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258B1 -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258B1
KR101600258B1 KR1020140166169A KR20140166169A KR101600258B1 KR 101600258 B1 KR101600258 B1 KR 101600258B1 KR 1020140166169 A KR1020140166169 A KR 1020140166169A KR 20140166169 A KR20140166169 A KR 20140166169A KR 101600258 B1 KR101600258 B1 KR 10160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ocial group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김영식
김용진
Original Assignee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258B1/ko
Priority to PCT/KR2015/001296 priority patent/WO201608504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무선환경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의 특성에 의해 규정되는 정보로서,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하 '수신식별정보'라고 칭함) 및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생성한 객체와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지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및 각 이동 단말기의 무선환경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Method for Forming Social Group Based on Location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실시예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위치 기반으로 논리적인 그룹인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중심으로 이용하여 인접한 이동 단말기들 간에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이동 단말기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포지셔닝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애플리케이션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채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은 이동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다.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결정된 이후에는, 이동 단말기가 상주하고 있는 영역 내의 빌딩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각 영역 내의 빌딩 정보는 이동 네트워크의 서버에 사전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소정 영역 내의 빌딩 정보가 이동 단말기로 사전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GPS 모듈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이동 단말기는 그 위치 내의 주변 영역의 빌딩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거나, 로컬로부터 대응 영역 내의 빌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빌딩은 식당, 극장 등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으로, 제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지점 주변 영역 내의 빌딩 정보가 획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지점 주변 영역 내의 다른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실내 및 건물 지하와 같은 GPS 음영지역에서는 위치를 파악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무선통신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상에는 이동 통신망 외에도,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와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신호가 존재한다. 이동 단말기는 그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 환경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환경하에서, 어느 특정 위치는 해당 위치에서 이동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들의 특성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추출된 무선환경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소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무선환경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의 특성(Characteristic)에 의해 규정되는 정보로서,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하 '수신식별정보'라고 칭함) 및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생성한 객체와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지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및 각 이동 단말기의 무선환경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기들이 소셜 그룹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종래에 단말기 사용자가 소셜 그룹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각각의 단말기들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추출된 무선환경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들 이동 단말기들 간에 논리적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 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a는 두 개의 단말기가 각각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b는 새로운 이동 단말기가 기 형성된 소셜 그룹에 그룹원으로 추가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c는 새로운 이동 단말기가 기 형성된 소셜 그룹에 그룹원으로 추가되는 다른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 및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13-911-04-006, 소셜 M2M 서비스 개발]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 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반으로 그룹을 형성하되, 그 근접도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수신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특성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는 해당 위치에서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특성에 의해 구별되며, 이동 단말기 간의 상대적인 위치 내지 근접도는 각 이동 단말기가 수신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유사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위치는 이동 단말기들의 절대적인 위치(즉, 좌표값)가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특성의 유사도에 기초한 이동 단말기들 간에 상대적인 위치 내지 근접도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 형성시스템(100)은 서버(110),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20, 122, 124) 및 복수의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38, 14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3개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20, 122, 124) 와 6개의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38, 140)가 예시되어 있지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개수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 이동 단말기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근거리 무선통신장치(120, 122, 124)는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는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종 모바일 기기(즉, STA)가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는 Bluetooth 프로토콜 기반으로 근거리 무선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비콘 장치(Beacon)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 지그비 신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장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38, 140)는 위치 기반으로 타 이동 단말기들과 그룹을 형성하고, 그룹 내의 구성원들과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구성원들과 협업하여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 또는 타 개체(타 이동 단말기, 서비스 서버 등)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38, 140)는 현재 위치에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을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 주위의 무선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선환경정보란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의 특성(Characteristic)에 의해 규정되는 정보로서, 수신된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수신식별정보 및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신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의 거리에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 지표(Range Indicator)를 포함한다. 예컨대, Bluetooth 프로토콜 기반으로 송신된 무선통신신호인 경우, 식별정보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MAC 주소 및 Major/Minor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지표는 Bluetooth 프로토콜 기반으로 송신된 무선통신신호인 경우, 무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거리 측정 값 및 근접정도(Proxim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50, 152, 154, 156, 158, 160)는 생성된 무선환경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이동 단말기는 무선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이동 단말기들(130, 132, 134, 136, 138)로부터 무선환경정보를 수신한다. 서버(110)는 각 이동 단말기의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 이동 단말기들의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수신식별정보들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거리 지표의 유사도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서버는 각 이동 단말기들이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 어느정도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거리 지표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수신식별정보들이 일치하는 것과,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거리 지표의 유사도에 각기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각 이동 단말기는 무선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서버(110)에 전송하고, 서버(110)는 유사도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 즉, 유사도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그룹원을 선별할 수 있다.
도 1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1 및 2(120 및 122)로부터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영역(140) 내에 5 개의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40)가 위치하며, 영역(140) 외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38)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2(122) 및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124)이 송신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36)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1, 2 및 3 (120, 122 및 124)의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 가능하다. 이 경우, 서버(110)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1 및 2 (120 및 122)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5 개의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40)에 대해 소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124)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2개의 이동 단말기(136, 138)에 대해 소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상기 5 개의 이동 단말기(130, 132, 134, 136, 140) 중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거리와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 지표가 유사한 이동 단말기들만을 선별하여 소셜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들의 무선환경정보를 기초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것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미 생성된 소셜 그룹에 새로운 이동 단말기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유사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1에서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환경정보를 수신하고, 각 이동 단말기의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를 기초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주체로서 서버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와 같이, 각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타 객체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여, 여러 가지 상황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 사이에 소셜 그룹을 형성하거나, 이미 형성된 소셜 그룹에 새로운 그룹원이 추가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두 개의 단말기가 각각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230)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1(220)과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2(222)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이동 단말기(232)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224)과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4(226)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 간에는 무선환경정보가 서로 상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버(210)는 각 이동 단말기(230, 232)를 단일 구성원으로 하는 제1 소셜 그룹과 제2 소셜 그룹을 각각 형성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서버(210)는 유사한 무선환경정보를 갖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그룹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b는 새로운 이동 단말기가 기 형성된 소셜 그룹에 그룹원으로 추가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b는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가 도 2a에 예시된 상황과 동일한 무선환경정보를 가지며, 제3 이동 단말기(234)가 제 2 이동 단말기(232)에 인접한 장소에 새롭게 출현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의 무선환경정보 사이에는 유사성이 없으므로,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 사이에는 소셜 그룹이 형성되지 않는다. 반면, 제2 이동 단말기(232)는 제3 이동 단말기(234)는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224) 및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4(226)이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제2 이동 단말기(232)가 단일 구성원으로 구성된 소셜 그룹에 제3 이동 단말기(234)가 추가될 수 있다. 물론, 서버는 제2 이동 단말기(232)와 제3 이동 단말기(234)가 전송하는 무선환경정보(명확하게는, 거리 지표)로부터 파악되는 근거리 무선 전송 장치와의 근접도가 크게 다른 경우에는 제2 이동 단말기(232)가 속한 소셜 그룹에 제3 이동 단말기(234)를 추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c는 새로운 이동 단말기가 기 형성된 소셜 그룹에 그룹원으로 추가되는 다른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c는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가 도 2a에 예시된 상황과 동일한 무선환경정보를 가지며, 제3 이동 단말기(236)가 제1 이동 단말기(230) 및 제 2 이동 단말기(232) 모두에 인접한 장소에 새롭게 출현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즉, 도 2c에 예시된 제3 이동 단말기(236)는 제1 이동 단말기(230)이 수신할 수 있는 모든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근거리 무선전송장치 3(234)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의 무선환경정보 사이에는 유사성이 없으므로,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제2 이동 단말기(232) 사이에는 소셜 그룹이 형성되지 않는다. 새로운 제3 이동 단말기(236)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1(220) 및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2(222)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이동 단말기(230)와 유사한 무선환경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제3 이동 단말기(236)는 제1 이동 단말기(230)가 단일 구성원으로 구성된 소셜 그룹에 구성원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새로운 제3 이동 단말기(236)는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224)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 이동 단말기(232)와 유사한 무선환경정보를 가지지만,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4(226)이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신호를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제2 이동 단말기(232)와 상이한 무선환경정보를 가진다. 이 경우, 제3 이동 단말기(236)가 제2 이동 단말기(232)가 단일 구성원으로 구성된 소셜 그룹에 구성원으로써 추가될 지 여부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제3 이동 단말기(236)와 제2 이동 단말기(232)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3(224)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RSSI)가 서로 매우 유사하다면, 제3 이동 단말기(236)가 제2 이동 단말기(232)가 단일 구성원으로 구성된 소셜 그룹에 구성원으로써 추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그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각 이동 단말기들은 현재 위치에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을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 주위의 무선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환경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S310).
서버는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수신식별정보 및 거리지표를 고려하여, 각 이동 단말기들의 무선환경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다(S320). 서버는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수신식별정보 및 거리지표의 유사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는 무선환경정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이동 단말기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단말기를 구성원으로 하는 그룹들을 각각 형성한다(S330).
이상에서 설명한 그룹 형성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들 간에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무선환경정보는 각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의 특성(Characteristic)에 의해 규정되는 정보로서,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하 '수신식별정보'라고 칭함) 및 각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생성한 객체와의 거리에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지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및
    각 이동 단말기의 무선환경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를 판단시,
    상기 무선환경정보에 포함된 수신식별정보 및 거리지표의 유사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그룹을 형성함에 있어서,
    무선환경정보들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는 반복하여 각 이동 단말기들을 선별하여,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가 Wi-Fi 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식별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지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식별정보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MAC 주소, Major 및 Minor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지표는 RSSI, 거리 측정값 및 근접도(Proxim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그룹 형성 방법.
KR1020140166169A 2014-11-26 2014-11-26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KR10160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69A KR101600258B1 (ko) 2014-11-26 2014-11-26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PCT/KR2015/001296 WO2016085041A1 (ko) 2014-11-26 2015-02-09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69A KR101600258B1 (ko) 2014-11-26 2014-11-26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258B1 true KR101600258B1 (ko) 2016-03-08

Family

ID=5553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69A KR101600258B1 (ko) 2014-11-26 2014-11-26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0258B1 (ko)
WO (1) WO201608504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3071A (ko) * 2014-04-11 2014-05-07 김윤희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77595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의 채널 정보의 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8354B (zh) * 2012-05-21 2017-03-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的群组生成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595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의 채널 정보의 이용 방법
KR20140053071A (ko) * 2014-04-11 2014-05-07 김윤희 출석체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041A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6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EP34325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beacon device
US20170123039A1 (en) Ultra wideband (uwb)-based high precision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JP5368361B2 (ja) 測位装置及び測位方法
EP3135079B1 (en) Zone based lighting access
KR101363586B1 (ko) 근거리 유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92151A1 (en) Mobile device tracking with peer-to-peer mobile device network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US20190223142A1 (en) Autonomous positioning systems
CN103069778B (zh) 用于定位的方法、移动设备及系统
CN104918323A (zh) 一种终端定位方法及设备
JP2013081023A (ja) 位置検出装置、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01020B1 (ko) 이동 노드 위치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노드 위치 인식 방법
KR20140015389A (ko)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US2021020408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location coordinates obtained from mobile devices
EP27618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600259B1 (ko)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간의 근접도를 기초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CN107567715B (zh) 用于在通信网络中提供信息的方法和设备
US1054796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vehicle supply equipment and wireless device
KR20180031150A (ko) 라디오 맵 구축 기능을 가진 핑거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이의 라디오 맵 구축 방법
KR101600258B1 (ko)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 위치 기반으로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JP2015507172A (ja) 距離推定
KR20130021231A (ko) 위치 추론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46657B1 (ko) 구역별 위치관리시스템 및 위치관리방법
KR20160138678A (ko) 비컨을 이용한 위치 검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