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071A -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071A
KR20140053071A KR20140043596A KR20140043596A KR20140053071A KR 20140053071 A KR20140053071 A KR 20140053071A KR 20140043596 A KR20140043596 A KR 20140043596A KR 20140043596 A KR20140043596 A KR 20140043596A KR 20140053071 A KR20140053071 A KR 2014005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terminal
attendance
attendance check
respon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희 filed Critical 김윤희
Priority to KR2014004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3071A/ko
Publication of KR2014005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07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석체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석체크 시스템이,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일부인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자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함-,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Attendance check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석체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학원, 각종 교육장 등에서는 수 명에서 수십 명, 많게는 수백 명에 이르는 학생이나 교육생(이하, '교육생'이라고 함)이 참석을 하게 된다. 교육생의 출석 여부는 교육생의 평가나 강의(혹은 수업) 자체에 대한 평가에 이용되어, 교육생의 적극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하고 강의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출석 여부의 판단은 강의자가 사전에 작성된 출석부의 이름을 각각 호명하여 출석부에 그 상태를 기록하거나, 강의 중에 출석부를 수강자에게 순회시키며 그에 따라 출석자가 참석여부를 직접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강의자가 수강자의 이름을 각각 호명하는 방법은 한정된 강의시간 중 상당 부분을 소요하게 되며, 강의 중에 출석부를 수강자에게 순회시키며 출석자가 직접 참석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은 수강자의 주위를 산만하게 하여 강의의 집중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강의자 또는 수강자에 의한 출석확인 방법은 대리 출석이나 출석부 표시의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출석파악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출석자를 체크하는 여러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출석자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전파신호를 발생하는 단말을 휴대하고, 각 개인으로부터 출력되는 개인별 전파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출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출석 확인 방법에서는 수강자의 수가 수백 명에 이르거나 강의가 진행되는 공간이 매우 넓어 모든 수강생의 단말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범위가 출석체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 출석 체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수강자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해당 수강자 단말기의 위치가 강의가 수행되는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출석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GPS와 같이 종래의 위치 인식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단말이 실내에 있는 경우에 올바른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며, 각종 요인으로 인해 측정한 위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4565 공개특허공보 10-2013-003037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통상적으로 채용하는 블루투스와 같이 비교적 좁은 인식 범위를 가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교실이나 강의실 또는 교육장 등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석 체크를 수행할 수 있는 출석 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석체크 시스템이,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일부인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자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함-,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응답자 단말은,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대한 출석체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석체크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출석체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일부인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여기서, 상기 응답자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함-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고,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대한 출석체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모둘,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상기 하나의 다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예를 들면, 강의자 단말)로부터 시작하여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출석자 단말을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출석자 단말 그룹을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출석 공간(예를 들면, 강의실)에 출석한 사용자의 단말이 마스터 단말의 인식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라도 출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인식 범위가 협소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올바르게 출석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최근 대다수의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대부분 채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출석 체크를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평소에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출석 체크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기법 중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비교적 가볍고 처리 속도가 빠른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을 인식하게 되므로 출석 체크가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이 출석자 단말을 판단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 단말이 주변 단말을 인식하여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이 출석자 단말 그룹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이 출석자 그룹을 판단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출석 체크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200, 200-1 내지 200-11)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각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출석자 단말 그룹에 속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출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출석 체크 대상 그룹은 출석 체크 시에 소정의 출석 장소에 위치하여야 하는 멤버들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석 체크 대상 그룹은 소정의 강의 클래스의 수강생의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석 체크 그룹은 상기 강의 클래스의 강의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상기 출석 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에 상응하는 사용자 중 일부(200, 200-1 내지 200-8)는 지정된 출석 장소(10)에 출석할 수도 있으며, 나머지 일부(200-9 내지 200-10)은 출석 장소 외의 다른 장소(20, 30)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출석 장소(10)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8)에 상응하는 사용자만이 출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이 복수의 출석 체크 그룹 각각에 대한 출석 체크 역시 별도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출석 체크 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은 바람직하게는, 휴대전화, 위성전화, 무선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은 컴퓨터, 랩탑, 데스크탑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 중 적어도 하나는 마스터 단말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터 단말이라고 함은 출석 체크 시에 상기 출석 장소(10)에 반드시 위치할 것이라고 간주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단말은 강의자의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 단말은 반드시 사람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일 필요는 없으며, 출석 장소(예를 들면, 강의실)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단말일 수도 있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출석 체크 대상 그룹에 상응하는 마스터 단말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은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주변 단말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주변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한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이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블루투스, Widi-Direct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이 주변 단말을 인식하는 상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이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주변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한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이러한 요청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로 직접 전송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통지 시스템(3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통지 시스템(300)은 소정의 단말 그룹에 가입된 멤버 단말에 소정의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통지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Google 사의 Google 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통지 시스템(300)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통지 시스템(30)이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통지단말식별정보(예를 들면, Google Notification Service의 경우 Notification 스트링)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지 시스템(300)으로 요청 메시지 및 요청을 수신할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의 통지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요청 메시지가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로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통지 시스템(300)과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이 상기 출석 장소(10)에 출석한 출석자 단말을 판단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의 예시에서, 출석 체크 대상 그룹에는 N+1개의 사용자 단말(T0(200) 내지 TN(200-N))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중 마스터 단말은 T0(200)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 T0(200)은 예를 들어 강의가 시작되는 등의 출석 체크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출석 체크를 시작하기 위한 출석 체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통지 시스템(300)으로 응답 메시지 전송요청을 위한 통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10). 예를 들면,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상기 통지 시스템(300)으로 응답 메시지 전송요청을 위한 소정의 제어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 전송요청을 수신할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에 상응하는 통지단말식별정보(예를 들면, 상기 통지 시스템(300)이 Google Notification Service인 경우 Notification 스트링)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지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N) 각각으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라는 요청을 통지할 수 있다(S120, S120-1 내지 S120-N).
그러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N)은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주변 단말을 감지할 수 있으며(S130, S130-1 내지 S130-N), 감지된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40, S140-1 내지 S140-N).
이후,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N)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출석자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출석자 단말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S150).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출석 체크 방법을 수행하는 출석 체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출석 체크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다른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11)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DB(110), 수신모듈(120), 제어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감지모듈(210) 및 전송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DB(110), 수신모듈(120) 및/또는 제어모듈(13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DB(110), 수신모듈(120) 및/또는 제어모듈(13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세부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세부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DB(110) 및/또는 수신모듈(12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B(110)는 출석 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네트워크 모듈의 MAC 주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B(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 각각에 상응하는 통지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DB(110)는 각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모듈(120)은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모듈(120)은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각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 단말(200, 200-1 내지 200-11))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이 주변 단말을 감지하고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소정의 출석 장소(예를 들면, 도 1의 출석 장소(10))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로 구성되는 출석자 단말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이 출석자 단말 그룹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지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즉, 주변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22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감지모듈(220)은 주변 단말이 브로드캐스팅하는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통해 주변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에는 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말의 식별정보(UUI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지모듈(220)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주변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반드시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다른 예로 WiFi-Direct를 들 수 있다. Wifi-Direct 의 경우에도 자신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주변 단말은 이러한 신호를 통해 상기 신호를 브로트캐스팅한 단말이 자신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모듈(220)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 단말이 주변 단말을 인식하여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각 단말이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첫 번째 열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며, 두 번째 열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단말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을 인식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T0)에서 사용자 단말(T4)까지의 거리라고 가정한다. 즉, 각 사용자 단말의 인식 거리가 출석 공간(10)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각 사용자 단말이 인식하는 주변 단말은 상기 출석 공간(10)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중 일부일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 마스터 단말은 사용자 단말(T0)라고 가정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T0)의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가 존재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T0)은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를 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T0)가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의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4)의 경우,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5)가 존재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T1)은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5)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5)를 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T1)이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5)의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출석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20)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T9) 및 사용자 단말(T10)은 서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공간(30)에 단독으로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T11)은 아무런 주변 단말도 포함되지 않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단말 역시 같은 방법으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생성하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단말의 리스트는 최종적으로 도 6과 같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100, 특히, 상기 제어모듈(130))이 출석 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각각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출석자 단말 그룹을 판단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먼저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S151).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2). 상기 마스터 단말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상기 S151단계 직후에 수행되는 S152단계에서는 신규 단말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판단 결과,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할 수 있으며(S153, S154), 이 과정을 신규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152).
한편,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출석자 단말 그룹을 확정할 수 있다(S165).
도 8은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배치되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도 6과 같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130)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석자 그룹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 마스터 단말은 사용자 단말(T0)라고 가정한다. 한편, 도 8의 첫 번째 열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며, 두 번째 열은 출석자 단말 그룹을 나타내며, 세 번째 열은 신규 단말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마스터 단말(T0)은 상기 출석 공간(10)에 존재할 것이라고 간주되는 사용자 단말이므로 초기의 출석자 단말 그룹에는 마스터 단말(T0)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130)은 마스터 단말(T0)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 단말의 리스트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신규 단말은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신규 단말인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규 단말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 단말 리스트 중 출석자 단말 그룹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단말을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T1)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4)]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중 사용자 단말(T2)을 신규 단말로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3)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및 사용자 단말(T4)]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는 기존의 출석자 단말 그룹에 없던 새로운 단말이 없으므로 사용자 단말(T2)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 의해서는 신규 단말이 추가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T4)이 전송한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및 사용자 단말(T5)]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중 사용자 단말(T5)을 신규 단말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사용자 단말(T2) 및 사용자 단말(T5)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T6) 및 사용자 단말(T7)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 단말로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사용자 단말(T6) 및 사용자 단말(T7)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T8)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 단말로서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신규로 추가된 사용자 단말(T8) 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더 이상 신규 단말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출석자 단말 그룹을 [사용자 단말(T0), 사용자 단말(T1), 사용자 단말(T2), 사용자 단말(T3), 사용자 단말(T4), 사용자 단말(T5), 사용자 단말(T6), 사용자 단말(T7) 및 사용자 단말(T8)]로 확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마스터 단말로부터 시작하여 주변 단말을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출석자 단말 그룹을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출석 공간에 출석한 사용자의 단말이 마스터 단말의 인식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라도 출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인식 범위가 협소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올바르게 출석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최근 대다수의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대부분 채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출석 체크를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평소에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출석 체크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기법 중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비교적 가볍고 처리 속도가 빠른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을 인식하게 되므로 출석 체크가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확정된 출석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출석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출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출석 체크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출석 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석 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출석체크 시스템이,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일부인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자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함;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응답자 단말은,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대한 출석체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출석체크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8.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일부인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여기서, 상기 응답자 단말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리스트를 포함함;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고,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된 각각의 신규 단말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신규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상기 출석자 단말 그룹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자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체크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대한 출석체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출석체크 대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모듈을 더 포함하는 출석체크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모둘;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리스트를 제8항에 기재된 출석체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상기 하나의 다른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이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KR20140043596A 2014-04-11 2014-04-11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53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596A KR20140053071A (ko) 2014-04-11 2014-04-11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596A KR20140053071A (ko) 2014-04-11 2014-04-11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193A Division KR20160054436A (ko) 2016-04-20 2016-04-20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071A true KR20140053071A (ko) 2014-05-07

Family

ID=5088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3596A KR20140053071A (ko) 2014-04-11 2014-04-11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307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6360A (zh) * 2014-06-19 2014-09-10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基于磁卡考勤行为的用户数据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600258B1 (ko) * 2014-11-26 2016-03-08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KR101600259B1 (ko) * 2014-11-26 2016-03-08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CN106156923A (zh) * 2015-04-14 2016-11-23 孙石桔 智能出勤核查系统和智能出勤核查方法
KR20160137768A (ko)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인큐테크 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93046A (zh) * 2017-08-03 2017-11-24 陕西尚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签到系统和蓝牙签到方法
CN111754367A (zh) * 2019-07-24 2020-10-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学习环境下的归位提醒方法及电子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6360A (zh) * 2014-06-19 2014-09-10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基于磁卡考勤行为的用户数据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4036360B (zh) * 2014-06-19 2017-02-15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基于磁卡考勤行为的用户数据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600258B1 (ko) * 2014-11-26 2016-03-08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KR101600259B1 (ko) * 2014-11-26 2016-03-08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WO2016085043A1 (ko) * 2014-11-26 2016-06-02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WO2016085041A1 (ko) * 2014-11-26 2016-06-02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CN106156923A (zh) * 2015-04-14 2016-11-23 孙石桔 智能出勤核查系统和智能出勤核查方法
KR20160137768A (ko) 2015-05-21 2016-12-01 주식회사 인큐테크 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93046A (zh) * 2017-08-03 2017-11-24 陕西尚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签到系统和蓝牙签到方法
CN107393046B (zh) * 2017-08-03 2019-08-06 陕西尚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签到系统和蓝牙签到方法
CN111754367A (zh) * 2019-07-24 2020-10-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学习环境下的归位提醒方法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3071A (ko)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5051569B (zh) 无线网络中针对紧急服务所进行的位置确定
US9686645B2 (en)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2711035A (zh) 改进的设备位置检测
CN103503530A (zh) 机器到机器装置的网络重新进入
CN103957594A (zh) 一种终端定位的方法及装置
US11785135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5142171A (ja) 無線端末装置、位置情報出力方法及び位置情報出力プログラム
TW201101911A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54862A (ko) 장치들의 위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63674B2 (en) Chatt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s
CN106604353B (zh) 一种签到方法及服务器
CN105657835A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基站
WO2018014793A1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CN104081220A (zh) 用于利用和促进大地三角测量以判定计算设备的全球定位的机制
KR20150094921A (ko) Xidstory 앱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한 출석 체크 방법
Deugo Using beacons for attendance tracking
KR20160054436A (ko)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60174147A1 (en) Access point selection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JP2016025472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US9288307B2 (en) Authorized transmission of navigation assistance
JP2017053824A (ja) 端末装置、検知方法および検知プログラム
KR1015973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와이파이 테더링 기능을 이용한 출결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53458B (zh) 打卡记录生成方法及相关装置
JP6729035B2 (ja) 管理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