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695A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Google Patents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3695A KR20140053695A KR1020120119940A KR20120119940A KR20140053695A KR 20140053695 A KR20140053695 A KR 20140053695A KR 1020120119940 A KR1020120119940 A KR 1020120119940A KR 20120119940 A KR20120119940 A KR 20120119940A KR 20140053695 A KR20140053695 A KR 201400536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self
- optical fiber
- photoelectric composite
- composite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0—Metal tubes, e.g. lead sheaths
- H01B7/205—Metal tubes, e.g. lead sheaths composed of alumini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이 제공되며, 케이블의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선, 복수의 전원선을 감싸는 방수 피복층, 및 복수의 전원선과 방수 피복층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 광전복합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접하여 배치된 자기지지선, 및 광전복합케이블과 자기지지선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광전복합케이블과 자기지지선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외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신호와 전원까지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전원선을 추가한 광전복합케이블이 출시되어, 전원선과 광섬유 케이블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광전복합케이블만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광전복합케이블은 비교적 장거리에 광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나, 장거리 가설시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하는 경우, 그 내부에 광섬유에도 그 영향이 발생하여 광섬유의 절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광섬유의 절손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483호에는 광전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인장력에 대하여 버팀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중심 인장선과, 휘어짐이나 꼬임에 대하여 텐션을 주기 위한 텐션 케이블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광섬유의 절손, 휘어짐이나 꼬임에 의한 광신호 전달의 불량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개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전주에 가설하는 경우, 조가선(Messenger Wire)를 가설하고, 그 위에 광전복합케이블 설치하고, 조가선과 광전복합케이블을 랫싱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각 매체 간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전주에 가설한 후 당길 때, 당기는 힘인 인장 하중에 의해 결국에는 광섬유가 끊어져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의 각 매체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여 인장 하중에 의해 광섬유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블의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선, 복수의 전원선을 감싸는 방수 피복층, 및 복수의 전원선과 방수 피복층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 광전복합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접하여 배치된 자기지지선, 및 광전복합케이블과 자기지지선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광전복합케이블과 자기지지선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외피부를 포함하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의 각 매체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여 인장 하중에 의해 광섬유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광전복합케이블(100), 자기지지선(300), 외피부(500)를 포함한다. 도 1에 개시된 광전복합케이블(100), 자기지지선(300), 외피부(5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되는 것이 불과하므로, 본원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자기지지형 케이블(Self-Supporting cable)이란, 케이블 심과 지지선을 함께 피복하여 하나의 몸체로 한 케이블로서, SS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따로 지지선을 쓸 필요가 없어 케이블 가설 작업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전원선(110), 방수피복층(130), 광섬유 케이블(150)을 포함한다.
전원선(110)은 케이블의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선(110)은 2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원선(110)은 심선(111)과 절연 피복층(113)을 포함한다. 즉, 전원선(110)은 1 심 이상의 도전성 도체로 이루어진 심선(111)과, 심선(111)을 감싸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피복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선(110)은 도전성 도체로 이루어진 심선(111)이 다수개 모여 다발을 이루고, 심선(111) 다발을 절연체인 절연 피복층(113)으로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전원선(110)은 일반 전력용으로 이용되는 규격에 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심선(111) 다발은 각 심선(111)들이 서로 꼬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심선(111) 다발에 피복된 절연 피복층(113)은 이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전원선(110)이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 2 개의 전원선(110)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3 개의 전원선(110)이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 백색, 적색, 녹색으로 도색될 수 있고, 4 개의 전원선(110)이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 백색, 흑색, 청색, 흑색으로 도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선(110)은 2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원선(110) 중에 접지를 위한 접지선이 포함되지 않고, 접지선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이 전주에 가설될 때, 임의의 전주에 접지선을 포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접지선이 제거된 형태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단위 길이당 무게와 접지선을 위한 구리 자재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때, 심선(111)은 일반적인 동선이 이용될 수도 있고, 그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아연 도금 강선일 수도 있다. 절연 피복층(113)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 피복층(130)은 방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배치된 전원선(110)의 집합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 피복층(130)은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하거나 종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 피복층(130)은 케이블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 소재나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케이블의 외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부의 선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방수 피복층(130)은 흡습성이 우수한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방수 피복층(130)은 방수 파우더 또는 방수 파우더와 활석(Talc)의 혼합물, 또는 방수 얀(Yarn)을 채용할 수도 있다.
광섬유 케이블(150)은 광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광섬유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1 심 이상의 광섬유(153)와, 이 광섬유(153)를 감싸는 루즈 튜브(151)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루즈 튜브(151) 내에는 예를 들어, 젤리 컴파운드(Jelly Compound)와 같은 방수재가 충진될 수 있다.
루즈 튜브(151)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olyvinylechloride; PV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플라스틱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루즈 튜브(151)의 색상은 12가지의 색상(청,등,녹,적,황,자,갈,흑,백,회,청록,분홍)을 적용하여 도색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150)은 복수의 전원선(110)과 방수 피복층(130) 사이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150)의 외경은 전원선(110)들 간 또는 방수 피복층(130)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150)의 외경이 공간 또는 공극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광섬유 케이블(150)의 외형이 변형, 즉 굴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광섬유 케이블(150)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 즉 전원선(110)들 사이 또는 전원선(110)과 방수 피복층(130) 사이의 공간에는 광섬유 케이블(150)을 대신하여 공간을 메우고 지지하는 개재심(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재심(170)은 공간을 메우고 지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재심(170)은 복수의 전원선(110)과 동일한 크기로 광전복합케이블(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개재심(170)의 개수는 필요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150)이 배치되고 난 후, 남은 빈 공간을 채울 수 있을 만큼의 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과 개재심(170)은 각각 복수의 전원선(110)과 함께 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과 복수의 전원선(110)은 연합시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는 피치로 꼬여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 복수의 전원선(110), 개재심(170)은 연합시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는 피치로 꼬여 배치될 수 있다.
자기지지선(300)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지지하도록,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자기지지선(300)은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인접한 형태로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기지지선(300)은 자기지지선(300)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이 광전복합케이블(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방향으로 꼬여있을 수 있다.
외피부(500)는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자기지지선(30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자기지지선(300)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외피부(500)는 난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피부(500)는 슬롯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피부(500)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150)과 복수의 전원선(1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홀(hole)로 형성된 슬롯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외피부(50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롯 내부에 각각의 구성 요소가 하나씩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자기지지형 가공 광전복합케이블과 유사한 종류의 케이블인 OPGW(Optical Ground Wire) 케이블은 가공지선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낙뢰로부터 가공송전로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자기지지형 가공 광전복합케이블은『○』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의 전력 케이블과 광섬유와의 자체 매체간 선팽창계수 및 연신율(Elongation Percentage)의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가공에 가설할 경우, 광전복합케이블에 부과되는 지지선으로부터의 인장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지점 간을 일정한 굵기의 조가선을 이용하여 지지하고, 일정 간격으로 바인딩하는 랫싱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조가선을 설치하는 작업과 랫싱 작업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자기지지선(300)과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가공에 가설할 때 자기지지선(300)으로부터 받는 인장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꼬임 특성을 적용하고, 매체 간의 결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장률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기계적 특성이 열악할 수 있는 광섬유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각 매체간 고유한 기계적 성질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약한 특성을 가진 매체를 훼손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케이블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광섬유(153)를 감싸고 있는 루즈 튜브(151)와, 전원선(110)과의 구조를 달리한다. 이에 따라, 전원선(110)과 자기지지선(300)에 걸리는 인장 하중이 루즈 튜브(151)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광섬유(150)가 구부러지거나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광섬유(153)와 루즈 튜브(151)의 연신율을 크게 하거나 또는 광섬유 케이블(150)의 회전 주기를 작게 함으로써, 외부의 영향 및 인장 하중으로부터 광섬유(153)를 보호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매체의 회전 주기, 즉 1 피치(Pitch)는 케이블의 단위 하중과 외부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4mm의 외경일 경우, 400mm 내지 600mm의 피치를 가질 수 있지만, 이 또한 연입률과의 상호 연관된 작용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주 간의 거리가 100m라고 하고,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의 1m 당 무게가 500g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100m 간의 전주에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을 가설하기 위해서는, 총 50kg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50kg의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50kg만큼의 힘을 받게 되므로,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이 하측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때, 늘어진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을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각 전주에서 양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에 인장하중이 걸리게 된다.
인장하중에 의하여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신장하게 된다. 이때, 자기지지선(300)과 전원선(110)은 연성이 있어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신장해도 끊어지거나 하지 않지만, 광섬유 케이블(150)은 자기지지선(300)이나 전원선(110)과 같은 연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광섬유 케이블(150)이 끊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150)은 S-Z 방식으로 구성되어 신장률의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150)의 연입률(Lay Ratio)은 루즈 튜브(151)의 연입률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섬유(150)의 연입률은 0.01% 내지 0.3% 일 수 있으며, 루즈 튜브(151)의 연입률은 0.05% 내지 0.2% 일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루즈 튜브(151)가 100cm라면, 광섬유는 101.1cm 정도로 광섬유(151)의 연입률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연입률이란, 한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선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소선을 여러 층으로 꼬아서 합친 동심 연선에 있어서, 연정과 소선의 실제 길이의 비율이다. 즉, 연입률이 크면 전선 단위 길이당 소선 길이가 크게 되고, 전선 중량이 증가하며, 연입률이 작으면 전선 소요 단면적을 얻기 위하여 소선수가 많아지고 소선 간 밀착이 곤란하며, 연선의 중요한 기능인 가요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153)의 연입률을 루즈 튜브(151)의 연입률보다 크게 함으로써, 동일한 인장 하중이 걸리더라도, 광섬유(153)가 루즈 튜브(151) 보다 신장률이 낮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끊어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입률의 관계는, 광섬유(153)와 루즈 튜브(151) 뿐만 아니라, 자기지지선(300), 전원선(1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인장 하중을 받더라도, 더 많이 꼬인 광섬유(153)는 루즈 튜브(151)와 끊어질 확률이 동일하게 된다. 만약, 연입률을 다르게 주지 않았다면, 동일한 인장 하중을 받았을 때, 광섬유(153)가 루즈 튜브(151) 보다 빨리 끊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자기지지선(300)에 걸리는 인장 하중이 광전복합케이블(100)에 전달되지 않아야 하고, 광전복합케이블(100) 내에서도 전원선(110)에 걸리는 인장 하중이 광섬유 케이블(150)로 전달되지 말아야 하며, 광섬유 케이블(150) 내에서도 루즈 튜브(151)에 걸리는 인장 하중이 광섬유(153)로 전달되지 말아야 한다. 즉, 궁극적으로는 광섬유(153)가 끊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자기지지선(300), 광전복합케이블(100)과 광섬유 케이블(150)의 연입률을 다르게 설정하고, 광섬유 케이블(150)도 그 내부의 광섬유(153)과 루즈 튜브(151)의 연입률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각 매체의 기계적인 강도와 신장률이 다름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광섬유 케이블(150)의 연입률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꼬임 방식을 S-Z 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꼬임과 신장률에 의한 복합적인 힘이 광섬유 케이블(1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의 각 구성 요소의 스펙은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이때, 하기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펙일 뿐,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의 스펙이 하기 표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종류 | 100 (광전복합케이블부 직경) |
110 (전원선 경) |
111 (전원 심선경) |
113 (전원선절연피복층 두께) |
130 (방수피복층) |
150 (광섬유 케이블튜브) |
2.5 SQMM | 9~11 | 3.4~4.7 | Nom. 0.65 | Nom. 0.7 | Nom. 0.15 | 1.6~2.3 |
4 SQMM | 10~12 | 3.9~4.7 | Nom. 0.85 | Nom. 0.7 | Nom. 0.15 | 1.6~2.3 |
6 SQMM | 11.5~12.5 | 4.5~4.7 | Nom. 1.04 | Nom. 0.7 | Nom. 0.15 | 1.8~2.3 |
10 SQMM | 14.5~15.5 | 5.4~5.5 | Nom. 1.35 | Nom. 0.7 | Nom. 0.15 | 2.2~2.3 |
16 SQMM | 16~17 | 6.1 | Nom. 4 | Nom. 0.7 | Nom. 0.15 | 2.3~2.4 |
종류 | 151 (튜브두께) |
153 (광섬유 심선외경) |
170 (개제심외경) |
190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 두께) |
300 (자기지지선외경) |
500 (외피부 외경) |
2.5 SQMM | 0.25~0.35 | Nom. 0.25 | 3.4~4.7 | 0.8~1.0 | Nom. 11 | 13~15.4 |
4 SQMM | 0.25~0.35 | Nom. 0.25 | 3.9~4.7 | 0.8~1.0 | Nom. 11 | 14~15.5 |
6 SQMM | 0.25~0.35 | Nom. 0.25 | 4.5~4.7 | 0.8~1.0 | Nom. 11 | 15.5 |
10 SQMM | 0.35 | Nom. 0.25 | 5.4~5.5 | 0.8~1.0 | Nom. 11 | 17.2~17.5 |
16 SQMM | 0.35 | Nom. 0.25 | 6.1 | 0.8~1.0 | Nom. 11 | 18.3~19.5 |
도 6을 참조하면,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은,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방수 피복층(130)을 둘러싸도록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19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190)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190)가 구비되는 이유는, 설치류 등이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을 갉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며, 설치류 등에 의해 광섬유(153)가 끊어지고,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190)는 요(凹)와 철(凸) 형상이 번갈아가면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190)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1) 내의 광섬유(153) 등을 설치류가 갉아먹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슬롯(510)이 광전복합케이블(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5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과 복수의 전원선이 장착될 수 있도록, 홀(Hole)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100: 광전복합케이블 110: 전원선
111: 심선 113: 절연 피복층
130: 방수 피복층 150: 광섬유 케이블
151: 루즈 튜브 153: 광섬유
170: 개재심 190: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
300: 자기지지선 500: 외피부
510: 슬롯
100: 광전복합케이블 110: 전원선
111: 심선 113: 절연 피복층
130: 방수 피복층 150: 광섬유 케이블
151: 루즈 튜브 153: 광섬유
170: 개재심 190: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
300: 자기지지선 500: 외피부
510: 슬롯
Claims (15)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의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선, 상기 복수의 전원선을 감싸는 방수 피복층, 및 상기 복수의 전원선과 상기 방수 피복층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상기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접하여 배치된 자기지지선; 및
상기 광전복합케이블과 상기 자기지지선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광전복합케이블과 상기 자기지지선의 외주연을 둘러싸는 외피부
를 포함하는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지지선은 상기 자기지지선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방향으로 꼬여있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광섬유를 둘러싸는 루즈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의 연입률은 상기 루즈튜브의 연입률보다 큰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과 상기 복수의 전원선은 연합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는 피치로 꼬여서 배치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 상기 복수의 전원선, 개재심은 연합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는 피치로 꼬여서 배치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피복층을 둘러싸는 주름형 알루미늄 강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선과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이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어, 상기 공극을 메우고 지지하는 개재심;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심은 상기 복수의 전원선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 내에 삽입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피복층은 방수 특성을 갖는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 또는 종첨하여 형성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선 중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선이 제거된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난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1 심 이상의 도전성 도체로 이루어진 심선 및 상기 심선을 감싸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절연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슬롯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과 상기 복수의 전원선은 상기 슬롯 내에 장착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 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는 S-Z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아연 도금 강선인 것인,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40A KR20140053695A (ko) | 2012-10-26 | 2012-10-26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40A KR20140053695A (ko) | 2012-10-26 | 2012-10-26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3695A true KR20140053695A (ko) | 2014-05-08 |
Family
ID=5088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9940A KR20140053695A (ko) | 2012-10-26 | 2012-10-26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369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454B1 (ko) | 2019-09-25 | 2020-05-18 | 박연수 | 조가선 일체형 전력케이블 |
KR102474792B1 (ko) * | 2022-04-22 | 2022-12-06 | 엘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복합 케이블 구조체 |
-
2012
- 2012-10-26 KR KR1020120119940A patent/KR2014005369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454B1 (ko) | 2019-09-25 | 2020-05-18 | 박연수 | 조가선 일체형 전력케이블 |
KR102474792B1 (ko) * | 2022-04-22 | 2022-12-06 | 엘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복합 케이블 구조체 |
KR102489481B1 (ko) * | 2022-04-22 | 2023-01-18 | 엘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케이블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41428B2 (ja) | Hdmi光電気複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US8861911B2 (en) | Composite cable for transmitting optical signals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 |
CN1290123C (zh) | 屏蔽式电缆及其制造方法 | |
US10345544B1 (en) | Composite optoelectronic HDMI cable | |
WO2021093395A1 (zh) | 光缆结构及其制备方法 | |
US20030070831A1 (en) | Communications cable | |
KR100956479B1 (ko) | 광섬유 전원선 복합 케이블 | |
US9536640B2 (en) | Rugged furcation tube | |
KR20140053695A (ko) | 자기지지형 광전복합케이블 | |
RU126502U1 (ru) | Оп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абель | |
US10475556B2 (en) | Self-supporting overhead telecommunication/power cable | |
CN210777938U (zh) | 电子线 | |
CN210489270U (zh) | 一种铠装双护层光电复合缆 | |
CN201315187Y (zh) | 光电复合线缆 | |
CN219202817U (zh) | 一种直流防水轨道交通用电力电缆 | |
CN210722522U (zh) | 一种基站用光纤铠装保护型光电复合缆 | |
CN106328258A (zh) | 一种防水低压电缆 | |
CN214476570U (zh) | 一种易于敷设的耐扭、耐低温电缆 | |
WO2018161737A1 (zh) | 光电混合金属丝铠装缆 | |
CN205158928U (zh) | 一种柔性阻燃防火电缆 | |
CN216849350U (zh) | 一种光电混合低压电缆 | |
CN213752112U (zh) | 一种光电复合电缆 | |
CN219642597U (zh) | 一种光电混合缆 | |
CN219303362U (zh) | 一种厚度均匀的线缆外护套 | |
CN216119660U (zh) | 一种柔软阻燃同轴电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