들 모드 등으로 정의되고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1에서는 AP(110)와 CP(120)가 독립 칩으로 구성되고, 상기 CP(120)가 상기 AP(110)를 통해 메인 메모리(130)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단말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P(110)는 제1제어부(112), 칩 인터페이스(114), 동적 메모리 제어부 (DMC: Dynamic Memory Controller)(116)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제어부(112)는 상기 AP(110)에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칩 인터페이스(114)는 CP(120)가 공용 외장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및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칩 인터페이스(114)의 대표적인 예로는 C2C (Chip to Chip) 인터페이스가 있다.
상기 DMC(116)는 상기 제1제어부(112)의 제어를 받아 외부에 구비된 메인 메모리(130)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DMC(116)는 상기 AP(110) 또는 상기 CP(12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메모리(130)에 저장된 특정 블록을 읽어 이를 상기 AP(110) 또는 상기 CP(120)로 제공하거나 상기 AP(110) 또는 상기 CP(120) 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즉 상기 DMC(116)는 외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메모리(130)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메모리(130)는 무선 단말에서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에 상응한 제어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상기 DMC(116)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 소프트웨어 블록을 출력한다.
상기 CP(120)는 칩 인터페이스(124), 제2제어부(122), 내장 메모리(128), 모뎀(126)을 구비한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과 슬립 상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대기 모드, 즉 DRX 모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2제어부(122)는 슬립 모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감시한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될 시, 노말 모드에서 내부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노말 모드는 상기 CP(120)가 상기 메인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원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내부 모드는 상기 CP(120)가 내장 메모리(12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원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AP(110) 및 메인 메모리(130), DMC(116)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제어부(122)는 노말 모드에서 내부 모드로 전환 시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노말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내부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 상기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들은 DRX 모드를 포함한 CP의 아이들 모드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업데이트되는 변수들로 노말 모드와 내부 모드 전환 시에도 유지되어야 하는 변수들이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슬롯 모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상기 내장 메모리(128)에 로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설정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수행되는 대표적인 설정 오퍼레이션은 호출 메시지의 수신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설정 오퍼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상기 내장 메모리(128)에 로딩되어 있는 내부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할 수 없는 부가 프로세스 처리가 요구될 시에 내부 모드에서 노말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노말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AP(110)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과 상기 메인 메모리(130)의 연동이 요구됨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로의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22)는 노말 모드에서 내장 메모리에 로딩하여 사용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메모리나 해당 프로그램이 상주해 있는 기타 메모리로부터 내장 메모리로 로딩하여 원하는 부가 서비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상기 부가 서비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의 수행이 완료된 후, 슬롯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을 기반으로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감시한다.
상기 제2제어부(122)는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될 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위한 노말 모드에서 내부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앞에서 살펴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내장 메모리(128)로는 CP 모듈(120)에 구비되어 있던 캐시 메모리 등을 이용하거나 대기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이 구비된 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장 메모리(128)는 대기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내부 모드에서 수행할 오퍼레이션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를 별도의 코드를 사용하여 새로 작성하거나 상기 메인 메모리(130)로부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를 프리 로딩 (pre-loading)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단지 상기 메인 메모리(130)로부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을 프리 로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장 메모리(128)는 상기 메인 메모리(130)와의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내장 메모리(128)에서 로딩될 대상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내장 메모리의 용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장 메모리(128)의 용량이 클수록 로딩될 대상 제어 프로그램이 증가할 것이나 용량이 작을수록 로딩될 대상 제어 프로그램이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CP 모듈(120)을 구성할 시에 내부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오퍼레이션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내장 메모리(128)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뎀(126)은 상기 제2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해 무선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와의 정보 교환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서는 무선 단말이 대기 모드, 즉 DRX 모드에 따른 내부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 메모리에 상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AP와 CP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칩 상에 존재하는 AP 제어부(211)와 CP 제어부(212)가 하나의 메인 메모리(220)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는 무선 단말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 서로 다른 칩에 의해 구성된 AP 모듈(110)과 CP 모듈(120)을 하나의 칩으로 구성한 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구성들의 동작은 도 1에 의해 설명된 동작 설명과 동일하다.
예컨대, CP 제어부(212)는 도 1에서의 제2제어부(122)와 동일하게 내부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내장 메모리(214)는 도 1에서의 내장 메모리(128)과 동일하게 내부 모드에서 원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를 로딩한다.
상기 CP 제어부(212)와 내장 메모리(214)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은 도 1에서 설명된 내용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을 것이라 인정됨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 대기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제어는 무선 단말에서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 무선 단말에서의 통신 프로세서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제2제어부(122)와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CP 제어부(212)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하기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제어부’라는 용어에 의해 대상 구성 요소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310단계에서 DRX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DRX 모드로의 전환은 무선 단말이 정상적인 동작 상태, 일 예로 활성화 모드 (Connected Mode)에서 DRX 모드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아이들 모드에서 DRX 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슬립 모드는 슬롯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에서 지원하는 통신 기법에 따라 다른 용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단말에서 지원하는 통신 기법은 2G, 3G, LT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2G, 3G에서의 슬립 모드를 LTE에서는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모드’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통신 기법에서는 용어만 달리 사용되고 있을 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후술될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슬립 모드’로 통칭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단말에서 제어부가 활성화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는 다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설정된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아이들 모드에서는 CP가 기본적으로 DRX 모드로 동작한다.
CP가 아이들 모드로 진입하면, 초반에는 노말 모드로 동작하다가 슬립 모드로 진입 가능한 조건이 만족되면, 312단계에서 오퍼레이션 모드를 내부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오퍼레이션 모드는 제어부에서 지원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오퍼레이션 모드는 노말 모드와 내부 모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노말 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소정 오퍼레이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내부 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소정의 오퍼레이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모드는 무선 단말의 제어부가 활성화 모드 (Connected mode) 또는 아이들 모드로 동작 중에 DRX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일부 특정 오퍼레이션에 상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다. 이때 상기 일부 특정 오퍼레이션의 대표적인 예는 호출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오퍼레이션이다.
상기 노말 모드는 상기 내부 모드에서 수행하는 일부 특정 오퍼레이션을 포함한 CP의 모든 오퍼레이션에 상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다.
하지만 내부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내장 메모리가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내부 모드는 필수적인 프로세스 외에도 노말 모드에서 수행되도록 정의된 특정 오퍼레이션에 상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즉 내부 모드에서 수행될 아이들 모드에 따른 오퍼레이션은 내장 메모리의 크기에 의해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내장 메모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아이들 모드에서 따른 오퍼레이션들 중 내부 모드에서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의 비율이 증가하고, 내장 메모리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아이들 모드에서 따른 오퍼레이션들 중 내부 모드에서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의 비율이 감소한다.
상기 제어부는 내부 모드로 전환한 후, 314단계에서 내부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여기서 내부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내부 모드에서 수행할 오퍼레이션에 상응한 제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컨대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이 이루어지는 제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코드에 의해 작성된 새로운 소프트웨어이거나 기존에 메인 메모리에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 중 내장 메모리로 불러와 로딩하는 일부 블록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메모리에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 중 일부 블록을 불러와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무 메모리로 내부 캐시나 TCM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캐시는 상기 메인 메모리와의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한 종류의 메모리로 구성되어야 한다. 단지 기존에 제어부가 구비하고 있던 메모리를 상기 내장 메모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인 메모리로부터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록을 내장 메모리로 불러와 로딩하거나 메인 메모리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로딩하는 전환이 적절한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324단계와 326단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기존 메인 메모리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와 별도로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할 소프트웨어를 새로 마련할 경우, 상기 새로 마련한 소프트웨어와 기존 소프트웨어 간에 정보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시그널링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316단계에서 상기 로딩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상기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는 메인 메모리에서 기존 프로그램의 로딩에 따른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함에 의해 생성된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 모드에 따른 소프트웨어, 즉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노말 모드에 따른 소프트웨어, 즉 제어 프로그램과 공유하기 위한 부가적인 절차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는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의 설정이 완료되면, 318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슬립 모드로의 전환으로 무선 단말에서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발생하는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인터럽트의 발생을 감시한다 (320단계). 즉 상기 제어부는 페이징 슬롯 마다 발생하는 인터럽트에 의해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DRX 모드에서 소정 주기로 ‘wakeup (액티브 모드)’과 ‘sleep (슬립 모드)’을 반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여 322단계에서 앞서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호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324단계에서 앞서 수행된 오퍼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부가 프로세스의 수행이 요구되는 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수신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졌음이 감지되어 다른 기지국으로의 이동이 요구되는 등의 부가 프로세스에 따른 동작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요구되는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는 이미 무선 통신 분야에서 너무도 잘 알려져 있음에 따라, 별도의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하지만 부가 서비스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시하지 않았더라도 해당 부가 서비스에 대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충분히 예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부가 서비스에 따른 프로세스가 필요할 것으로 체크될 시, 32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된 내부 모드를 노말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필요한 부가 서비스에 따른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이때 처리되는 부가 서비스에 따른 프로세스로는 TAU, I-RAT/neighbor-cell measurement 등의 내부 모드에서 처리할 수 없는 부가적인 액티브 모드 프로세스가 필요한 오퍼레이션이다.
상기 제어부는 노말 모드로 전환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관련 하드웨어 블록에 대한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 메모리로부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내장 메모리에 로딩하고, 필요 시에 이전 내부 모드에 따른 종속 변수 및 매개 변수의 값들을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업데이트하고, 내장 메모리 부가 서비스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노말 모드에서는 내장 메모리와 외장 메모리를 모두 사용하여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26단계에서 부가 서비스에 따른 오퍼레이션을 수행한 후, 상기 310단계에서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312단계 내지 326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슬롯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시, 제어부가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슬롯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관여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슬롯 모드에 따른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17)

  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장 메모리에 상기 액티브 모드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깨어나 상기 내장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요구되는 오퍼레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외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노말 모드에서 내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깨어나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은 호출 메시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에 의해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이 요구된다고 판단될 시, 상기 내부 모드에서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한 후 상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 수행이 완료된 후,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이 제작된 소프트웨어이거나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 중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소프트웨어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 중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소프트웨어 블록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장 메모리는 상기 메인 메모리와 소프트웨어를 호환할 수 있는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드와 상기 노말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하드웨어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8.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통신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에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전환하면서 소정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모드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록하는 내장 메모리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모드로 깨어나 상기 내장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요구되는 오퍼레이션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말 모드에서 내부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외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기 내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내부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서 로딩할 것을 제어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 중 상기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설정하며,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깨어나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은 호출 메시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장 메모리에 로딩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한 오퍼레이션에 의해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이 요구된다고 판단될 시, 상기 내부 모드에서 상기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노말 모드에서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한 후 상기 내부 모드에서 사용하던 종속 변수와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며,
    상기 부가 프로세스에 상응한 오퍼레이션 수행이 완료된 후, 상기 슬립 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될 시,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부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을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이 제작된 소프트웨어이거나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 중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소프트웨어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메모리에 구비된 제어 프로그램 중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소프트웨어 블록을 상기 내장 메모리에 구비된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장 메모리는 상기 메인 메모리와 소프트웨어를 호환할 수 있는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모드와 상기 노말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하드웨어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DRX (Discontinuous Rx)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DRX (Discontinuous Rx)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모드 제어장치.
KR1020120120055A 2012-10-27 2012-10-27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7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55A KR102078180B1 (ko) 2012-10-27 2012-10-27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CN201380056249.8A CN104756042B (zh) 2012-10-27 2013-10-24 用于在无线终端中控制操作模式的装置和方法
PCT/KR2013/009504 WO2014065602A1 (en) 2012-10-27 2013-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a wireless terminal
EP13848279.9A EP2912535B1 (en) 2012-10-27 2013-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a wireless terminal
US14/063,111 US9930618B2 (en) 2012-10-27 2013-10-2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a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055A KR102078180B1 (ko) 2012-10-27 2012-10-27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497A true KR20140054497A (ko) 2014-05-09
KR102078180B1 KR102078180B1 (ko) 2020-04-07

Family

ID=5054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055A KR102078180B1 (ko) 2012-10-27 2012-10-27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0618B2 (ko)
EP (1) EP2912535B1 (ko)
KR (1) KR102078180B1 (ko)
CN (1) CN104756042B (ko)
WO (1) WO201406560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990A (ko) * 2014-12-09 2016-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 제어
KR20170019789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92614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듈 및 그 제어 메시지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001B1 (ko) 2012-04-03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인식 장치 및 상황 인식 방법
WO2015096135A1 (en) * 2013-12-27 2015-07-02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processors to process data
WO2016093579A1 (en) * 2014-12-09 2016-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processors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JP2017078958A (ja) * 2015-10-20 2017-04-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10098065B2 (en) 2017-02-21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via PHY firmware island
CN109068376A (zh) * 2018-06-13 2018-12-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进入低功耗状态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109312B2 (en) * 2019-08-09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roup wake-up reconfiguration
US11907043B2 (en) 2022-05-25 2024-02-20 Apple Inc. Adaptive wake-up for power conservation in a process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20A (ko) * 2001-10-10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 수신모드에서의 셀 탐색 장치 및방법
US20070064662A1 (en) * 2005-09-16 2007-03-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EP2071893A1 (en) * 2007-12-12 2009-06-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djustment of setup time based on paging performance
KR20090077704A (ko) * 2008-01-10 2009-07-15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 기능 개선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KR20090117791A (ko) * 2007-02-05 2009-11-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연성 있는 dtx 및 drx
KR20120108996A (ko) * 2006-10-27 2012-10-0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9851B2 (ja) * 2001-12-07 2008-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実行状態制御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
US7610035B2 (en) * 2002-12-31 2009-10-27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US7369815B2 (en) * 2003-09-19 2008-05-0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llapse for a wireless terminal
US7917673B2 (en) 2003-09-20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having a shared local memory
EP1870814B1 (en) * 2006-06-19 2014-08-13 Texas Instruments F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emand paging for processor devices
JP4463216B2 (ja) * 2006-02-09 2010-05-19 日本電気株式会社 省電力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端末
US20080170526A1 (en) * 2007-01-12 2008-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standby battery life of a wireless device
US8908581B2 (en) * 2007-05-01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Extended microsleep for communications
US8655395B2 (en) * 2009-05-04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8554251B2 (en) * 2009-06-29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in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processing in cellular systems
US8577326B2 (en) * 2010-08-10 2013-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servation for a mobile device in idle mo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20A (ko) * 2001-10-10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 수신모드에서의 셀 탐색 장치 및방법
US20070064662A1 (en) * 2005-09-16 2007-03-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KR20120108996A (ko) * 2006-10-27 2012-10-0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90117791A (ko) * 2007-02-05 2009-11-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연성 있는 dtx 및 drx
EP2071893A1 (en) * 2007-12-12 2009-06-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djustment of setup time based on paging performance
KR20090077704A (ko) * 2008-01-10 2009-07-15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 기능 개선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990A (ko) * 2014-12-09 2016-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 제어
KR20170019789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14948B2 (en) 2015-08-1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mo application in response to detachment of a stylus
KR20180092614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듈 및 그 제어 메시지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2535A1 (en) 2015-09-02
US20140119256A1 (en) 2014-05-01
US9930618B2 (en) 2018-03-27
CN104756042B (zh) 2018-11-13
KR102078180B1 (ko) 2020-04-07
WO2014065602A1 (en) 2014-05-01
EP2912535A4 (en) 2016-06-22
EP2912535B1 (en) 2019-08-28
CN104756042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180B1 (ko) 무선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30046967A1 (en) Proactive Power Management Using a Power Management Unit
JP6832449B2 (ja) 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およびチャネル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05824393B (zh) 片上系统、管理其功率的方法和电子装置
US86950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power to multiple cores in a multicore processor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833601B1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주위 온도를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407956B (zh) 用于在计算设备内的多个soc之间协调操作状态的方法和系统
US8510740B2 (e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dynamic voltage and frequency scaling operations on a mobile device
US9244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clock and voltage scaling (DCVS) awar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20160036227A1 (en) Power broker module
US965202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ynamic voltage frequency scaling i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20140254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s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KR101448974B1 (ko) 한 세트의 성능 스케일링 알고리즘들의 구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6520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quality of service levels based on coprocessor operation
KR20180048993A (ko) 메모리 상태 천이 타이머들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4977979A (zh) 时钟源切换方法和系统
KR20160033701A (ko) 디바이스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관리 방법 및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
US20100281282A1 (en) Look-ahead processor for signaling suitable performance state for main processor
US20140245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driven selection of voltage mode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930881B (zh) 一种蓝光播放器及其控制方法
CN115129142A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6674327A (zh) 一种蓝牙胎压传感器及其功耗优化方法、存储介质
CN115344108A (zh) 待机控制装置及方法
KR20040103186A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